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年'''해 년
'''부수
나머지 획수'''

, 3획
'''총 획수'''
6획
'''교육용'''
중학교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ネン
'''일본어 훈독'''
とし
'''간체자'''
-
'''표준 중국어 독음'''
nián
* 기울임체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기울임체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상세
3. 용례
4. 여담

[clearfix]

1. 개요


'''해 년(年).''' , 시대, 나이 등의 뜻을 나타내는 한자이다.

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은 다음과 같다.
'''한국어'''
'''훈''' : 해
'''음''' : 년
'''일본어'''
'''음독''' : ネン
'''훈독''' : とし
'''중국어'''
'''표준어''' : nián
광동어 : nin4
객가어 : ngièn[1], ngiàn[2]
민동어 : nièng
민남어 : nî[3] / liân[4]
오어 : nyi (T3)
'''베트남어'''
niên
유니코드에선 U+5E74, 한자검정시험에선 8급에 배정되어있다.
'''형성자'''로, 뜻을 나타내는 (벼 화)와 음을 나타내는 (사람 인) 또는 (일천 천)이 합쳐진 한자이다. 방패 간() 부수에 속해 있으나 자형 때문에 그렇게 분류된 것일 뿐 방패와는 관련이 없다. 이렇게 된 건 해서체로 넘어오면서 자형이 크게 변해버린 탓이다. 자형이 너무 크게 변하는 바람에 자형만 보고서는 이 글자가 禾+人의 조합이라는 것을 유추하기 힘들다.
당현종 천보(天寶) 3년(744) 1월에 '년(年)'이라는 표현을 '재()'로 고친 적이 있다. 즉 천보 3년 이후부터는 천보 3재, 4재... 이런 식으로 써야만 했다는 뜻. 당현종이 죽고 당숙종이 즉위하자 건원(乾元) 원년(758)부터 다시 년으로 쓰도록 되돌렸다. 그 영향의 잔재인지 아니면 그 전부터 원래 그런 전통이 있던 것인지, 載를 年으로 쓰는 용법이 아직도 남아 있다. 천재일우(千載一遇)가 그러한 용법의 載.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 근하신년 (謹賀新年)
  • 백년하청 (百年河淸)
  • 권불십년 (權不十年)
  • 백년가약 (百年佳約)
  • 백년해로 (百年偕老)

3.3. 인명



3.4. 중국 민간전승의 요괴


(위키백과 (영어))
어원은 저 한자와 그 뜻이 맞다. 한어 병음 발음은 니엔(Nián).
비교적 최근(20세기 초 즘)에 생겨난 요괴로, 설정상 매년 춘절(음력 1월 1일, 즉 설날)마다 자신이 산다는 산 또는 바다 속에서 인간들이 사는 곳으로 내려와 사람과 가축들, 덤으로 곡식마저 탈탈 털어서 잡아먹는다고 한다. 생김새는 얼굴이 납작한 사자의 그것에 개를 닮은 몸과 도드라진 송곳니를 가졌다는 전승과, 코끼리보다 거대한 몸에 큰 두 뿔을 지니고 날카로운 이빨이 잔뜩 나 있다는 전승 등 다양하다.
중요한 점은 이 괴물의 약점은 크고 시끄러운 소리나 불꽃에 민감하다는 것과 빨간색을 극도로 무서워한다. 즉 붉게 차려입고 불꽃놀이를 잔뜩 함으로써 퇴치할 수 있다는 거다. 이런 전승 때문에 학자들은 매년 중국 춘절의 화려한 행사[5]가 생겨난 이유 또는 구실이 아닐까 여기고 있다. 또한 남중국의 사자춤 전통은 이 니엔을 퇴치하는 데서 온 게 아닌가 여겨진다고도.

4. 여담


  • 음이 '년'인 한자는 찾아보기 어려운데, 통상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한자는 年이 유일하다.
  • 이체자로는 이 있다. (계절 계)와 매우 닮았다.

[1] 북부 쓰셴, 먀오리 등[2] 남부 쓰셴, 메이농 등[3] 백독[4] 문독[5] 이 시기 중국에 방문한 사람은 알겠지만 불꽃놀이 때문에 정말 미칠듯이 시끄럽고 온 거리가 붉게 물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