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안왕
1. 개요
신라의 제47대 국왕. 제45대 신무왕 김우징의 이복 동생이자 이종사촌 동생[4] 이고 제46대 문성왕에게는 숙부이며 경문왕의 장인이자 헌강왕, 정강왕, 진성여왕의 외조부이다.
2. 생애
헌안왕이 왕위에 오르기 전의 행적은 자세히 알 수 없지만 조카인 문성왕이 즉위한 뒤에는 병부령을 맡았고 이후 문성왕 11년에 상대등으로 임명되었다. 문성왕은 태자가 있었는데 폐위되었으며 신라경순왕전비문(新羅敬順王殿碑文)에서는 김안이라는 아들도 있다고 하는데 문성왕이 죽을 때 유언으로 숙부이자 전처의 아들인 헌안왕을 후계자로 추대했고 각간의 벼슬에 있었던 헌안왕이 왕위에 올랐다. 왕위에 오른 뒤의 업적은 그리 오래 재위한 것이 아님을 감안해도 빈약한 편인데 별 일 안 한건지 기록이 부실한 건지는 알 길이 없지만 후자 쪽에 가까워보인다.
《삼국사기》 기록에는 제사 지내고 큰 물고기가 잡혔으며 제방 수리가 전부이다. 사실 헌안왕 본기 기록 자체가 짧은 건 아닌데 거의 왕족인 김응렴(훗날 경문왕)과의 대화 내용이 절반을 차지한다. 대화 내용을 요약하면 '김응렴과 얘기했더니 똑똑하여서 사위로 삼아 후계자로 삼아야겠다'라는 것이 내용의 골자다.[5] 헌안왕 후기에는 오랫동안 병상에 있었다.
아들은 없고 성씨를 알 수 없는 왕비에게서 본 두 딸만 있었는데 사망 기사를 보면 과거 선덕여왕과 진덕여왕 두 여왕이 있었으므로 딸을 여왕으로 올리자는 여론이 존재했던 것으로 보이지만 이는 헌안왕이 유교적 관점에 의하면 잘못된 것이므로 본받을 수 없다고 하여 두 딸은 경문왕에게 시집을 보내 왕족이자 사위로서 왕위를 계승하게 했다.[6]
헌안왕이 후궁인 빈어(嬪御)[7] 에게서 궁예를 보았다는 기록도 있다. 후에 태봉을 건국한 궁예가 삼국사기에 따르면 헌안왕의 서자라고 기술되어 있어 설에 따르면 궁예가 최소 861년 이전 출생이라는 말인데 궁예의 활동 기간이나 사망년 등을 감안할 때 시기 차이가 많이 나서 주목받지 못하는 학설이며 궁예의 주된 활동 기간을 감안하면 경문왕의 아들이라는 설이 더 유력하다. 또는 문성왕의 사촌동생인 김예(金銳)라는 인물이 경문왕 시대에 처형되는 점을 감안해 헌안왕의 아들로서 경문왕의 박해를 받아 신라에서 이탈했다고 볼 수도 있다. KBS 대하드라마 태조 왕건에서는 경문왕 부친설을 채택했다.
헌안왕릉은 대한민국의 사적 제179호로 경상북도 경주시 서악지구 선도산 자락의 왕릉 밀집 지역에 있다. 자연석을 둘러 흙이 흘러내리지 않게 한 높이 약 4m의 고분으로 바로 옆에 진흥왕릉, 진지왕릉, 문성왕릉이 있으며 500m 거리에 무열왕릉, 서악동 고분군이 있다.
3. 가계
4. 기타
훗날 궁예가 부석사에 들렸을 때 헌안왕이 그려진 어진(왕의 초상화)을 보았는데 자신의 눈을 잃게 만든 궁예는 이에 분노하여 헌안왕의 어진을 칼로 뎅겅 해버렸는데 찢어진 부분에서 피가 나왔다는 전설이 전해진다. KBS 대하드라마 태조 왕건에서는 설정상 궁예의 친부인 경문왕의 어진을 벤 것으로 변경했다.
흥미로운 설이 존재하는데 헌안왕이 상대등 시절에 시중인 김계명(金啓明)[9] 과 연합하여 조카인 문성왕을 협박하여 물러나게 했고 이 때문에 김계명의 아들을 사위로 삼아 왕위를 물려주었다는 이야기가 있다. 근데 왠지 모르게 납득이 간다. 삼촌이 조카를 죽이거나 핍박하지 않고 평화적으로 왕위에 오를 수 있었을까? 당장 50년 전으로 돌아가서 조카인 애장왕을 죽이고 삼촌 헌덕왕이 왕위에 오른 판에...
태조 왕건 스타크 버전에서는 배틀크루저로 등장한다. 즉, 헌안배틀.
헌안왕과 경문왕의 왕위 이양 설화는 여러모로 요임금과 순임금 간의 평화적 계승을 연상케 한다. 헌안왕=요, 경문왕=순, 영화부인=아황, 문의왕후=여영에 해당.
5. 삼국사기 기록
'''《삼국사기》 헌안왕 본기'''
一年秋九月 헌안왕이 즉위하다
一年秋九月 죄수를 크게 사면하다
一年秋九月 이찬 김안을 상대등으로 삼다
二年春一月 신궁에 제사지내다
二年夏四月 서리가 내리다
二年夏五月 비가 오지 않다
二年 당성군에서 큰 물고기가 잡히다
三年 기근에 사신을 보내 구휼하다
三年夏四月 제방을 수리하고 농사에 힘쓰게 하다
四年秋九月 왕족 응렴이 헌안왕의 사위가 되다
五年春一月二十九日 헌안왕이 죽다
[1] 보림사철조비로사나불좌상조상기 기록.[2] 문성왕 시기 상대등인데, 음운상 거의 유사하고 문성왕과 헌안왕이 3촌 관계로 꽤 가까운 친족이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동일인으로 본다.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에서도 "(즉위 전의) 헌안대왕(憲安大王)께서는 사찰의 시주(施主)인 계서발한(季舒發韓)인 위흔(魏昕)과 더불어 남북(南北) 재상(宰相)―각기 자신의 관사에 있어 좌상(左相), 우상(右相)과 비슷하였다―"는 구절이 있어 헌안왕이 즉위 전 재상직을 맡았음을 입증한다.[3] 국왕경응조무구정탑원기 기록. 궁예와 동일인인지는 불명이다.[4] 신무왕의 어머니 정교부인과 헌안왕의 어머니 조명부인이 자매간이다.[5] 신라~고려 초기까지는 왕족간의 근친혼이 흔했고 적장자가 없을 때 사위는 왕위 계승 후보였다.[6] 결국 신라의 3번째 여왕은 30여 년 뒤에 즉위하지만 진성여왕 시기에 지방에서 반란이 동시다발적으로 일어나 통일신라가 다시 분열해 후삼국시대가 시작된다.[7] 후궁 작호 중 하나이다.[8] 헌안왕의 두 딸과 모두 혼인했다.[9] 희강왕의 아들이자 경문왕의 아버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