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탄권선역

 

'''매탄권선역'''


'''다국어 표기'''
영어
MaetanGwonseon
한자
梅灘勸善
중국어
梅滩劝善
일본어
梅灘勧善(メタングォンソン
'''주소'''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권선로 지하 841 (매탄동)
'''관리역 등급'''
무배치간이역
죽전역 관리/한국철도공사 수도권광역본부
'''운영 기관'''
분당선

'''개업일'''
분당선
2013년 11월 30일
분당선
수인·분당선
2020년 9월 12일
'''역사 구조'''
지하 3층
'''승강장 구조'''
복선 상대식 승강장
'''열차거리표'''
'''분당선'''
매탄권선
梅灘勸善驛 / MaetanGwonseon Station
1. 개요
2. 역 정보
3. 역명 논란
4. 역 주변 정보
5. 일평균 이용객
6. 승강장
7. 출구 정보
8. 연계 교통

[clearfix]

1. 개요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K242번.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권선로 지하 841 (매탄동) 소재. 승강장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다.

2. 역 정보


2012년 분당선 부분개통을 망포역에서 끊어버리자 매탄동 주민이 반발했으나, 티스푼 공사 때문에 어쩔 수 없다. 분당선은 그동안 예산을 많이 삭감받아 와서 공사 진척이 매우 느리기 때문이다. 그나마 지하화 문제로 귀이개공사중인 수인선보다는 낫지만.
공사역명은 '매탄역이었으나 2013년 7월 17일 현재의 역명으로 확정되었다.
승강장이 다소 깊으며, 대합실 천장이 높게 뚫려있고 자연채광을 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개방된 느낌을 받을 수 있다. 양 옆의 망포역수원시청역에 비해 다소 독특한 편.

3. 역명 논란


[image]
'''역명 분쟁이 생기게 된 원인'''
이 문서의 이름에서 봤듯이 공사역명은 '''매탄역'''인데,[1] 2013년 5월 들어 역명 논란이 불거지기 시작했다. 이 역이 위치한 동네는 '''매탄동'''이 맞는데, 이 역이 위치한 도로명이 '''권선로'''고 권선로를 경계로 권선구 권선동영통구 매탄동이 붙어 있다. 그래서 일부에서는 인근의 삼성 본사를 따서 '''삼성디지털역'''을 주장하거나[2], 주변의 옛 지명인 '명당골'을 따서 '''명당역'''으로 하자는 의견[3], 인근 '효원공원을 따서 '''효원역'''으로 하자는 의견[4]도 있었다. 하지만 실제 법정동/행정동 명칭이 아닌 이상 일반적인 지명은 임팩트가 약하다. 당장 이수역 사례만 보더라도 '이수'라는 지명이 실제 법정동 내지 행정동이었다면 총신대학교가 끼어들지도 못했을 것이다.
물론 이러니 저러니 해도 그냥 수원시청과 한국철도시설공단이 요청을 씹어버리고 매탄역으로 할 가능성이 제일 높을 것으로 보였다. 역명을 공모할 때(투표가 아니다) "1역명-1지명" 원칙이 있었기 때문. 그러나……
[image]
수원시에서 2013년 6월 24일부터 7월 14일까지 시행했던 역명 투표에는 결국 천안아산역평내호평역급의 센스를 보여주는 '매탄권선역'과 '권선매탄역'이 후보로 올라왔다.[5] 그리고 수원역까지 미리 연장시켜 놓은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의 노선도(+경춘선 묵현역)에 땜질과 분노가 이어진다.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의 노선도 개정은 2013년 3월, 역명 논란이 불거지기 시작한 것은 2013년 5월이다. 그리고 이 투표가 시작되면서 '''권선구''' 주민 커뮤니티에서는 '''권선'''매탄역, '''영통구''' 주민 커뮤니티에서는 '''매탄'''권선역을 찍기로 하고 알력싸움을 벌였다.[6] 비슷한 사례로 설화명곡역같은 사례도 생겼다.
주소는 매탄동이니 그나마 매탄역이라는 명칭에 대해 명분이 있긴 하지만 매탄동의 중심지도 아닌 매탄동 끝자락이고 그렇다고 권선동의 중심지도 아닌 권선동의 끝자락, 즉 두 동네 경계 지점에 있기 때문에 이런 역명 후보들이 올라온 것이다. 어느 한 쪽의 지명이 압도적으로 셌다면 그쪽으로 넘어갈 가능성이 매우 높았을 것이다. 수원시청역을 권선역으로 하면 되지 않냐는 의견이 나오기도 했는데, 수원시청역 역시 권선동과 인계동의 경계.
병림픽 투표 결과 '매탄권선역'으로 확정되었다.[7][8] 하지만 투표율이 0.3%밖에 안 되어 이 역명이 과연 정당성이 있을지 의문이다. 투표 당시 인근 아파트인 권선 3지구 아파트단지 전역, 매탄 주공아파트에 각각 권선매탄역과 매탄권선역으로 역명을 밀자고 안내문이 붙기도 하였으나, 주민들은 그게 그거라며 신경 안썼다. 권선 3지구 안에 주공3단지가 있고 매탄지구에도 주공아파트가 있어서 주공끼리 싸운건 덤.
역 이름이 길어서 그런지 개통 이후 지역 주민들은 주로 1글자씩 딴 '''"매권역"'''이나 '''"매탄역"'''으로 줄여 부른다. "권선역"으로는 잘 안 불린다.

4. 역 주변 정보


역세권으로는 권선3지구, 매탄지구 택지지구 외에 명당초등학교, 화홍고등학교, 매현초등학교, 매현중학교, 곡반초등학교 등 학교들이 있다. 천주교 수원교구 권선동 성당 등의 종교시설과 카이스트치과, 큰나무가정의학과, 래미안솔약국 등의 의료기관이 있다. 우판등심, 구이구이쪽갈비, 백년갈비 등의 식당가도 있다. 매탄3동우체국과 매탄3동주민센터역시 이 역에서 한 블럭 거리에 떨어져 있어 접근성이 편리하다. 남서쪽으로 수원버스터미널이 있으나 돌아가는 길이라 도보로 약 40분이 걸리며 3번 출구로 나와 언덕을 올라가면 11-1, 51, 83-1, 88, 88-1, 92, 3007, 7001번 등 정류장이 나온다. 여기서 강남, 수원버스터미널등 다양한 곳으로 갈수 있다. 수원버스터미널에 가려면 88, 88-1, 3007, 7001번을 타고 갈 수 있다. (거리상 2.7km. 차량으로 가면 8분정도 소요된다.[9]) 이 역에서 수원시청역으로 가는 구간은 인계예술공원(야외음악당) 지하를 다이렉트로 뚫고 지나간다. 완전히 직선으로 지나가는 것은 아니라 커브가 많다. 하지만, 속도는 꽤 빠른 편에 속한다.
역 수요는 적은 편에 속하는데, 역 주변에 여전히 개발이 덜 완료된 공간이 있다. 삼성디지털단지 남부 구간의 개발이 완료되면 약간이나마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5. 일평균 이용객


매탄권선역을 이용하는 광역철도 일일 승객 수이다. 아래 표는 승차객 + 하차객의 총합이다.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분당선)'''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6,877명
7,446명
8,084명
8,387명
8,605명
9,055명
9,219명
'''6,899명'''
  • 분당선 구간에서 이용객 수치로 하위권, 수인분당선 전체에서도 중하위권에 속한다. 분당선 구간에 한정해서, 매탄권선역보다 이용객이 적은 역은 총 6개 역에 불과하다. 그래도 나름 아파트단지 밀집지역에 있다 보니 10,000명에 근접한 이용객이 나오고는 있다.
  • 역 주변은 온통 주택가와 학교로 이루어진 전형적인 시가지이다. 그러나 상권이 멀리 떨어져 있다. 영통구청으로 대표되는 매탄동 중심상가는 1.1km 떨어져 있으며, 걸어서 가기에는 무리인 거리이다. 권선지구의 대표 상가는 수원버스터미널이나 인계동인데, 여기도 걸어서 가기에는 무리이고 차라리 수원시청역에서 가는 게 낫다. 주요 도로에 놓인 역도 아니라서 이용객이 많지 않다. 롯데마트 권선점, 온수골온천이 있는 센터빌(도보 7분), 경기평생교육학습관(도보 15분)과 비교적 가까운 편이지만 다소 애매하다.
  • 하천 건너에 삼성전자가 있어 이쪽을 가는 직원이 소수 이용하기도 하나 수요가 적다. 역과 조금 떨어져 있는 데다 분당선이 워낙 늦게 개통한 까닭에 대체로 셔틀버스를 이용하기 때문이다.

6. 승강장


[image]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승강장 크게보기
기본적인 도로 특성상 살짝 곡선 형태이다. 겉으로 보면 곡선이 별로 티가 안나서 직선처럼 보이지만 실제로 이용해 보았다면 확실히 알 수 있다.
[image]
역 안내도 크게보기
망포
2


1
수원시청
1
[image]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수원·초지·오이도·인천 방면
2
죽전·정자·선릉·왕십리 방면
생각보다 깊은데 대합실로 내려가려면 엄청 긴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또 내려가야 한다. 승강장은 지하 4층에 있다. 바로 옆에 원천리천이 있어 깊이가 깊다. 또한, 깊이가 깊어서 선로에 떨어진 물을 빼는 역이기도 한다.

7. 출구 정보


출구 번호
호선
연계 장소
비고

수인·분당선
신동지구, 영통래미안마크원 1,2단지 방면
에스컬레이터 설치

명당초등학교, 화홍고등학교 방면
에스컬레이터 전용[10]

천주교 수원교구 권선동 성당, 경기도소방재난본부 방면
에스컬레이터 설치

매현중학교, 매현초등학교, 매탄3동주민센터 방면
에스컬레이터 설치

원천리천, 백년교 방면
에스컬레이터 설치

8. 연계 교통


'''매탄권선역 정류장별 정차 버스'''
정류장명을 클릭하면 세부 내용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2020년 6월 1일 기준 자료로, 노선이 실제와 다를 수 있습니다.


[1] 분당선 연장 매탄~수원역명 선정 논란 예고, 2013-05-07, 뉴스1[2] 역이 바로 앞에 있는데 역명을 얻지 못한 권선구 쪽에서 그랬을 가능성이 매우 크다.[3] 실제로 바로 앞에 명당초등학교가 있다.[4] 그러나 효원공원은 꽤 멀다. 수원시청역이 더 가깝다...[5] 심지어 역명 투표 사이트에서 아예 대놓고 "천안아산역과 같이 양 지명을 모두 사용"이라고 적어놨다![6] 주민투표 사이트[7] 수원시 전철역명 시민공모…참여도는 '글쎄', 2013-07-17, 연합뉴스[8] 상세 투표결과[9] 시속 20.25km 기준[10] 출구는 작지만 화홍중학교, 권선3지구 방향으로 가려면 이 출구가 가장 빠르기 때문에 이용객은 상당히 많은 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