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호
1. 개요
宮號
호의 일종으로 왕족들이 사용하는 별칭 중 하나다.
2. 한국사의 궁호
고려시대~조선 초기 주로 사용되었으며 조선 후기에 무품입궐빈의 출연으로 부활하였다. 고려시대~조선 초기 외명부 봉작인 궁주宮主가 사용한 봉호가 궁호였으며[1] 공주도 궁주를 사용하였다. 단 왕후의 딸이 사후에 궁주로 추봉된 사례를 보아 모든 공주가 궁주인 것은 아니었다. 조선 초기에 정도전과 태종 이방원이 정한 내명부의 품계의 궁주와 옹주가 없었음에도 작위로 사용된 것은 외명부와 내명부 작위를 혼동해 사용하던 고려시대 관습이 그대로 이어진 게 원인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또 고려 초기에는 궁대군宮大君이라고 하여 궁을 소유한 남자 왕족도 있었기에 고려 초기에는 남녀를 가리지 않고 왕실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 궁주 작위의 폐지로 오랫동안 사라졌으나, 효장세자의 아내 효순왕후 시절 일시적으로 논의되었다. 효순왕후는 효장세자 사후에도 여전히 빈궁이라 불렸으나 사도세자가 태어나자 수빈 한씨粹嬪 韓氏와 덕빈 윤씨德嬪 尹氏의 전례를 따를 것인지 다른 방식을 사용할지 논의되었을 적 왕세자빈은 내명부가 아니기에 빈궁에 궁호를 주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었다. 결국 전례를 따라 현빈 조씨賢嬪 趙氏와 혜빈 홍씨惠嬪 洪氏를 사용했으나 정조가 즉위하자 왕의 생모지만 법적으로 숙모가 되어 왕대비가 아니라 평생 왕세자빈 자리에 머물러야 했던 정조가 자궁慈宮의 존호를 줄 때 지어주었다. 이후 무품입궐빈의 출연으로 이들에게도 궁호가 주어지게 된다.
이와 별개로 조선시대 왕족을 섬기는 사당의 이름이 궁인 경우도 존재했는데, 이는 궁호보다 신궁神宮에 가까운 개념이었다.
궁부인宮夫人
- 명복궁대부인明福宮大夫人 : 태조 제4비 신정왕태후 황보씨神靜王太后 皇甫氏
- 신란궁부인神鸞宮夫人 : 안정숙의공주安貞淑義公主(혼인 전)->낙랑공주樂浪公主(혼인 후)
- 경화궁부인 임씨慶和宮夫人 林氏 : 혜종과 의화왕후 임씨義和王后 林氏의 딸이자 광종의 제2비
- 보화궁부인寶華宮夫人 : 광종과 대목왕후 황보씨大穆王后 皇甫氏의 딸
- 대명궁부인 류씨大明宮夫人 柳氏 : 원장태자元莊太子[2] 와 흥방궁주興芳宮主[3] 의 딸로 경종 제5비
- 연창궁부인 최씨延昌宮夫人 崔氏 : 성종 제3비
궁왕자宮王子
궁주宮主(고려)
- 연흥궁주延興宮主
- 현덕궁주玄德宮主
- 안복궁주安福宮主->연덕궁주延德宮主
- 흥성궁주興盛宮主
- 현종 제6비 원목왕후 서씨元穆王后 徐氏
- 창성궁주昌盛宮主
- 현덕궁玄德宮에서 옮김, 정종(10대) 제2비 용의왕후 한씨容懿王后 韓氏
- 연창궁주 노씨延昌宮主 盧氏 : 정종(10대) 제5비
- 숭경궁주崇敬宮主
- 문종 제4비 인절현비 이씨仁節賢妃 李氏
- 숭화궁주崇化宮主
- 문종 제5비 인목덕비 김씨仁穆德妃 金氏
- 적경궁주積慶宮主 :
- 문종과 인예태후의 장녀
- 보령궁주保寧宮主 :
- 문종과 인예태후의 차녀
- 연복궁주延福宮主
- 순종 제2비 선희왕후 김씨宣禧王后 金氏
- 장경궁주長慶宮主
- 순종 제3비 장경궁주 이씨長慶宮主 李氏, 노비와의 간통혐의로 폐출
- 연화궁주延和宮主
- 선종 제1비 사숙태후 이씨思肅太后 李氏
- 원신궁주元信宮主
- 선종 제3비 원신궁주 이씨元信宮主 李氏
- 명복궁주明福宮主
- 연덕궁延德宮으로 옮김, 숙종 제1비 명의태후 류씨明懿太后 柳氏
- 대령궁주大寧宮主
- 숙종과 명의태후의 장녀
- 흥수궁주興壽宮主
- 숙종과 명의태후의 차녀
- 안수궁주安壽宮主
- 숙종과 명의태후의 3녀
- 복녕궁주福寧宮主
- 숙종과 명의태후의 4녀
- 장신궁주長信宮主
- 예종 제4비 숙비 최씨淑妃 崔氏
- 연수궁주延壽宮主
- 인종 제4비 선평왕후 김씨宣平王后 金氏
- 승경궁주承慶宮主
- 인종과 공예태후의 장녀
- 덕녕궁주德寧宮主
- 인종과 공예태후의 차녀
- 창락궁주昌樂宮主
- 인종과 공예태후의 3녀
- 영화궁주永和宮主
- 인종과 공예태후의 4녀
- 경덕궁주敬德宮主
- 의종과 제1비 장경왕후 김씨莊敬王后 金氏의 장녀
- 안정궁주安貞宮主
- 의종과 장경왕후의 차녀
- 화순궁주和順宮主
- 의종과 장경왕후의 3녀
- 연희궁주延禧宮主
- 명종과 광정태후 김씨光靖太后 金氏의 장녀
- 수안궁주壽安宮主
- 명종과 광정태후의 차녀
- 흥덕궁주興德宮主
- 신종과 선정태후 김씨宣靖太后 金氏의 장녀 효회공주孝懷公主
- 경녕궁주敬寧宮主
- 신종과 선정태후의 차녀
- 함평궁주咸平宮主
- 희종의 아내 성평왕후 임씨成平王后 林氏
- 승복궁주承福宮主
- 희종과 성평왕후의 장녀이자 고종의 왕비
- 덕창궁주德昌宮主
- 희종과 성평왕후의 3녀
- 가순궁주嘉順宮主
- 희종과 성평왕후의 4녀
- 정희궁주貞禧宮主
- 희종과 성평왕후의 5녀
- 수령궁주壽寧宮主
- 강종과 제1비 사평왕후 이씨思平王后 李氏의 딸
- 승복궁주承福宮主
- 고종의 처 안혜태후 류씨安惠太后 柳氏
- 수흥궁주壽興宮主
- 고종과 안혜태후의 딸
- 경창궁주 류씨慶昌宮主 柳氏
- 원종 제2비, 충렬왕 대 무고로 폐위
- 경안궁주慶安宮主
- 원종과 경창궁주의 장녀
- 함녕궁주咸寧宮主
- 원종과 경창궁주의 차녀
- 정신궁주貞信宮主
- 공양왕과 순비 노씨의 차녀
- 경화궁주敬和宮主
- 공양왕과 순비 노씨의 3녀
- 정경궁주 류씨貞慶宮主 柳氏 : 태조의 후궁, 정경옹주貞慶翁主에서 태종 대 진봉
- 가의궁주 류씨嘉懿宮主 柳氏 : 정종의 후궁 가의옹주嘉懿翁主
- 정의궁주貞懿宮主->영수궁주寧壽宮主 : 세조 대 궁호 변경, 고종 대 의빈 권씨懿嬪 權氏로 추증
- 효순궁주孝順宮主 : 고종 대 효빈 김씨孝嬪 金氏로 추증
- 신녕궁주信寧宮主 : 신녕옹주信寧翁主에서 진봉, 고종 대 신빈 신씨信嬪 辛氏로 추증
- 소혜궁주昭惠宮主 : 소혜옹주昭惠翁主에서 진봉, 고종 대 소빈 노씨昭嬪 盧氏로 추증
- 숙공궁주 김씨淑恭宮主 金氏
- 의정궁주 조씨義貞宮主 趙氏
- 혜순궁주 이씨惠順宮主 李氏
- 신순궁주 이씨信順宮主 李氏
- 혜경궁(惠慶宮) 혜빈 홍씨: 사도세자의 아내이자 정조의 어머니
- 숙창궁(淑昌宮) 원빈 홍씨: 정조의 후궁
- 경수궁(慶壽宮) 화빈 윤씨: 정조의 후궁
- 가순궁(嘉順宮) 수빈 박씨: 정조의 후궁이자 순조의 어머니
- 순화궁(順和宮) 경빈 김씨: 헌종의 후궁
- 경선궁(慶善宮) 순헌황귀비 엄씨: 고종(대한제국)의 후궁이자 영친왕의 어머니
3. 일본의 궁호
미야고(宮號)는 일본의 황실에서 궁가(미야케)의 당주인 황족 남성에게 주어지는 칭호로 ~노미야(궁)라고 불린다. 일본 황족은 성씨가 없기 때문에, 이 궁호가 성씨에 가까운 역할을 한다.
남자 황족이 혼인을 하거나 궁가를 만들어 본가에서 독립할 때 천황이 하사한다. 궁호는 그 궁가의 남자 장손에게 대대로 세습되며 세습 이전까지는 와카미야라 해서 ~노와카노미야라고 부른다. 혼인을 거치지 않고도 궁호를 받은 자도 있다.(가츠라노미야 요시히토)
4. 같이보기
[1] 고려시대에는 조선시대와 달리 왕실 여인이 외명부와 내명부 작위를 혼동해서 사용했다.[2] 태조와 제6비 정덕왕후 류씨貞德王后 柳氏의 아들[3] 태조와 제3비 신명순성왕태후 유씨의 딸[4] 연경원주延慶院主에서 승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