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16A4

 

'''M16A4'''
[image]
'''종류'''
돌격소총
'''원산지'''
[image] 미국
【펼치기 · 접기】
'''이력'''
'''역사'''

1997년~현재
'''개발'''
콜트 매뉴팩쳐링
'''생산'''
FN 에르스탈
콜트 매뉴팩쳐링
세이버 디펜스
'''사용국'''
[image] 미국
[image] 터키
[image] 태국
[image] 아프가니스탄
[image] 이라크
'''기종'''
'''원형'''
M16A2E1
'''파생형'''
SAM-R
SDM-R
'''제원'''
'''탄약'''
5.56×45mm NATO
'''급탄'''
30발들이 STANAG 탄창
'''작동방식'''
가스 직동식, 회전 노리쇠 방식
'''총열길이'''
508mm
'''전장'''
1,007mm
'''중량'''
3.4kg (탄창 미포함)
3.9kg (30발들이 탄창 포함)
'''강선'''
7인치에 1회전
'''발사속도'''
800RPM
'''탄속'''
948m/s(M855)
960m/s(M855A1 EPR)
'''유효사거리'''
600~800m
}}}#black '''최대사거리'''}}}
3,600m

1. 개요
2. 상세
2.1. 역사
2.2. 특징
3. 종류
3.1. M16A2E1
3.2. M16A2E4(M16A4)
3.3. M16A4 MWS
3.4. SAM-R
4. 부착 장비
5. 출처
6. 대중매체에서의 등장
7. 에어소프트건
8. 기타
9. 둘러보기


1. 개요



M16A4는 미군의 제식 돌격소총이다.

2. 상세



2.1. 역사


[image]
1994년 미 육군랜드워리어 사업에 적용시킬 주요 개인화기 기종으로 당시 M4특허권을 쥐고 있었던 콜트 사의 M16A2E1을 기반으로 하는 M16A2E4을 선정했으며, 1997년에는 나이츠(KAC) 사의 M5 RAS 총열덮개로 교체함과 동시에 M16A4의 제식명으로 정식 채택했다.
[image]
하지만 XM8 LARSM4의 영향을 받아 미 육군에서는 M16 계열이 이라크 전쟁 초기를 제외하곤 훈련용으로만 전환되는데 반해 미 해병대는 M16A2의 주요 제조업체였던 FNH USA(현 FN 아메리카) 사와 계약을 맺어 1998년부터 대량 도입하여 제식 돌격소총으로 운용되고 있다. 현재 주 운용처인 미 해병대에서는 독일 헤클러 운트 코흐 사의 M27 IAR로 대체 중에 있다.

2.2. 특징


[image]
M16A4 MWS의 초기 구성도
[image]
전체적인 제원만을 놓고 보았을 때 기존의 M16A2와 별다른 차이점을 보이지 않으면서도 미군 전체에 걸쳐 제식화된 피카티니 레일 전용 부가장비는 물론 M203 유탄발사기와도 무가공 호환이 가능한 윗총몸과 총열덮개의 모듈화에 중점이 맞추어진 4세대형 M16 기종이다.

3. 종류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제식명
'''M16A2E1'''
'''M16A2E4
M16A4'''
'''M16A4 MWS'''
'''SAM-R'''
'''SDM-R'''
제조명
R0645E
R0901
R0905
R0945
없음
없음
제조사
CMC
CMC
CMC
FN
SD
PWS 퀀티코
USAMU CFS
연도
1985년~1986년
1994년~현재
1997년~현재
2001년~현재
2004년~현재
윗총몸
콜트 WR 플랫탑
콜트 PR 플랫탑
콜트 PR 플랫탑
콜트 PR 플랫탑
콜트 PR 플랫탑
아랫총몸
콜트 A2
콜트 A2
콜트 A2
콜트 A2
콜트 A2
총열
콜트 A2
콜트 A2
콜트 A2
더글라스 바렐 경기용
CLE 경기용
총열덮개
콜트 A2
콜트 A2
KAC M5 RAS
KAC M4 매치 FF RAS
다니엘 디펜스 M4 12.0
조정간
3점사
연발(R0901)
3점사(R0905)
3점사
단발
단발

3.1. M16A2E1


[image]
1986년 콜트 사가 미 육군ACR(신기술시범형 전투용 소총, Advanced Combat Rifle) 사업에 제출한 M16A2E2의 초기형 모델 645E로, 엘칸(현 레이시온) 사의 C79 저배율 조준경 부착을 위해 위버 레일이 적용되면서 윗총몸이 평평해지고 접이식 기계식 조준기로 대체되었다.

3.2. M16A2E4(M16A4)


[image]
[image]
1992년 미 해군 네이비 씰의 요청에 따라 M16A1 HBAR의 중총열이 적용된 M16A2E3(M16A3)의 개량형으로, M16A3의 생산 계약을 FN 사에게 빼앗긴 콜트 사가 수출 및 미국 내의 법집행기관 용도로 개발한 자동발사형 모델 901과 3점사형 모델 905이다. 901의 경우 본래 M16A3의 플랫탑 개량형이지만, 언젠가부터 갑자기 콜트에서 A4로 모델명을 변경하여 혼란을 초래했다. [1] 법집행기관 용도로 개발했지만 막상 법 집행기관(FBI 등)에서는 MP5M4 카빈을 사서 썼기 때문에 얼마 안 가서 사장되었다.[2] 이 M16A2E4들 중 자동발사형 R0901(모델 901)은 1005-01-383-2872라는 NATO 재고번호를 갖고 있었다. 미 해병대에서 사용되는 M16A4(M16A4 MWS)와 동일한 번호다. NATO에서 901이 M16A4로 쓰인 적이 있는 듯.

3.3. M16A4 MWS


[image]
[image]
1994년 미 육군에 정식 도입된 M4와 관련된 향후 개수사업의 영향을 받아 모듈식(MWS) 개수가 적용된 M16A2E4의 개량형인 모델 945로, 피카티니 레일 윗총몸과 더불어 나이츠(KAC) 사의 M5 RAS 총열덮개로 대체되어 각종 부가장비의 부착이 훨씬 용이해졌다.
이라크 전쟁 도중에 M4의 전면 제식화 결정에 따라 지정사수SDM-R 대용의 훈련용 등으로 전환시킨 미 육군과는 달리 1998년부터 이를 적극적으로 도입했었던 미 해병대의 명실상부한 주력 제식 돌격소총이었으나, 2015년에 M4 통일화 방침이 내려지면서 2016년부터 전방부대를 위주로 대체 중에 있다. 그 후 2017년 12월에는 미 해병대가 2018년부터 보급되는 소총수 병과의 일반 제식소총으로 M27 IAR을 도입하기로 결정하여 M16A4는 완전히 대체될 것으로 보인다.

3.4. SAM-R


[image]
1999년 미 해병대 전투연구소(MCWL)에서 수립된 메트로폴리스(Metropolis) 시가전 연구계획에 맞추어 개발된 개수형 분대지정사수소총(SAM-R)으로, 컴퍼스 레이크 엔지니어링 사의 경기규격 총열나이츠(KAC) 사의 M4 매치 RAS 총열덮개 등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M16A4와 동일하다. 미 해병대가 M27 IAR을 도입한 후 현재는 M38 DMR로 교체 중에 있다.

3.5. SDM-R


[image]
2004년 미 육군 제3보병사단에서의 운용을 위해 개발된 분대지정사수소총(SDM-R)으로, 더글라스 바렐 사의 경기규격 총열과 다니엘 디펜스 사의 M4 12.0 총열덮개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M16A4를 포함하여 사격연맹(CMP)에서 지정사수 훈련용으로 제공된 M16A4와도 동일하다.

4. 부착 장비


2017년을 기준으로 주로 쓰이는 장비만 서술한다.

'''명칭'''
'''부위'''
'''제조사'''
'''국가재고번호'''
'''설명'''
본체
[image]
M16A4
돌격소총
FN 에르스탈
1005-01-383-2872
3점사형 모델 945

[image]
M5 RAS
총열덮개
KAC
1005-01-452-6771
피카티니 레일 통합형 총열덮개
보조화기
[image]
M203A2
유탄발사기
에어트로닉 USA
1010-01-495-8511
총열 부착식 12인치형 40x46mm 유탄발사기
조준경
[image]
M150
저배율 조준경
트리지콘
1240-01-525-1648
미 육군 전용 4x32배율 소총조준경(RCO)

[image]
AN/PVQ-31
저배율 조준경
트리지콘
1240-01-557-1897
미 해병대 전용 4x32배율 소총조준경(RCO)
조준장치
[image]
AN/PEQ-15
통합 조준 장치
L3 인사이트
5855-01-577-7174
개량형 레이저 및 조명 표적지시기(ATPIAL)

[image]
AN/PEQ-16A
AN/PEQ-16B
통합 조준 장치
L3 인사이트
5855-01-550-2780
5855-01-612-8748
소형 레이저 및 조명 표적지시기(MIPIM)

[image]
AN/PSQ-18A
유탄 조준 장치
L3 인사이트
1010-01-516-0953
M203 부착식 주야간 거리측정기(DNS)

[image]
SU-277/PSQ
유탄 조준 장치
박격포 조준 장치
L3 인사이트
1240-01-619-2962
M203 및 M224 LWCMS 부착식 거리측정기(BMS)

5. 출처



5.1. 웹사이트



6. 대중매체에서의 등장


AR-15/미디어도 참고.
거의 모든 게임이 미 해병대 제식 모델인 FN 에르스탈의 모델 945로 나온다. 가끔씩 콜트제 모델 905가 나오기도 한다. 매체에서의 특징은 다른 총기들과 차별성을 두기 위해 점사 모델만 나오는 모습을 보여준다.

6.1. 영화



6.2. 게임


분명 모델링이 3점사형 모델 945인데 특이하게도 완전자동으로 등장.
게임 내 3신기라 불릴 정도의 OP총이다. '점사총은 근거리에 취약하다'라는 생각을 깨버리는 총. 배드 컴퍼니의 모델링을 그대로 사용하고 이름도 M16A2로 나온다.
배드 컴퍼니의 모델링을 사용.
게임 내 최고의 OP총인 M16A3와 비슷한 3점사소총. M16A3와 모델링을 공유한다. 성능이 배드 컴퍼니 2 M16의 재림이라 할 정도로 강력한데, M16A3가 너프먹었을 때 A3보다 너프를 덜 먹어서 성능이 A3보다 좋다. 이 총의 진정한 장점은 무엇보다 명중률이 반자동 저격소총과 똑같다.
전작의 모델링을 그대로 사용한다. 전작의 A3가 사라지고 A4만 남았는데, 전작과는 달리 명중률이 평범해지고 반동이 더 커졌지만 대신 반동이 더 균형적으로 바뀌었다. 초기에는 극심했던 넷코드와 버그로 인해 버려졌고, 넷코드와 버그가 고쳐진 후에도 특유의 초탄반동 시스템으로 인해 써먹기가 힘든 물건이었으나, 점사총은 마지막 탄에만 초탄반동이 적용되는 걸로 버프를 먹고 중거리 교전에 강해졌다. 반동을 제외하곤 전작 M16A3의 성능과 똑같기에 점사 광클 실력만 받쳐준다면 전작의 M16A3처럼 근중거리는 다 씹어먹을 수 있다.
M16A3가 등장하는데 모델링은 M16A4.
특이하게도 모던3처럼 R0905(모델 905)가 등장했다. 고증은 어디다 팔아먹었는지 3점사의 연사력이 매우 느리다.
평범한 돌격소총이지만 범용성이 매우 좋아 다양한 스타일의 플레이가 가능하기 때문에 어찌보면 만능총 중 하나다. 3점사라 근거리 교전에 약하다고 생각하겠지만 이 게임은 원래 중량 방탄복을 안쓰는 이상 한두발 맞으면 그대로 죽기 때문에 별 문제는 없다. 근데 중량 방탄복을 입어도 이 총은 위험한게 수직그립이 없으면 3점사의 순간적인 반동과 빠른 연사력이 조합되어 몸통부터 머리까지 3발을 빠르게 꽂아버리기 때문에 중량 방탄복도 못버티고 뻗는다...
반군의 M16A2보다 확장성이 좋고 다른 총보다 연사력이 빨라서 전작만큼 좋지만 점사 딜레이가 길기 때문에 3발에 적을 죽이지 못하면 자기가 죽는다. 에임이 필히 받쳐줘야 되는 총.
싱글에서 완전자동으로 나오고, 멀티는 그대로 3점사다. AK-47과 데미지가 동일하고 M4A1의 상위호환격 성능을 가진 무기지만 3점사에 딜레이가 있어서 근거리 교전에서 지는 경우가 많다. 저지력 퍽을 쓰면 근거리에서 2발킬, 중거리에서 3발킬이기 때문에 근거리에서도 쓸만해진다.
전통을 깨고 싱글에서도 3점사로 나오며, 모델링이 상당히 뚱뚱하고 캐링핸들 위에 레일이 달려있다. 생김새와는 다르게 그래도 조준경을 달면 캐링핸들은 사라진다. 같은 점사총인 FAMAS의 상위호환격 성능으로 점사총 고수들이 들면 모던2 핵사기총인 UMP급 성능까지 보여주는 무시무시한 총.
전작들과는 달리 모델 905가 등장한다. 사거리도 길고 반동도 적으며, 여전히 고수가 들면 사기총이 되는 무기. 하지만 유저들 평가는 전작의 FAMAS+M16의 단점만 모은 무기라는 평. 특히 전작들보다 데미지가 줄어서 장거리에서 3발로 잡아내는 게 어려워진데다 같은 점사총인 Type 95가 너무 사기라서 밀렸으나... 패치로 데미지와 사거리 모두가 상향되어서 QBZ보다 연사력이 약간 느린거 빼곤 약간 좋아졌다. 특히 원거리에서 압도적으로 유리하다.
M4A1에 코부스 커스텀 지정사수 총열과 M16 개머리판을 부착하고 3점사 특전을 적용하는것으로 M16A4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3점사를 제외하면 M16A3가 된다. 도안 중 천둥소리, 성배전쟁 도안 사용시 외형이 좀 더 M16A4에 가까워진다.
분명 미 육군이 등장하는 게임인데 특이하게 미 해병대용 모델[3]이 소총수/지정사수용으로 등장하며 3점사라 M4A1보다 불편하다. 하지만 M4A1보다 데미지 감소거리도 더 길고 최소데미지도 더 높아서 M4A1보다 장거리 교전에 유리하며 근접교전도 점사 광클 실력만 받쳐주면 적을 갈아버릴 수 있기 때문에 점사총 고수들이 애용하는 무기.
무난한 3점사소총이며 유저들한테 가장 많이 선호되는 건 M203이 달린 모델과 RCO(ACOG)가 달린 모델이다.
레드 리버모던3처럼 모델 905가 등장한다. 900m/s의 탄속과 800RPM의 연사속도, 그로자와 비슷한 뛰어난 DPS, 그에 걸맞지 않은 적은 반동을 자랑하지만 3점사라는 특성 자체가 발목을 잡는 상급자용 돌격소총이다.
3점사가 가능한 M16A4와 자동사격이 가능한 M16A3가 나온다. M16A4는 3점사를 900RPM이라는 압도적인 속도로 발사 가능하고 M16A3는 본래 반동도 적은데다 부착물을 장착하면 무반동의 레이저총으로 돌변해 초보자들이 쓰기 좋은 총기이다.

6.3. 애니메이션


2기 2화에서 테데자 리제가 소장하고 있는 모델건으로 등장한다.

7. 에어소프트건


  • 토이스타에서 이 물건을 에어소프트건화해 내놓았다. 자세한 사항은 토이스타 M16A4 참고. 토이스타 M16A3의 출시로 인해 현재 해당 모델은 단종되었으나, 아쉬운 대로 토이스타 M16A3에다가 M16A4 전용 M5 RAS를 달아서 M16A4 흉내를 내볼 수 있다.[4]

8. 기타


  • M16 계열 최후의 물건으로, 주 고객인 미군은 이미 정식 파생형으로써 다른 기종으로 아예 떨어져 나간 M4 카빈이나 H&K HK416 내지 그 개량형인 M27 IAR로 대체완료 혹은 대체 중이기에 앞으로 이 물건의 후속품(소위 M16A'5')가 나올 확률은 없어 보인다.
  • 최근 미군의 주력 소총인 M16A4와 M4A1에 주로 장착되는 언더바렐형 유탄발사기M203은 하부 총몸을 아예 들어내서 하부 레일을 쓸 수 없는 문제가 있는데, 현장에서 이에 관련해 여러 불편점들을 지적하자,[5] 이는 미군이 언더바렐형•스탠드 얼론형 겸용 유탄발사기인 H&K M320을 최근 도입함으로 상당수 해결이 가능했으나, 적어도 M4 카빈에서는 몇몇 사용례가 존재하는데에 반해 M16A4에다가 M320을 결합한 사례는 발견되지 못함으로써 이에 관해 여러 추측들이 오가고 있다.[6]
  • MD5 배틀의 독보적인 최약체 단어다. 체력이 0이라서 시작하자마자 패배하기 때문.

9. 둘러보기












[1] 한술 더 떠 콜트 사 홈페이지에서는 미 해병대 납품형인 '''FN 에르스탈제 M16A4의 생산명인 R0945(모델 945)를 대놓고 써놨다'''.[2] 곧바로 사장된 것과는 별개로 가끔씩 게임에서 아래의 모델 945 대신 나오는 경우도 있다. 오퍼레이션 플래쉬 포인트 : 레드 리버PLAYERUNKNOWN'S BATTLEGROUNDS,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3 등이 대표적이다.[3] M16A4는 육군용과 해병대용이 따로 있는데, 구분방법은 총열덮개 좌/우 레일의 맨 앞쪽이 비어있느냐 아니냐의 차이다. 비어있으면 해병대용, 레일이 끝까지 있으면 육군용이다.[4] 이렇게 M16A3의 하부에 M16A4의 상부 총몸을 끼운 개량형은 실제로 있는 모델로써, 기존 M16A3(콜트 모델 646)의 주 사용처였던 미 해군 공병대대(NMCB)가 큰 예산을 들이지 않고 RIS 달린 총기를 도입하려다가 찾아낸, 꼼수에 가까운 방편이었다고 한다(...). 실제 사진. 이렇게 개량된 M16A3 모델들은 기존의 M16A3와는 다른 별도의 콜트 번호(콜트 모델 941)과 NATO 재고번호(1005-01-357-5112)를 갖고 있다.[5] 운용 자체의 불편함(원래 M203이 아예 위아래 총몸을 들어내서 히트실드로 고정시켜 소총에 장착하거나 관련 고정용 부품을 통해 상부 총몸만 남겨두고 하부 총몸을 드러낸 자리에 M203을 달고 운영하는 형식인데, 이게 탈부착 면에서 워낙 힘들고 실제로 탈부착했을 때 명중률에 영향을 주어 M203이 나온지 한동안 애초에 공장에서 M16에 M203을 부착한 채로 출고하는 등,-현재도 M16에 장착된 M203에 대하여 함부로 탈거 및 재부착하는 것은 권장되지 않는다.- 여러모로 현장에서 유연하게 운용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었다.) 및 하부 레일을 통째로 날려버림으로서 생기는 불편점들(반동제어에 효과적인 전방손잡이의 탑재 불가) 등.[6] 가장 설득력 있는 추측으로는 애초에 둘이 마주칠 수 없었다는 설이 있다. M320이 도입된 2009년으로부터 4년 전인 2005년도부터 이미 미 해병대는 IAR 사업을 통해 M16A4를 단계적으로 대체한다는 계획을 세워 놨고, 이에 따라 기존의 'M16A4&M203A2' 조합을 굳이 바꿀 생각이 없었다는 것이다. 이 의견은 2009년 미 해병대가 IAR 사업의 최종 승자로 M27을 선택한지 8년이 지난 2017년에 들어서야 M320A1을 도입함으로서 처음 M320 체계를 들여옴에 따라 상당히 지지를 받고 있는 가설이다. 다른 의견으로 M16A4에 M320을 부착할 시, 무게중심이 흐트러져서 미 해병대가 도입하지 않았다는 설도 있다. 이미 M39 EMR에서 무게중심 문제로 인해 생긴 여러 논란들로 인해 여러 곤혹을 치루어야 했던 미 해병대 입장에서 이는 질색할 만한 이야기였을테고, 이에 따라 미 해병대가 'M16A4&M320' 조합을 폐기시켰을 것이라는 추측이 있다. 뭐 둘 다일 수도 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