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륭

 



'''『''''''진서''''''』''' '''「나헌등전(羅憲等傳)」'''
나헌
등수
'''마륭'''
호분
도황
오언
장광
馬隆
(? ~ 296년 이전)
1. 개요
2. 생애
2.1. 초기 생애
2.2. 서방의 위기
2.3. 독발수기능의 난을 평정하다
2.3.1. 마륭이 세운 공의 중요성
2.4. 위엄과 신의로 농서일대를 다스리다
3. 제갈량팔진도 응용
4. 조선시대의 마륭에 대한 인식 및 평가
5. 기타
6. 미디어 믹스


1. 개요


서진(西晉)의 장군. 서진의 대표적인 명장 중 한 사람으로 여겨진다. 자(字)는 효흥(孝興)이며 동평군 평륙현 사람이다.
활동한 시기가 삼국시대 극후반부라서 대중적으로 그리 알려진 인물이 아니고 열전도 짧은 편에 기록된 서적이 신뢰도가 낮기로 유명한 『진서』이다. 그러나 마륭은 이러한 단점에 불구하고 역사적으로 묘하게 높은 인지도를 자랑한다. 『장감논단』, 송나라때 저술된 『십칠사백장전』, 명나라때 저술된 『광명장전』에서 중요한 명장중 한명으로 수록되며 '''제갈량'''과 '''관우'''와 이름을 나란히 하는 쾌거를 누린다. 『조선왕조실록』에서도 여러 번 마륭을 언급하며 또한 위서로 판명나긴 했지만 『이위공문대』에서도 제갈량의 팔진도를 다루면서 마륭을 언급한다.
이러한 묘하게 높은 인지도는 마륭이 '''수레를 쓰는 명장의 대명사'''의 일종이 돼서 그런 면이 있다. 즉, 블루오션을 개척해서 앞서 언급된 단점을 죄다 뒤집은 사례가 되는 셈.

2. 생애



2.1. 초기 생애


연주 동평군[1] 평륙현 사람으로, 젊어서부터 지용을 갖추어 명분과 절의를 세우길 좋아했다고 한다. 젊어서 위의 연주자사 영호우(令狐遇)한테 의탁한 바가 있는데, 영호우는 왕릉의 난에 연루되어 이미 죽었음에도 시체를 꺼내져서 내팽겨쳐지는 형을 당했다. 이에 영호우와 연관되기를 꺼려 시신을 거두는 자가 없자 마륭은 사재를 털어서 초빈을 하고, 3년간 복상하면서 소나무와 잣나무를 심으면서 온갖 예를 다하며 신세를 갚으니 주(州)에서 이를 미담으로 삼았다고 한다.
당시 삼년상은 엄청난 중노동으로 조선시대만 해도 삼년상으로 체력이 약해져서 줄초상이 나는 경우도 있었으며, 의탁했다지만 부모도 아닌 생판 남을 위해 삼년상을 치른다는 것은 미친 짓에 가깝다. 체력에 자신이 있었던 모양이다. 의부와 적모를 위해 삼년상을 연속으로 지내 엄청난 명성을 얻고 청류파의 아이돌로 군림하였던 원소가 자신의 명성을 위해 가족을 이용했다는 게 기정사실인 반면, 영호우가 반란에 연루되어 누구도 시체를 거두지 않는 상황에서 마륭이 그의 삼년상을 치른 것을 보면 별다른 사심이 있었다고 보긴 어렵다는 점이 더욱 신기하다. 연주에서 이를 미담으로 삼고 훗날 사마독으로 천거된 것은 이 무모하면서도 의리있는 행동 때문이 확실하다. [2]

2.2. 서방의 위기


「오회(吳會)가 평정되지 않아 용맹스러운 선비를 얻어 무공을 이루어야 하는데, 옛 천거의 법은 수재가 다 없어져 넉넉하지 못하다. 이 넓은 주와 군에는 장대하고, 날래고, 빼어나고, 기이한 재주와 힘이 있는 걸출한 자가 있을 것이니, 모두 그 이름을 듣고 정성으로 발탁하여 기용하라. 진실로 그런 사람이 있다면 뽑아서 기용하는 수와 기한을 제한하지 않는다.」

-『진서』 「마륭열전」에 기재된 조서.

태시 연간[3]사마염이 오나라를 정벌하기 위한 인재들을 모았는데, 마륭은 연주에서의 추천으로 사마독이 되었다. 270년에 진주자사 호열, 271년에 양주자사 견홍 등이 선비족의 독발수기능에게 전사한 상황에서 서진에서는 크게 걱정했다. 277년에 사마준이 독발수기능을 격파함으로써 20만여 명의 호족들의 항복을 받아내는 등 독발수기능은 약소세력으로 전락했다. 모두가 방심하는 와중 278년에 양흔이 '''독발수기능과 한무리였던 강족과의 화친을 끊었다.''' 이 사실을 안 마륭은 말했다.

"양주자사 양흔이 강족과의 화평을 잃었기 때문에 반드시 패할 것입니다."

-『자치통감』 80권[4]

마륭의 예측대로 양흔은 무위에서 강족 약라발능(若羅拔能)과 교전하나 크게 패하여 목숨마저 잃었다. 279년 봄, 약소세력에 불과하다고 생각했던 독발수기능에게 양주가 함락되면서 서쪽 지방은 서진정권과 완전히 연락이 두절되었다. 사마염은 서방상실에 큰 근심에 빠졌고, 이런 상황을 타파하기 위한 신료들에게 계책을 물어보았지만 아무도 대답하지 못했다.

마륭은 이에 나아가 말했다.

"폐하께서 신에게 이를 맡기신다면 신이 능히 이를 평정하겠나이다."

황제는 말했다.

"반드시 적을 멸할 능력만 있다면 어찌 맡기지 않겠는가. 생각건대 경의 방략(方略)은 어떠한지 듣고 싶다."

마륭은 말했다.

"폐하께서 신에게 맡기고자 하신다면 신의 말을 들은 뒤에 맡겨 주시옵소서."

황제는 말했다.

"무엇인가?"

마륭은 말했다.

'''"삼천의 용사를 뽑아 서쪽으로 북을 치며 나아간다면, 폐하께서 위덕으로 여쭐 때 추한 오랑캐들을 멸하기에 충분합니다!"'''

-『진서』 「마륭열전」

아무도 답하지 못하자 마륭은 호기롭게 '''3천 명'''의 용사만 있다면 독발수기능의 무리를 평정할 수 있다고 말했는데, 놀랍게도 사마염은 이를 허락하면서 토로호군 겸 무위태수로 삼았다. 공경[5]들이 사마염에게 아뢰었다.

"이미 육군(六軍)의 무리와 주·군의 병사가 많은데, 이들을 쓰고 상을 넓게 베풀지 못한다면 법이 어지러워질 것입니다. 어린 장수 마륭은 망설을 하는 것이니 이를 따를 수 없습니다."

즉, 이들은 이미 군대가 존재하는데 이러한 의용병을 고용해 사사롭게 포상을 주면 전후에 기존의 군체제에 편입하기 어렵고 골칫거리로 전락할 가능성이 높으니 아예 안 쓰는게 상책이라는 점을 지적한 것이다. 마륭의 호기로운 제안에 대해서도 "어리다"는 이유로 망설에 불과하다고 비판하는데, 마냥 높으신 분들의 어리석은 지적질로 보일 수 있으나 사실 이전까지 아무런 전공을 세우지 못한 듣보잡이 겨우 삼천 명을 데리고 수만 명의 적을 상대로 승리를 거둘 수 있다는 말을 믿는 게 오히려 비상식적인 행동이다.
그러나 사마염은 공경의 간언을 듣지 않고 끝까지 마륭을 기용했다. 이는 파격적인 모습이라 할 만하다.[6]

마륭은 표지를 세워놓고 4균(筠)의 활을 당길 수 있는 사람과 9석(石)의 를 당길 수 있는 사람을 모집하면서 시험을 치렀다. 아침 해가 중천에 이르렀을 때 총 3,500명이 모집되었는데 마륭은 이를 보고 말했다.

'''"충분하다."'''

『진서』 「마륭열전」

후일 조선시대 등에서 언급하는 것을 보면 상당한 정예병력으로 평가되는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 편찬된 『임하팔기』에서는 손자병법의 구절 중 하나인 "병력을 동원하면서 정예병을 선발하지 않는 것을 배군(北軍)이라 한다."의 반례로 곽거병의 정예병과 마륭의 시험을 꼽았다. 양요의 논박문에 의하면 벼슬과 작위를 빌미로 이들을 모집했다고 한다. 그래서 전투력이 굉장히 높았던 듯.
마륭은 병사들에게 무고에 가서 원하는 병장기를 선택하도록 했지만 무고령[7]이 마륭과 분쟁을 일으키고, 어사중승이 마륭을 탄핵하자 마륭은 사마염에게 아룄다.

"신은 목숨을 걸고 싸움터에 나가는데 무고령이 '''위나라''' 때의 썩어빠진 병장기를 주려고 하니 이는 폐하께서 신에게 일을 시키시려는 뜻에 맞지 않는 것입니다."

-『진서』 「마륭열전」

그러자 사마염은 마륭에게 필요한 물품과 3년치 군자금을 하사하고 마침내 그의 군대를 서방으로 파견했다.

2.3. 독발수기능의 난을 평정하다


「마륭은 치우친 군사와 적은 무리로 어려움을 돌아보지 않고 떨치며 나아가 험한 곳을 무릅쓰고 건넜다. 그를 가절(假節)·선위장군(宣威將軍)으로 임명하고 적당(赤幢)·곡개(曲蓋)·고취(鼓吹)를 더한다.」

-『진서』 「마륭열전」에 기재된 조서.

마륭은 서쪽으로 진군해서 온수(溫水)[8]를 건너니 독발수기능은 수만[9]을 거느리고 험한 지형에 의지해서 앞을 막으면서 뒤를 끊으려고 했다. 산길이 좁기에 마륭은 제갈량의 전투진법 '''팔진도'''에 의거해 편상거(偏箱車-가죽으로 덮은 전차)[10]를 만들어서 나무지붕을 수레 위에 얹어놓아 공격을 막다가 이리저리 돌아다니면서 1천 리를 진군하니 죽거나 패배한 적병이 아주 많았다. 「마륭열전」에서는 사상자가 총 3천 명에 이르었다고 한다. 이러한 쾌거를 올렸으나 싸우는 와중 마륭군은 궁시가 다하고 시위가 쇠하는 어려움을 겪었다. 그러나 마륭이 기책을 남발하며 적을 격파하니 선비족에서 대적할 의지를 잃었다고 한다.
『자치통감』에서는 빠진 내용이지만 「마륭열전」에 의하면 마륭의 병사들은 넓은 평지에서는 녹각거(鹿角車)를 운영했으며 좁은 길에서는 목실(木屋)을 수레 위에 얹었다고 한다. 그리고 '''길에 자석을 뿌려 철갑을 입은 선비족 병사들의 기동을 제하고''' 가죽과 무소갑옷을 입은 마륭군이 능히 이들을 척살했다는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사마광이 "마륭 자석전사설(...)"을 『자치통감』에서 배제한 것은 출처 『진서』의 낮은 신뢰도와 아무래도 현실성이 없어 보이는 내용 때문인 듯하다. 당연히 지금 기준으로도 특수시설을 짓지 않고 그냥 길바닥에 자석을 뿌려서 무쇠갑옷을 입은 병사들이 움직이기 힘들게 만드는 것은 불가능하다. 시대를 앞서간 본격 SF 소설 진서-마륭열전[11]
마륭이 서쪽으로 진군하고 소식이 끊기자 조정에서 마륭에 대해 매우 걱정했다. 어떤 이는 마륭이 죽었다고 주장했는데, 밤에 마륭의 사자가 도착하자 사마염은 손을 비비며 자랑스럽게 말했다.

"만약에 여러 경들의 말을 좇았더라면 진주와 양주는 없어졌을 것이오"[12]

-『진서』 「마륭열전」

사마염은 뛰어난 성과를 포상하기 위해 앞서 서술된 조서를 통해 마륭에게 가절과 벼슬을 내려 선위장군으로 삼았다.
마륭이 무위에 이르자 선비족 대인 졸발한차만능(猝跋韓且萬能)[13]이 무리 만 명과 함께 항복했다고 한다. 「마륭열전」에서는 이 시점에서 선비족 만 명을 베거나 항복시켰다고 한다. 또한 융적 몰골능(沒骨能)이 마륭과 함께 독발수기능을 상대로 싸웠다고 하는데 마륭의 편에 서서 선비족과 싸워서 그런지 「마륭열전」에서는 선한 인물이라는 표현이 나온다(...). 다만 『자치통감』에서는 졸발한차만능이 나오나 몰골능에 대한 대목은 짤렸다.
12월에 마륭과 독발수기능이 크게 싸워 독발수기능의 목을 취하니, 이로써 마륭은 10년 동안 농서 지방을 어지럽힌 독발수기능의 난을 평정했다. 독발수기능이 사마준(과 그 휘하의 문앙)에게 큰 피해를 입기는 했으나 양흔을 죽이고 양주를 함락시키는 등 279년 시점에서도 무시할 수 없는 세력이었음은 분명하며, 난을 완전히 평정한 마륭의 공로 역시 크다고 할 수 있다.
다만 후일담은 조금 씁쓸한 편인데, 마륭의 병사들에 대한 포상을 맡은 관리는 병사 모두에게 벼슬과 작위가 주어져야한다고 보고했지만 서진 조정에서는 응하지 않고 오히려 상을 줄였다. 이에 위장군 양요가 논박하며 말하였다.

"전에 정성스럽게 장사를 뽑을 때는 작위를 더하기로 약속하고 적소로 유인했습니다. 이제 마륭이 온전히 홀로 싸워 이기고 서쪽 땅의 편안함을 얻었는데, 이들은 앞서 변방을 주고도 그 뒤의 공을 편히 얻지 못하고 있습니다. 마땅히 모두 듣고 허락하여 믿음과 신뢰를 명확히 해야 합니다."

-『진서』 「마륭열전」

다만 「마륭열전」에는 이 대목 이후 제대로 된 포상을 받았는지에 대한 대목이 없는데, 뉘앙스상 포상을 받았을 여지가 높고 포상으로 인해 양요가 상소를 올리기도 했지만, 포상을 받았는 지에 대해서는 언급이 없다.

2.3.1. 마륭이 세운 공의 중요성


사실 마륭의 진정한 공은 큰 전력 차출도 없이 독발수기능 정벌을 오나라 정벌과 거의 동시에 실행할 수 있도록 한 점이다. 사마준이 277년 즈음이 되면 독발수기능을 거의 때려잡은 덕에 양흔이 강족과의 동맹을 끊은 시점에 서진 정권은 독발수기능을 거의 문제로 보지 않았다. 이러한 분위기는 양흔이 강족 약라발능에게 참살당한 이후에도 유지되었는데, 복야 이희가 독발수기능 토벌을 요청했지만 모두 선비족이 대단한 근심이 아니기에 반대했다고 한다. 때마침 서진의 정남대장군 양호는 오나라 정벌을 주장하고 사마염이 이에 동의하면서 서진은 모든 전력을 오나라 정벌에 쏟아붓는 총력전을 준비하는데 임했다. 그러나 동오정벌이 시행되기 바로 직전인 279년 봄에 독발수기능이 양주를 함락시키면서 약체세력으로 방심하고 있던 독발수기능은 엄청난 위기로 다가온다. 사마준의 군세가 대부분 건재했음에도 이러한 사태가 벌어지고 함락 이후에도 사마염을 비롯한 조정이 독발수기능을 물리치는데 난항을 겪고 있었던 것은 대부분의 전력을 오나라 정벌을 위해 돌린 것에 원인이 있던 것이 아닐까 추측된다. 즉, 279년의 사마염에게는 "오나라 정벌의 전력을 약화시키는 대가로 선비족을 토벌하느냐" VS "선비족은 잠시 보류하고 오나라 정벌에 주력하느냐"라는 어려운 선택지가 주어진 터였다.
이런 상황에서 마륭은 자진해서 3500명에 불과한 병력, 그리고 그에 상응하는 군자금과 병장기만을 소모했을 뿐인데도 1년도 허비하지 않고 난을 완전히 평정한다. 덕분에 서진은 대부분 전력을 오나라 정벌에 집중하고 양쪽의 원정을 모두 성공시켰다. 양면작전으로 독발수기능과 오나라를 동시에 대처하거나 오나라 정벌을 미뤄뒀을지도 모르는 상황에서 갑툭튀한 마륭은 독발수기능이라는 골칫거리를 속전속결로 제거해버렸다는 점에서 사마염에게 최고의 해결책을 제시한 셈이다. 사마염이 마륭의 활약을 두고 그리 기뻐한 것은 이런 이유가 있다.

2.4. 위엄과 신의로 농서일대를 다스리다


태강 연간[14]에 서평이 황량하기에 마륭을 평로호군에 서평태수로 삼아서 파견했다. 성해(成奚)라는 오랑캐가 매번 소란을 피우자 지역의 근심이 되었는데 마륭은 이런 성해를 격파하고자 했다. 성해는 험한 지형에 의지해서 수세에 일관하자 마륭은 이에 대응해 농장기를 들고와 농사를 짓는 척을 했다. 처음에 엄산했던 군기를 자랑했던 성해는 적의가 없어보이는 침공군을 경시해 시간이 지날 수록 게을러졌다. 마침내 적이 경계를 풀자 마륭은 성해를 습격해 반란을 평정했다. 그후 서평에서는 감히 도적이 나타나질 않았다고 한다.

관직에 십여 년을 머무르자 위엄과 신의가 농우(隴右)에 우레같이 울렸다. -『진서』 「마륭열전」

290년에 마륭은 봉고현후에 봉해지고 동강교위가 되었다. 10여 년 동안 마륭은 농서일대를 위엄과 신의로 다스리고 있었다. 이는 이미 10년 동안 독발수기능이 깽판쳤음에도 통령체제를 어느 정도 회복했음을 시사하는데 마륭이 군사적 재능 뿐만이 아니라 이민족을 다루는 행정능력도 상당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하지만 당대에도 이런 명장을 시기하는 사람이 존재했으니 그는 악양태수 풍익 사람 엄서(嚴舒)였다. 엄서는 마륭을 대신하고 싶어서 '마륭이 늙어서 병장기를 들 수 없다'는 소문을 내자, 서진 정권은 마륭을 불러들이고 엄서가 그를 대신해서 진수했다. 그러나 호락호락하지 않은 이민족이 준동하여 저족과 강족이 서로 연합하고 모여들자 백성들이 매우 두려워했다. 조정은 관농 일대가 다시 시끄러워질게 두려워 엄서를 면직해 마륭을 다시 복직시켰다.
마륭은 끝까지 벼슬을 지내다가 죽었다. 죽은 년도가 알려지지 않았으나 296년 이전으로 추측된다. 296년에 옹주와 진주에서 제만년의 난이 터져서 강족과 저족도 함께 준동하는 사건이 일어났는데 「마륭열전」에서 이를 시사하는 기사가 전혀 없다.
마륭의 아들 마함(馬咸)이 대를 이었는데 아버지를 닮아 날래고 용력이 있었다고 한다. 팔왕의 난 당시 성도왕 사마영사마예를 칠 때 마함을 응양장군으로 삼아서 하교를 방어하도록 했지만 사마예의 장군 왕호한테 패하여 죽었다. 다른 후손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3. 제갈량팔진도 응용


강원대 홍을표 박사가 쓴 '서진 마륭의 서정으로 본 팔진도' 논문[15]
연주 출신으로 제갈량과 아무런 연고가 없는 데다가 활동 시기가 전혀 달라서 제대로 만나본 적도 없는 인물이지만, 묘하게 연관되는 부분이 많은 인물이다. 가장 큰 예로 팔진도가 있다. 진서 「마륭열전」에서 대놓고 팔진도에 의거해 편상거를 만들었다고 서술된다. 이는 아무래도 제갈량이 사마의의 대적자였던만큼 마륭이 그의 전술과 병법을 많이 연구한 탓이 크다고 할 것이다.

두헌은 일찍이 팔진을 통솔해 흉노를 공격했고, 진의 마륭도 팔진을 활용해 양주를 다시 찾았다. -『제갈량 평전』

승상 제갈량이 부릉의 힘센 병졸 3000명을 뽑아 연노사로 삼았다.

화양국지 유후주지

그대의 팔진(八陣)을 미루어보면 손자, 오자 때도 없던 것이고, 목우(木牛)의 기이함은 쉽게 본뜰 수 없고, 신노(神弩)의 공은 또한 미묘하구나! 천정(千井)을 가지런히 쌓으니 또한 얼마나 비요(祕要)한가! 옛날 전, 요(주문왕을 보좌한 태전泰顚과 굉요閎夭)가 명성이 있어 뒤쫓을 자 없다 하나 그 누가 그대의 뛰어나고 기묘한 주획(籌畫)만 하겠는가.

제갈량전 추석 촉기, 유홍이 이흥을 시켜 쓰게 한 글. 제갈량이 개량한 팔진이나 그에 쓰였던 원융(元戎)이 이전에 없던 독창적인 것이며 제갈량이 팔진도를 만들었다는 당대의 인식을 반영한다.

마륭은 표지를 세워놓고 4균(鈞)의 활을 당길 수 있는 사람과 36균(9석(石)이다)의 를 당길 수 있는 사람을 모집하면서 시험을 치렀다. 아침 해가 중천에 이르렀을 때 총 3,500명이 모집되었는데 마륭은 이를 보고 말했다.[16]

'''"충분하다."'''

진서 마륭열전

마륭이 서쪽으로 온수(溫水)를 건너자 오랑캐 수기능 등이 만(자치통감에서는 수만)을 헤아리는 무리로 일부는 험지를 타 맢을 막아서고, 일부는 복병을 두어 뒤를 끊었다. 마륭은 팔진도(八陣圖)에 의거하여 편상거(偏箱車)[17]

를 만들었고, 넓은 땅에서는 녹각거영(鹿角車營)을 모범으로 삼았으며, 좁은 길에서는 법칙대로 목실(木屋)을 수레 위에 올렸다. 싸우며 앞으로 나아가니 궁시가 그곳까지 미치고 쏜 화살이 보기 좋게 명중하여 활시위의 소리에 응하듯이 적이 넘어졌다, 기책을 간간이 발하니 적이 나와 대적할 뜻을 잃었다.[18]

진서 마륭열전, 중국 사서들은 수많은 전쟁을 기록하고 있으나 특정한 진법으로 작전했다는 기록은 찾아보기 어렵다. 진법을 처음 만들었다는 황제(黃帝)의 탁록(涿鹿) 전쟁이나 팔진도로 명성을 날린 제갈량의 전쟁 기록에도 무슨 진법으로 싸웠다는 내용은 없다. 이러한 현상은 진법이 군사적 기밀사항이라 사관들이 인지할 수 없었던데 기인했을 가능성이 크다. 그럼에도 진서에서 마륭이 팔진도에 따라 싸웠다고 기술하고 있는데 이것은 팔진도의 위력이 서진은 물론 (진서가 편찬된) 당대(唐代)에까지도 명성을 떨쳤기 때문으로 보인다. 또한 이 기록을 통하여 서기 234년에 제갈량이 죽은 뒤 45년이 지났는데도 서진에서는 제갈량이나 그의 팔진도 전법을 연구하고 활용했다는 점을 확인해 볼 수 있다. 당대 팔진도는 이전의 병법에 없는 제갈량만의 독특한 병법으로 여겨졌다. 손오의 병법에도 없는게 제갈량의 팔진도라고 한 진남장군 유홍과 제갈량의 팔진도를 완벽히 습득한 진협, 팔진도를 실제 사용한 마륭은 완전히 동시대 사람이다.

3만의 적은 병력으로 멀리 떨어져 있는 고구려를 정벌하려면 어때한 전략을 써야 한다고 생각하오?

이정이 대답하였다.

신은 정병(正兵)으로 공략하려고 합니다.

태종이 말하였다.

장군이 지난 번 돌궐을 평정할 때에는 기병(奇兵)을 사용하였는데, 지금은 어찌하여 정병을 사용하려 하오?

이정이 대답하였다.

옛날 제갈량남만을 정벌하여 그 군주인 맹획일곱 번이나 사로잡았을 때 바로 정병을 사용한 것입니다.

태종이 말하였다.

진(晋)나라의 마륭양주강족을 토벌할 때에도 (제갈량의) 팔진도에 의하여 편상거(偏箱車)를 활용하였는데, 지세가 광활하고 평평하면 녹각거영(鹿角車營)을 만들어 적의 진공에 대비하였고, 도로가 협착하면 수레 위에 판자 지붕을 만들어 덮고 적과 싸우면서 진군을 계속한 바 있소. 그러니 정병은 옛날의 명장들도 중요시하였던 것이기는 하오.

이정이 말하였다.

지난 번 신이 돌궐을 토벌할 때에 서쪽으로 몇 천리를 진격하였습니다. 그 때 만일 정병을 쓰지 말았다면 어찌 그렇게 멀리까지 원정을 할 수 있었겠습니까? 녹각거(鹿角車)와 편상거(偏箱車)는 전투에 매우 중요합니다. 군사들의 전투력을 절약할 수 있는가 하면, 전진하면서 적의 공격을 막을 수 있으며, 또한 전진하면서 대오를 정돈시킬 수도 있습니다. 이 세 가지는 교대로 상황에 따라 시행할 수 있습니다. 이로 보면 마륭은 (제갈량의) 옛 전법을 깊게 체득한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위공문대

진나라 때는 오직 진협과 마륭이 제갈량의 옛 진법 한 두가지를 사용했을 뿐이다. 마륭은 3,000명을 모병하여 서량을 평정해 그의 공적이 널리 드러났으나, 진협에 대한 일은 찾아 볼 수 없다. 그러나 그는 교표치(校標幟) 라는 군대의 한 가지 기물만 사용했을 뿐인데도 여러 차례 혼란을 수습하였다. 부대 간에 다툼이 일어나 도성의 궁궐이 포위당하는 위협을 받았으나 백비번(白飛幡)을 한 번 휘저으니 군사들은 모두 갑옷을 풀고 싸우지 않았다. 이와 같이 그가 휘(麾)의 신호를 가지고 효력을 본 것이 여러 차례나 되는데, 누가 옛날의 진법을 일러 후세에는 사용할 수 없는 것이며 군정(軍政)은 일상생활이나 국정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말할 수 있겠는가.[19]

진협과 마륭의 일은 후대에서도 관심사가 되었다. 한 예로 송나라는 황제까지 나서서 진법에 대한 연구를 활발하게 진행했던 시기가 있었는데,(송사 195권) 이 때도 진협과 마륭의 고사는 비중있게 다루어졌음을 다음과 같이 확인해 볼 수 있다. 위 글은 진부량(陳傅良)이 쓴 역대병제(歴代兵制)에 있는 내용 중 하나이다. 그는 '옛날에 사용했던 진법은 지나간 유물이 아니라 후대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고 하면서 '진법과 같은 군사 분야의 제도들은 군대에서만 필요한 것이 아니라 인간의 일상생활이나 국가의 통치수단에도 활용할 수 있다'고 했다. 이와 유사한 내용은 같은 시기의 장여우(章如愚)가 편찬한 군서고색(羣書考索)[20]

과 왕응린(王應麟)이 쓴 옥해(玉海)를 비롯하여 적지 않은 문헌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참고로 송나라 시절은 송사 예문지에 남아있는 제갈량집 14권과 제갈량행병법(諸葛亮行兵法) 5권, 무후팔진도(武侯八陣圖) 1권 등이 남아있는 것이 확인되는 등 제갈량의 병법에 대해서 현대보다 더 잘 알 수 있는 시기였다.[21]

이는 무경칠서 중 하나인 당태종이위공문대에도 나오는 내용으로 이 책 자체는 당태종과 이정이 실제 말한것이 아닌 위서이다. 그러나 사고전서 총목제요에 따르면 비록 책은 위서이나 옛 이정과 당태종(貞觀)의 유사(遺事)를 따라 당나라 말기, 송나라 초기의 선비가 지은 책이었고 정원(鄭援)의 정관쇄언(井觀瑣言)에서는 학식과 모략이 있는자가 지었다고 일렀던 것이다. 따라서 이 책은 제갈량과 마륭이 사용했던 팔진도의 녹각거와 편상거가 당나라 말기~송나라 초기 이 시대에도 전해지고 사용되었다는 것을 증명하는 책이다.
진수의 정사 삼국지에는 제갈량은 병법을 미루어 넓히고 팔진도(八陳圖)를 만드니 모두 그 요체를 얻을 수 있었다고 하고 있고, 서진의 진남장군 유홍이 건위사람 이흥을 시켜 쓰기를 제갈량이 개량한 팔진도가 손자, 오자의 병법에도 없는 것이라 극찬하여 제갈량이 독창적으로 팔진도를 만들었다 했으며 제갈량 이후 지금까지 팔진도는 제갈량 고유의 전술이 되기에 이른다. 사마소는 촉한이 망하자 측근 장수 진협을 시켜 제갈량의 위진을 습득하게 했다. 서진 사람들의 인식이 이러했으므로 마륭의 팔진도도 제갈량의 팔진도의 법식을 받아 대기병전술에 사용되었으며 제갈량의 팔진도는 촉한 시기부터 서진을 거쳐 당~송 왕조에 이르기까지 유전되고 발전되었음을 알 수가 있다.
이것은 제갈량 사후 그의 전략전술을 사마씨가 연구하고 전승한 결과인 듯 싶다. 일례로 사마의가 죽은 제갈량의 진채를 둘러보고 그를 기재(奇才)라 칭찬한 것도 그렇고, 사마소사마염이 근위대장 진협을 시켜 제갈량의 진법을 훈련시키게 했다는 기록을 감안하면 서진에서 군부 내지 국가 단위로 제갈량(또는 제갈량의 병법)에 대해서 연구하고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 제갈량은 적국의 최고 군사령관이었음을 감안하면 이해 못할 것은 아니다.[22]
이위공문대와 진서 마륭열전에 따르면 팔진도는 편상거로 운영하고 넓은 땅에선 녹각거를 운영하며 좁은 땅에선 규범대로 수레 위에 목실(이위공문대에 따르면 판자 지붕)을 올리는 방식으로 운용되었다고 한다. 편상거는 제갈팔진도 중 치중차에 가죽을 덧씌워 공방일체로 쓴 거몽진법을 응용한 듯 싶다. 또 마륭이 4균(鈞)의 활을 당길 수 있는 사람과 9석(石)의 를 당길 수 있는 사람을 모집하면서 시험을 치렀다는 부분이 있고 이는 제갈량이 연노를 만들어 힘센 병졸 3000명을 뽑아 연노사로 삼았다는 기록과 매우 유사한데, 이에 따르면 팔진도는 투사무기를 중시한 것으로 보인다.
이 때문이에 마차를 대기병방책으로 앞세우고 뒤에서 노병이 적을 쏜다던가, 노병과 궁병을 잘 배치하고 보병으로 적을 끌어들여 십자포화 형식으로 사격한다던가 하는, 기본적이면서도 효과있는 기본 대형이나 상황의 전술이라는 의견이 있다.
아무튼 마륭이 사용한 편상거의 성공은 제갈량의 북벌의 실패로 인해 때론 저평가받는 팔진도의 성공적인 실례로 부각된다. 덕분에 마륭의 병법은 제갈량의 정식 후계자인 장완, 비의나 제갈량의 군사적 후계자로 여겨지는 강유보다도 제갈량식 군 운용의 면모를 더 강하게 드러낸다. 물론 이는 강유가 어떠한 전술을 구사했는지에 대한 기록이 부족하다는 이유도 있지만 말이다.
마륭과 제갈량의 유사성은 마륭의 성해 토벌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마륭은 성해를 토벌하면서 병사들에게 농사를 짓게 해서 적의 의중을 변화시키는 전략을 활용한데다가 이는 수세에 일관하는 적을 상대했다는 점에서도 제갈량의 5차 북벌과 비슷하다. 차이점이라면 제갈량의 목적은 둔전을 통해 장기전에 돌입해 수세에 일관하는 사마의를 전장에 이끌어내는 것에 있었다면, 마륭은 수세에 일관하는 성해의 병사들을 방심케 해서 습격이 용이하도록 했다는 점이다.

4. 조선시대의 마륭에 대한 인식 및 평가


세종 99권, 25년(1443 계해 / 명 정통(正統) 8년) 2월 14일(경자) 3번째기사

'''함길도 도절제사 김효성이 건의한 수레 싸움 법을 받아들이다'''

‘우리 나라는 산천이 높고 험하며, 도로가 좁고 막히었는데 어떻게 능히 수레 싸움의 법을 쓰겠느냐.’ 하시오나, 이는 신의 아뢰온 근본 뜻이 아니옵니다. 신이 새 고을에 두 번을 가 보았사온 바, 그 땅이 도적의 소굴에 가깝고 구원병의 오기에는 멀므로, 새 고을 성밖의 평탄한 곳에서 수레 싸움의 법을 써서 새로 이사 온 백성들을 안심하게 하고, 점차로 남도에서 방어하러 오는 군사를 줄이고자 할 뿐이오며, 높고 험한 곳에 멀리 몰고 가려 하는 것이 아니옵니다. 《태공병법(太公兵法)》에 이르기를, ‘무릇 수레의 죽을 땅이 열 곳이 있고 이길 땅이 여덟 곳이 있는데, 장수가 해로운 10군데와 이기는 8군데에 밝으면, 적군이 비록 천 대의 수레와 만 명의 기병으로 포위할지라도 앞으로 몰고 옆으로 달려 반드시 온전하게 이긴다.’ 하였습니다. 그 해로운 10군데 중에 산천의 높고 험함을 역력히 고증할 수 있사오니,진(晉)나라 마융(馬隆)이 양주(涼州)를 토벌할 때 편상거(偏箱車)를 만들어 이리저리 다니며 싸우기를 천리나 하면서도 드디어 적을 이겼사오니, 그 천리 안에 어찌 밭두둑과 울퉁불퉁한 곳이 없었겠습니까. ‘5진(鎭)의 성밑에 비록 1마장이나 2마장의 평탄한 땅이 있다 하나, 그 사이에 어찌 언덕, 골짜기, 밭두둑, 울퉁불퉁한 것이 없으랴.’ 하시오나, 신은 가만히 생각하기를, 5진(鎭)에 사는 백성들이 항상 수레를 사용하옵는데, 이제 조그만 싸움 수레만이 오직 그런 곳에 다니지 못하오리까. ‘이제 야인의 싸움하는 것이 구름같이 모였다가 새같이 흩어진다.’ 하시오나, 신은 가만히 생각기를, 야인이 비록 말에 익숙하여 빨리 싸우는 데에 유리하다 하지마는, 어찌 능히 날아갈 수야 있겠습니까.

숙종 2권, 1년(1675 을묘 / 청 강희(康熙) 14년) 1월 24일(계미) 2번째기사

'''비국을 인견하여 북한 산성의 수축과 삼남에 순무 파견하는 일을 논하다'''

“부서(扶胥)는 큰 수레이나, 무강(武剛)은 외바퀴이므로 한 사람이 운전할 수 있습니다. 위청(衛靑)은 사차(四車)로 자위(自衛)하였고, 마융(馬隆)은 수레로 식량을 싣고 요새(要塞) 밖 3천 리의 평량주(平凉州)에 나갔는데, 그 만듦새는 길이 좁으면 좁히고 평지에서는 펴니, 그 제도가 갖추어 있어 참으로 행군(行軍)하고, 적을 막는 미기(美器)이나, 신이 한 수레를 만들어 보니, 여드레 걸려서야 끝나고 드는 물력(物力)이 자못 많았으며, 또 여느 때에는 쓸 곳이 없는데 간수하기가 어렵습니다.”

광해 177권, 14년(1622 임술 / 명 천계(天啓) 2년) 5월 1일(병신) 5번째기사

'''비변사가 감군이 요구한 병마, 군량, 배에 대해 어려운 사정 밝힐 것을 아뢰다'''

우리 나라의 강변 방어는 바로 편두관(偏頭關)에 비길 만하기는 하나 병력은 중국의 한 진(鎭)에도 미치지 못한다. 하수(河水) 굽이에 있는 편두관은 황하가 띠처럼 두르고 있고 옆에는 18곳의 요해처가 있어도 노마(虜馬)가 출몰하면 방어하기 어렵다고 염려하는데 더구나 우리 나라는 북으로는 경흥(慶興)으로부터 서로는 의주(義州)에 이르기까지 이미 황하와 같이 막아주는 강도 없고 또 험한 요해처도 없는데다가 반이(叛夷)의 강함은 서노(西奴)보다도 심하니 말해 무엇하겠는가. 천 리나 되는 방수 지역을 여름이나 겨울이나 할 것 없이 매양 근 1만 명의 병력을 파견하여 강변을 지키는데, 형세는 나누어지고 병력은 적어서 늘 근심하며 스스로 보존하고 있다. 평년(平年) 교체할 즈음에 오고 가는 숫자를 합해서 계산해 보면 천경(踐更)과 같이 돈을 주고 다른 사람을 대신 보내는 경우가 있으니, 그렇다면 겨우 1만 명이 되는 숫자 중에 정용(精勇)한 자는 실로 얼마 되지 않는다. 평안도 일대의 수자리 서는 병사의 경우는 그래도 상황에 따라 조발해 모을 수 있지만 북도(北道)의 병사는 조발해 오기가 쉽지 않다. 우리 나라의 경계에 여연군(閭延郡) 등 4군(郡)이 있었는데 백 년 전에 잃어 버려 오랑캐 땅이 되었으니 마치 중국 대령(大寧)의 경계에 있는 삼위(三衛)·선대(宣大) 지역이 요광(遼廣) 지역과 중간이 막혀 서로 소통하기가 곤란한 것과 같은데, 이는 우리 나라의 서북쪽이 양쪽에서 서로 구원해 주는 형세를 잃은 것이다. 군대에는 본래 허장 성세하는 경우가 있으니, 종이에다 쓰는 것은 비록 10만이라 하더라도 무엇이 어렵겠는가. 그러나 위로 성천자(聖天子)에 고하고 아래로 대노야(大老爺)에게 고하는데 어떻게 거짓으로 부풀린 수를 덮어 놓고 올릴 수 있겠는가. 도 군문(陶軍門)이 3만 명의 군사를 보내 도와준다는 설을 갖추어 보고했는데 이러한 말이 어디에서 나왔는지 모르겠다. 전에 마융(馬隆)이 수기능(樹機能)을 사로잡을 때에는 군사 5천 명을 쓰는 데 불과했고,이정(李靖)이 힐리장(頡利帳)을 칠 때에는 단지 날랜 기병 3천 명만을 데리고 갔으니, 고금을 막론하고 전쟁에서 승리하는 데에는 반드시 병력의 많고 적음에 구애되지는 않았다. 그리고 사세가 크게 달라지자 마음이 조금 달라졌다는 말은 하늘에 해가 있는데 어떻게 이럴 리가 있겠는가. 스스로 충분(忠憤)을 가다듬을 뿐이다.

정조 51권, 23년(1799 기미 / 청 가경(嘉慶) 4년) 4월 10일(무술) 3번째기사

'''수원 주위의 4, 5개 군·현을 외영에 이관한 후 생긴 폐단에 대해 서유린에게 유시하다'''

옛날에 군사를 쓸 적에 모집하는 초기에는 정밀하게 선발하였으니 마륭(馬隆)이 푯말을 세우고 선발 시험을 치룬 것이 바로 이 경우이고, 이미 모집한 뒤에는 규율이 있었으니 마수(馬燧)가 수자리 사는 병사들을 잘 훈련시킨 것이 바로 이 경우이다.

마륭(馬隆)이 서량(西凉)을 토벌할 때에, 산길이 험하고 좁다하여 편상거(扁箱車)를 제작했는데, 나무로 만든 집을 수레 위에다 설치하였던 것이다. 편상거의 제도는 자세히 알 수 없고, 산길이 험하고 좁으면 말도 통행하기가 어려운데 어떻게 수레를 운행할 수 있겠는가? -홍대용의 『담헌집』

다만 위청(衛靑)의 무강거(武剛車)와 마융(馬隆)의 녹각거(鹿角車)는 그 효과가 이미 입증되었으니, 명(明)나라 이현(李賢)과 여자준(余子俊)이 ‘꼴 먹일 필요가 없는 말을 부리며, 발 달린 성을 움직이는 것 같다.’라고 한 말은 참으로 지론입니다. -이현일의 『갈암집』

옛날 승거(乘車) 제도는 지금 비록 갑자기 회복할 수 없는 일이지만 병서(兵書)에서 말하고 있는 무충(武衝)과 부서(扶胥), 또는 진인(晉人)들이 말한, 마융(馬隆)이 만든 편상거(偏箱車) 같은 것들은 지금도 쓸 수가 있고 그것을 만드는 법도 알기 어려운 게 아닌데다, 그것이면 돌진해오는 적군의 말을 막을 수도 있고 화포로 적진을 먼저 쳐들어가는 데도 도움이 됩니다. -윤휴의 『백호전서』

“대(隊)는 10인이 1대인데 이는 10만 명을 말한 것입니다. 무강거는 《한서(漢書)》에서 이른바, ‘위청(衛靑)이 무강거로 자신을 호위하게 했다.’고 한 것이고, 편(偏)은 수레 열다섯 대입니다. 무강거는 위에 방패를 설치하고 아래에 한 개의 바퀴가 있는데, 이른바, ‘편상거(偏箱車)’라는 것입니다. 진(晉) 나라 때 마융(馬隆)이 이 수레를 사용하여 수기능(樹機能)을 토벌하는 데 있어 천리를 달려가 승리를 하였습니다. 우리나라의 지형은 대부분 산악지대이고 도로가 험난하기 때문에 이 수레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고 여깁니다. 오늘날 북쪽 오랑캐와 교전(交戰)하는 데 있어 이 수레가 아니면 오랑캐 기마병(騎馬兵)의 충돌을 막을 수 없을 것이니, 이에 신이 이 말을 한 것입니다. ‘장인(丈人)’이란 말과, ‘삼석(三錫)’이란 말은 《주역(周易)》에 나오는데, ‘장인’은 지략과 덕망을 지닌 사람으로서 충분히 삼군(三軍)의 장수가 될 만한 사람을 말한 것이고, ‘세 번 명령을 내린다.’는 것은 은총으로 임명하는 것을 말한 것입니다. 이리하여 《주역》에, ‘군사를 출동시키는 데 있어 올바른 도리로 해야 하는데 장인이 군사를 거느리게 하는 것이 길하다.’고 하였고, 또 이르기를, ‘군사를 거느리는 데 있어 중도(中道)를 지키는 것이 길한 것으로서 임금의 은총을 받게 된다.’고 하였고, 또 ‘임금이 세 번 명령을 내리는 것은 만방(萬邦)의 백성을 생각해서이다.’라고 하였습니다. ‘연(燕)’은 연경(燕京)을 말한 것이고, ‘저들의 등을 치고 목을 조인다.’고 한 것은 우리나라가 저들의 왼쪽에 있는데 우리가 출병하여 요동(遼東)ㆍ계주(薊州)의 길을 끊을 경우, 저들의 등을 치고 목을 조르는 형세를 갖게 된다고 한 것입니다.” -윤휴의 『백호전서』

그리고 신은 또 듣건대, 옛날에 전쟁을 하는 데 있어 수레로 군대를 이룬다고 하였으니, 이것이 바로 헌원(軒轅)의 제도가 중국을 안정시키고 이적을 제압할 수 있었던 것인데, 후대에는 이 제도가 차츰 사라졌으니 중국이 오랑캐들에게 지탱할 수 없었던 것이 실로 이에 연유한 것입니다. 옛날의 병거의 제도를 갑자기 회복할 수 없으나 병서(兵書)에 기록된 무충(武衝), 부서(扶胥)의 제도와 진(晉) 나라 사람이 말한 마융(馬隆)이 만든 편상(褊箱)의 법은 지금에도 행할 수 있는 것이고 그 제도에 있어서도 알기 어려운 것이 아닙니다. 이 병거야말로 치달리는 오랑캐의 기마병을 상대할 수 있고 화포가 진동하는 위세를 도울 수 있는 것으로서, 신이 전번 상소에 ‘무강거(武剛車) 1천 부대를 편성해야 한다.’고 한 것인데, 오랑캐를 제압할 수 있는 기구가 이보다 더 좋은 것이 없습니다. 그렇다면 병거도 또한 적의 침입을 미리 대비하는 데 있어 매우 중대한 기구인데 이는 미리 만들어 비축해야 하고 갑자기 만들 수 없는 것입니다. 바라건대 전하께서는 일찌감치 계획하고 전력으로 만들게 하여 일을 당했을 때 사용할 수 있게 하소서. 이러한 일들은 국정(國政)을 도모하는 자의 일로서 신이 말할 만한 것이 아닌데 이처럼 길게 말하였으니, 그야말로 급히 달리며 고함을 지르면서 예모를 차릴 여가가 없다는 것이 아니겠습니까. 이에 신은 황공하고 부끄러움을 금할 수 없습니다. 삼가 바라건대 재량하시고 살피소서. -윤휴의 『백호전서』

위청(衛靑)은 무강거(武剛車)로 영채(營寨)를 만들었고, 이릉(李陵)은 대거(大車)로 영채를 만들었으니, 이는 모두 형세에 따라 일시적으로 방편을 취한 것이었다. 만약 그것이 일시적으로 쓴 것이라면, 나무통〔木罌〕을 타고서 몰래 건너간 것이나 담요로 감싸고서〔裹氈〕 험한 길을 지난 것과 다를 것이 뭐가 있겠는가. 마융(馬隆)이 전차를 썼을 때에는 승리하였고, 방관(房琯)이 썼을 때에는 패배하였다. 그런데 가령 마융이 진도(陳濤)에서 싸웠다면 그때에도 반드시 전차를 썼을지는 알 수 없는 일이다. -『죽석관유집』

옛날에는 병사를 씀에 있어서 처음에 모집할 때는 잘 고르는 데 중점을 두었으니 마융(馬隆)이 표지(標識)를 세우고 골라 시험하였던 것이 그것이고, 이미 모집하고 나서는 기율(紀律)을 엄격히 하였으니 마수(馬燧)가 잘 조련하여 정예로운 군졸로 만들었던 것이 그것이다.-『홍재전서

이를 보면 조선시대때도 마륭이 나름대로 잘 알려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좁은 길에서 수레를 썼다는 점에서 산악길이 험하기로 유명한 한반도에서 이를 도입할 수 있을지에 대한 기대감과 논박이 반복되었기 때문인 듯하다. 특히 윤휴가 저서 『백호전서』에서 마륭의 편상거를 여러번 언급하는데 이때마다 좁은 길에 사용할 수 있고 한반도의 특성과 적합하다고 논했다. 그러나 이에 대한 반대여론이 없던 것은 아니여서 위에 기제된 『조선왕조실록』의 구절 몇개만해도 그런 수레의 효용성에 반박을 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수레를 제대로 도입하지 않았으니 반대론자들의 승리라 봐도 무방할 듯하다.

5. 기타


진압한 독발수기능의 난 자체가 서진이 진주[23]에 항복한 선비족 수만이 살 수 있도록 놔둔데다가 대사마 진건호열견홍이 농서지방을 통치하는데 반대했음에도 사마염이 무시해서 벌어진 일이다. 게다가 사마준이 거진 때려잡은 난을 양흔이 병맛 대처로 일키운 것은 덤. 게다가 자진해서 싸우겠다는 마륭의 명을 서진의 황제 사마염이 받아들였음에도 무고령이 분쟁을 일으키고 때맞춰 어사중승이 마륭을 탄핵하는 것을 보면 서진의 제대로 썩은 일면을 볼 수 있다. 그나마 사마염이 보호해줘서 어찌어찌 서량까지 파견나가고 끝내 임무완수에 성공하지만 서진 조정에서는 포상을 줄이려는 궁리나 하고 있었다. 서량을 10년 가량 평화롭게 통치하며 잘 풀리나 싶더니만 양서의 모함에 잠시 일에서 밀려났다가 복귀했다.
사마염이든 양요든 강족과 저족이든 적절한 시기에 쉴드쳐줘서 심한 위기 없이 상당히 성공적인 삶을 살며 후대에도 명장으로 이름을 남긴 것을 보면 전한이광이나 이릉처럼 마냥 불운하다고 보기 어렵고 도리어 매우 운 좋은 축에 든다.
아들이 팔왕의 난에 연루되어 정황상 대가 끊긴 것으로 보인다.

6. 미디어 믹스


[image]
삼국지 14
후반부 인물들이 많이 나온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활약에 비해서 좀 많이 짠 편이라 통솔력 77/무력 75/지력 72/정치력 71이다. 모든 능력치가 70대라서 좋은 것도 있지만 최대 능력치 또한 70대이기에 좀 미묘하다. 그래도 능력치를 대신해서 기병과 궁기[24]의 숙련도가 높은 축에 드는 300이고 노병과 공성도 200[25]에 들기 때문에 쓸 만한 편이다.
게다가 극후반부 인물이기 때문에 찬밥 더운 밥을 가릴 때가 아니고, 처음 등장하는 263년 검각공방과 촉멸망 시나리오에선 강유, 등애 등 당대 명장들이 모두 오늘내일하는 사정이기에 군웅할거 같이 팔팔한 인재들이 많은 시나리오와는 달리 C급이 아닌 A급으로 당당히 활약할 수 있다. 애초에 극후반부에선 인재의 능력치가 아니라 인재의 수가 국력을 좌우하기 때문에 마륭 같은 올라운드 인재는 더할 나위없이 중요하다. 그래도 정사의 활약에 비해서 능력치가 좀 떨어지는 것은 사실이다.
삼국지 13 PK에서 조차 끝내 등장하지 않았다가 삼국지 14에서 '''드디어 17년 만에에 등장했는데''' 능력치는 통솔 84, 무력 68, 지력 78, 정치 64, 매력 66으로 전작에 비해 통솔력이 7, 지력이 6 상승한 대신 무력과 정치력이 각각 7 하락했다. 일러스트가 전작에 비해 투구를 쓰고 수염을 기른 채 오른손을 펼치고 있는 모습으로 나왔다. 개성은 발명, 산전, 봉살, 모집, 주의는 왕도, 정책은 지세연구 Lv 4, 진형은 학익, 장사, 충차, 전법은 연노, 업화, 저지, 혼란, 충차, 친애무장은 사마염, 혐오무장은 없다. 생년은 231년, 몰년은 303년까지 되어있다. 전보다는 능력치가 통솔, 지력위주로 높아졌지만 그럼에도 능력치가 짜다는 의견이 많다.
진삼국무쌍 시리즈에서는 당연히 클론무장으로 출현한다. 특히 진삼국무쌍 7 맹장전 성도탈출전에서 종회의 책략[26]에 속는 장수 중 한 명으로 나온다(...). 오죽하면 등애 왈, ''"마륭님 같은 지략가가 그런 책략에 속다니..."'' 다만 격파 후 등애의 설득에 잘못을 반성하고 등애와 문앙이 탈출 할 수 있게 도와준다.
삼국전투기에선 코에이 삼국지와 마찬가지로 '마융'이란 이름으로 등장했으며, 베요네타 2 버전의 베요네타로 패러디 되었다. 즉, '''여자다'''. 제갈량의 후예임을 강조하는 듯한 삼전 제갈량 특유의 무표정한 표정과 말투, 그리고 다이나마이트한 몸매(...)를 재현한다. 거기에 삼전 제갈량 역시 1편 모습의 베요네타의 패러디를 한 적이 있었다. 여담으로 사망컷이 나오기 전에 갑자기 캐릭터가 츤데레로 변한다.

[1] 진(晉) 건국 후 277년 서하국(西河國)으로 개편된다.[2] 간간히 부모의 삼년상을 치르는 이가 나와 명성을 얻던 당시 기준으로 봐도, 친부모나 적부모도 아닌 지인을 위해 삼년상을 치른다는 건 원소의 6년 복상을 뛰어넘는 화제가 되기에 충분했다. 물론 원소는 얼자여도 최고 명문가의 일원이었던지라 확실히 이슈가 되었던 반면, 듣보잡이었던 마륭이 영호우에게 삼년상을 한 것은 원소만큼 전국적으로 회자되지는 않았다. 그래도 기록된 바를 보면 당대 식자층에서는 소문이 났던 것으로 파악되며, 마륭이 영호우와 의부자의 연을 맺었던 것이라면 어느 정도 납득가능한 범위였겠지만 그러한 기록이 없는 것으로 보아 정말 그냥 '''의'''로서 자신이 의탁했던 때의 고마움을 보답하려는 행동이었던 것 같다. [3] 서기 265 ~ 274년이다.[4] 구체적인 발언 내용을 담은 『자치통감』과 달리 「마륭열전」에서는 단순히 죽을 것이라고 얘기했다고 서술한다. 묘하게 자치통감에서 더 자세한 것을 보면 사마광이 참고한 또 다른 모종의 자료가 있었을지도 모른다.[5] 삼공과 구경을 뜻하는 말이다. 즉 서진높으신 분들.[6] 그러나 독발수기능이 참살당한 후에 마륭의 병사들에 대한 포상을 줄이는 쪽으로 조정이 방향을 바꾸고 사마염이 이에 대한 반대를 안했다는 점에서 공경의 경고한 문제점을 포상을 줄이는 방법으로 풀려던 게 아니냐고 볼 여지가 존재한다. 이 해석이 옳다면 사마염의 행동은 상당히 찌질해 보인다(...).[7] 대충 무기고의 '''대빵'''을 뜻한다[8] 무위현의 동쪽[9] 「마륭열전」에서는 만 명을 거론하는 반면 『자치통감』에서는 '''수만'''을 언급한다. 사마광의 감수를 받았을 것이라는 점에서 오히려 숫자가 늘어난 것은 놀라운 점이다. 다만 중국측 기록이 으레 그렇듯이 호왈일 확률도 높다. 특히나 당대 기록보다 후대의 기록이 부풀려 졌다는 점은 이런 의혹을 제기할 근거가 된다. 다만 본문에서는 『자치통감』의 기록을 참고한다.[10] 위의 쇠뇌와 아래의 목실 언급 때문인지 삼국전투기에서는 이를 현대의 전차 비슷한 물건으로 상상하여 표현했다.[11] 사실 이건 왕은 진서도 똑같이 증언하고 있어서 이전부터 전해져온 전승이었는지도 모르겠다.[12] 다만 사마염이 호열과 견홍을 양주에 배치하는 것에 대해서 반대한 진건의 간언을 씹은게 독발수기능의 난의 1차적인 원인 중 하나임을 고려하면 사마염 또한 만악의 근원이라 봐도 무방하다(...).[13] 「마륭열전」 번역본의 경우에는 졸발한과 차만능 두명으로 해석하고 권중달역 『자치통감』에서는 졸발한차만능의 한 사람으로 번역되었다. 본 항목에서는 권중달 교수의 번역을 따른다.[14] 서기 280 ~ 289년이다.[15] 몇가지 사소한 오류가 있는데 논문 첫부분에 위나라 멸망년도를 265년이 아니라 263년으로 오타를 냈고, 학경 속후한서를 인용해 위씨춘추에 월시(鉞矢,도끼 모양의 촉을 가진 화살)로 만들었다고 그림까지 그려가며 썼는데 학경 속후한서 원문은 '以鐵為矢'로 철시(鐵矢)이다. '鐵'과 '鉞' 두 글자가 비슷해 잘못 본 것으로 보인다.[16] 36균은 약 238kg이고 4균은 약 26kg.[17] 자치통감에서는 마륭의 팔진도 사용은 언급하지 않았지만 진서를 인용하면서 그가 편상거를 만들었다는 것을 언급해 간접적으로 팔진도를 언급하였다. 편상거는 팔진도에 의거해서 만들어졌으니. 한편, 편상거는 제갈팔진도 중 치중차에 가죽을 덧씌워 공방일체로 쓴 거몽진법을 응용한 듯 싶다.[18] 태평어람에 인용된 왕은의 진서에서도 비슷하게 설명한다. '마륭을 무위태수로 삼았다. 군으로 갔는데, 악한 오랑캐 굴국수기능 등이 길을 끊고 마륭을 포위했다. 마륭은 팔진도를 만들어, 지형이 광활한 곳에서는 규범에 따라 녹각거영으로 병진했고, 좁은곳에서는 규범에 따라 목실을 덮어 나란히 싸우고, 전진했다. 지모는 자유자재로 거침이 없고, 뜻밖에 허를 찔렀으므로, 좁은 도로 측면에 자석을 뿌려서, 적의 갑옷을 움직이지 못하게 했다. 마륭의 병사들은 소가죽 갑옷을 입어 움직일 수 있으니, 적이 귀신이 되었다. '(馬隆為武威太守。之郡,惡虜窟局樹機能等斷道圍隆。隆作八陣圖,地廣則鹿角車營并進,狹則木屋施輪,并戰并前。智謀從橫,出其不意,以磁石累夾道側,賊鎧不得過。隆兵著牛皮鎧得過,賊以為神。) 팔진도를 만들었다는 것은 관찬 진서의 표현대로 팔진도에 의거해 팔진에서 가장 중요한 편상거 진영을 만들었다는 뜻일것이다. 태평어람 왕은진서의 다른 구절엔 '마륭은 양주를 공격했는데, 악한 오랑캐가 길을 끊었다. 마륭은 팔진도 거영(車營, 수레진영)을 만들어서 나란히 추격했다, 좁은 곳에서는 규범에 따라 목실을 덮고 나란히 전진했다, 지모는 자유자재로 거침이 없고, 뜻밖에 허를 찔렀으므로, 능히 성공했다.'(馬隆擊涼州,惡虜斷道。隆作八陣圖車營并追,狹則木屋施輪并前,智謀縱橫,出其不意,故能成功。)라고 나와 있기도 하고.[19] 원문: 陳傅良, 歴代兵制 卷三 (電庫 所收), “三國…晉之世, 惟陳勰․馬隆, 用諸葛亮古陣遺法, 畧試一二. 隆以募兵三千, 克平西凉, 厥功彌著. 勰事雖不槩見, 然,徒校標幟兵之一物耳, 更數大亂京闕圍逼, 而白飛幡一麾, 衆皆解甲不鬪, 麾號數信,收效至此, 孰謂古法之, 不可施於後世, 而軍政之果, 無益於人國也.[20] 원문: 章如愚, 羣書考索 後集 卷四十九 (電庫 所收), "兵門…晉之世, 惟陳勰․馬隆, 得諸葛亮古陣遺法, 畧試一二. 隆以募兵三千, 平西凉, 厥功彌著. 勰事雖不概見, 然徒校幖幟兵之一物耳. 當凉關, 倉皇之中, 而白虎幡一麾, 衆皆解甲麾弓, 素信收歛, 至此, 孰謂古法, 不可施之後世, 而軍政之無益於國哉.", 내용은 진부량의 역대병제와 거의 같다.[21] 더불어 태평어람 등에 무후병법, 제갈량병요 등이 인용되어 있었고, 왕응린이 쓴 옥해(玉海) 중흥서목(中興書目)에는 량집(亮集) 14권에 비기(碑記)등의 12편이 2권으로 더 편성되어 들어가 있었다.[22] 다만 이는 서진 지배층의 제갈량에 대한 존경의 시각이 가미된 것일수 있다. 촉한이 멸망하기 전에야 제갈량은 적국의 수괴였지만 촉한이 멸망하고 서진이 들어섬에 따라 제갈량이 '과거의 존경받을 만한 재상'으로 이미지가 바뀐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제갈량의 문집 발행, 제갈량의 진법 강습, 진무제의 '제갈량만한 신하가 없는가' 발언, 유홍이 제갈량의 옛집에 들러 이흥을 시켜 제갈량을 찬미하는 글을 쓴 것, 양호가 제갈량을 악의에 비유하는 것 등 제갈량에 대한 시선이 바뀌었다는 증거는 충분히 있다.[23] 269년에 서진이 관농지방을 개편하면서 세운 또 하나의 주. 옹주와 양주 사이에 있었다고 한다.[24] 궁기는 병법이 주사까지 있는 것에 비해서 기병은 돌파밖에 없는 점이 아쉽다.[25] 근데 노병은 병법이 제사까지밖에 없고, 공성은 아예 없다.[26] 등애가 모반을 꾀한다는 헛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