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선
1. 개요
병원선은 각종 의료장비와 시설, 의료인력을 갖추고 환자를 치료하는 것을 주임무로 하는 선박을 말한다.
2. 상세
말 그대로 떠다니는 병원. 군사적 의미에서 과거의 병원선은 전투지역과 안전지역 사이로 배를 이동시켜 전투에서 부상을 입은 부상병들을 긴급히 치료한 후 후방으로 후송시키는 것이 주임무였다.
하지만 현대에 들어서는 임시방편의 목적이라기 보다는 전장의 후방에 위치하면서 오는 환자들을 일정수준 이상으로 치료할 수 있게 시설을 갖추어둔 대형 병원선들이 나타났다. 병원선 그 자체가 온전하게 병원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단 이런 대형병원선은 운영비가 장난아니게 들어가기 때문에 돈 많고 수시로 전쟁을 하는 몇몇 나라들만 굴리고 있다. 이를테면 미국. 미국의 초대형 병원선은 자연재해, 재난이 벌어진 나라에 의료지원을 위해 파견되기도 한다.
전장에서 크게 모습이 드러나는 존재는 아니지만 현재 전쟁사에 있어 항상 있을만한 곳에는 존재하고 있었다. 6.25 전쟁 때에도 덴마크에서 파견한 병원선이 임무를 수행한 적이 있었다. 평상시 병원선을 따로 운영을 하지 않던 국가들마저도 전쟁이 발발할 시 여객선이나 유람선을 징발해서 사용하곤 한다.
순백 도장에 적십자 마크를 커다랗게 배치하여 멀리서도 쉽게 구별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현재 대한민국 정부 산하의 병원선들도 녹십자를 그려넣고 있다. 또한 대형 병원선들은 일반적인 배와 다르게 환자를 수용하기 위한 구획이 따로 앞에 솟아있는 형태이기 때문에 군함이나 상선과는 실루엣이 많이 달라서 고의가 아닌 이상 아군 오사를 당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3. 단점
국제전쟁법으로 보호받는 대상이지만 확실히 병원선임을 식별할 수 있는 마크(적십자, 적신월, 적사자 등)들을 부착하고 있어야 하고, 전투가 벌어지는 해역에서 벗어나 있어야 하며, 자신의 위치를 통보해야 하고, 탄약 등의 군수물자나 무장병력을 수송해서는 안 된다는 규정을 지켜야만 보호를 받을 수 있다. 단 자위용 무장의 경우는 허가된다. 이 때문에, 공격은 받지 않더라도 임검에는 응할 의무가 있으며, 이에 불응하고 도주하거나 저항하면 보호받을 수 없다. 임검을 받더라도 저항하지 않는 승조원이나 의무 인원, 입원 환자 등은 현역 군인이라도 포로로 잡히지 않는다.
이와 같이 '눈에 띄는' 표식을 달아야 하는 것은 병원선 스스로의 보호를 위한 것이기도 하다. 하지만 이는 병원선 하나가 아닌 전체 함대의 입장에서는 역으로 쥐약이 될 수도 있다. 스타크래프트 2에서 은폐된 유령에 의료선을 붙이는 격이라고 보면 된다. 예를 들어 러일전쟁 당시 대한해협 해전에서 격멸된 러시아 제2태평양함대(발트함대)의 경우도 병원선 때문에 일본군에게 발견되었다. 발트 해에서 아프리카를 거쳐 지구 반바퀴(약 2만 8천8백km 항해)를 돌아오는 '''살인적인''' 여정으로 인해[3] 지칠대로 지친 발트 함대는 지노비 로제스트벤스키 사령관 이하 참모진의 결정으로 대한해협을 지나 신속하게 블라디보스토크로 가서 그쪽 함대와 합류하기로 하였다. 문제는 일본 연합함대 사령관 도고 헤이하치로(東鄕平八郞) 제독이 참모진의 결정을 뒤집고[4] 대한해협에 함대[5] 를 배치(정확히는 대한제국의 진해에 입항해 대기.)했던 것. 발트 함대는 전투를 피하기로 결정한다. 마침 대한해협에 안개가 짙게 끼어 발견되지 않고 지나갈 수 있을 거라고 생각했는데 5월 27일 새벽 2시 45분경 함대의 병원선 '오렐호'[6]
가 밝게 켠 등불이 안개 속에서 일본군 정찰함인 '시나노마루(信濃丸)호'에 포착되고 만다. 만약 '오렐호'가 전쟁법규를 위반하고 불을 껐다면 러시아 함대는 무사히 대한해협을 통과하여 블라디보스토크로 '''갈 수도''' 있었을 것이다.
그리고 이틀동안의 해전에서 발트함대는 대패한다. 5월 27~28일 이틀동안 벌어진 해전에서 러시아 최강 함대로 일컬어지던 발트함대는 거의 '''전멸'''하여 38척 가운데 주력전함 6척, 순양함 3척을 합해 '''19척(절반)'''이 격침되었고, '''7척(주력전함 2척 포함)'''이 항복하였으며, 후방에 있던 순양함 3척이 도주하여 6월 초순에 당시 중립국이던 미국령 필리핀 마닐라 항에 들어갔으며, 기타 보조선박들이 중국의 상하이, 프랑스령 마다가스카르[7] 등지로 도주한다. 도착한 것은 꼴랑 '''순양함 1척과 어뢰정 2척''' 뿐이었다. 순양함 한 척이 더 무사히 탈출해 블라디보스토크 앞바다에 도착했으나, 좌초하여 입항하지 못 했다. 그래도 황제 니콜라이 2세는 이 순양함도 귀환 함정에 포함시키고 승조원들을 치하했다. 러시아군 손실은 장교, 사병 약 4800명 전사, 포로 약 6000명이며, 일본군 손실은 '''단 117명과 어뢰정 3척.''' 이 전투로 인해 러일전쟁의 승기가 일본으로 넘어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병원선에 대한 공격은 종종 일어났으며, 이는 어느 진영에서든 일어나는 일이었다. 제2차 세계대전 때의 사례를 보면 영국, 나치 독일, 미국, 일본 제국은 전부 서로 상대방의 병원선을 격침한 전과가 있다.대표적으로 소련의 병원선 아르메니아를 뇌격으로 격침시켜서 5,000명 이상의 사망자를 발생시킨 나치 독일의 경우도 있다. 당시 아르메니아가 자위용으로 방공무장을 장착하고 있었는데 병원선에도 자위용 무장은 허가되므로 이게 공격사유가 될 수 있는 건 아니다.
일본의 경우 연합군측에 통고를 마친 병원선은 일본육군이 타치바나마루를 포함해 17척, 일본해군이 4척이었다. 일본육군은 이 통고된 17척의 병원선 외에, 통고하지 않은 채 병원선이라 칭한 선박을 몇 척이나 이용하고 있었고 병원선이라고 했으나 병원선으로 지켜야할 조건을 따르지 않는 경우가 많았기에 병원선으로 보호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 중 1척인 하얼빈마루(はるぴん丸)는 1942년 1월 10일에 미군 잠수함 스팅레이에게 격침당했다. 이 일은 1월 14일에 대본영 발표로 공표되어 당시 신문은 "국제조약을 위반한 천인공노할 비인도적 행위"라 매도했다.이른바 미군의 비인도성을 규탄한 것. 그러나 하얼빈마루는 격침 당시 선체를 검게 도색한 그대로 적십자 표시도 세우지 않는 등 병원선으로 통고하지 않았기에 병원선의 자격이 없었기에 이는 대본영의 억지라고 보는 게 맞는다.#
이듬해 11월 27일에는 부에노스아이레스마루가 필리핀 근해에서 미군 B-24의 오폭으로 침몰하고 그 사진이 공표되는 사태가 일어났다. 침몰한 선박은 1942년 11월 23일에 외무성을 경유하여 병원선으로 연합국에 통고되어 12월부터 스위스, 스웨덴 및, 스페인을 경유해연합국에 통고처리된 배였다. 이후 1945년에 미 해군 잠수함 퀸피시가 아와 마루를 격침시켰는데 이후 퀸피시의 함장이었던 찰스 E. 로린(Charles E. Loughlin) 중령은 미국에서 3가지 혐의로 기소되어 유죄판결을 받았고 이후 다시는 군함을 지휘하지 못했다. 퀸피시 측도 억울할수는 있는게 당시 안개가 짙게 껴 있었고 아와마루는 국제규정대로 기적음을 울리지 않았다. 일 해군은 전쟁기간중 병원척 3척을 손실했는데 그중 2척이 미군의 공격으로 상실했고 나머지 한 척은 사고로 손실한 것이다.
물론 일본도 남말할 입장은 아닌 게 1943년 4월 14일에 이미 잠수함 I-177로 호주군 병원선인 센타우르호를 격침하는 전쟁범죄를 저질렀기 때문이다. I-177의 승무원들은 병원선인 줄 몰랐다고 주장했지만 이 일은 일본군의 전쟁범죄로 인정된다.
또한 전쟁후반 극심한 선박부족에 시달리던 일본군은 병원선으로 포로나 군수품을 수송하는 등 병원선이 지켜야 할 조건을 따르지 않았으며 담수탱크 일부를 석유수송용으로 사용했다는 추측도 있다. 또한 병사들에게 흰옷을 입히고 병력수송을 하려다 각종 무기들이 미군의 검문에 걸려 병원선 타치바나마루가 나포당한 사례도 있었다.
참고로 가장 많은 병원선을 격침시킨건 수많은 전쟁범죄를 일으켰던 나치 독일이고 제일 적은게 의외로 일본 제국이다.[8] 앞에서 언급된 센타우르를 격침시킨 1건이 일본이 병원선을 격침시킨 유일한 사례이다. 일본군 지휘부가 수송선을 공격하는 것은 무가치하다는 판단을 내린 결과물이기는 하지만.
4. 대한민국의 병원선
4.1. 군용 병원선
한산도급 훈련함 문서를 참조. 한산도급 훈련함은 병원함 겸용이다.
다만, 76mm함포와 40mm 부포가 장착되어 있어 제네바 협약에 따라 보호를 받지 못할것으로 보인다.
4.2. 민간 병원선
대한민국의 병원선은 대한민국 해군이 아직은 연안 방어쪽에 중심을 두다 보니 군용 병원선은 2018년 한산도급이 진수될때 까지 없었고, 보건소마저 없는 서해, 남해안 군소 섬 주민들의 치료를 위해 각 시도에서 운영 중이다. 2012년 기준으로 5척(충남501, 경남511, 전남511, 전남512, 인천531)이 운영되고 있다. 규모로 보나 목적으로 보나 떠다니는 보건소인 셈.
한 해에 들어가는 예산은 약 10억원 정도라고 한다.(인건비 제외)#
배에 따라 다르지만 총 승무원은 15명 정도로 항해사, 선장, 취사원 등 선원이 약 8명, 그리고 공중보건의가 4명, 간호사가 3명 정도 배치되어 있다. 진료과목은 내과, 치과, 한의과, 임상병리과, 방사선과 등이 있는데 순회지역이 오지인데다 환자분들 중 나이드신 분들이 많다보니 이 중 한의과를 가장 선호한다고 한다.
치료는 말 그대로 보건소에서 할 수 있을 정도의 수준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간단한 치과진료까지는 가능하지만 시간이 걸리는 신경치료 같은 건 엄두도 못 낸다. 특히 응급환자가 발생했을 때에는 병원선에서 처리하는 것이 아니라 육지로 보내서 진료를 받도록 하고 있다.
출항시기 역시 배에 따라 다르다. 어떤 배는 2박 3일 일정으로 근처의 섬들을 순회하는 경우도 있지만 어떤 종류는 한 번 출항하면 열흘 정도를 꼬박 배에서 지내야 하는 경우도 있다. 이 때 목표한 곳으로 가서 진료를 하게 되고 나머지 시간에는 육지의 보건소에서 근무하면서 배에 약품을 보급하거나 한다. 한 번 진료가 끝난 섬에는 한 달 뒤에나 다시 찾아갈 수 있기 때문에 환자 일인당 소비하는 약의 양이 많기 때문. 거기다가 환자의 대부분이 연세가 있는 분이라는 점도 크게 작용한다.
병원선에서 근무하는 공중보건의는 1년을 임기로 교대하고 있으며 자원자들 중에서 선발하는데 초기에는 배멀미로 고생 꽤나 하는 듯. 병원선이라고 하면 흔히들 낭만적인 이미지를 가지기 십상이지만, 파도가 높은 날이면(기상특보가 걸려서 출항 자체가 불가능한 극한 상항이 아닌 바에야 파도가 높다고 진료를 나가지 않을 수는 없는 노릇이니) 하루종일 바이킹을 타는 기분이라고 한다.
멀미가 너무 심하면 진료를 해야 할 의사가 뻗어버려서 오히려 진료를 받는 상황이 벌어지기도 한다. 하지만 그 와중에도 아주 죽을 것 같지만 않으면 진료를 계속하는 모양.
이외에 결혼을 했을 때에는 휴대 전화조차 터지지 않는 오지로 가는일이 잦다보니 가족과의 연락이 되지 않는 등 결혼생활에도 지장이 좀 있는 듯.
그리고 직원들간의 유대감이 상당히 강한 편이다. 그도 그럴 것이, 항상 배에 타고 다니다 보니까 다른 공무원들보다 더 많이 지낼 수 밖에 없다.
5. 외국의 병원선
현재 미 해군에서 운영하고 있는 머시급 병원선들(USNS Mercy, USNS Comfort 총 2척)은 안에서 CT 촬영을 할 수도 있는 등 굉장히 시설이 잘 되어 있다. 배의 배수량만 해도 70,473톤[9] 이라 보통 160톤 급인 대한민국의 병원선들과는 차원부터가 다르다. 이 정도의 배는 환자 발생시 후방으로 이송을 한다기 보다는 이 병원선 자체가 야전병원 역할을 맡고 있는 경우이다. 내부 시설이나 의료 인력도 대한민국의 대학병원급과 맞먹는 훌륭한 병원이다. 총 병상 1000베드, 중환자실 80베드, 응급실 280베드, 대형 수술실 12개에 회복실, CT, 화상치료실, 물리치료실 등도 충분히 갖추고 있다. 함장은 민간인이며, 병원장은 현역군인이라 한다. USNS Mercy가 항해중 인근 대한민국 해군 장보고급 잠수함의 응급환자를 인계해 무사히 치료한 적이 있었다. 영문기사 이 당시 Mercy에 타고있던 한국계 미 해군 보급 부사관[10] 이 통역으로 긴급 투입되었는데 한 인터넷 커뮤니티에 후기를 작성하기도 했다.후기
2018년 2월 23일 제13차 ‘Pacific Partnership’ 정례 훈련에 참가하기 위해 샌디에고에서 출항했다.영문기사1, 영문기사2
2020년 3월 미국 본토에서 코로나 19가 확산되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머시급 병원선 2척이 로스앤젤레스와 뉴욕에 배치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들은 기존 병원들이 코로나 19 환자들로 인해 기능이 저하될 것을 대비, 비 코로나 19 환자들을 돌보게 된다.
러시아 해군은 배수량 12,000톤급 B-320 Ob'급 병원선을 3척을 운용하고 있다. 태평양함대에 Irtysh함, 흑해함대에 Sivr함, 북해함대에 Yenisey함이 각기 배치되어있다.
[image]
영국 해군은 지원함정들이 소속된 왕립 보조함대(Royal Fleet Auxiliary) 소속의 항공훈련함 아거스(A135) 함이 병원선 기능까지 맡고 있다.
이외 해외의 유명한 병원선 자선단체로 Mercy Ship이 있다. 사랑의 병원선을 운영하는 곳으로 알려져 있는 민간 자선 단체로서 해당 단체에서 운영하는 병원선은 16000톤급의 열차페리를 중고로 구매해서 이후 추가적인 개조를 하여 병원선 MV Africa mercy함으로 사용 중인데 해당 함정을 배경으로 한 다큐멘터리를 보면 함정 내에 의료진 가족들의 거주구역이나 이들 자녀들을 위한 학교 같은 게 있을 정도라고 한다.
6. 참고할 만한 자료
- KBS 1TV - 인간극장
- 충남 501호, 병원선 사람들(5부작, 2010년 09월 20일 ~ 2010년 09월 24일)
- KBS 1TV -다큐공감
- 병원선 경남 511의 젊은 그들(2019년 7월 14일)
- KBS 2TV - 다큐멘터리 3일
- 치유도 위로리 501호 - 충남 병원선 72시간(2014년 6월 22일)
- EBS - 극한직업
- 인천 531호 - 그 열흘간의 기록(2부작, 2011년 2월 2일 ~ 2월 3일)
- MBC - 병원선
- 채널A - 관찰카메라 24시
- 77회
- #
7. 기타
- 병원선처럼 항공기를 이용한 환자 진료나 이송도 있다. 하지만 계속 움직여야되는 항공기 특성상 긴급상황이 아니라면 하늘에서는 진료행위가 매우 위험하기 때문에 보통 구급차처럼 이송용으로만 사용한다. 민간에서는 헬리콥터를 개조한 일명 닥터헬기를 많이 사용한다. 하지만, 특수하게 MD-10을 개조하여 안과로 만든후 이리저리 옮겨가며 진료를 하는 비정부 기구가 있다. 바로 Flying Eye Hospital로 유명한 오르비스 인터내셔널.
[1] 대형 유조선을 개조하여 대학병원과 맞먹을 정도의 시설에 100여명의 의사와 간호사들이 상주하고 있다.[2] 참고로 이 배는 그 유명한 '''타이타닉'''의 자매선이다. 다른 자매선인 올림픽은 수송선으로 징발되었고, 전쟁이 끝난 후 다시 여객선으로 돌아와 1934년까지 운항 후 퇴역하였다.[3] 마다가스카르 서쪽의 작은 섬 노지베에서는, 독일의 함부르크-아메리카 석탄선과 전속 계약을 맺고있던 발트함대의 연료 문제(독일이 비협조적인 태도로 나왔다.)로 인해 '''2개월'''이나 머무르기도 했다.[4] 참모진들은 대부분 라페루즈 해협을 예상하고 있었다.[5] 주력 전함 4척, 순양함 8척[6] 같은 이름을 가진 전함과 구별하기 위해 '흰독수리'라는 별명이 붙었다. 또한 전대의 여성 간호사들이 모두 이 배에 타고 있었으며 이들의 총책임자인 간호 장교 나탈리아 시베르스는 로제스트벤스키의 3번째 여인이었다.[7] 1척의 석탄 운반선이었는데, 함대 보급용으로 실어 둔 석탄을 써가며 거기까지 갔다.(...)[8] 의외라고는 하지만 일본의 비전투선박 격침율은 상당히 낮은 수준이었다. 오히려 미국은 통상파괴작전에 중점을 두어 화물선 등을 다수 침몰시킨 반면 일본은 잠수함 등까지 전투함인 군함 격침에 최고 중점을 두었다. 이는 함대결전사상이 반영된 것도 있다.[9] 웬만한 항공모함보다도 큰 거다! 프랑스의 샤를 드 골급 항공모함이 41,000톤, 러시아의 어드미럴 쿠즈네초프급 항공모함이 53,000톤이다. 그 커다란 야마토급 전함도 기준배수량이 65,000톤이니...[10] 인터넷 밀덕계에서 꽤 유명한 항전갤러 '초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