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곡역

 


'''역곡역'''
(가톨릭대)
[image]
'''경인선 급행'''

'''다국어 표기'''
영어
Yeokgok
(Catholic Univ. of Korea)
한자
驛谷
(가톨릭大)
중국어
驿谷
일본어
駅谷(ヨッゴク
'''주소'''
경기도 부천시 역곡로 1 (역곡동)
'''관리역 등급'''
보통역 / 3급
(부천역 관리 / 코레일 수도권광역본부)
'''운영 기관'''
경인선

'''개업일'''
경인선
1967년 5월 1일
1호선
1974년 8월 15일
'''역사 구조'''
지상 2층 구조, 지상 1층 승강장
'''승강장 구조'''
2복선 쌍섬식 승강장
'''열차거리표'''
'''경인선'''
역 곡
驛谷驛 / Yeokgok Station
1. 개요
2. 역 정보
3. 일평균 이용객
4. 승강장
5. 역 주변 정보
6. 기타

[clearfix]

1. 개요


수도권 전철 1호선 146번. 경기도 부천시 역곡로 1 (역곡동)[1] 소재.

2. 역 정보


[image]
남부역(1번 출구) 쪽에서 바라본 현 역사
[image]
[image]
철도청 고시 제 325호. 역곡 임시승강장 개역 관련 정보가 나와있다.
[image]
전철역사를 건설 중이던 당시의 역곡역. 주변이 허허벌판이다.
부역명은 가톨릭대. 안내방송을 포함한 대부분의 노선도가 가톨릭대라고 표기하고 있으나, 일부 노선도에서는 가톨릭대앞으로 표기되었다. '앞'을 붙이기에는 역과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까지의 거리가 조금 있는 편이긴 하다.[2] 대략 1km 조금 안되고, 도보 이용시 15분 정도 걸린다. 역 앞에서 부천 버스 51을 타면 10분정도 걸리긴 하지만.
1967년 5월 1일 임시승강장으로 영업을 시작헀다. 같은 날 개업했던 경부선 가풍역, 충북선 문암역, 호남선 채화역은 현재 모두 폐역됐다.
부천 동부의 중요한 교통 요지에 해당하는 곳으로 소재지인 역곡동과 괴안동에서도 많이 이용하지만 북쪽의 원종동, 고강동을 비롯한 옛 오정구 지역과 도당동, 남쪽의 범박동, 계수동, 옥길동, 서울 구로구 항동, 시흥시 신천동, 대야동, 은행동 등에서 버스 환승을 통해 넘어오는 수요가 상당하다. 인근 옥길지구항동지구의 택지개발로 인해 이용객의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또한 역 주변의 발달한 상권은 시계 너머 항동이나 온수동, 궁동 등에서도 편리하게 이용 가능한 경제 거점 역할을 해주고 있다.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1999년 1월 29일 구로~부평 구간의 2복선 개통과 함께 급행열차가 운행되기 시작했는데, 이웃역인 온수에 급행이 정차하지 않는 문제가 거론될 때마다 함께 엮이는 경우가 많다. 환승역인 온수역에 무정차 통과하는 급행이 왜 여기에 서냐면서 불만을 표출하던 사람들이 많았으며 이들중 일부는 심지어 당초 급행정차역이 역곡이 아니라 온수였으며, 7호선 온수역 개통 전까지만 한시적으로 역곡역에 세웠던 것이고 급행역을 온수로 환원하려 하자 역곡 지역의 주민들과 상인들, 가톨릭대학교가 이기주의적인 태도로 극렬히 반발해 급행 정거장의 지위를 빼앗아 온 거라고 말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는 사실과 다른 억지 주장이다. 이곳 역곡역은 급행열차 운행 계획이 수립되던 당시부터 역세권이 발달하고 수송수요와 이용객실적이 높아 처음부터 정식 정차역으로 정해져 있었다.
반면 온수역의 경우 서울과 부천의 경계에 위치한 풍치지구로 고도제한 등의 규제가 걸려 있어 주변 역세권이 제대로 발달하지 못했고 승하차객수도 기준에 상당히 못 미치는 상태였으며, 7호선도 미개통이어서 정차역 후보에도 들지 못했다. (출퇴근 시간에는 인근 온수공단과 연계된 수요가 제법 있었다고는 하지만, 그 외의 시간대에 승객이 거의 전무한 수준이었다. 당시 일평균 승객수는 약 1만명.) 2000년 2월 29일 7호선 개통 이후부터 온수역 급행정차를 요구하는 환승객들의 민원이 늘고 악성민원도 많아지며 역곡역도 자주 공격의 대상이 되었다. 온수역 급행 정차에 대해서는 종합적인 검토가 있었지만 여러 여건상 현행과 같이 무정차 통과하기로 결정하게 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온수역 항목 참고바람.
참고로 개봉역은 일대에 아파트 단지도 있고 광명에서 넘어오는 사람도 꽤 있어서 정차역 후보에 들어가 있었음에도, 구로역과 매우 가까이 있었고 서울 내부의 주거지역 중심이었던 관계로 인천과 부천 지역의 승객의 빠른 이동을 위해 막판에 제외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를 두고 한동안 논란이 있었다고 한다. 결국 2016년 2월 1일을 기점으로 동인천 급행 열차 정차역으로 지정되었다.
2017년 7월 7일부터 운행되는 동인천~용산간 특급 급행 열차는 이 역을 통과한다.
한국철도공사 전동차 안내방송에서는 부역명(가톨릭대)까지 방송하지만, 서울교통공사 전동차에서는 역곡 역명만 방송한다.
[image]
복선시절 역곡역 승강장[3]
[image]
1984년 당시의 역곡역 남부
[image]
1991년의 역곡역 남부광장[4](부천시청 포토갤러리)

3. 일평균 이용객


역곡역을 이용하는 도시철도 일일 승객 수이다. 아래 표는 승차객 + 하차객의 총합이다.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인선)'''
[ 1974년~2009년 ]

1974년
1975년
1976년
1977년
1978년
1979년
1,951명
2,196명
2,692명
3,919명
6,887명
10,829명
1980년
1981년
1982년
1983년
1984년
1985년
1986년
1987년
1988년
1989년
15,210명
21,060명
27,620명
37,396명
46,728명
51,638명
55,394명
62,131명
67,450명
61,351명
1990년
1991년
1992년
1993년
1994년
1995년
1996년
1997년
1998년
1999년
67,137명
'''70,088명'''
70,060명
68,026명
59,492명
57,143명
56,209명
49,065명
43,888명
46,205명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44,968명
55,017명
65,822명
68,838명
54,430명
56,637명
57,272명
58,906명
62,955명
64,457명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65,411명
67,449명
66,386명
61,560명
61,140명
60,268명
60,027명
61,298명
61,408명
61,883명
2020년
'''44,780명'''
  • 비록 역곡역이 개발이 덜 된 관계로 인해, 매번 영등포역부천역빨대효과로 당하는 역이기는 하지만, 그러면서도 승하차객 숫자가 많은 역이기도 하다. 경인선 급행열차가 역곡역을 정차하는데다, 급행 미정차역인 인근의 소사역온수역의 승객들도 끌고 올 수 있다는 점 덕분이다.[5] 게다가 가톨릭대학교 성심교정, 유한대학교를 근처에 끼고 있어 대학생들이 역곡역을 자주 이용하는 것도, 역곡역의 승하차객이 꾸준히 상위권에 랭크되는 이유 중 하나이다. 역 주변 상권도 부천역보다는 작지만, 급행열차가 정차하기에 부족하지 않은 규모를 자랑한다.
  • 2012년까지 꾸준히 늘어나다가 서울 지하철 7호선의 온수~부평구청역 구간의 개통으로 인해, 2013년을 기점으로 약 5년간 완만한 감소세를 보였는데, 그래도 부천시의 다른 경인선 역들에 비하면 크게 하락하지 않고 있다. 경인선 연선 하락의 주요 원인은 7호선의 연장 개통으로 중동신도시, 상동지구 승객을 대거 빼앗긴데 있는데 역곡역은 애초에 이쪽 주민들과 연관이 거의 없는 역이었기 때문이다. 오히려 범박동 일대에 택지지구가 들어서면서 배후인구가 늘어났고, 옥길지구, 항동지구가 개발되면서 입주민이 늘어남에 따라 역곡역의 수요가 다시 증가할 조짐이 보이고 있다.

4. 승강장


[image]
온수
개봉


1
2


3
4


부천
소사
1
[image] 수도권 전철 1호선
완행
구로·서울역·청량리·소요산 방면
2
급행
구로·용산 방면
3
급행
부천·부평·동인천 방면
4
완행
부천·부평·주안·인천 방면

5. 역 주변 정보


역곡역 일대의 특이한 점은 서울이 멀지 않다 보니, 10층을 넘어가는 고층 오피스텔, 대학교 같은 큰 규모의 시설물부터 각종 패스트푸드 프랜차이즈 및 CGV 역곡, 홈플러스 같은 도시권역을 상징하는 상권을 쉽게 볼 수 있으면서, 동시에 재래시장과 유흥지역, 주거지역이 그 근처에 위치하고 있다는 점이다. 더 나가서, 조금만 벗어나면 동시에 소똥 냄새나는 그린벨트 지역과 동네 앞산도 찾아볼 수 있다. 현재 그린벨트 지역은 일부 재개발되어 범박지구가 되었고, 인근 저수지는 푸른수목원, 그리고 산업철도 옆에는 부천남부생태공원으로 들어섰지만 아직도 구로구 항동 및 부천시 범박-옥길동 지역에 그린벨트가 남아있으며, 일부 산지와 역곡천 일대도 그대로이다. 그런데 이들마저도 항동지구, 범박지구, 옥길지구 등으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6]
인근 대학으로는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성공회대학교, 유한대학교가 있다.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은 지도상으로 보았을 때 캠퍼스가 소사역과 더 가까워 보이지만, 역곡역에 내려서 가는 것이 훨씬 편하다. 물론 큰 차이는 나지 않는 만큼 서해선을 이용해 통학하는 학생이라면 소사역이 더 편할 수도 있다. 학교 셔틀버스도 역곡역 남부에 정차했었으나 2019년 8월부로는 없어진 상태이다. 표지판에는 그대로 적혀있으니 낚이지 말자. 가톨릭대를 처음 방문하는 사람들 상당수가 소사역에 내리는데, 그럴 경우 기다리는 것은 꽤 높은 언덕과 후문 주변에 있는 밭에서 나는 거름냄새다. 특히 비오는날 후문 주변은 완전 진창길이라... 가톨릭대 방문객은 역곡역을 이용하는 편이 이롭다.
사실상 성공회대학교, 유한대학교온수역쪽에 가까우나, 역곡역 인근의 상권과 급행열차가 멈춰서는 점, 그리고 지역 상권이 큰 점 등에서 역곡역으로 많이 온다. 성공회대의 경우 온수역과 거의 직선으로 길이 이어져있어서 온수역에서 가는 편이 확실히 편하나, 성공회대보다 더 부천 쪽에 있는 유한대는 지도상으로 온수역과 더 가깝지만 도보로 걸리는 시간은 비슷하다... 온수역 주변 길이 이상하게 나있어서 그런데 역곡역에 내려서 남부역광장 쪽으로 나가면 경인로에서 바로 왼쪽에 유한대 건물들이 보인다.
역곡역 북부가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학생들이 많이 이용하는 대학가라면, 역곡역 남부는 유한대 학생들이 상당히 많다. 유한대를 처음 방문하는 사람이라면 그냥 온수역 말고 역곡역에서 하차하자... 유한대학생이라면 길을 잘 알테니 환승역이기도 한 온수역이 더 편리하겠지만 처음 방문하는 사람이라면 조금 헤맬 수 있는 길이다. 역곡역에서 내리면 그냥 경인대로를 따라서 쭉 가면 되기 때문에 그 편이 더 편하다. 실제로 차내 안내방송에서도 온수역이 아닌 역곡역에서 이번 역은 역곡 가톨릭대역입니다. 내리실문은 00쪽(급행과 일반이 문 방향이 다름)입니다. 유한대학교로 가실 분께서는 이번역에서 1번 출구로 나가시기 바랍니다. 라는 안내멘트를 한다.
온수역 역세권인 성공회대학교유한대학교 학생들도 역곡역으로 먹고 놀러 많이 온다. 온수역은 상권 발달이 미약하기 때문이며, 급행열차가 역곡역에서 정차하기 때문에, 역곡역에 들릴 일이 많다. 실제로 성공회대학교나 유한대학교에서 역곡역으로 걸어오는 것은 견디지 못할 만큼 시간이 많이 걸리지는 않는다. 바로 옆 소사역 역세권에 거주하는 사람들도 마찬가지의 이유로 역곡역으로 올 일이 많으나, 소사역 남부의 소사사거리라는 오래된 상권이 있기에 공장밖에 없는 온수역 인근과는 이야기가 조금 다르다.
남부역 쪽으로 범박동에 신앙촌(천부교 신자들이 모여서 살던 곳)이 있었으나 현재는 대규모 아파트 단지[7]로 바뀌었고, 그 외에 각종 크고 작은 사이비 종교(ex: 승리제단 영생교)의 본부가 역곡 남부에 있다. 지역민들도 이 종교를 딱히 좋아하지는 않는 게, 90년대인지 80년대인지 확실하지 않으나 승리제단 반대 활동을 하던 지역주민들의 모임이 있었는데, 보복으로 지역주민의 집에 뱀을 풀어놓는 사건이 있었다고 한다.
역곡 남부역 왼쪽으로 직진하면 철로가 시원하게 보이는 온수고가 및 유한대학교와 유한공업고등학교가 있다. 유한대 앞에는 '철판 트위스트'라는 유한대생들 사이에서는 유명한 철판볶음집이 있었는데, 건물이 헐리면서 장소를 옮기고 끝끝내 사라진것으로 보인다. 유한대 인근에 '부천 새소망의 집'이라는 고아원이 있는데, 유한대 축제인 '버들제'가 근처 초등학생들에게 유명 지역축제화하는데 일조한 것으로 보인다. 90년대 후반~2000년대 초반 이야기지만, 댄스 경연을 한다고 '무대로 나와주세요' 하니 초등학생들이 총출동해서 고개를 좌우로 흔들며 테크노 댄스르 추는 재미있는 풍경을 볼 수 있었다. 그 외 유한대 아래에는 서울 경계를 의미하는 비석이 있고 해치 동상이 있다. 과거에는 88올림픽을 상징하는 호돌이 동상이 서 있었다. 인근 주민이라면 관광삼아 한번쯤 탐방하는 것도 재미있다.
남부역 앞에는 조그마한 무대가 있는데, 간혹 근처 교회나 동호회들의 공연이 열리고 남부역 계단은 관객석 역할을 하곤 한다. 하지만 이 무대는 역곡역 앞 택시 정차장이 도보공사 및 잔디밭공사를 통해 다행광장을 거쳐 역곡 만남의 광장으로 변하면서 그 역할을 광장에 넘겨주게 되었다.
남부에는 CGV 역곡[8]과 맥도날드[9] 등이 있고, 바로 앞에 있는 분식집[10]의 매운 어묵이 잘 팔리고 있다. 그 외에 항상 고집스럽게 느리게 소세지를 굽는 할아버지의 핫도그 노점이 있는데 느려도 그 때문인지 항상 손님이 많다.[11][12] 길을 건너면 '임꺽정로'라는 식도락 거리가 있고 임꺽정 동상이 있다. 걸어가며 가게 간판을 보면 종종 고우영 만화의 컷들이 간판 옆에 걸려있다. 오래된 과거지만, 길 건너편 기업은행[13] 앞에는 기계우동(기계짜장) 트럭이 저녁마다 서곤 했다. 십 년 넘게 2대째 운영하던 것이라고 들었는데, 이 지역에서 태어난 80~90년대생들이나 이 지역 어른들에게는 잊을 수 없는 기억이다. (대개 퇴근/ 학원 나오는 길에 들리거나 퇴근하는 아버지 마중 후 한번쯤 들리는 코스이고는 했다.) CGV 역곡이 있는 건물은 일전엔 "역곡극장"이라는 건물이었는데, 90년대 후반엔 둘리 등 철지난 영화를 틀면서 코묻은 돈 삥을 뜯거나 대개 성인물을 상영하던 곳이었다.
북부역쪽은 스크램블형 교차로가 설치되어 있는 좁은 사거리가 있다. 역곡역 남부의 경인국도도 부천역 구간까지 낮시간에는 혼잡하나, 북부역은 부일로가 왕복 2차로로 상당히 좁은 편인데다 편도 1차로 도로 특성상 모든 교차로가 동시신호로 되어있어 정체가 상당하다. 만약 역곡역과 부천역 사이를 이동하는데 버스나 택시를 이용할 생각이라면 추천하지 않으며 가능하면 전철을 이용하기를 권한다. 교통혼잡으로 택시가 아무리 빠르게 움직여도 전철보다 훨씬 느리고 과금도 크다. 반대로 전철은 급행열차로 원스톱이 가능하다.
북부역에서 오른쪽으로 한블록만 가면 역곡상상시장[14] 이 있다. 잘 정비되어있으며, 맛집도 많다. 시장 내에는 상인들간의 각종 동호회도 운영되는 것 같다. 시장 내 맛집으로는 칼국수집, 30년이 다되가는 모 곱창볶음집이 있다. 남부역 인근에도 역곡남부시장이라는 조그마한 시장이 있으나, 정비가 잘 되어있지 않다. 남부에는 홈플러스 소사점이 있는데, 이 곳에서 역곡역 굴다리를 거치면 바로 역곡상상시장으로 연결된다. 대형마트가 야채나 정육 분야에서는 중소 상인들에게 기를 펴지 못하는 것 같으나, 홈플러스 내에서는 외국 향신료 등을 구하기 쉽고, 1층에서 의류 브랜드들의 짧은 기간동안 저렴한 매대가 열리기에 양측에 각각의 경쟁력이 있다고 생각된다. 그 외에 홈플러스 앞에는 '무공해 숯불갈비'라는 25년 이상 영업하는 고깃집이 있다.
[15]
패스트푸드 같은 경우 남부역 가톨릭대 통학버스 정류장 앞에는 불티나게 팔리는 맥도날드가 있었으나 현재 점포이전으로 같은방향으로 꽤나 걸어가야 나온다. 북부역에는 롯데리아가 있다. 과거에는 북부역 롯데리아만 있었는데 중간에 한 번 없어졌었다. 맥도날드는 24시간 운영하고, 롯데리아는 그렇지 않다. 감자튀김은 맥도날드 쪽은 짜고 롯데리아는 짜지 않은 쪽이니 선호하는 쪽으로 잘 골라서 가자.
북부역과 남부역에 고루 카페가 분포한다. 남부역 앞에는 메가커피, 커피에반하다 등이 있으며, 다이소 건물 옆에 파리바게뜨 카페, 맥도날드 쪽으로 가면 단독건물형 스타벅스가 있다. 북부역 쪽에는 할리스 커피와 규모가 좀 있는 개인 카페들이 존재한다. 규모가 가장 컸던 카페베네는 경쟁이 심해서 그런가 [16]
북부역과 남부역 바로 앞과 남부역 홈플러스에 각각 배스킨라빈스 매장이 있다. 매장간 간격이 가까워 보이는 듯 하나, 모두 장사가 그럭저럭 잘되는 것 같다.
'''김밥천국의 천국'''으로도 유명하다. 이 역 주변에 10m 간격으로 총 4개의 김밥천국이 들어섰었다.
남부역 앞 길 건너 버스정류장이 있음에도 굳이 조금 앞에 줄 서는 사람들을 볼 수 있는데, 이는 과거 존재했던 버스 정류장의 위치가 좀더 뒤에 있었기 때문이다. 이 줄은 부천 버스 55를 기다리는 줄로, 55번을 제외한 모든 버스는 신규 정류장에 제대로 정차한다.

6. 기타


역삼역, 역촌역과 함께 역명을 거꾸로 말해도 되는 역 3형제에 속한다. 게다가 한자역명 역시 '''"驛谷驛"'''이기에 한자를 거꾸로 해도 역곡역. 그래서인지 끄투[17]하다보면 많이 나오는 단어다. 사실 나머지 둘도 마찬가지로 한자를 거꾸로 해도 된다.

국내 최초로 고양이명예역장이 된 곳이다. 2015년 부천시가 새로이 조성한 역 광장의 이름을 '다행광장'으로 명명하는 영예를 얻었다![18]
김행균 역장은 2003년 4월부터 영등포역 열차운용팀장으로 근무하고 있었다. 그러나 그해 7월 선로에 떨어진 아이를 구하다 사고를 당해 왼쪽 발목과 오른쪽 발등이 절단되었다. 사고 후 여러 번의 수술을 거쳐 왼쪽 다리는 의족을 하였고, 오른쪽 발은 피부 및 신경이식 수술을 받았다. 이후 혹독한 재활훈련을 거쳐 걸을 수 있게 되었고, 2004년 8월 철도청 서울지역본부 물류영업팀으로 복직하였다. 이후 부개역 역무과장(옛 부역장)을 거쳐 2007년가산디지털단지역의 역장으로 승진(1979년에 철도청에 입사한 이해 28년 만의 기록)하였고, 역곡역, 개봉역 역장을 역임 후 다시 역곡역 역장으로 재직하고 있었다.
다행이는 2014년 1월 천안시 소재 마트 주차장에서 상처를 입은 채 발견된 길고양이 출신이다. 당시 한쪽 발의 발가락이 거의 다 잘려나간 상태로 발견되었는데, 원인은 알 수 없으나 쥐덫에 의한 상처 또는 가위와 같은 예리한 물건을 이용한 학대의 흔적으로 추정된다고 한다. 김행균 역장은 시민단체의 주선으로 2014년 4월 다행이를 만나 역곡역 식구로 받아들였다. 다행이란 이름은 이 때 이후 시민 공모로 지어진 것이다. 입사하자마자 바로 명예역장 자리에 앉은 다행이의 주 업무는, 사무실에서 잠을 자거나 sns에 올릴 근황 사진을 찍는 것, 그리고 (내킬 때만) 역장실 손님을 맞는 것 등... 그야말로 po낙하산wer이 따로 없다.
하지만 다리를 다친 길고양이가 비슷한 상처를 입은 인간을 만나 서로 의지하며 살아간다는 다행이의 인생사는, 존재만으로도 충분히 훈훈한 이야기다. 다행이와 김행균 역장의 사례는 일선 초등학교 현장에서 생명존중 수업 자료로도 자주 쓰이고, 아동용 그림책으로 출간되기도 했다.
2016년 4월 김행균 역곡역 역장은 건강상의 문제로 퇴직하였다. 이에 따라 돌볼 사람도 없게 된 탓에 다행이는 동물단체의 보호를 받게 되었다. 한 기사에선 유기동물센터라고한다. 2016년 9월 김행균 전 역장은 수술이 끝나 퇴원은 했지만 절대안정이 필요한 상황이다.[19]
2017년 1월 다행이가 보호소를 가출해 행방불명되었다고 한다. 또한 다행이 역장 취임이 선의가 아니라 노골적인 상업적 의도[20]로 진행되었다는 추측도 돌고 있는 상황.[21] 덕분에 애묘인들 사이에서 다행이 사건이 꽤 회자되기도.
이로 인해 역무실 출입구 위에 있던 다행이 간판이 철거되고 위의 다행광장은 역곡 만남의 광장으로 바뀌어 무대 돌담에 있던 다행이 관련 조형물과 다행광장 표지판이 철거됨에 따라 다행이 흔적은 역곡역 1번 출구 방음벽 벽화와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의 역곡역 다행이 스탬프만 남게 되었다.

[1] 역곡동 382번지[2] 하지만 이 정도면 그렇게 먼 편은 아니다. 한림대 같은 경우에는 부역명이 있는 춘천역에서 택시를 약 15분 정도를 더 가야한다. 도보로는 30분에서 35분 정도 걸리는 편.[3] 온수역이 있는 것으로 보아 1988년 이후~1990년대 초반에 찍은 사진으로 보인다.[4] 역사가 현재와는 달리 매우 단출한 모습인데, 경원선의 서빙고역, 응봉역, 신이문역 등과 건물 형태가 거의 똑같았다. 승강장과 개찰구가 직결된 일명 바로타 구조를 갖추고 있었으며, 운임구역 안쪽에 화장실이 있었다. 역무시설이 북쪽과 남쪽에 나뉘어 있어 북부역, 남부역으로 구분해서 불렀고, 현재까지도 북부역, 남부역이라는 명칭이 계속해서 쓰이고 있다.[5] 과거에는 시흥시 북부에서 역곡역으로 가는 수요도 많았으나, 해당 지역으로 가는 노선인 018번이 2012년에 폐선 되면서 이 수요는 소사역부천역 등지로 나뉘게 되었다. 대체 노선으로 120번이 있으나 시흥시 구간에서는 거의 이용 하지 않는 편.[6] 이렇게 주변에서는 개발이 진행이 되고 있지만 정작 역곡역의 상권은 쇠락하고 있는데, 교통이 꽤나 편리한 곳에 있지만 그 특징과 역세권의 협소함으로 인해서, 상권 발달에 오히려 방해 요소가 되었다.[7] 범박 힐스테이트[8] 남부역에서 나와서 오른쪽으로 꺾으면 있다.[9] Drive in thru가 설치되면서 역에서 조금 먼 곳으로 이전했다.[10] 빨간 오뎅[11] 소세지는 개당 2500원 핫도그는 개당 3500원으로 가성비가 우수한 편이다. 본사에서 가격을 올리라고 했음에도 할아버지는 학생들 사먹는데 비싸다고 안올리셨다.[12]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요즘엔 장사를 안하신다[13] 구 경기은행 자리[14] 구 역곡북부시장[15] 유치권이 해결된듯 보인다. 기존 동부시장 건물이 헐리고 새로운 건물이 생겼다.[16] 그 짱오락실도 지금은 없어졌다. 2층 노래방도 폐업한 것으로 보아서 건물 재건축을 할 것 같다.[17] 어인정 모드로 설정하면 철도역이 단어로 인정되기 때문.[18] 「부천시, 역곡역 남부광장 '다행광장'으로 명명」, 2015-11-23, 뉴스1 하지만 다행이 실종 이후에는 역곡 만남의 광장으로 바뀌었다.[19] 2016년 9월 23일 동아일보[20] 다행이의 사례가 일본의 유명한 역장 고양이 타마의 선례를 보고 벤처마킹했다는 말도 있다.[21] 코레일 측에서 김행균 역장에게 다행이를 받아달라는 의미의 지시가 내려졌을지도 모르는 추측이 있다. 또한 김행균 역장 은퇴 후 코레일 측에서 다행이의 새 입양처/임보처를 적극적으로 찾는 대신 보호소행을 결정한 것은 다행이의 관리를 지속적으로 해줄 만큼의 상업적 가치가 더 이상 없다고 판단했기에 그랬으리라는 추측도 있다. 여담으로 다행이는 보호소로 간 뒤에도 몇 번 외출했다가 돌아온 전적이 있었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