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작(작위)
1. 개요
다섯 등급으로 나눈 귀족의 작위(爵位) 중 네 번째 등급이다. 후술되지만 실체를 들여다보면 동양에서나 서양에서나 제대로 된 작위라기엔 뭔가 애매한 개념이다.
2. 역사
2.1. 중국의 작위
두 가지 경우가 있는데 첫 번째로는 영지가 없이 다른 제후의 휘하에서 일하거나, 좁은 영지 혹은 개인의 땅을 본거지로 약간의 사병을 거느리는 사실상 호족이다. 맹자는 자작과 남작을 비슷한 작위로 묶었으며, 권력이라는 측면에서는 힘센 일반인이나 마찬가지였다.
두 번째는 작위라고 말하기 좀 애매한 경우로, 주나라 수도에서 떨어진 나라들의 대부분이 이 작위를 받았다. 왕에게 조례할 때 단독으로 참여할 수는 없었으며 후작 내지는 백작들을 따라가 함께 조례하는 정도였다. 그렇다고 부용국인 경우는 거의 없었다. 사실 정식으로 내려진 작위라기보다는 비칭이 작위처럼 굳어진 것으로, 초자라는 표현은 초나라 자작이 아니라 그냥 초나라 촌놈들의 수장이라는 비칭이었다[1] .
춘추시대에서 유명한 봉건국 중에 자작위를 가졌던 국가는 초나라와 진나라(秦), 월나라가 있다. 초나라는 초 무왕이 왕호를 참칭한후에도 주나라의 역사서에서는 초자(楚子)로 기록되어 있으며, 진(秦)나라는 본래 왕성(王姓, 즉 주 왕실과 같은 姬씨)이 아니라 자작위에 있었지만 진 양공 시절에 주나라를 도와 뤄양을 회복시키고, 견융이 주나라로부터 빼앗은 기, 풍 지방[2] 을 함몰시키고 그 땅들을 하사받음과 동시에 백작위에 오르게 되었다.
주나라 대에 위영공의 부인이 자작위를 받은 적이 있는데 영지로 남 땅을 갖고 있었다. 때문에 합쳐서 남자(…)라고 불렸다.[3][4]
참고로 공자, 맹자 등에 붙은 자(子)는 선생님이라는 뜻의 부자(夫子)의 약자로, 작위가 아니다.
2.2. 한국의 작위
현존하는 금석문, 서적 상에서 자작위(子爵位)를 봉한 한국 왕조는 발해와 고려왕조다. 고대 삼국은 왕, 공, 후 백작까지는 보이지만 자작, 남작위는 보이지 않는다.
발해 왕조는 매우 단편적인 사용례만 보이며 아마 당제를 수용했을 거라 추측만 한다.
고려의 자작위는 중국 주나라와 서진의 제도를 도입, 개조한 것이다. 주나라의 공후백자남 오등작을 도입해 왕족 및 신하에게 봉했으며 서진의 제도를 따라 개국(開國) 미칭을 붙혀주었다. 문종 인효왕 때 오등봉작제가 제정되어 고려만의 오등작 제도가 만들어지는데, 오직 신하만이 자작 및 남작위에 봉해졌다. 왕족은 공후백 삼등작만 봉해지고 신하는 오등작에 봉해지게 되었다. 그래서 고려사상 자작위에 봉해진 자는 모두 먼 방계 왕족이거나 신하 뿐이다.
2.3. 유럽의 작위
'''사실 유럽에는 "자작"이라는 작위가 없다.''' 바이카운트(viscount)는 "버금"을 뜻하는 "vis- = vice"이 백작을 의미하는 카운트(count)와 결합된 것으로, "부백작"이라고 번역하는 것이 본래 뜻에 가깝다.[5] 원래는 백작의 궁재(宮宰), 즉 백작령의 총리 정도 되는 백작의 따까리(...)를 말하는 것이었다.
백작이 영지에 주재중일 때에는 주로 사무를 맡아보거나 시찰을 다니며 전반적인 영지관리나 궁성관리를 맡아했고, 백작이 출타중일 때에는 백작 대리로서 사실상 백작행세를 하였다. 이런 자작들 중에서 출세한 케이스가 바로 밀라노의 자작 비스콘티(visconti) 가문. 원래는 밀라노의 자작가문이었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사실상 밀라노를 비롯한 롬바르디아의 지배자로 등극하였고, 나중에는 교황의 승인을 받아 밀라노의 공작가문이 되었다.
이렇듯 작위라기보다는 "역직"에 가까운 것이 유럽의 자작이라 독일, 헝가리, 러시아 등 중동부 유럽에서는 자작 작위가 없었다. 영국에서도 그 첫 기록이 1440년이었고,[6] 현존하는 112개의 자작위[7] 중 둘만 빼고는 모두 17세기 이후의 것이다. 빅토리아 여왕의 즉위식 때 자작들이 다른 작위들보다 별로 없는 걸 보고 멜버른[8] 경에게 이유를 물었더니 멜버른 경이 그 유래를 들면서 원래 자작 자체가 영어가 아니었다고 설명하는 것이 여왕의 일기에 나온다.[9] 러셀 백작가의 경우처럼 백작의 후계자에게 자작 작위가 주어지기도 한다. 포클랜드 전쟁의 빌미가 된 포클랜드 섬도 영국의 포클랜드 자작에서 따온 것이다. 당시 이 섬을 발견한 사람들의 항해 비용을 댔던 사람이 5대 포클랜드 자작 앤서니 캐리 해군 재무대신이었기 때문.
한마디로 유럽의 자작(= 부백작)이 봉건 귀족의 상징인 독자적으로 영지를 소유하는 경우는 거의 없었다. 공작령, 백작령, 남작령은 있어도 자작령 같은 건 없었다는 소리다. 아예 없는 건 아니지만 발에 채일 정도로 많은 공, 백, 남작령에 비해 지극히 드물었는데[10] , 이런 역사적 이유가 있다. 당장 저 위키피디아 링크로 들어가봐도 알 수 있는데, 실상은 자작령들이 죄다 대외적으로는 백작령을 자칭하고 있는데, 이는 그 백작령에서 모종의 이유로 백작이 부재하게 되자, 자작이 그 섭정으로서 다스린 것이다. 즉, 말이 자작령이지, 그냥 백작없는 백작령인 셈이다[11] . 물론 고증 따위 무시하는 양판소물에서는 당당히 자작이 자작령을 소유하고 있다.[12]
정식 작위가 아닌 바이카운트가 동양의 오등작으로서 "자작"에 대응된 것은 일본 제국이 서양식 귀족제를 받아들이면서 바이카운트를 자작으로 옮겼기 때문(...). 후작과 변경백의 혼선도 일본이 마르키(= 변경백)를 후작으로 옮겨서 시작되었다.
3. 자작 칭호를 가진 인물
[1] 초나라가 이리도 촌닭 취급받은데는 두 가지 이유가 있다. 첫째로, 초나라는 무성하게 우거진 밀림 지대와 늪지대가 많아서 개발이 지지부진하던 지역이라서, 곳곳에 도시와 마을이 융성하게 발전하던 중원 일대에 비하면 흡사 촌동네를 보는 듯이 낙후된 부분이 많았기 때문이다. 두번째 이유는 사실 초나라는 한족이 세운 나라가 아니라, 몽몐어족 계통의 민족인 몽족이 세운 나라라서 한족이 세운 왕조인 주나라가 보기에는 한낱 오랑캐에 불과했다는 소리다. 특히나 중화권 정세에 개입하겠다고, 어거지로 자기들에게 칭신해오는 이민족 국가의 존재가 위험하게 여겨진 점도 한몫한다.[2] 시안 일대 부근[3] 리히텐슈타인 공이나 작센 후의 경우처럼 남작의 경우도 ~남이라고 작을 떼어내고 부를 수 있다.[4] 한자로는 男子가 아니라 南子다. 참고로 이 여자, 공자와도 관련이 있는 사람이다. 당시 남자는 워낙 행실이 문란해서 세간의 비판의 대상이 되었는데, 문제는 그녀가 공자를 자기 집으로 초청했는데, 그가 여기에 응한 바람에 자로를 포함한 제자들에게 비난을 받기도 했다. 당연하지만, 공자는 남자가 자기를 유혹하려고 불렀다는 걸 깨닫고는 그냥 그녀의 집에서 뛰쳐나왔고, 이를 제자들에게 입증하고자 '''"하늘이 보고 있느니라!"'''라고 울분을 토했다고 한다.[5] 가령 부통령은 영어로 vice president, 해군이나 해안경비대 중장은 vice admiral이다.[6] 그나마도 세습작위가 아니라 국왕이 임명하는 지방관(sheriff) 개념으로 시작되었다.[7] 커트시 타이틀 제외[8] 제2대 멜버른 자작 윌리엄 램. 훗날 제27대 총리가 된다.[9] 멜버른 경의 설명에 따르면 영국 고유의 작위는 공작(Duke)과 남작(Baron) 뿐이다. 백작(Earl)은 북유럽의 야를(Jarl)에서 비롯되었고, 자작은 백작이나 왕의 따까리로서 파생된 것이며, 후작(Marquis)은 독일의 변경백(Markgraf)에서 비롯된 것이다.[10] 그나마 독립국으로서의 영지들도 절대다수가 공작이 다스리는 공국이고, 백작이 다스리는 백국은 갑자기 왕이나 공작이 사라져서 중앙 정부가 공중분해됐을 때나 가뭄에 콩 나듯이 보는 흔치않은 체제였으며, 남작이 통치하는 독립 남작령은 서양사에는 아예 있지도 않았다.[11] 1919년부터 1945년까지 왕없이 섭정이 다스린 헝가리 왕국이나, 반지의 제왕에서 왕실이 단절된 이래로 세습 섭정이 다스린 곤도르를 생각하면 이해하기가 쉬울 것이다.[12] 사실 현실과는 다른 판타지 세계를 그려내면서 고증을 지킬 필요는 없다.[13] 발해 시대 인물. 어느 지역에 분봉됐는지 알 수 없다.[14] 남작에서 진작됨.[15] 기자조선설과는 별개로 고대 중국에서 실존한 사람은 맞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