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운드 볼텍스 비비드 웨이브

 



[[파일:3077570-sdvx_vivid_wave.png
width=400]]| [image]
1. 개요
2. 요금 체계
3. 변경점
3.1. 신규 시스템
3.1.1. 자체 녹화 기능
3.1.4. PREMIUM TIME 모드
3.1.5. BLASTER PASS
3.1.7. 기타
3.2. 시스템 변경점
3.2.1. 모드 선택
3.2.2. 악곡 선택
3.2.4. 기타 변경점
3.2.5. 미구현 기능
3.2.6. 구곡 난이도 수정
3.2.6.1. 승격
3.2.6.2. 강등
3.2.7. 볼포스
5. 인계
6. 로케이션 테스트
7. 평가
7.1. 긍정적인 부분
7.1.1. PREMIUM TIME
7.2. 부정적인 부분
7.2.1. 전반적으로 부족한 완성도
7.2.2. 지나치게 낮은 VVD 패턴 비중
7.2.3. 지나치게 잦은 코나스테 수록곡 이식
7.2.4. 애니메이션 음악 수록
7.3. 호불호가 갈리는 부분
7.3.1. Live2D 채용
7.3.2. 볼포스 체계의 개편
8. 버그
9. 기타

SOUND VOLTEX VIVID WAVE
<colcolor=white> '''가동날짜'''
[image] 일본
2019년 2월 28일
가동 '''2239일차'''
[image] 대한민국
2019년 3월 27일
가동 '''2212일차'''
'''차기작
업그레이드일'''
<colcolor=white> '''발키리 모델 선행 가동'''
[image] 일본
2021년 2월 17일
[image] 대한민국
미정
'''기존 기체 업그레이드'''
[image] 일본
미정
[image] 대한민국
미정
일본 공식 홈페이지
한국 공식 홈페이지

1. 개요


'''너와 이어지는 미래의 무대(스테이지'''

'''임장감[1]

3200%'''

2018년 10월 11일 사운드 볼텍스 공식 트위터를 통해 발표된 사운드 볼텍스 시리즈의 다섯 번째 작품. 정식 명칭은 넘버링이 제거된 'SOUND VOLTEX VIVID WAVE'이지만, 공식 로고에는 '''V'''OLTEX와 '''V'''IVID의 '''V'''를 강조하는 것으로 시리즈 5번째 작품임을 간접적으로 나타내고 있으며 홈페이지 주소도
https://p.eagate.573.jp/game/sdvx/v/
로 되어 있다.
컨셉은 '''공연'''. 신규 트랙 배경 중에는 응원봉이 있으며, 캐릭터들도 아이돌 풍 의상을 입고 있다. 그 외에도 UI 곳곳에 티켓 모양 디자인이 있다. 그리고 티켓 중 하나에는 사운드 볼텍스 부스의 가동일인 20120118이 적혀 있다.
사운드 볼텍스 공식 트위터를 통하여 '''2월 28일'''에 가동 시작 예정임을 밝혔다. # 대한민국은 2019년 3월 6일 게임물등급위원회의 심의를 통과하였지만 업그레이드 킷 관련 문제로 실 출시일은 많이 늦춰졌다. 3월 19일경부터 전국 오락실에 포스터가 배포되었고 21일날 27일 출고 예정이라는 공고가 왔다고 한다. 그리고 공고대로 27일부터 가동을 개시했다.
beatmania IIDX 25 CANNON BALLERS에서의 선례로 인해 이번에도 업그레이드 킷이 비싸게 나오지 않을까라는 우려 섞인 시선도 많았고, 결국 예상이 적중하여 최종 업그레이드 가격은 340만원으로 책정되었다.[2] 이 여파인지 2019년 상반기 기준으로 나온 지 꽤 되었는데도 4볼이 잔존하고 있는 오락실 또한 많다.

2. 요금 체계


모드명
요금
특징
LIGHT START[3]
500원
최대 4곡 플레이 가능(보장 없음)[4]
보유 스킬 레벨에 따른 선곡 레벨 제한 존재
랜덤 선곡 AUTOMATION PARADISE 1회 플레이 가능
스킬 애널라이저 선택 시 이 모드만 사용 가능
STANDARD START
1000원
최대 4곡 플레이 가능(3곡 보장)
보유 스킬 레벨에 관계 없이 자유롭게 선곡 가능
랜덤 선곡 AUTOMATION PARADISE 1회 플레이 가능
BLASTER START
1000원
최대 3곡 플레이 가능(3곡 보장)
3번째 트랙에서 반드시 EX트랙이 출현
랜덤 선곡 AUTOMATION PARADISE 1회 플레이 가능
PARADISE START
1000원
최대 2곡 플레이 가능(2곡 보장)
직접 세트리스트를 구성하여 AUTOMATION PARADISE 플레이 가능
PREMIUM TIME START
1000원
10분간 무제한 플레이
보유 스킬 레벨에 관계 없이 자유롭게 선곡 가능
BLASTER GATE / ΩDimension / AUTOMATION PARADISE 플레이 불가
요금 체계는 유비트의 선례처럼 1000원으로 인상될 거라는 우려와 달리 PARADISE START가 추가되고 스킬 애널라이저의 STANDARD START가 삭제된 것 이외에는 달라진 게 없다. 다만 오락실 사정에 따라서 가격 변동이 있을 수는 있다.

3. 변경점


로케이션 테스트 후기(번역)JAEPO 시연 동영상을 기초로 작성되었다.

3.1. 신규 시스템



3.1.1. 자체 녹화 기능


BEMANI 시리즈에서는 beatmania IIDX 25 CANNON BALLERSDANCERUSH STARDOM 다음으로 세 번째로 카메라를 장착하였다. 녹화 기능까지 도입이 되면 두번째로 화면 녹화를 지원하는 게임이 된다.
손배치를 촬영한 카메라 영상, 게임 플레이중의 레인 영상, 움직이는 캐릭터 등 다양한 요소를 영상으로 보존하는 것을 커스터마이징 할 수 있다. # 이에 따라 기체 윗부분에 손배치 카메라가 추가되었다.[5] 하지만 가동 2년이 다되가고 차기작 예고까지 됐음에도 불구하고 구현되지 않았다.

3.1.2. Live2D


리절트 일러스트 및 네메시스 크루에 Live2D가 적용되었다. 현재까지는 비비드 웨이브 이후 출시된 네메시스 크루에만 지원된다.
그레이드가 B 이하일 경우에는 표정을 찡그리며, AAA 이상의 그레이드를 달성하면 기뻐하는 등 애니메이션이 다양해졌다. 호불호가 극명하게 갈리는 편. 순수하게 게임 플레이만 목적으로 하는 유저들은 낯뜨거워진다는 반응이지만, 다른 네메시스 크루에도 Live2D가 차근차근 지원되지 않을까 하는 기대감도 있다.
이 기능으로 인해 AAA 이상의 그레이드를 달성하지 않아도 리절트 일러스트가 상시 표출된다.[6] 또한 리절트가 간단 표시인 상태에서 BT-D를 누르면 UI가 투명화되며 네메시스 크루를 좀 더 자세히 볼 수 있다. #
일부 네메시스 크루는 리절트 화면에 기본 그레이스가 대신 등장한다.
국내에서는 Live2D가 검열돼서 나올 것이라는 의견과는 다르게 바스트 모핑의 강도가 낮아진 채로 수정되었다. 검열 설의 근거가 설명서 내의 이미지 중 레이시스 IV가 네메시스 크루로 표출된다던가, 리절트 창에서 '''그레이스 Live2D의 절반이 잘려나간''' 이미지가 나오는 바람에 우려의 시선이 있었으나, 해당 이미지를 자세히 보면 버전명이 2019011500 즉 출시 전 개발 버전으로 되어있었고, 정발 후에 정상적으로 출력되어 논란은 사그라들었다. 그레이스 레이어가 뒷배경 레이어 아래에 있었기 때문에 가려졌다고 한다.

3.1.3. AUTOMATION PARADISE


해당 문서 참고

3.1.4. PREMIUM TIME 모드


beatmania IIDX의 PREMIUM FREE 모드를 표방한 시간제 플레이 모드. 2020년 1월 17일부터 추가된다.[7]
시간 제한은 10분[8]이며 선곡 창에서 시간을 다 쓰면 선곡 시간 60초를 더 준다. 또한 아래와 같은 변경 사항이 적용된다.
  • 레벨 제한 폐지
  • 트랙 순번 표시는 'TRACK ∞'로 나온다.[9]
  • 우측 하단 타이머 디자인 변경
일반 모드에서는 2자리로 나오던 것이 00:00 형태로 바뀐다.
옵션 창에 CHALLENGE OPTION 항목이 추가된다. AAA, AAA+, S, UC, PUC 중에서 선택할 수 있으며, 플레이 도중 선택한 조건을 달성할 수 없게 된다면 그 시점에서 자동으로 TRACK CRASH가 된다.[10]
이 모드에만 있는 커맨드가 있다.
  • 플레이 화면에서
    • SELF CRASH: FX-L + FX-R + START
현재 트랙을 즉시 TRACK CRASH 처리한다.
  • QUICK RETRY: FX-L + FX-R + START를 길게 누름
현재 트랙의 곡을 처음부터 다시 시작한다. 이전 트랙의 점수는 저장되지 않고 플레이 횟수로도 기록되지 않는다.
  • AUTO QUICK RETRY: 숫자키 00
TRACK CRASH 된 경우 현재 트랙의 곡을 처음부터 다시 시작한다. ON/OFF로 설정할 수 있다.
  • 결과 화면에서
    • RETRY: START를 길게 누름
같은 곡을 다시 시작한다.
  • 선곡 화면에서
    • 종료: BT-A + BT-B + BT-C + BT-D
남은 시간에 관계없이 현재 플레이를 종료한다.
이 모드에서는 EXTRACK과 AUTOMATION PARADISE는 출현하지 않는다. 하지만 블래스터 게이지는 스탠더드 스타트와 똑같이 한 곡 완주로 8%가 차기 때문에[11] 스탠더드 스타트에 비해 훨씬 효율이 좋다. 이로 인해 스탠더드 스타트는 한국에선 존재의의를 거의 잃었다는 평이다. 단순 효율은 라이트, 해금은 블래스터, 스코어링과 EX클리어작 및 블래스터 게이지 효율은 프리미엄이 가졌기 때문에 어느방면이든 특출난 곳 없이 애매해졌기 때문. 그나마 프리미엄 모드가 3코인 이상일 땐 울며 겨자먹기로 대체제로 선택되는 정도다.

3.1.5. BLASTER PASS


2020년 1월 17일부터 추가된 구매부 아이템으로, 구입 시 자동 발동되어 24시간 동안 유효하며 발동되어 있는 동안에는 추가로 구입할 수 없다. 또한 KONAMI 계정 국가를 일본으로 설정해놓지 않을 경우 BLASTER PASS를 이용할 수 없다.
가격은 550엔이며, 홈페이지를 통해 구매할 수 있다. 구입시 게임을 시작할 때 단위인정/칭호란의 오른쪽에 '''BLASTER PASS ACTIVE'''마크가 표시된다.
출시 이후 그래도 수많은 해금에 따른 진입장벽 완화에 도움이 되었다는 평이다. 3볼즈음 여러 곡에 붙어있던 지저분한 해금법은 많이 완화되었다 쳐도 8년동안 여러 해금곡을 추가하면서 쌓여있는 게 원체 많아서 여전히 통상이나 블럭해금으로 풀리지 않은 번외 패턴이 많은 상황이다.[12] ΩDimension도 8페이즈까지 진행되며 상당히 많은 곡이 쌓여있고 한방에 높은 난이도를 해금하려면 배리어 랭크의 리스크가 크다보니 아랫단계부터 차근차근 올라가게 되고, 그만큼 많은 코인을 필요로 하게 된다. 블래스터 패스는 공격량을 크게 늘려 빠르게 타겟을 해금시키며, 배리어 랭크 완화는 폭사를 방지하며 ΩDimension에서 부담없이 높은 난이도를 선택할수 있는 등 코인 낭비를 막는데 큰 도움이 된다. 폭사로 인한 변수를 제외한 단순 계산으로는 블래스터 스타트 2코인 기준 8코인(4000원)부터 이득을 보게 되니 참고하자.
  • BLASTER GATEΩDimension의 배리어 랭크 대폭 하강[13]
  • BLASTER ENERGY 획득량 2배
  • BLASTER GATE 공격량 2.5배 [14]
  • HEXA DIVER 공격량 1.5배
  • HEXA RATE[15]에 ARS가 걸림

3.1.6. HEXA DIVER


The 9th KAC/결승 라운드에서 예고된 신규 해금 시스템. GRAVITATIONAL RADAR, ΩDimension을 잇는 특수 해금 시스템으로, 2020년 2월 27일부터 추가되었다.

3.1.7. 기타


  • 튜토리얼 한정으로 레이시스의 보이스가 추가되었다. 비트르트림이나 뮤제카와 달리 성우가 공개되지 않았는데, 보이스로이드나 CeVIO 같은 음성 합성 소프 웨어를 사용한 것으로 추측된다. #
  • 전작의 NOV-ADV-EXH-MXM 체제는 유지되며, 신규 번외 난이도로 VIVID(VVD)가 신설되었다.
  • 밝은 FX 칩 효과음의 볼륨이 크게 증가했다.[16] 일부 신곡은 이 칩의 사용 빈도가 늘어나는 등 더욱 적극적으로 사용되었다.
  • ARS가 가능한 모드에 한정하여 게이지 설정이 EF 레이트 / EX 레이트 / EX 레이트 + ARS로 분리되었다.
  • 2019년 4월 24일 업데이트로 게임 설명 일부가 한글화 되었다.

3.2. 시스템 변경점



3.2.1. 모드 선택


  • 전작에서 통합된 모드가 다시 분할되어 5개의 모드를 가지게 되었다.
    • NORMAL: 온라인 플레이
    • FRIEND: 점포 내 유저와 플레이[17]
    • PARADISE: AUTOMATION PARADISE 모드 플레이
    • BLASTER: BLASTER GATE
    • SKILL ANALYZER: 스킬 애널라이저
    • PREMIUM TIME: 10분짜리 시간제 플레이
  • 모드를 선택하면 마이룸으로 이동되며, 이 곳에서 여러 설정을 할 수 있다.
    • GAME START: 지정한 설정으로 게임 시작
    • APPEAL: 어필 카드 변경
    • CREW: 네메시스 크루 변경
    • GENERATOR: 리얼 제네레이터 가동[18]
    • LIVE STATION(VOLFES 기간 중에만 선택 가능)
    • POLICY BREAK(이벤트 기간 중에만 선택 가능)

3.2.2. 악곡 선택


  • 악곡을 먼저 고른 뒤 난이도, 옵션을 설정하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양 FX를 눌러서 옵션을 띄우는 기존의 방식도 가능하다. 실수로 옵션 창에 왔을 경우에도 양 FX를 누르면 선곡을 취소할 수 있다.
  • 따라서 60초를 모두 소모할 경우나 10초 미만인 상태에서 곡을 선택할 경우 마지막으로 커서가 있던 곡이 자동으로 선택되며, 옵션 설정 시간을 10초 더 준다.
  • 옵션에 아래 기능이 추가되었다.
    • 배속
    • 판정 오프셋
    • 이어폰 음량 조절

3.2.3. 리얼 제네레이터


  • 리얼 제네레이터 가동이 별도의 제네레이터 스타트를 선택하는 것이 아닌 마이룸에서 가동 여부를 선택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 이에 따라 라이트 스타트에서도 여러 장의 카드를 뽑을 수 있게 되었다. 라이트 스타트 시에는 스테이지 보정은 있지만 스탠다드와 달리 레벨 제한이 걸려있다.
  • 스킬 애널라이저 가동 중에도 제네레이터 카드를 인쇄할 수 있게 되었다. 폭사할 경우 그대로 스테이지가 종료되며, 카드가 모두 인쇄 될 때까지의 대기 시간이 있다.
  • 모드를 잘못 선택했을 경우를 위해 양 FX를 동시에 눌러 일반적인 모드로 플레이 할 수도 있다.

3.2.4. 기타 변경점


  • 화면의 해상도가 FHD(1080x1920)로 상향되었다.#
  • PC 운영체제가 Windows XP Embedded 에서 Windows Embedded Standard 7 으로 변경되었고[19] 게임 프로그래밍이 32비트에서 64비트로 전환되었다.
  • 기본 네메시스 크루가 그레이스로 변경되었다. 레이시스는 4볼 후반기에 진행된 출석 이벤트로서 지급되었다.
  • 전작에 비해 판정선이 달라졌다는 말이 많다. 초기에는 판정선을 많이 조정해야한다는 말이 오갔지만 이는 업그레이드 직후 HDD에 들어있는 버전이 초기 버전이라서 발생한 문제로, 업그레이드 후 진행되는 온라인 업데이트를 마치면 해결된다. 다만 해상도 변경으로 인해 판정선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고, 이마저도 모니터 종류[20]에 따라 차이가 발생하기도 하므로 자신이 직접 해보고 조정하는것이 가장 좋다.
  • 노브 판정 방식이 바뀐 것으로 보인다. 전작보다 엄격해졌다는 평도 있지만 부드럽게 잘 돌아간다는 의견도 있다. 다만 둘 모두 잘 돌리고 있는데 탈선이 일어난다는 반응이 나오고 있다.
  • 악곡명 표출 방식이 변경되었다. 4까지는 전체 폭에 맞추어 텍스트가 길면 글자의 가로 폭을 줄여서 맞추던 것을 글자 폭은 놔두고 텍스트가 스크롤되도록 바뀌었다.
  • 어필카드 해금을 위한 패킷과 악곡 해금을 위한 블록이 통합되어 PCB라는 단일 단위로 바뀌었다. packet + block로 추정.
  • 노브 조작에 따른 음향 효과량 연산 타입이 추가되었다. 간단히 설명하면 기존에는 무조건 노브에 따른 효과량을 노브 시작점을 기준으로 L노브랑 R노브 중 좀 더 멀리 떨어진 쪽을 기준으로 효과량이 결정되었는데, 이번 작에서는 반대로 가까운 쪽을 기준으로 결정될수도 있게 되었다. 이번 작품에 수록된 Jack-the-Ripper◆ 34초 부분, 전작까지는 저렇게 R노브가 왼쪽에 주차되어 있으면 L노브가 움직여도 음향 효과가 변경되지 않았다.
  • 판정 타이밍 조정이 ±8에서 ±16으로 확장되었다. 다만 범위가 바뀌었으므로 확장보다는 세분화에 더 가깝다. 본작의 +2이 전작의 +1과 동일한 수치다.
    • 2019년 6월 11일부터 판정 타이밍 조정이 화면 표시 조정인 DRAW와 소리 타이밍 조정인 SOUND로 분화되어 따로 설정할 수 있게 되었다.
  • 비밀번호 입력 화면에서 카드 번호 일부가 가려진 채로 나타난다.[21] FX-L 버튼으로 켜거나 끌 수 있다.
  • 일부 효과음이 III까지 사용되던 것으로 돌아왔다. 주로 e-amusement pass 확인 시 효과음.
  • 롱 오브젝트 틱 계산 공식이 변경된 것으로 추정된다. 계산 방식 변화로 인해 수십곡의 채보에서 체인수가 변화되었다.
  • 混乱少女♥そふらんちゃん!! 이전에 업데이트 된 변속곡들의 체인 수 보정이 BPM 255 이상일 때만 걸리게 변경되었다.
  • 화면 전환 효과 중간중간에 나오는 휘이이익~하는 소리는 예전에 IIDX 시리즈에서 썼던 것을 재사용한 것이다.(...)
  • 판정선 조절 기능과 다르게 싱크 조절 기능이 추가되었다.[22] 방식은 매칭 대기 화면에서 START 버튼+10 key 2,8번으로 조절하며 판정선 왼쪽의 노란 숫자로 조절한 수치를 확인 가능하다. 곡이 들리는 데로 처리할 때 Early가 많이나면 +, Late가 많이나면 -로 맞추는 것이 좋다.
  • 트랙 EX 전용 폴더가 신설되었다. EX트랙으로 진입했을 때만 들어갈 수 있으며 해당 폴더의 MXM 채보를 클리어하면 트랙 1,2,Final에서 플레이할 수 있도록 조건없는 블록해금으로 변경된다.
  • 블래스터 에너지의 표기가 버림에서 반올림으로 변경되었다.[23] 당연히 실제 게이지량은 변화가 없다.
  • 플레이 중에 스타트버튼을 누르면서 노브를 돌리면 배속이 들쑥날쑥해지면서 처리까지 되었던 일명 '윈도우 홀드' 플레이가 이번작에서 막혔다.
  • 2019년 12월 19일부로 이제 EF 게이지로 플레이하여도 EX 게이지 플레이한 만큼 6.7%의 블래스터 게이지가 차도록 변경되었다.

3.2.5. 미구현 기능


  • 텐키 0번으로 e-amusement 앱에 결과화면을 보내는 기능이 사라졌다.
  • 비비드 웨이브 업그레이드 킷에 포함되어 있는 카메라[24]의 용도가 없다.[25]

3.2.6. 구곡 난이도 수정


이번 작에서의 레벨 조정은 하향보다는 상향한 보면들이 많이 보이며, 그 중에서 기존 12레벨에서 13레벨로 승격한 보면들이 23개나 차지한다. 반면, 하향한 보면들 중에서는 기존 19레벨에서 18레벨로 하향한 보면이 11개나 된다. 이로 인해 모든 19레벨 EXH 채보가 18로 내려갔고, 2볼 출신 19레벨은 Ganymede kamome mix가 유일하게 되었다.

3.2.6.1. 승격

  • 레벨 8 → 9
  • 레벨 6 → 7
    • SEED (DJ Noriken Remix) NOV
  • 레벨 4 → 5

3.2.6.2. 강등


3.2.7. 볼포스


볼포스의 경우 POTENTIAL 딱지의 존재로 인해 4볼 이후의 매 신작마다 초기화될 확률이 높다고 예상되었지만, 결국 초기화 없이 인계되는 것으로 최종 확인되었다. 그러나 계산식이 아예 갈아엎어진 탓에 그대로 인계된다는 느낌은 받기 힘들며, 이어진다기보다는 모든 패턴의 저장된 하이스코어가 5볼에서 다시 플레이하지 않아도 볼포스 집계 대상 스코어로 고려된다고 보는 것이 더욱 자연스럽다.
집계 대상이 20곡에서 50곡으로 늘어났으며, 클리어 마크에 따라 보정이 붙어 EX 클리어, UC, PUC에는 가산점, 미클리어곡에 감점이 따로 주어지게 된다.[상세] IV 시절의 볼포스 체계에서는 19레벨 PUC가 20레벨 AAA와 비슷한 점수를 주었을 정도로 무조건 고레벨 악곡의 스코어링만이 중요했지만, 이번 작에서는 클리어 마크 보정을 노려 중레벨 악곡으로도 점수를 올릴 여지가 생겼다. 각 레벨별 스코어와 클리어 램프에 따른 볼포스 결과값의 분포
이렇게 계산한 상위 50곡의 볼포스 합계 ÷ 100을 한 것이 자신의 최종 볼포스로 산출되어 나타난다. e-amusement 공식 앱의 기록 조회 기능으로 미루어보아 내부적으로는 100으로 나누지 않은 정수로 처리되는 것으로 추측된다. 기타도라뱀부 소드 걸 레벨 0.87(...) 사태처럼 고정소수점으로 처리하는 듯.
상향평준화된 유저 실력대를 반영하여 커트라인 자체도 전체적으로 올라간 편으로, 특히 최상위 엠블럼인 크림슨과 임페리얼을 따내기가 전작에 비해 꽤 어려워졌다. 저레벨 곡들을 착실하게 플레이한 유저들도 대부분 등급 유지 정도에 그치고, IV의 체계에 맞게 고레벨 곡들의 스코어링만 한 유저라면 1등급, 심하면 2등급이 강등된 경우도 있다.
20레벨 악곡이 14개인 2020년 11월 기준 볼포스의 이론상 최댓값은 21.92[26]. 참고로 임페리얼 4티어는 20레벨 PUC '''50곡'''(...)에 해당하는 점수이다.
유저 볼포스 랭킹 집계 사이트가 존재한다. 볼포스 19.7 이상의 유저들만 집계하며, 2020년 1월 26일 기준 임페리얼 티어의 유저는 약 900명, 임페리얼 II 티어의 유저는 26명이다.
엠블럼 별 볼포스의 범위는 다음과 같다.
'''엠블럼'''
'''티어'''
'''볼포스 범위'''
[image]
시에나
I
0 ~ 2.49
II
2.50 ~ 4.99
III
5.00 ~ 7.49
IV
7.50 ~ 9.99
[image]
코발트
I
10.00 ~ 10.49
II
10.50 ~ 10.99
III
11.00 ~ 11.49
IV
11.50 ~ 11.99
[image]
댄딜라이언
I
12.00 ~ 12.49
II
12.50 ~ 12.99
III
13.00 ~ 13.49
IV
13.50 ~ 13.99
[image]
시안
I
14.00 ~ 14.24
II
14.25 ~ 14.49
III
14.50 ~ 14.74
IV
14.75 ~ 14.99
[image]
스칼렛
I
15.00 ~ 15.24
II
15.25 ~ 15.49
III
15.50 ~ 15.74
IV
15.75 ~ 15.99
[image]
코랄
I
16.00 ~ 16.24
II
16.25 ~ 16.49
III
16.50 ~ 16.74
IV
16.75 ~ 16.99
[image]
아르젠토
I
17.00 ~ 17.24
II
17.25 ~ 17.49
III
17.50 ~ 17.74
IV
17.75 ~ 17.99
[image]
엘도라
I
18.00 ~ 18.24
II
18.25 ~ 18.49
III
18.50 ~ 18.74
IV
18.75 ~ 18.99
[image]
크림슨
I
19.00 ~ 19.24
II
19.25 ~ 19.49
III
19.50 ~ 19.74
IV
19.75 ~ 19.99
[image]
임페리얼
I
20.00 ~ 20.99
II
21.00 ~ 21.99
III
22.00 ~ 22.99
IV
23.00 ~

4. 수록곡


사운드 볼텍스 비비드 웨이브/수록곡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를 참조.

5. 인계


<rowcolor=white> '''인계되는 요소'''
'''인계되지 않는 요소'''
SDVX ID
스킬 레벨
플레이어 닉네임[27]
스킬 칭호
스코어
코스 스코어
해금 상태
보유 패킷
어필 카드
보유 블록
제네시스 카드[28]
블래스터 게이지
네메시스 크루
코나스테 패킷 블록 인펙션[29]
'''볼포스'''[30]
라이벌 등록 상태
5볼로 데이터 인계 후에도 4볼의 데이터 자체는 사용할 수 있으나 인계 이후 변경된 4볼 데이터는 5볼에 반영되지 않으니 주의.

6. 로케이션 테스트



[image]
[image]
날짜
장소
2018년 10월 12일 ~ 10월 14일
GAME실크햇 가와사키다이스점
2018년 11월 2일 ~ 11월 4일
도쿄 레저랜드 아키하바라2호점
The 3rd planet BiVi센다이점
아미파라 테크노랜드점
003 라쿠이치가이도 하코자키점
2018년 11월 9일 ~ 11월 11일
나고야 레저랜드 사사시마점
유즈랜드 코시가야점
라운드원 우메다점
라운드원 교토 가와라마치점
이와 별개로, 2019년 1월 26일, 27일 JAEPO 2019에서 시연 플레이가 가능했다.

7. 평가



7.1. 긍정적인 부분



7.1.1. PREMIUM TIME


새로 추가된 PREMIUM TIME 모드의 평가가 상당히 좋은 편이다. 기존에는 스코어링, UC, PUC 등을 목표로 할 때 막튠이나 스탠다드 모드가 아니라면 플레이 중간에 실수를 해도 곡은 끝까지 플레이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지만, 프리미엄 모드로 할 시 중간에 실수를 했을 경우 즉시 리타이어를 하거나 바로 재시작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주어진 시간 10분을 매우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스코어링에 대한 스트레스의 부담도 덜 수 있기 때문이다. 초창기 업데이트 당시 가격 설정을 하지 않은 오락실이 많아 공장 출하 값인 2000원으로 설정된 오락실이 많았음에도 2000원 넣고 할 가치가 있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31]

7.2. 부정적인 부분



7.2.1. 전반적으로 부족한 완성도


비록 컨텐츠 일부가 미완성된 채로 가동된 적은 많았지만, 일부 UI가 사운드 볼텍스 IV 헤븐리 헤이븐의 것을 그대로 사용한다던가[32], 어필 카드 뽑기가 가동 1년차를 넘기도록 불가능 한 점 등 완성도가 떨어진다. 특히나 카메라는 기체 업데이트의 명목상 이유 중 하나였음에도 제대로 사용하지도 않고 있다. 기체 업데이트 비용 때문에 업데이트를 포기하거나 아예 기체를 빼 버리는 오락실이 적지 않았음을 고려하면 충분히 나올만한 불평이다.
새로운 어필 카드 시스템에 대한 공지가 있었다. 기존 뽑기 시스템에서 상점식 시스템으로 변경될 것으로 추정되었으나, 2020년 3월 26일 업데이트로 신규+전작까지의 거의 대부분의 모든 어필카드를 통상해금으로 풀었으며 어필카드 해금 시스템이 따로 나오지는 않았다.

7.2.2. 지나치게 낮은 VVD 패턴 비중


번외 패턴인 VVD 패턴의 업데이트 비중이 너무 낮다는 불평이 있다. BLASTER GATEΩDimensionHEXA DIVER에 몰아주는 거라고 치더라도, VVD 패턴 추가가 '''반년 이상 없던 주기'''[33]가 있을 정도로 극히 더딘 탓에 가동 말기인 21개월차에 고작 18개밖에 나오지 않았다. 전작의 HVN이 39개였으므로 그것의 반도 안 되는 수준. 2020년부터 코나스테 오리지널 곡의 GRV 난이도가 VVD로 개칭된 것이 적은 갯수를 채우기 위함이 아니냐는 말이 나올 지경이다. 여기에 대해서는 바로 다음 문단에 후술.
게다가 VVD 패턴으로 나온 것들도 초기 목적이었던 저난이도 곡 또는 구작의 인기곡의 부활과는 영 딴판인데, 19레벨 수준만 6개에[34] 원곡의 EXH가 16레벨 이상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한 채보 퀄리티 역시 좋다고 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이러다 보니 유저들도 이미 기대를 접은 지 오래이다.

7.2.3. 지나치게 잦은 코나스테 수록곡 이식


비비드 웨이브 가동 후반에 들어서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인해 코나스테 전용곡 업데이트가 한 번에 6곡으로 크게 늘었고, 아케이드로의 이식 간격도 최소 한 달 정도로 매우 좁아졌다. 그런데 막상 이 이식이 너무 많아지다보니 오히려 비판을 받고 있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불가피하게 아케이드의 업데이트가 정체되었던 시기에는 코나스테가 활성화되어 전용곡이 많아졌던 건 어쩔수 없는 선택이라고 할 수도 있었으나, 아케이드판이 다시 정상화된 이후에도 동시 수록이 아닌 코나스테 전용곡을 양산하고 곧바로 이식하는 레퍼토리가 반복되면서 해당 옹호론은 설득력을 잃었다.
가장 큰 문제점은 신곡인데도 패턴 해금에 BLASTER GATE를 요구한다는 것이다. 해당 곡들은 최고 난이도 채보를 VIVID로 두고 있지만, 나머지 세 채보와 함께 추가되었으므로 사실상 MXM과 다를 게 없다. 그런데 마치 사운드 볼텍스 III 그래비티 워즈처럼 사실상 정규 난이도인 패턴을 별도로 해금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VIVID 패턴들의 난립은 MAXIMUM 패턴이 추가된 이유를 무색하게 만드는 일이다.
이렇게 번외 채보를 정규채보처럼 써먹는 것은 이미 아케이드판 3볼에서 크게 비판받은 점이다. 사운드 볼텍스 IV 헤븐리 헤이븐에서 MAXIMUM이 도입된 이유가 이런 해금 부담을 완화하기 위함이었는데, 코나스테 버전은 여전히 최상위 채보를 번외 난이도로 처리하는 것을 반복하고 있다. 초기에는 그나마 3볼 테마에 맞춰서 GRV로 낸다고 생각할 수도 있었지만 코나스테에도 MXM이 붙은 4~5볼 곡이 실리고 전용곡은 아예 VIVID로 바꿔버린 지금은 옹호의 여지가 전혀 없다.
사운드 볼텍스의 주요 비판점중 하나는 다른 게임과 비교도 안되는 BLASTER GATE 시스템의 막대한 곡 해금 비용이다. 일부러 이러한 곡을 피해 다닌다고 해도[35], 이유가 어찌 됐든 언젠가 BLASTER GATE에 있는 패턴들을 해금해야 하기 때문에 강력한 진입장벽이 된다. 당장 20레벨 패턴들은 모두 BLASTER GATE와 연관되어 있고[36], 20레벨 패턴을 제외하고 사운드 볼텍스를 플레이 한다는 것은 매우 큰 제약이 따르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원래 MAXIMUM 패턴으로 추가되었어야 할 곡이 VIVID 패턴으로 추가되어 BLASTER GATE 해금을 요구한다는 점은 명분이라도 있었던 HE4VEN 〜天国へようこそ〜[37]보다 더 악랄하다고 할 수 있다.
여기에 상기한 지나치게 적은 VVD 패턴 업데이트와 시너지가 이뤄져, 50th Memorial Songs 4곡[38]을 제외하고 2019년 2월 가동 시작부터 2020년 7월까지 추가된 기존 곡의 VVD 패턴이 18개인데 2020년 6월부터 11월까지 추가된 코나스테 VVD 패턴이 23개로 이쪽이 오히려 더 많아져버렸다. 코로나19로 인한 코나스테 활성화와 아케이드 업데이트 공백을 감안하더라도 기존 번외 패턴의 존재 의의를 생각해보면 그야말로 주객전도인 상황.

7.2.4. 애니메이션 음악 수록


버전 업 당시 상당히 유명한 입지를 가지고 있는 애니메이션 음악 원곡들이 다수 수록되면서 앞으로 애니메이션 음악이 업데이트 될거라는 기대가 많았다. 그러나 언제부턴가 애니송 원곡 신규 수록은 없어지고 내부 리믹스만이 수록됐다. 사실상 애니송 수록은 채향DJ 아니쿠라게의 재고처리를 위한 명분이 되어 버렸다.

7.3. 호불호가 갈리는 부분



7.3.1. Live2D 채용


Live2D에 대해서는 호불호가 크게 갈린다. 일단 네메시스 크루가 없이는 게임을 진행할 수 없기에 기본 그레이스 크루나 레이시스 크루밖에 없는데, Live2D를 꺼리는 사람에겐 제네레이터로 따로 크루를 뽑지 않는 한 울며 겨자먹기로 사용해야 할 수도 있다. 반면 자신이 좋아하는 캐릭터가 Live2D로 새로 나올 것을 기대하는 사람들도 많다.
네메시스 크루가 표시될 자리를 위해 결과창에서 중요한 요소인 곡 정보의 비중이 작아진 것을 비판하는 사람들도 있다. 전작에서는 기본적으로 자켓이 중앙에 크게 그려지며, 네메시스 크루가 표시되는 경우 자켓이 오른쪽으로 밀리는 구조였는데, 이번 작에서는 항시 네메시스 크루를 표시하며, 곡 정보가 위에 조그맣게 적히는 방식으로 바뀌어 가시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7.3.2. 볼포스 체계의 개편


IV의 볼포스는 집계 대상 곡이 20곡 뿐이었으며, 18레벨 PUC가 19레벨 AAA보다 볼포스 값이 낮을 정도로 레벨 간 격차가 커 사실상 19~20레벨 스코어링에 따라서만 결정되는 방식이었다. 이로 인해 크림슨 및 임페리얼에 해당하는 유저들은 볼포스를 올리기 위해 몇 없는 20레벨 악곡과 상대적으로 점수를 얻기 쉬운 19레벨 하위권 악곡들에 매달려 점수를 끌어올려야 하는 기현상이 벌어졌다.[39]
개편된 볼포스는 이 점을 개선하기 위해 집계 대상곡을 50곡으로 늘린 뒤 클리어 마크에 따른 가중치를 높게 주어 고레벨 악곡에 편중된 볼포스 부담을 분산시켰다. 추가로 19레벨 하위권 곡들을 18레벨로 다수 강등시켜 18레벨과 19레벨의 난이도 격차를 분명히 하려는 시도를 보이기도 했다. 이 개편으로 유저가 다양한 수준의 악곡들로 볼포스 상승을 노릴 수 있게 되었고, 레벨 별 밸런스를 안정적으로 잡는 데 성공했다는 점에서는 평가가 좋다.
그러나 문제점도 있는데, 대표적인 문제는 아르젠토, 엘도라, 크림슨 티어에 비해 임페리얼 티어의 등급 간 간격이 지나치게 넓다는 것이다. 임페리얼 IV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20레벨 PUC 50곡'''을 기록해야 하는데, 20레벨은 매년 KAC 결승 및 여름방학 대형 업데이트로만 1~2곡 추가되기 때문에 사실상 미구현이나 다름없는 등급이다. 임페리얼 II만 해도 19레벨 PUC를 두 자릿수 단위로 찍어내야 할 정도로 커트라인이 높아서 대부분의 임페리얼 I 유저들은 도달할 엄두를 내지 못하고 볼포스 관리를 포기하는 실정이다.
클리어 마크에 따른 보정 때문에 정작 스코어 자체는 잘 반영되지 않는다는 비판도 있다. 기본적으로 랭크가 한 단계 올라가는 정도의 큰 기록 경신이 아니면 볼포스가 잘 오르지 않으며, 특히 랭크가 S로 고정되는 990만점 이후의 스코어링은 거의 의미가 없는 수준이다. 이 때문에 UC나 PUC 마크를 따내지 않고는 실력 상승을 체감하기가 어려워져 플레이 의욕을 떨어뜨린다는 의견이 있다. 고레벨 및 고득점으로 갈수록 이러한 현상이 크게 체감되며, 특히 볼포스 상승 기준이 한 단계 올라가는 각 등급의 I 티어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실제로도 엘도라 I, 크림슨 I, 임페리얼 I 티어에 유저들이 유독 많이 분포한다고 알려져 있다.

8. 버그


  • 2020년 2월 27일 업데이트 이후, 666를 제외하면 라인 분리가 일어나지 말아야 하는 채보들이 라인 분리가 되거나[40], 트랙이 뮤제카노스텔지어처럼 휘어지거나, 아에 노브가 보이지 않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 croiX에서 발생한 예시
    • Firestorm 노브 투명 버그#
    • Ganymede kamome mix #
    • 심지어 666 자체에서도 비정상적인 라인 분리 현상이 보고된다. #
  • 헤븐리 헤이븐부터 있었던 밝은 FX 칩에 얼리 판정이 뜨지 않는 버그가 고쳐지지 않은 채 방치 중이다. 이는 의도된 사항일수도.

9. 기타


  • 본작에서 사용된 폰트는 Slant이다[41]. 이 폰트는 1980년에 디자인된 마이크로소프트의 두 번째 로고에 사용된 적 있다(#).
  • 시스템 사운드는 PHQUASE가 담당했다.
  • 공식 홈페이지에 반응형 웹이 적용되어 시리즈 최초로 모바일 환경을 지원하게 되었다.[42]
  • 전작까지는 하나의 시스템 사운드로 여러 화면에서 한 부분을 떼어다가 사용했으나 이번 작에서는 매칭화면, 최종결과 화면에서 각각 다른 BGM을 사용했다.
  • 가동 당일 데이원 패치가 있었다.
  • 2볼 이후 처음으로 가동 기간 중 FLOOR에서 동방 프로젝트 어레인지 콘테스트가 개최되지 않은 작품이다.

[1] 臨場感. 녹음기나 라디오로 연주를 들을 때 마치 현장에서 실제로 듣는 듯한 느낌.[2] 참고로 beatmania IIDX 25 CANNON BALLERS의 업그레이드 가격은 290만원이었다.[3] 미국에서 플레이 할시에는 이 모드와 PARADISE START 모드 밖에 지원하지 않는다. [4] 7레벨 이하의 악곡에서 EFFECTIVE RATE를 사용해 플레이했다면 클리어에 실패했더라도 다음 트랙으로 넘어간다.[5] 카메라는 판넬 안쪽에 있다.[6] AUTOMATION PARADISE는 아예 표출되지 않는다.[7] beatmania IIDX와는 달리 파세리가 없는 한국에서도 크레딧으로 플레이가 가능하다. 그러나 미국에서 플레이 할시에는 그냥 안된다. (선택 화면에서 선택이 불가능함)[8] 사볼 특성상 대부분의 곡 길이가 2분 이하이므로 선곡을 빠르게 하면 (모든 곡을 끝까지 플레이할 때) 6곡까지 할 수 있다. 하지만 Joyeuse처럼 짧은 곡들만 골라 하는 거 아니면 대부분 5곡에서 끊긴다.[9] 사운드 볼텍스 III 그래비티 워즈 코나스테에서는 TRACK EXTRA다.[10] Quick Retry를 했을 경우 바로 재시작된다.[11] 중간에 셀프 크래시로 일찍 끝낼 경우 진행 정도에 비례해 게이지가 찬다.[12] 첫 작품인 부스의 보스곡 Max Burning!!의 EXH 패턴은 아직도 5번의 다단계 해금을 필요로 하고, 2번째 작품 인피니트 인펙션에서 등장한 INF패턴은 4번의 다단계 인블해금이 필요한데 더해 깎아야 하는 라이프까지 무지막지하다. 등장 당시부터 원성이 자자했던 Ganymede kamome mix의 INF 패턴 해금은 여전히 심각한 난이도로 악명이 높다.[13] 난이도별 완화를 무시하고 반드시 0.5성게이지가 된다. EFFECTIVE RATE와 동일한 감소량이 되어 1성 게이지보다 해금을 더 쉽게 할 수 있게 되었다.[14] 공격량 증가 이벤트 기간에 사용하면 4500을 넘는 공격력이 나올 수 있다[15] HEXA DIVER 전용 게이지[16] 일부 곡의 경우(Invisible Bullets MXM 등) 이 칩이 정박으로 노트와 같이 나오면 타이밍을 헷갈릴 수 있다(...)[17] 상대가 나타나지 않은 상태에서 매칭을 취소하거나 시간이 다 된 경우 NORMAL로 넘어간다.[18]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당연히 사용불가가 뜨며 기기 설정으로 아예 빼버릴 수 있다.[19] 4볼 후기 생산 기판에서 이미 변경되었다.[20] 투덱처럼 모니터가 분류되지는 않지만 생산 시기에 따라 모니터가 다르다 [21] 노스텔지어 Op.2에서 처음 생긴 기능. 다만 처음 4자리만 나오는 노스텔지어와 달리 '1Q2W XXXX XXXX 3E4R'처럼 처음 4자리와 마지막 4자리가 나온다.[22] 판정선 조절은 노트를 처리하는 판정선을 조절하는 것이고 이번에 나온 싱크 조절은 곡이 나오는 타이밍을 조절한다.[23] 예를 들어 0% 상태에서 1회 플레이 후에는 6.666...%인데 이것이 기존에는 6.6%로 표기되었으나 이번부터 6.7%로 표기되는 식[24] MOSWELL사의 MS-M103HU 모델로, 720p 30fps 영상을 지원하는 97만 화소 카메라 유닛이다. 노량진 어뮤즈타운에서 모종의 방법으로 이 내장 카메라를 이용해 방송 시스템을 구축하였다.[25] 미장착시 부팅불가.[상세] EX 클리어: ×1.02, UC: ×1.05, PUC:×1.1, 미클리어: ×0.5[26] 19레벨 PUC 36곡, 20레벨 PUC 14곡을 달성했을 때 {(43×36)+(46×14)}/100=21.92[27] 인계 시 1회 변경 가능[28] 소유 현황 포함[29] 해당 이벤트는 가동 전날인 2019년 2월 27일에 종료되었다.[30] 변경된 식에 맞추어 재조정된다.[31] 과금이 스탠다드 모드처럼 플레이 당 240원이기 때문에 대부분 1000원으로 거의 정착되었다. 다만 이를 모르는 업주가 4코인으로 설정해두는 경우가 간혹 있다.[32] 예를 들어 노브 지속판정 글씨(노브와 판정선이 만나는 점에 표시되는 빙글빙글 도는 CRITICAL 표시)가 어째서인지 4볼 시절의 폰트와 이미지를 그대로 쓴다는 점이 있다.[33] 2019년 6월 26일~2020년 1월 17일[34] Innocent Tempest, 音楽 -resolve-, INF-B《L-aste-R》, ラクガキスト, IX 그리고 Joyeuse.[35] NOVICE와 ADVANCED, KAC 해금곡처럼 특이한 경우가 아니라면 EXHAUST 패턴까지는 대개 통상 해금 내지 PCB 해금이기 때문이다.[36] Lachryma《Re:Queen’M》iLLness LiLin은 해금을 위해 다른 곡(각각 Bangin' Burst GRV, 極圏 HVN)을 해금해서 플레이 해야 한다. HE4VEN 〜天国へようこそ〜은 20레벨 패턴이 대놓고 BLASTER GATE에 있고, 나머지 20레벨 수록곡들은 모든 패턴을 BLASTER GATE 기반인 ΩDimension, HEXA DIVER에서 해금해야 한다.[37] 이쪽은 The 6th KAC 결승곡이기 때문이다.[38] 코나스테와 아케이드 동시 수록곡이라서 MXM이 아닌 번외 난이도를 가져다 써야 했다.[39] 19레벨은 패턴의 수는 17~18레벨에 비해 적으나, 레벨 내에서의 난이도 편차는 결코 17~18레벨에 밀리지 않을 정도로 넓다. 따라서 veRtrageS EXH 등 상대적으로 점수를 따내기 쉬운 19레벨 곡들에 한해 일정 수준의 스코어링을 끝내면 Dyscontrolled Galaxy MXM 등 어려운 19레벨 곡들은 볼포스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하게 되어 굳이 고득점을 따낼 필요가 없어진다.[40] 그마저도 666의 반갈죽이 아니라, 라인 하나하나 다 분리되는 4단분리 현상이 목격된다.[41] 전작과 달리 숫자의 모양이나 X자의 획 굵기 정도만 바뀌고 거의 그대로 사용되었다.[42] 전작까지는 모바일에서 접속할 때도 PC판 사이트가 표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