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근거리기

 

1. 개요
2. 상세 정보
3. 배우는 포켓몬
3.1. 자력기
3.2. 교배기
3.3. 기술 레코드


1. 개요


포켓몬스터기술로 레츠고 시리즈 기술머신 44번이다.

2. 상세 정보


[image]
[image]
기술 이름
타입
분류
위력
명중
PP
한국어
일본어
영어


90
90
10
치근거리기
じゃれつく
Play Rough
기술 효과
특수 분류
부가 효과
확률
-
-
공격 -1
10
Z기술 효과
러블리스타임팩트, 위력: 175
투닥투닥프렌드타임, 위력: 190[1]
6세대에서 추가된 기술로, 소울크래시와 더불어 단 둘 뿐인 페어리 타입 물리기다. 기술 이름이나 귀여운 이펙트만 보면 몸통박치기쯤 되는 초반용 기술 같지만, 예상외로 위력이 90으로 매우 강력하다. 베어가르기깨물어부수기처럼 이름은 훨씬 살벌하지만 치근거리기보다 위력이 약한 기술들이 차고 넘친다.
90의 명중률은 낮은 건 아니지만 높은 것도 아니라 2번 연속 빗나가는 경우도 허다하다. 대다수의 저내구 페어리 포켓몬들은 빗나가지 않도록 빌면서 써야 한다. 특히 배틀타워에서는 반짝가루로 도배하는 NPC들이 매우 많기 때문에 한 배틀에서 5번 이상 빗나가기도 한다.
천하장사 마릴리와 메가입치트가 주력기로 채용하여 어마어마한 위력을 자랑한다. 7세대 스토리의 주인 따라큐가 쓰는 선공 치근거리기 또한 매우 악명높다. 카푸꼬꼬꼭은 이걸 배우지 못해 물리형의 평가가 좋지 못하다. 8세대에서는 무려 기술레코드로 풀려 많은 포켓몬들이 배우게 되었지만, 카푸꼬꼬꼭(과 카푸브루루)은 여전히 이걸 못 배운다.[2] 거기다 푸근하게 생긴 포켓몬이라고 해서 다 배우는 것도 아닌지 내구가 높은 잠만보배우르는 이 기술을 배울 수 없으며, 어차피 느려서 제대로 써먹지도 못할 사념의박치기나 배운다.
따라큐의 전용 Z기술투닥투닥프렌드타임은 이 기술을 베이스로 한다.
일본판 이름인 じゃれつく는 (달라붙어서) 장난친다는 뜻이고, 영문판 이름인 Play rough의 뜻은 '난폭하게 놀기'다. 한국명인 '치근거리기'는 '성가실 정도로 은근히 자꾸 귀찮게 굴다'로, 좀 더 부정적인 뉘앙스가 담겨있다. 어쨌건 성능과는 달리 귀여운(?) 이름 때문에 페어리타입 외에는 작거나 귀여운 포켓몬, 또는 사람과 친하다는 설정이 붙은 포켓몬[3]들이 많이 배운다.
애니메이션에선 로사의 따라큐의 기술 중 하나로 등장. 치근거리기로 피카츄를 밀어붙이고, 주인 레트라를 한 큐에 처리하는 등, 주인 따라큐가 보여주던 공포를 어느 정도 보여준다. 여기서 저 먼지 속 내부상황이 공개가 되었는데, 기술 시전 포켓몬이 상대 포켓몬을 죽도록 때리는 듯하다.

3. 배우는 포켓몬


배우는 포켓몬은 (포켓무버 해금 전 기준으로) 다음과 같다. (자속은 ''이탤릭'', 자속 물리형은 '''볼드'''로 표기)

3.1. 자력기


  • 푸크린
  • 마릴, 마릴리[4]
  • 블루, 그랑블루
  • 포차냐, 그라에나(썬문부터)
  • 직구리
  • 에나비
  • 게을로(ORAS부터)
  • 메가입치트
  • 볼비트, 네오비트(ORAS부터)
  • 요테리, 하데리어, 바랜드
  • 쌔비냥, 레파르다스
  • 나룸퍼프, 나루림[5]
  • 데덴네
  • 클레피
  • 큐아링
  • 따라큐
  • 끼리동, 대왕끼리동
  • 펄스멍
  • 오롱털

3.2. 교배기


  • 링곰
  • 코리갑
  • 그라에나
  • 파비코리[6]
  • 앱솔
  • 스컹탱크
  • 드래캄
  • 툰베어
  • 달코퀸[7]
  • 자말라
  • 할비롱

3.3. 기술 레코드


8세대에 기술 레코드가 추가되면서 치근거리기를 배우는 포켓몬이 많아졌다.

[1] 따라큐 전용기[2] 그리고 정작 이 기술을 받은 카푸들은 물리형으로 굴려지지 않는 카푸나비나와 카푸느지느다.[3] 할비롱, 대왕끼리동 등.[4] 천하장사 특성 한정.[5] 배북 사용 한정.[6] 메가진화시 자속[7] 8세대에서 기술레코드로 배울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