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수출입은행''' The '''Ex'''port-'''Im'''port '''Bank''' of Korea
|
[image]
|
'''정식 명칭'''
| 한국수출입은행
|
'''한자 명칭'''
| 韓國輸出入銀行
|
'''영문 명칭'''
| The '''Ex'''port-'''Im'''port '''Bank''' of Korea
|
'''국가'''
| 대한민국
|
'''설립일'''
| 1976년 7월 1일
|
'''설립목적'''
| 기업의 자본재수출과 주요자원 수입, 해외투자 및 해외자원개발 등 대외경제협력에 필요한 금융을 제공하고, 대외경제협력기금 및 남북협력기금을 운용ㆍ관리함으로써 국민경제의 건전한 발전을 촉진 한국수출입은행법
|
'''업종명'''
| 개발금융기관
|
'''대표자'''
| 방문규
|
'''주무기관'''
| 기획재정부
|
'''주요 주주'''
| '''대한민국 정부: 66.27%''' 한국산업은행: 23.87% 한국은행: 9.86%
|
'''기업 분류'''
| 기타공공기관
|
'''상장 여부'''
| 비상장기업
|
'''은행코드'''
| 008
|
'''SWIFT코드'''
| EXIKKRSE
|
'''직원 수'''
| 1,126명(2020년 3분기 기준)
|
'''자본금'''
| 연결: 11조 8,711억원(2019년 기준) 별도: 11조 8,711억원(2019년 기준)
|
'''매출액'''
| 연결: 8조 7,682억원(2019년 기준)
|
'''영업이익'''
| 연결: 9,015억원(2019년 기준) 별도: 8,964억원(2019년 기준)
|
'''순이익'''
| 연결: 4,347억원(2019년 기준) 별도: 3,016억원(2019년 기준)
|
'''자산총액'''
| 연결: 92조 9,206억원(2019년 기준) 별도: 92조 2,541억원(2019년 기준)
|
'''부채총액'''
| 연결: 79조 1,185억원(2019년 기준) 별도: 78조 5,625억원(2019년 기준)
|
'''자회사'''
| 수은플러스
|
- 그 외 자회사 목록 보기
성동조선해양 대선조선 수은영국은행 수은아주금융유한공사 수은인니금융 수은베트남리스금융회사
|
'''미션'''
| '''대외경제협력 증진을 통한 국민경제의 건전한 발전'''
|
'''비전'''
| '''WE FINANCE GLOBAL KOREA'''
|
'''소재지'''
| '''본점'''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은행로 38 (여의도동) '''해양금융종합센터''' - 부산광역시 남구 문현금융로 40, 20층 (문현동, 부산국제금융센터) '''인재개발원'''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동백죽전대로 219 (중동)
|
- 영업점 소재지 보기
'''부산영업점''' - 부산광역시 남구 문현금융로 40, 20층 ( 문현동, 부산국제금융센터) '''대구영업점''' - 대구광역시 동구 동대구로 489, 11층 ( 신천동, 대구무역회관) '''창원영업점''' -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중앙대로 257, 5층 501호 ( 용호동, 경남무역회관) '''울산영업점''' - 울산광역시 남구 삼산로 197, 4층 ( 달동, 유안타증권빌딩) '''광주영업점''' - 광주광역시 서구 상무중앙로 58, 13층 ( 치평동, 타임스퀘어) '''전주영업점''' -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온고을로 1, 10층 ( 서신동, 대한교원공제회관빌딩) '''대전영업점''' - 대전광역시 서구 한밭대로 797, 16층 ( 둔산동, 캐피탈타워) '''청주영업점'''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풍산로 50, 6층 ( 가경동, 충청북도지방기업진흥원) '''인천영업점''' - 인천광역시 남동구 인주대로 585, 15층 ( 구월동, 시티은행인천본부빌딩) '''수원영업점''' -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광교로 107, 9층 ( 이의동,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구미영업점''' - 경상북도 구미시 구미대로 350-27, 4층 ( 신평동, 구미시종합비즈니스지원센터) '''여수영업점''' - 전라남도 여수시 좌수영로 55, 4층 ( 광무동, 여수상공회의소) '''원주영업점''' - 강원도 원주시 시청로 10, 5층 ( 무실동, 금정타워)
|
- 수출중소기업지원센터 소재지 보기
|
'''관련 웹사이트'''
|
'''한국수출입은행 공식 홈페이지''' '''대외경제협력기금 공식 홈페이지''' '''한국수출입은행 남북협력기금 공식 홈페이지'''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공식 홈페이지'''
|
'''공식 SNS'''
|
'''한국수출입은행 공식 유튜브''' '''한국수출입은행 공식 페이스북'''
|
'''관련 전화번호'''
|
대표전화: '''02-3779-6114''' 대표전화: '''02-6255-5114''' 해양금융종합센터: '''051-922-8825''' 인재개발원: '''031-281-9444'''
|
[image]▲ 한국수출입은행 본점 사옥.
[clearfix]
1. 개요
'''한국수출입은행법''' 제1장 총칙 제1조(목적) 이 법은 한국수출입은행을 설립하여 수출입, 해외투자 및 해외자원개발 등 대외 경제협력에 필요한 금융을 제공함으로써 국민경제의 건전한 발전을 촉진함을 목적으로 한다.
|
대한민국의 국책은행으로
기획재정부 산하
기타공공기관. 1969년 제정된 한국수출입은행법에 의하여 1976년
[1] 이는 당시 박정희 정부가 국내외 산업여건과 재정사정, 그리고 중장기신용에 대한 자본재 수출실적이 미미한 점을 고려하여 이 은행의 설립을 일단 유보했기 때문이었다. 대신 정부는 해당 법률 부칙에 따라 한국외환은행에 중장기신용부를 만들어 한시적으로 수출입은행의 업무를 대행하였다.
세워졌다.
설립 목적은 수출입 회사들에 저금리로 장기 자금을 빌려 주는 것이다. 1987년부터는 대외경제협력기금, 1991년부터는 남북경제협력사업을 위한 금융 지원을 독점하고 있다.
지분 구조는
기획재정부가 66.27%,
한국산업은행이 23.87%,
한국은행이 9.86%의 지분을 각각 보유하고 있다.
노조는
한국노총 금융노조 소속이다.
뉴욕,
보고타,
베이징,
도쿄,
상파울루,
모스크바,
멕시코시티,
뉴델리,
상하이,
타슈켄트 등지에 해외사무소와
영국,
인도네시아,
베트남,
홍콩 등지에 현지 지사를 갖추고 있다.
2. 역대 은행장
- 송인상 (1976~1979)
- 양윤세 (1979~1980)
- 이태호 (1980~1983)
- 박성상 (1983~1986)
- 류돈우 (1986~1987)
- 황창기 (1987~1990)
- 홍재형 (1990~1991)
- 이광수 (1991~1993)
- 김영빈 (1993)
- 문헌상 (1993~1998)
- 양만기 (1998~2001)
- 이영회 (2001~2003)
- 신동규 (2003~2006)
- 양천식 (2006~2008)
- 진동수 (2008~2009)
- 김동수 (2009~2010)
- 김용환 (2011~2014)
- 이덕훈 (2014~2017)
- 최종구 (2017)
- 은성수[2]
최종구와 은성수 모두 문재인 정부 시기에 나란히 금융위원회 위원장을 지냈다.
(2017~2019) - 방문규 (2019~ )
3. 사건·사고
3.1. 근무시간에 개인주식거래 적발
감사원이 2010년 9월부터 2011년 3월 사이 한국수출입은행 등 5개 금융공기업에 대한 기관운영감사를 실시한 결과 전체 임직원의 23.7%에 해당하는 162명이 근무시간 중 사적으로 주식 거래를 한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직원인 C씨는 2010년 8월까지 20개월 동안 모두 3만2704회, 하루 평균 94.5회의 주식 거래를 했다고 한다.
공공기관의 일반 임직원은 ‘임직원 행동강령’에 따라 근무시간 중엔 사적인 주식 거래를 하지 못하도록 돼 있다.
여담이지만
사립학교교직원연금공단은 한술 더 떠서 임직원 57명(전체의 29%)은 최근 2년간 근무시간에 1인당 평균 922회가량 개인 투자 목적으로 주식을 사고 팔았다고 한다.
3.2. 조선사 특혜 대출에 따른 적자 논란
성동조선해양 및
대우조선해양 등 2016년도
조선업 부실 여파를 몰고 온 기업들에 대해, 신용등급이 6등급 더 높은
삼성중공업 대비 대우조선에 더 싼 이자로 지원하였으며, 성동조선의 경우 재무실사 보고 자체를 엉망으로 함은 물론 조선업 구조조정 과정에서 그로 인한 2016년도 상반기 9379억원의 적자를 기록한 사건. 이로 인해 수은은 상반기에만 1조 7922억원의 충당금을 적립하고 정부에서도 추가경정예산 1조원의 현금출자 지원을 받게 되었다고 한다.
4. 관련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