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의 외래어/중국어

 




●한국어의 외래어 중 중국어에서 온 단어를 정리한 문서입니다.
화교중에 산둥 성 출신이 많아서 중화 요리 이름에는 산둥 방언[1]의 흔적이 많다. [2]
※꼭 중국 발음[3]으로 읽는 것, 또는 그 변형만 올려 주세요.[4] 또한 병음 표시 부탁드립니다.
'''분홍색''':광동어
'''민트색''':민남어
1. 남한의 외래어
1.1. 음식
1.1.1. 요리
1.1.2. 주류/음료
1.1.3. 식재료
1.1.4. 요리 도구
1.2. 견종
1.3. 회사/제품명
1.4. 그 외
2. 북한의 외래어
3. 관련 문서


1. 남한의 외래어



1.1. 음식



1.1.1. 요리


  • 기스면 鸡丝面[jīsīmiàn, 지쓰몐]
  • 깐쇼새우 干烧[gānshāo]+새우
  • 깐풍기 干烹鸡[gānpēngjī, 간펑지]
  • 꿔바로우 锅包肉[guōbāoròu]
  • 난자완스 南煎丸子[nánjiānwánzi, 난젠완쯔]
  • 딤섬 點心[dim2 sam1](광동어)[5]
  • 라조기 辣椒鸡[làjiāojī, 라자오지]
  • 마라탕 痲辣烫[málàtàng][6][7]
  • 마라샹궈 麻辣香锅[málàxiāngguō]
  • 마라롱샤 麻辣[málà]+龙虾[lóngxiā](가재)
  • 멘보샤 面包[miànbāo](빵)+虾[xiā](새우)
  • 샤오룽바오 小籠包[XiaoLongBao]
  • 울면 温卤面[wēnlǔmiàn, 원루몐]
  • 유린기 油淋鸡[yóulínjī, 유린지]
  • 유산슬 溜三丝[liūsānsī, 류싼쓰]
  • 지단 鸡蛋[jīdàn]
  • 지파이 鸡排[jīpái]
  • 짜사이 榨菜[zhàcài, 자차이]
  • 짜장면 炸酱面[zhájiàngmiàn, 짜지앙미엔]
  • 차슈 叉燒[caa1siu1](광동어)
  • 탄탄면 担担面[dāndānmiàn, 딴딴몐]
  • 탕후루 糖葫芦[tánghúlu][8]
  • 해삼주스 해삼(海參)+肘子[zhǒuzi, 저우쯔][9]
  • 훠궈 火锅[huǒguō]

1.1.2. 주류/음료


  • 빼갈[10] 白干儿[báigānr, 바이갈][11]
  • 우롱차 乌龙茶[wūlóngchá, 우룽차]
  • 마오타이 茅台[máotái]

1.1.3. 식재료


  • 라유 辣油[làyóu]
  • 리치 荔枝[lìzhī, 리즈][12]
  • 케첩 鮭汁[kôe-chiap](민남어) → 영어 ketchup으로 변화

1.1.4. 요리 도구


  • 鑊[wok6](광동어)[13]

1.2. 견종


  • 시추 狮子[shīzi, 스쯔] → 서양식 변형[14]
  • 샤페이 沙皮[shāpí] → 영어식 변형
  • 퍼그 巴哥[bāgē] → 영어식 변형
  • 페키니즈 北京[Peking([[우정식 병음]])]+영어 접미사 ese

1.3. 회사/제품명


  • 화웨이 华为[huáwèi](중화민족을 위한다)
  • 샤오미 小米[xiǎomǐ](좁쌀)
  • 웨이보 微博[wēibó](마이크로 블로그)
  • 하이얼 海尔[Hǎi'ěr][15]
  • 겅호 工合?共和?[gōnghé][16]
  • 바이두 百度[bǎidù](백 번을 찾다)[17]
  • 요우쿠 优[yōu](더욱)+酷[kù](영어 cool의 음차)
  • 투더우 土豆[tǔdòu](감자)[18]

1.4. 그 외


  • 무술
    • 쿵후 功夫[gōngfu, 궁푸]
    • 우슈 武术[Wǔshù, 우수]
  • 꽌시 关系[guānxì]
  • 유커 游客[yóukè]
  • 만만디 慢慢的[mànmànde, 만만더]
  • 훌륭 囫囵[húlún, 후룬][19]
  • 따거 大哥[dàgē](형님)
  • 따오판 盗版[dàobǎn]
  • 테아닌 茶[tê](민남어)→변형
  • 짱깨 掌柜[zhǎngguì][20] : 중국인에 대한 비속어.
[1] 보통화광동어 같은 먼 관계는 아니며 관화의 하위 방언으로 분류된다.[2] 예를 들어, 유린기, 깐풍기, 기스면의 '기'는 鷄/鸡(닭 계)를 산둥식 발음으로 읽은 것. 표준 중국어는 '지'(jī)로 읽는다. [3] 사투리도 가능[4] 중국어라고 한국 한자음으로 읽는 것도 올렸다간 끝이 나지 않기 때문입니다.[5] 보통화로는 "diǎnxin"이다. 한국어 점심과는 다른 의미다. [6] 한국어 독음으로 마랄탕. [7] 마라 항목에 따르면 얼얼한 맛을 '痲(마)', 매운 맛을 '라(辣)'라고 한다. [8] 원래 빙탕후루(氷糖葫芦)라고 한다. [9] 돈육 대퇴부[10] 고량주[11] 白干(báigān, 바이간)이 얼화되었다. [12] 영어 lychee (litchi)를 거치면서 변형되었다. 현대에는 잘 안 쓰지만 이것을 한국식으로 읽은 '여지' 도 국어사전에 나온다. 실제로 조선시대 문헌에도 이 이름으로 종종 등장한다.[13] 보통화로는 "(huò)"이다. [14] 해당 견종이 狮子狗(shīzigǒu, 스쯔거우)라 불린 것에서 유래.[15] 기술지원을 해 준 스위스에 본사를 둔 회사 Liebherr의 음차 利勃海尔(lìbóhǎi'ěr)의 끝 두자에서 유래했다. [16] 중국에서 쓰이던 일종의 구호. 이후 미국에 전래됐다.[17] 중국 송나라 시대의 시에서 유래했다.[18] 설립자에 의하면 카우치 포테이토라는 미국 속어에서 유래했다.[19] 한국한자음인 '홀륜'에서 변형된 것으로 볼 여지도 있으나, 중국어 발음 /hu.lun/ → /hul.ljuŋ/
[
ɸulʎjũŋ
]
으로 보는 것이 정설. 《우리말어원사전》(김민수·최호철·김무림 편찬, 태학사) 참조.
[20] 추정


2. 북한의 외래어


문화어
표준어
교즈(餃子)
교자만두[21]
뗀신(點心)
딤섬[22]

3. 관련 문서



[21] 표준중국어로는 자오쯔지만, 북한에서는 일본어 표기인 ギョーザ와 중국어 표기의 ~쯔를 조합한 특이한 명칭으로 부르고 있다.[22] 한자 표기는 같다. 한국에서는 한중수교 이전까지 중국 식문화가 주로 광동어를 사용하는 홍콩마카오에서 유입된 관계로 광동어 발음인 딤섬이라고 표기하는 반면, 북한은 오랫동안 중국 본토와 영향을 주고받아 표준중국어가 강세라 표준중국어 발음으로 소개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