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첼 와이즈
[clearfix]
1. 개요
영국 출신의 배우. 2011년 미국 국적을 취득해서 현재는 이중국적이다. 성 'Weisz'에 대해 '와이즈' 내지는 '웨이즈'와 '바이스'라는 이름으로 혼용되어 표기되고 있는데, 영어식대로 읽는다면 '레이첼 와이즈'로 읽을 수도 있으나, 그녀의 아버지가 헝가리, 유대계라서 본인은 '바이스'로 불리길 원한다고 한다. 한국에서는 '레이첼 와이즈'로 표기가 굳어져 통용되는 경우가 많다.
2. 생애
영국 웨스트민스터 에서 태어났으며 햄드 가든 시외에서 성장했다. 그의 부친인 조지 와이즈는 헝가리 출신의 기계 엔지니어이자 발명가였고, 그녀의 어머니는 심리요법가로 전향한 오스트리아 출신의 교사였다. 부모는 모두 유대계였기 때문에 나치 독일의 핍박을 피하기 위해 1938년경 영국으로 건너왔다. 때문에 그녀는 헝가리계 유대인 혈통으로 고전적인 마스크와 단아한 이미지를 가졌다. 여동생은 예술가로 활동 중인 '미니 와이즈(Minnie Weisz)'다. 부모는 자녀들의 예술적 재능과 자신을 적극적으로 표현하는 것을 적극적으로 독려했으며, 바이스는 사립 노스 런던 칼리지에이트 스쿨에서 교육을 받았다. 사립기숙학교 베넨덴 스쿨을 거쳐 그 후 사립 세인트 폴스 여학교에 입학해 졸업했다. 이후 케임브리지 대학교 트리니티홀 칼리지에 입학해서 영문학을 전공했다. 케임브릿지 시절 친구들과 《토킹 텅스》라는 이름의 극단을 결성하여 실험적인 작품을 공연하여 에딘버러 페스티벌에서 가디언 어워즈를 수상했으며, 이 때부터 본격적인 전업 배우로서의 삶에 대해 생각해보게 됐다고 한다.
3. 경력
14살 때부터 모델 활동을 시작했으며, 1992년부터 몇몇의 TV 시리즈를 통해서 본격적으로 배우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이 후 1994년 스테판 노링톤 감독의 《데스 머신》에 출연한 것이 첫 영화 출연이었다. 이어 1996년 모건 프리먼과 키아누 리브스와 출연한 《체인 리액션》에서 두각을 드러내기 시작했고 이어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 감독의 《스틸링 뷰티》에서 주인공의 딸로 나와 주목을 받았다. 본격적으로 스타덤에 오른 것은 1999년 《미이라 시리즈》의 '''에블린 카나한'''을 맡으면서부터다.
《미이라》의 성공 이후 《에너미 앳 더 게이트》와 《콘스탄틴》에 출연했다. 2005년 작 《콘스탄트 가드너》를 통해 2006년 아카데미 시상식 여우조연상을 수상했다.
2010년대에 들어선 《드림 하우스》, 《더 딥 블루씨》, 《본 레거시》 등에서 열연했고, 《유스》와 《더 랍스터》와 같은 작가주의 영화에 출연하여 탄탄한 연기력을 보여주었다.
4. 필모그래피
4.1. 영화
5. 수상 경력
6. 기타
- 영화감독 대런 애러노프스키와 2002년부터 9년 간 사귀며 2006년 둘 사이의 아들을 낳고 약혼까지 한 사이였으나 2010년에 결별하였다.
[image]
[image]
- 버버리 캠페인의 모델로 활동했었다.
[image]
- 2007년 사진작가 애니 레보비츠와 함께 유명인 모델을 기용하여 동화 속 장면들을 재현하는 디즈니의 광고 시리즈인 '디즈니 드림 포트레이트'에서 백설공주의 모델을 맡았다.
[image]
- 2008년 영국에서 4000여명의 레즈비언을 대상으로 가장 섹시한 여배우를 투표한 결과 레이첼 와이즈가 1위에 뽑혔다.
- 2010년 남성잡지 에스콰이어 영국판이 뽑은 결혼하고 싶은 여자 1위에 뽑힌 바 있다.
- 1996년작 체인 리액션에서 같이 공연한 키아누 리브스와 9년만에 콘스탄틴에서 다시 만났다.
7. 바깥 고리
[1] 다이애나 스펜서 왕세자비도 이 별명을 가지고있었다.[2] SBS판 성우: 차명화, MBC판 성우: 김아영[3] KBS판 성우: 임은정, MBC판 성우: 송도영[4] MBC판 성우: 윤성혜[5] MBC판 성우: 박선영[6] SBS판 성우: 엄현정[7] KBS판 성우: 이선[8] SBS판 성우: 문선희[9] KBS판 성우: 배정미[10] KBS판 성우: 강희선[11] 나머지는 제인 폰다, 케이트 블란쳇, 비올라 데이비스, 제니퍼 로렌스, 샬롯 램플링, 브리 라슨, 루피타 뇽오, 알리시아 비칸데르, 구구 음바타로, 헬렌 미렌, 시얼샤 로넌, 다이앤 키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