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안역

 



'''주안역'''
[image] [image]
수도권 전철 노선 보기
'''주안역'''
'''경인선 급행'''
'''경인선 특급'''
'''주안역'''
(인천사랑병원)


'''다국어 표기'''
[ 펼치기 · 접기 ]
영어
Juan
한자
朱安
중국어
일본어
朱安(チュアン

'''주소'''
[ 펼치기 · 접기 ]

'''관리역 등급'''
보통역 / 2급
(부평역 관리 / 코레일 수도권광역본부)
'''운영 기관'''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경인선
인천 2호선


'''개업일'''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경인선 1910년 10월 21일[15]
1호선
1974년 8월 15일
인천 2호선
2016년 7월 30일

'''역사 구조'''
[ 펼치기 · 접기 ]
지상 1층 (경인선)
지하 3층 (인천 2호선)

'''승강장 구조'''
'''노선거리표'''
'''경인선'''
주 안
朱安驛 / Juan Station
1. 개요
2. 역 정보
3. 일평균 이용객
4. 승강장
5. 열차운행 시각표
5.1. 1호선 특급 열차
6. 역 주변 정보
7. 연계 노선
8. 기타

[clearfix]

1. 개요


수도권 전철 1호선 156번.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주안로 95-19 (주안동)[1]에 있다. 한국철도공사가 운영.
인천 도시철도 2호선 I218번.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주안로 지하 91-1 (주안동)[2] 소재. 인천교통공사가 운영.

2. 역 정보


[image]
1990년대 후반까지 쓰인 구 주안역사. 맨 오른쪽 건물이다.
[image]
인천 도시철도 2호선 주안역 역명판
1910년 10월 21일 개업. "메이지 43년(1910년) 10월 21일부터 경부지선 축현역 - 부평역 간에 주안 정류장을 설치하여 일반 여객영업을 개시한다" 라는 기록이 남아있는데, 이는 경인선에서 최초로 신설된 중간 역이기도 하다. 이후 제물포역이 추가로 설치되기까지 약 47년의 세월이 걸렸으며, 일제강점기 기간에 신설된 역은 주안역이 유일하다.
과거의 부역명은 인하대학교. 그러나 주안역에서 인하대까지는 버스로 15~20분이나 걸리는 거리라서 결코 가까운 편이 아닌 수준을 넘어 멀다. [3] 인하대의 인지도가 훨씬 높아서 그렇지 가까운 걸로 치자면 한국폴리텍2대학 남인천캠퍼스가 도보로 10분정도 걸리는 거리로 훨씬 더 가깝다.[4] 2012년 인하대학교에서 부역명 유상판매 정책에 응하지 않아 삭제되었다. 참고로 2016년 2월 수인선 인천시내 구간이 개통되어 인하대학교 바로 앞에 인하대역이 생겼다. 현재 인천 도시철도 2호선 한정으로 부기역명이 '''인천사랑병원[5]'''으로 결정되었다.
지하 역사로 나오면 지하상가가 있다. 꽤 복잡해서 처음 다니는 사람들은 길 찾기가 힘들지만 부평역에 비하면 양반 수준이다. 지하상가 통로 중에서 북광장으로 통하는 통로는 달랑 하나밖에 없다. 다른 출입구는 다 남광장쪽.
급행 열차를 운행하기 위한 경인선 2복선 공사가 진행되고, 먼저 개봉역 ~ 용산역 구간의 3복선화 공사가 완료되어 이 선로를 이용한 주안역 착발 열차가 운행되기 시작했다. 이는 1999년에 부평역까지의 2복선화 공사가 완료되어 급행 열차가 운행된 후에도 유지되어, 용산행 완행 열차와 급행 열차가 공존했기 때문에 급행 열차인줄 알고 탔는데 완행이었더라~ 하는 상황이 자주 벌어졌었다. 2002년에 부평역 - 주안역간 2복선화 공사가 완료되면서 주안 - 용산간 완행 열차는 모두 급행 열차로 바뀌었다. 2005년 주안역 - 동인천역간 2복선 선로가 개통될 때까지 주안행 열차가 존재했는데, 마침 당시 경부선 전철의 종착역은 수원역 이었기에 "주안"의 발음이 "수원"과 비슷해서 잘 모르는 사람들이 "수원"행을 타려다 "주안"행을 잘못 타는 경우가 있었다고 한다. 한 때 서울지하철공사(현 서울교통공사) 소속 전동차가 주안역을 종착역으로 쓰기도 해서 충분히 혼동 가능한 상황이었다. 특히 초저항 차량들 행선판은 차량 외부, 그것도 열차 맨 앞,뒤에만 있는 경우가 대다수인데다가 음이 들렸다 안들렸다하는 고장난 스피커+시끄러운 실내 소음이 결합되면 승무원의 안내 방송에도 이런 실수를 하는 승객들이 실제 있었다. 지못미. 안 그래도 가산디지털단지역의 옛 이름인 가리봉역과 개봉역을 헷갈려 잘못 타는 사람들도 많았는데...
참고로, 경인선 인천 지역 역들 중, 부평역 다음으로 엄청난 존재감을 보여준다.
'''출퇴근시간대'''[6] 용산역 급행이나, 특급같은 경우는 이 역에서부터 좌석이 다 차고 입석이 발생한다.
이제는 정규 운행 열차로써 주안행 열차는 모두 사라진 상태. 물론 회차 기능은 남아있기 때문에 유사 시 종착역의 기능을 할 수는 있다. 그러나 부평역과 다르게 별도의 인상선이 존재하지 않아 본선 회차를 해야하는 관계로 정규 열차 운용은 어렵다. 동인천역 ~ 주안역 2복선화 완공 전만 해도 현재의 도화역 방향 급행선 본선을 회차선으로 사용했고, 도화역과의 거리가 멀지 않다보니 열차 일부가 도화역에 걸쳐진 채로 회차를 했었다. 무엇보다 동인천역과의 거리가 멀지 않기 때문에 굳이 주안행 열차를 운행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각종 사고 발생 시에는 여전히 종착역으로 활약하는 중. 경인선 급전 구분이 도화역송내역이기 때문에, 급전 관련 사고 발생 시 가장 가까운 회차역인 주안역과 부천역이 종착역 대행을 한다. 경인선은 지상구간인데다가 철로 양쪽으로 골목길과 주택가가 빼곡하게 들어서있어 유달리 타 구간에 비해 크레인 전도 사고가 많다. 그리고 전도 사고가 일어지면 거의 99% 전차선을 끊어먹는다. 그래서 주안행이나 부천행 열차가 다닌다는 것은 경인선의 카오스를 상징하는 것과 같으며, 부천 버스 88의 헬게이트를 알리는 신호인 셈이다.[7] 상행선 급행 마지막 열차인 부천행 급행 열차를 제외하면 평시에는 주안이나 부천에서 종착하는 열차는 존재하지 않는다.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인천시청역과 함께 인천 도시철도 2호선환승역으로 확정되었다. 환승 난이도는 가는 방향만 잘 아면 쉬운 편이다. 동선이 가산디지털단지역과 비슷하다.
참고로 과거 1980년대 후반~1990년대 중반까지 일부 인천지역 초, 중, 고등학교에서 기차를 이용하여 경주 등으로 수학여행을 갈 경우 무궁화호, 통일호 같은 단체 관광 열차가 이 역에서 출발하기도 하였다. 스크린도어가 설치되며 더 이상 주안역에 정차하진 않고, 일부 관광 열차는 간석역이나 인천역 등을 이용한다.
인천 2호선 운연행은 이 역부터 아주 꽉꽉꽉 찬다. 2량이다 보니 출퇴근시간에 이 역에서는 무조건 한두대를 보내야 탄다. 편성 증차나 량 증차분이 시급하다. 이 헬게이트인천시청역에 들어서면 닫힌다.
또한 이 역은 2급 보통역으로 등록되어 있는 역이다. 인접한 제물포역이나 동암역은 3급 보통역이다.

3. 일평균 이용객


주안역을 이용하는 도시철도 일일 승객 수이다. 아래 표는 승차객 + 하차객의 총합이며, 도시철도 간의 직접 환승객 수는 나타내지 않는다.
'''수도권 전철 1호선'''
[ 1974년~2009년 ]

1974년
1975년
1976년
1977년
1978년
1979년
4,317명
4,810명
6,414명
14,680명
29,272명
41,641명
1980년
1981년
1982년
1983년
1984년
1985년
1986년
1987년
1988년
1989년
47,506명
53,522명
55,797명
60,289명
63,673명
62,809명
61,081명
51,927명
57,018명
61,613명
1990년
1991년
1992년
1993년
1994년
1995년
1996년
1997년
1998년
1999년
69,166명
65,924명
80,231명
'''89,288명'''
88,668명
88,673명
84,058명
85,402명
80,486명
62,953명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62,340명
69,463명
78,219명
81,955명
61,892명
62,512명
59,838명
60,242명
60,860명
59,691명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63,727명
65,793명
64,419명
63,323명
63,280명
61,753명
56,873명
50,938명
48,524명
47,539명
2020년
'''32,862명'''
'''인천 도시철도 2호선'''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11,732명
14,034명
15,214명
15,739명
2020년
'''11,775명'''
  • 인천 2호선의 2016년 자료는 개통일인 7월 30일부터 12월 31일까지 155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 출처: 철도통계연보(1호선, ~2004년), 코레일 광역철도 수송통계 자료실(1호선, 2005년~), 인천교통공사 자료실(인천2호선)
  • 두 노선의 이용객 수를 합치면 2019년 기준으로 63,278명이다. 인천2호선 개통 이전의 승하차객 숫자와 큰 차이가 없으며, 인천 미추홀구에서 예전 상업 중심지에 있는 역이기에 전통적으로 수요가 많은 편에 속했다.[8] 경인선의 2복선화 당시에도 부평역/주안역/동인천역 구간으로 각각 나뉘어 진행할 정도로 경인선 안에서도 비중이 있는 역이며, 동암역과 비슷하게 하루 평균 6만여 명이 이용했다. 주안역 상권이 동인천역, 동암역 상권과 같이 몰락한 2000년대 중반 이후에도 승객이 크게 줄어들지 않고 6만 명 선을 유지하였는데, 2016년 인천 2호선, 수인선의 개통으로 주안역의 수요는 타격을 받았다. 또한 2021년 7호선이 석남으로 연장 될 경우에는 조금 더 타격을 받을 것이다. 7호선이 경인선의 역할 분담을 위해 1호선과 평행으로 온수역까지 설계되있기 때문이다.
  • 2016년 1년 동안 하루 이용객이 5천 명이 줄어든 데 이어 2017년에는 6천여 명이 줄어, 2017년 기준으로 5만 명에 턱걸이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으며 추가로 하락할 가능성이 높은 역이다. 이는 동암역과 마찬가지로 서구 주민들이 주안역까지 버스를 타고 갈아탔던 환승 수요가 인천 2호선으로 인하여 전철 간의 직접 환승으로 바뀐 것, 그리고 인하대학교 통학 수요가 인하대역의 개통으로 크게 분산된 것에 기인한다. 동암역이 서구의 교통 집결지로 기능했지만, 주안역 역시도 만만치 않게 버스 환승 수요가 많았다는 것을 뜻하는 반증이다.
  • 하지만 인천 2호선의 통계를 합치면 주안역을 이용하는 승하차객 숫자는 오히려 소폭 늘어났다. 주안역을 이용하던 서구 주민들과 인하대 학생이 대거 빠져나갔지만, 서구 및 남동구에서 주안역으로 오가는 사람들이 전철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이다. 빠져나간 승객 이상을 경전철 자체 수요로 충당하게 되어 주안역의 승하차객 숫자는 늘어날 수 있었다. 타격을 받은 것은 오로지 경인선의 수입에 관련된 부분이다.

4. 승강장



4.1. 수도권 전철 1호선


[image]
경인선 승강장
[image]
경인선 주안역사
간석
동암


1
2


3
4


제물포
도화
1
[image] 수도권 전철 1호선
완행
온수·서울역·청량리·광운대·소요산 방면
2
급행·특급
용산 방면
3
급행·특급
동인천 방면
4
완행
도화·제물포·도원·동인천·인천 방면
'''노선 및 방면'''
'''출입문'''
'''비고'''
1호선 (인천 방면)
→ 지상역사
8-2

→ 지하역사
5-1
지하상가와 연결
인천 2호선
1-4

1호선 (소요산 방면)
→ 지상역사
3-3

→ 지하역사
6-4
지하상가와 연결
인천 2호선
9-4

인천에서 유일하게 피에쓰에쓰텍[9] 계열 스크린도어가 가동되었던 곳이다. 유리에는 삼성SDS 로고가 붙어있으나, OEM이므로 설치 주체만 제외하면 사실상 피에쓰에쓰텍에서 제작한 스크린도어라고 볼 수 있었으나, 삼성SDS 스크린도어가 전면 교체되면서 철거되었다.
1호선 승강장은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으로 운영하고 있다.

4.2. 인천 도시철도 2호선


[image]
인천 도시철도 2호선 승강장
[image]
주안역 6번출구
[image]
인천2호선 역 안내도
주안국가산단




시민공원

[image] 인천 도시철도 2호선
석남·서구청·검암·검단사거리·검단오류 방면

시민공원·인천시청·모래내시장·만수·운연 방면
인천2호선 승강장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1호선 하차 후 환승통로의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내려온 후 바로 앞에 보이는 지하엘리베이터는 운연 방면 승강장으로 직통한다. 검단오류 방향으로 가기 위해서는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더 내려가는 것이 좋다.
해당 노선의 환승역들[10] 중 유일하게 타 노선의 밑에 있는 환승역이다.

5. 열차운행 시각표



5.1. 1호선 특급 열차


  • 2019년 4월 27일 기준
  • 2018년 7월 1일 기준 (평일)
동인천 특급 (하행)
열차번호
용 산
노량진
신도림
구 로
부 천
송 내
부 평
'''주 안'''
동인천
K1301
09:16
09:19
09:25
09:28
09:38
09:41
09:44
'''09:51'''
09:56
K1303
10:29
10:32
10:38
10:41
10:51
10:54
10:57
'''11:04'''
11:09
K1305
11:06
11:09
11:15
11:18
11:28
11:31
11:34
'''11:41'''
11:46
K1307
12:18
12:21
12:27
12:30
12:40
12:43
12:46
'''12:53'''
12:58
K1309
13:02
13:05
13:11
13:14
13:24
13:27
13:30
'''13:37'''
13:42
K1311
14:08
14:11
14:17
14:20
14:30
14:33
14:36
'''14:43'''
14:48
K1313
14:54
14:57
15:03
15:06
15:16
15:19
15:22
'''15:29'''
15:34
K1315
16:06
16:09
16:15
16:18
16:28
16:31
16:34
'''16:41'''
16:46
K1317
17:55
17:58
18:04
18:07
18:18
18:21
18:24
'''18:30'''
18:35
K1319
18:26
18:29
18:35
18:38
18:48
18:51
18:54
'''19:01'''
19:06
K1321
18:58
19:01
19:07
19:10
19:20
19:23
19:26
'''19:33'''
19:38
K1323
19:19
19:22
19:28
19:31
19:41
19:44
19:47
'''19:54'''
19:59
K1325
19:35
19:38
19:44
19:47
19:57
20:00
20:03
'''20:10'''
20:15
용산 특급 (상행)
열차번호
동인천
'''주 안'''
부 평
송 내
부 천
구 로
신도림
노량진
용 산
K1302
7:02
'''7:07'''
7:14
7:17
7:20
7:31
7:33
7:39
7:42
K1304
7:35
'''7:40'''
7:47
7:50
7:53
8:04
8:06
8:13
8:16
K1306
7:49
'''7:54'''
8:01
8:04
8:07
8:19
8:21
8:27
8:31
K1308
8:22
'''8:27'''
8:34
8:37
8:40
8:51
8:53
8:59
9:02
K1310
9:33
'''9:38'''
9:45
9:48
9:51
10:02
10:04
10:10
10:13
K1312
10:12
'''10:17'''
10:24
10:27
10:30
10:41
10:43
10:49
10:52
K1314
11:25
'''11:30'''
11:37
11:40
11:43
11:54
11:56
12:02
12:06
K1316
12:05
'''12:10'''
12:17
12:20
12:23
12:34
12:36
12:42
12:45
K1318
13:14
'''13:19'''
13:26
13:29
13:32
13:43
13:45
13:51
13:54
K1320
13:57
'''14:02'''
14:09
14:12
14:15
14:26
14:28
14:34
14:37
K1322
15:03
'''15:08'''
15:15
15:18
15:21
15:32
15:34
15:40
15:43
K1324
15:55
'''16:00'''
16:07
16:10
16:13
16:24
16:26
16:32
16:35
K1326
17:00
'''17:05'''
17:12
17:15
17:18
17:29
17:31
17:37
17:40
* 2019년 4월 27일 기준 (주말, 공휴일)
용산 특급 (상행)
열차번호
동인천
'''주 안'''
부 평
송 내
부 천
구 로
신도림
노량진
용 산
K1302
9:26
'''9:31'''
9:38
9:41
9:44
9:55
9:57
10:03
10:06
K1304
10:35
'''10:40'''
10:47
10:50
10:53
11:04
11:06
11:12
11:15
K1306
11:33
'''11:38'''
11:45
11:48
11:51
12:02
12:04
12:10
12:13
K1308
12:35
'''12:40'''
12:47
12:50
12:53
13:04
13:06
13:12
13:15
K1310
13:23
'''13:28'''
13:35
13:38
13:41
13:52
13:54
14:00
14:03
K1312
14:29
'''14:34'''
14:41
14:44
14:47
14:58
15:00
15:06
15:09
K1314
15:24
'''15:29'''
15:36
15:39
15:42
15:53
15:55
16:01
16:04
K1316
16:28
'''16:33'''
16:40
16:43
16:46
16:57
16:59
17:05
17:08
K1318
17:18
'''17:23'''
17:30
17:33
17:36
17:47
17:49
17:55
17:58
동인천 특급 (하행)
열차번호
용 산
노량진
신도림
구 로
부 천
송 내
부 평
'''주 안'''
동인천
K1301
9:41
9:44
9:50
9:53
10:03
10:06
10:09
'''10:16'''
10:21
K1303
10:38
10:41
10:47
10:50
11:00
11:03
11:06
'''11:13'''
11:18
K1305
11:35
11:37
11:43
11:46
11:56
11:59
12:02
'''12:09'''
12:14
K1307
12:30
12:33
12:39
12:42
12:52
12:55
12:58
'''13:05'''
13:10
K1309
13:32
13:35
13:41
13:44
13:54
13:57
14:00
'''14:07'''
14:12
K1311
14:30
14:33
14:39
14:42
14:52
14:55
14:58
'''15:05'''
15:10
K1313
15:30
15:33
15:39
15:42
15:52
15:55
15:58
'''16:05'''
16:10
K1315
16:24
16:27
16:33
16:36
16:46
16:49
16:52
'''16:59'''
17:04
K1317
17:28
17:31
17:37
17:40
17:50
17:53
17:56
'''18:03'''
18:08

6. 역 주변 정보


주안역 남광장 인근에는 한동안 폐건물이 하나 있었다. 본래 이 건물에 '티지'라는 상가와 함께 CGV 주안역점이 들어설 예정이었지만 건설업체가 부도를 냈는지 뼈대만 세워놓고 정작 CGV 주안역점은 북부역 근처 건물에 들어서게 되었다. 본래는 메가박스가 들어설 예정이었다. 그리고 그 건물도 현재 CGV를 제외한 나머지 영업은 올스톱했다. 그렇게 폐건물이던 건물을 어떤 업체에서 인수해서 '아이허니'라는 상가로 다시 짓기 시작했지만, 이 아이허니 역시 준공을 앞둔 2008년 9월에 시행사 대표가 분양자들 몰래 쇼핑몰을 담보로 돈을 빌려써 폐건물으로 남아있었다. 덕분에 '롯데시네마 (2008년) 7월 입점' 등의 현수막이 걸려있는데도 불구하고 정작 안에는 아무것도 없는 괴상한 상태. 2012년 현재 상황은 입주 예정자들이 결국 건물 소유주로부터 유치권을 받아내서 유치권 행사중. 그러던 와중 2014년 9월 경에 CGV 남주안이 영업을 시작하면서 폐건물에서 졸업하게 되었다. 그런데 주안역 북광장에 위치한 건물에 CGV주안이 위치해있어 CGV 두 개가 같은 동네에 있는 진풍경이 벌어지고 있다. CGV주안이 위치해있는 건물도 CGV를 제외한 나머지 공간은 모종의 사정에 의해 상가가 입주하지 못하고 비어있는 상태. 그래서 주안역 선상역사에서 바로 연결되는 통로를 지어놓고도 1층으로 우회해야 한다.
또한 남광장 건너편에는 인천에서 가장 큰 학원인 '정문학원'(舊 인천한샘학원)이 있다. 이 때문에 재미있게도 남광장은 큰 길 하나 사이에 두고 511로 줄줄이 통학하는 인하대 학생과 이들을 바라보며 수능대박의 꿈을 키우는 단과반 수강 고교생 및 재수생들의 분포가 갈린다. 문제는 정문학원 인근 골목에서 나온 뒤 길 하나만 건너면 바로 유흥가이기 때문에 교육에는 영 좋지 않은 환경이라는 것. 심지어 5층짜리 건물 전부를 쓰다가 2층을 비우고 다른 시설을 세웠는데, '''하필 그게 PC방이다.''' , 2019년 4월 현재는 PC방은 폐업하였다.
주안역 지상 역사의 경우에는 설계를 부실하게 했는지 비가 많이 오는 날에는 천장 일부 지점에서 물이 샌다. 그 때문에 비가 많이 오는 날에는 떨어지는 물을 받기 위해 최소 6개 정도의 바구니가 배치되어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간혹 우산 물 떨어지지 말라고 씌워둔 비닐 버리는 쓰레기통인줄 알고 거기다가 쓰레기를 버리는 사람들도 있다.
지상역사 2층에 토스트와 분식을 파는 가게가 있는데 출퇴근 시간에는 간단히 요기를 하려는 학생들과 직장인들로 줄이 빽빽하다. 원래 토스트만 팔았으나 고객 증가로 인해 찐고구마, 옥수수 등 메뉴를 다변화했다.
역 주변이 번화가이다 보니 요즘은 청클도 들어서고 있다.

7. 연계 노선


주안역에도 버스가 상당히 많이 다니는데, 그 중 제일 유명한 것이라면 단연 주안역과 인하대학교를 잇는 성민버스 소속 511번 지선버스다. 학기 중에는 매일매일 가축수송을 하며 인하대생의 통학을 책임지는 노선으로, 일개 지역 마을버스 회사에 지나지 않았던 용현운수를 일약 인천의 거대 버스회사로 키운, 용현운수의 밥줄이 된 노선이다.[11]하지만, 지금은 성민버스로 운영주체가 넘어갔다. 자세한 것은 인천 버스 511 항목 참조. 정문 방면으로 간다면 5-1번을 타자. 2016년 7월 30일 버스 개편으로 주안역에서 인하대 정문으로 가는 버스들이 많이 생겨나긴 했지만 그나마 빨리 가는 노선은 5-1번이다.
그 외에도 인천터미널까지 가는 514-1번이나 동춘동행 65번 버스 등 미추홀구(학익동, 문학동, 주안동 일부 한정), 연수구행 버스가 다양하게 존재한다. 한 가지 주의할 것은, 주안역에 정차하는 대부분의 버스들이 주안역 남광장 정류장 또는 대로변에 있는 주안역 정류소에 정차한다는 것이다. 상술한 노선들도 전부 남광장 정류장에 정차하는 노선들이므로 인하대학교에 갈 일이 있거나 병무청을 가야 하는 위키러는 참고할 것.
버스 환승장 주변으로 예수쟁이가 자주 나타나고, '''여호와의 증인'''도 가끔 출몰하니 주의하자.
주안역/연계 교통 참조.

8. 기타


한때 이 역과 남인천역을 잇는 화물노선인 주인선이 있었다. 1992년에 폐선되었고 지금은 주인공원이라는 흔적으로만 남아있다.
1990년대까지 하더라도, 주안역의 상권은 동인천 상권과 동암역 상권과 함께 인천의 대표적인 상권이었다. 술집과 나이트가 우후죽순 생기면서 항상 안정적인 상권을 가지고 있었으며, 동인천, 주안, 동암은 당시 어깨를 나란히 하는 인천의 유흥지였다. 어느 정도 였으면 당시 길바닥에 나이트클럽과 술집 전단지로 콘크리트바닥이 안 보일 정도였다. 허나 이곳은 동인천, 동암과 마찬가지로 지하상가부터 시작해 워낙에 낙후된 곳이 많은데다, 인천광역시가 1호선 연선 지역에 대한 관심이 적어지고 2000년대 초반부터 개발이 거의 완료된 관교동과 구월동이 새롭게 떠오르면서 이곳도 거의 망했다. 관교동과 구월동은 1990년대 초반만 해도 허허벌판이었으나 이후 개발이 되면서 버스터미널, 당시 최다 스크린 수의 CGV, TGIF(현재는 폐업), 롯데백화점과 신세계백화점, 나이트클럽 2개, 문화센터 등이 생기고 인천지하철 1호선이 개통되고 길병원이 급속도로 성장하는 등 없는게 없는 동네가 되었다.[13]'''자료'''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양궁 여자 개인 결승전에서 중국 관중들이 한국 선수가 쏠 때만 꽹과리 소음 공격을 해대는 바람에 한국의 박성현 선수가 중국의 장 주안주안 선수에 밀려 은메달을 땄었는데 장 주안주안과 이름이 비슷한 주안역이 검색어에 오르는 웃지 못할 일도 벌어졌다. 그리고 인하대갤과 미추홀구청이 털렸다.[14]
[image]
옛날부터 주안역 부근이 염전지대였던지라 밀물 때와 폭우가 겹치면 여지없이 지하상가와 선로가 침수된다. 2010년에는 만조와 집중호우가 겹치며 대홍수를 일으킨 적도 있다. 인천 2호선의 침수가 염려되기는 하나 침수방지장치가 가동되고 있어서 걱정 붙들어 매도 좋을 듯. 이는 개통이래 한번도 침수된 적 없는 인천 1호선도 마찬가지. 아마 다음 폭우 때에는 지상의 경인선은 선로침수로 운행을 멈췄는데 지하의 인천 2호선은 정상운행하는 희한한 모습을 볼 가능성이 높을 듯.
검단오류 방면에서 운연 방면으로 갈 때 기준으로 전 역인 주안국가산단역에 '''이 역은 주안국가산단역입니다. 주안역은 다음 역입니다'''라는 메시지가 붙어있다. 혼동을 방지하기 위함인 듯.
인천에서 서울로 출근하는 사람들이라면 좌석을 차지할 수 있는 거의 마지노선이라 봐도 된다. 급행을 타는 경우 부평역에서부터 거의 만원이 되며, 송내역을 지나게 되면 그냥 헬게이트이다.
인하대 통학생들을 위한 팁이라면, 하행 기준 8 - 1 ~ 8 - 2번칸이 출구로 가는 계단과 가장 가깝다.
'주안행 곧 출발하겠다'라는 짤방이 한때 유행했던 적이 있다.# 합성인지 아니면 단순 전광판 표시 오류인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1] 주안동 125번지[2] 주안동 125번지[3] 정말 운이 좋아서 신호가 거의 안 걸린다면 10~13분컷도 가능한데, 재수없으면 20분 넘게도 걸린다. 학교 방향으로는 도화IC, 역 방향으로는 역전 삼거리 신호등이 지체의 주범. 버스를 타면 사람들의 아우성이 버스 안에 울려퍼진다. 특히 도화IC 부분 좌회전 신호. 사람들이 통화중일 때 어디냐고 물으면, 여기 ... 신호 오래 걸리는 곳 ~ 이라고 하기도 하고, 같이 탄 사람들과 함께 여기는 10초만 있으면 노란불 돼;;; 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과거 지번주소 기준으로 주안역이 있는 주안동은 1동부터 8동까지 있는, 미추홀구에서 가장 큰 동임에도 인하대는 그 주안동 내에도 없다. 인하대는 용현동이고, 실질적으로 용현동과 학익동의 경계 정도에 있다.(바로 옆의 인하공전이 학익동)[4] 더 나아가 주안역에서 인하대보다, 제물포역이 사용하던 부역명인 (구) 인천대 캠퍼스가 훨씬 더 가깝다.[5] 명지병원과 소유주가 같다.[6] 평시에는 동암역이나 부평역에서 좌석이 다 찬다.[7] 사실 주안행이 다닐 때에는 부평~인천을 질주하는 인천 버스 10이 혼잡해질 확률이 더 높다. 88번은 영등포~부평까지만 운행하기 때문.[8] 지금은 미추홀구의 상업 중심지는 주안동에서 인천종합터미널이 있는 관교동으로 옮긴 상태다.[9] 1호선 신길역의 스크린도어를 설치했던 곳이다. 현재는 부도났다.[10] 석남역 포함[11] 동인천 급행열차가 내린 뒤에 주안역 정류장을 보면, 경악 그 자체이다. 가끔 급행과 일반이 동시에 들어오는 경우가 있는데 이건 더 할 말이.....인천 2호선 출입구쪽까지 줄서있기도 한다.[12] 부평은 관할구역만 인천이지 지리적으로나 역사적으로도 예전부터 별개 생활권(부평ㆍ계양ㆍ부천)으로 분리됐었다.[13] 사실 상권이 무너진 동인천, 주안, 동암은 원도심 재생 방법으로 하면, 다시 부활 할 수 있지만[12], 현재 인천광역시는 관교ㆍ구월동과 청라, 송도신도시에 관심을 많이 보이지, 경인선 연선 지역에는 관심이 보이기는 커녕, 대놓고 무시하고 있기 때문에, 인천광역시의 경인선 연선 지역에 대한 인식이 개편되지 않는 이상 송도, 청라, 관교ㆍ구월동에게 빼앗긴 주도권을 동인천, 주안, 동암 지역이 되찾을 가능성은 거의 없는 것이 현실이다.[14] 종로에서 뺨 맞고 한강 가서 눈 흘기는 격. 중국에서 뺨 맞고선 이걸 왜 주안에다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