이미경(정치인)

 

민주당 사무총장
당명변경
통합민주당

초대
이미경


제2대
이낙연
[[대한민국|{{{#cfa547 대한민국 }}}]] [[대한민국 국회|{{{#cfa547 국회}}}]][[대한민국 국회의원|{{{#cfa547 의원 }}}]] ([[서울특별시|{{{#cfa547 서울}}}]] [[은평구 갑|{{{#cfa547 은평구 갑}}}]])
제16대
강인섭

제17~19대
이미경

제20·21대
박주민
<colbgcolor=#004ea2><colcolor=#ffffff> 성명
이미경 (李美卿, Lee Mi-kyung)
출생일
1950년 9월 2일 (73세)
출생지
경상남도 부산부 (현 부산광역시)
학력
경남여자중학교 (졸업)
이화여자고등학교 (졸업)
이화여자대학교 (영어영문학 / 학사)
이화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 / 석사)
소속 정당

의원 선수
5
의원 대수
15, 16, 17, 18, 19
종교
천주교(세례명 : 마리아)
가족
남편 이창식, 슬하 2녀
현직

약력
한국기독교사회문제연구원 연구원
한국여성민우회 부회장
한국여성단체연합 상임부회장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홍보위원장
한국여성단체연합 공동대표
제15대 국회의원
제16대 국회의원
새천년민주당 선거대책위원회 공동대변인
열린우리당 조직위원장
열린우리당 상임중앙위원
열린우리당 외부인사영입 위원장
열린우리당 새정치운동본부장
제17대 국회의원
제18대 국회의원
민주당 사무총장
민주당 중앙선거대책본부장
제19대 국회의원
한국국제협력단 이사장
1. 개요
2. 생애
2.1. 활동
2.1.1. 한국기독교사회문제연구원
2.1.2. 민주쟁취국민운동본부, 한국여성민우회, 한국여성단체연합
2.1.3. 정대협 활동
2.1.4. 15대 국회의원
2.1.5. 16대 국회의원
2.1.6. 17대 국회의원
2.1.6.1. 송승헌 입대연기 추진 논란
2.1.6.2. 부친 일제시대 헌병 논란
2.1.7. 18대 국회의원
2.1.8. 19대 국회의원
2.1.9. 20대 총선 박주민 전략공천으로 공천 컷오프
2.1.10. 문재인 캠프 공동선대위원장
2.1.11. KOICA 이사장
2.1.11.1. 코이카 낙하산과 일감몰아주기 논란
2.1.12. 기타
3. 선거 이력
4. 소속 정당
5.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전 정치인, 공공기관인.

2. 생애


1950년 경상남도 부산부(현 부산광역시)에서 태어났다.
경남여중을 졸업하고 상경하여 이화여자고등학교, 이화여자대학교 문리과대학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였다. 이후 민주화운동, 여성운동에 참여하였다.

2.1. 활동



2.1.1. 한국기독교사회문제연구원


1983년부터 한국기독교사회문제연구원 연구원을 지냈다.

2.1.2. 민주쟁취국민운동본부, 한국여성민우회, 한국여성단체연합


1987년부터는 민주쟁취국민운동본부 상임운영위원, 한국여성민우회 부회장, 한국여성단체연합 상임부회장을 지내며 활동했다.

2.1.3. 정대협 활동


1990년대 초부터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에서 활동하며 홍보위원장 등을 지냈다.

2.1.4. 15대 국회의원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통합민주당 전국구 국회의원에 당선되었고 이듬해 12월 통합민주당이 신한국당과 합당해 출범한 한나라당 소속이 되었다. 그러나 원래 개혁 성향이었기 때문에 1999년 5월의 노동법 개정안과 9월의 동티모르 파병안에 대해 당론을 어기면서까지 찬성했고 그 결과 10월에 제명되었다.[1]

2.1.5. 16대 국회의원


2000년 초 새천년민주당 창당에 합류했으며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전국구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
2002년 대선때 노무현 대통령 후보 선대위 대변인을 지냈다.
2003년 새천년민주당을 탈당하여 열린우리당에 입당하면서 전국구 국회의원직을 상실하였다.[2]

2.1.6. 17대 국회의원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열린우리당 후보로 서울특별시 은평구 갑 선거구에 출마하여 한나라당 강인섭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다. 같은 해부터 2006년까지 대한민국 국회 문화관광위원장을 역임하였다.

2.1.6.1. 송승헌 입대연기 추진 논란

문광위 위원장 당시 병역비리 혐의를 받은 송승헌의 입대 연기를 우상호 의원과 같이 추진해 비판받기도 했다.#

2.1.6.2. 부친 일제시대 헌병 논란

2004년 9월 당시 한나라당 소속 박근혜 의원의 부친인 박정희의 일본군 복무와 관련해서 친일진상규명법 개정안 통과를 요구하며 정치적 공세를 펼쳤다.
그러나 정작 같은 당 의원인 김희선 의원의 친부가 당시 이재오 한나라당 의원의 친부를 독립군 불순분자라하여 체포한 일본 만주국 특무경찰이었다는 것이 드러났다.#
또한 같은 당 신기남 의원의 부친은 일제시대 헌병 오장#이었고 이미경 의원 본인의 부친도 일제시대 일본 헌병이었음이 드러났다.##
이미경 의원의 ‘부친에게 친일 이력이 있다’는 소문이 온라인 상에서 빠르게 퍼지자 결국 2004년 8월 한 주간지와의 인터뷰에서 자신의 아버지가 일제강점기 일본 헌병으로 복무했음을 공개적으로 시인했다. 이미경 의원은 당시 “어머니와 경북 경주 고향 어른들 증언을 모았는데 아버지가 일본에서 오래 살았고 차출됐다거나 징발됐다는 등 여러 표현이 나오지만 (일제강점기 때) 헌병을 ‘좀 했다’고 들었다”며 “아버지가 언제 어디서 무슨 활동을 했는지는 구체적으로 확인되지 않는다”고 해명했다.
이 과정에서 신기남 의원은 열린우리당 의장직에서 사퇴했다. 또한 유시민 의원의 부친이 일제괴뢰국이던 만주국의 소학교 훈도(교사)였다는 의혹이 불거졌다. 유시민 의원은 자신의 부친이 만주국 소학교에서 일한 적은 있다고 알고 있으나 교원이었는지에 대해서는 들은 바 없다고 언급했다.
결국 이미경 의원은 자신의 주장을 철회하고 갑자기 "친일 규명, 족보 캐듯 하면 안 된다"라는 치졸한 변명을 늘여놓으면서 친일진상규명법 개정은 일종의 해프닝으로 유야무야 넘어가게 되었다.#
나중에 2006년에 알려진 바로는 친일진상규명법에 적극 찬성했던 조기숙 전 청와대 홍보수석의 증조부는 교과서에도 실려있고 친일행위까지한 희대의 탐관오리 조병갑이였다고 한다

2.1.7. 18대 국회의원


2008년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통합민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같은 해 민주당 사무총장에 임명되었다.

2.1.8. 19대 국회의원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통합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2.1.9. 20대 총선 박주민 전략공천으로 공천 컷오프


그러나 더불어 민주당에서 이해찬, 정호준 의원과 더불어 20대 총선을 앞두고 컷오프를 당했다. 컷오프 이후에 당의 결정에 승복하며 해당 지역구에 전략 공천된 정치 신인인 박주민 후보의 선거운동을 도왔으며, 그의 당선에 크게 기여했다.[3]

2.1.10. 문재인 캠프 공동선대위원장


원외로 물러난 이후에는 제19대 대통령 선거를 준비하는 문재인 캠프 공동선대위원장으로 합류하여 여성, 가족 정책 입안을 담당하였다.

2.1.11. KOICA 이사장


문재인 정부가 출범한 이후 정부의 무상원조 담당 기관인 한국국제협력단(KOICA) 이사장에 임명되었다.

2.1.11.1. 코이카 낙하산과 일감몰아주기 논란

그동안 개발도상국들을 원조하는 코이카 이사장은 대부분 외교관 출신들이 가는 자리였기 때문에 이와 무관한 경력을 가진 이 이사장은 선임 때부터 ‘낙하산 인사’ 논란을 겪었다.##

2.1.12. 기타


  • 5선 국회의원으로 박순천, 박근혜 그리고 추미애와 함께 대한민국 헌정사에서 여성 최다선 국회의원이다.
  • 이미경의 형부는 바로 법을 배운 전태일이라고 불리는 조영래 변호사이다.

3. 선거 이력


연도
선거 종류
선거구
소속 정당
득표수 (득표율)
당선 여부
비고
1996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전국구

2,207,695 (11.20%)
당선 (2번)
초선[4]
2000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6,780,625 (35.90%)
당선 (8번)
재선[5]
2004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은평 갑

50,785 (51.78%)
당선 (1위)
3선
2008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33,638 (45.82%)
4선
2012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42,672 (49.05%)
5선

4. 소속 정당


소속
기간
비고

1996 - 1997
정계 입문

1997 - 1999
합당[6]

1999 - 2000
제명

2000 - 2003
복당

2003
당내 노선차이로 인한 탈당

2003 - 2007
입당

2007 - 2008
합당[7]

2008
합당[8]

2008 - 2011
당명 변경

2011 - 2013
합당[9]

2013 - 2014
당명 변경

2014 - 2015
합당[10]

2015 - 2017
당명 변경

2017 - 2020
공공기관장 임명으로 인한 탈당

2020 -
복당

5. 둘러보기








[1] 참고로 이 때 이미경과 행보를 같이 한 인물이 바로 이수인 의원이다. 노동법 개정안 때는 함께 자리를 지켜 여당 의원들에게 감사 인사를 받았을 정도. 다만 동티모르 파병안 때는 이미경 의원만 자리를 지켰다.[2] 앞서 언급한 1999년 10월의 제명 때는 자진 탈당이 아니기 때문에 전국구 국회의원 자격이 유지되었다.[3] 19대 대선 국면이 한창이었던 박주민 의원의 당선 1주년 때, 이미경 전 의원이 박 의원의 당선 1년을 축하하는 난 화분도 보내줬다고 한다.[4] 1997년 한나라당 흡수
1999.10 한나라당 제명(무소속)
2000 새천년민주당 입당
[5] 2003.10 탈당으로 의원직 당연상실[6] 신한국당과 신설 합당.[7] 대통합민주신당에 흡수 합당.[8] 민주당과 신설 합당.[9] 시민통합당과 신설 합당[10] 새정치민주연합에 흡수 합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