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타(역 구조)
[image]
부산 도시철도 1호선 교대역.[1]
[image]
도쿄메트로 긴자선 타와라마치역.
1. 개요
철도역 중 타는 곳과 맞이방이 같은 평면구조상에 위치하는 것을 지칭하는 철도 동호인 은어이다. 쉽게 말해, 지하철에서 카드를 찍고 계단이나 승강설비와 같은 수단 없이 같은 공간에서 '''바로 타'''는 것이다.
승강장에 열차가 와 있을 경우 개찰구를 통과한지 수 초만에 탑승하는것도 가능하다.
2. 설명
일단 이렇게 불리는 이름 자체는 옛날에 있던 철도 예매 사이트에서 따온 듯하다. 대부분의 역들은 맞이방과 타는 곳 사이를 이동할 때 반드시 계단 등을 이용해야 하기 때문에 독특한 특징으로 볼 수 있다. 다만 개찰구에 이르기까지 계단이나 에스컬레이터를 통과하는 것은 그다지 고려하지 않고 지칭한다.
보통 바로타라고 하면 도시철도역에 한정해서 지칭하는 경우가 많다. 지하철이나 광역철도에서는 역사가 입체화되어 흔하지 않은 반면, 일반철도에서는 아직까지 많이 볼 수 있기 때문.[2] 일반철도에서 특히 유명한 곳은 부산역 1번 타는 곳으로 관광호 시절부터 새마을호 계열 열차 손님의 계단 수고를 없애기 위해(...) 그렇게 일부러 따로 만든 것이다. [3] 지금은 ITX-새마을의 타는 곳은 주로 3번선을 이용한다. 조치원역과 영주역 등에는 아종인 '바로나가'가 있는데[4] , 조치원역의 1번 승강장(충북선 타는 곳)에서, 영주역은 2번 승강장(청량리 방면 ITX 새마을 타는 곳)에서 내리면 역사로 오르내리지 않고 바로 역을 나갈 수 있으며, 다른 승강장에서도 전용 지하도나 육교, 건널목을 통해 여기로 나온다. 물론 이미 표를 예매했다면 역사를 거칠 필요 없이 거기로 들어가서 열차를 탈 수도 있다.
두단식 승강장과 결합하면 모든 승강장을 계단 없이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철도 동호인들이 좋아하는 특징이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대다수가 두단식 승강장이면 바로타가 아니고, 바로타면 두단식이 아니다. 이 두 특징을 동시에 가진 역은 전라선 여수엑스포역과 수서평택고속선 수서역이 있다.
외국에서는 대규모 터미널역이거나 시가지 외곽의 역에서는 매우 흔하며, 도심지, 특히 지하 구간에서 바로타 구조의 역이 흔한 곳으로는 뉴욕 지하철이나 타이베이 첩운 원후선(네이후선 구간)을 예시할 수 있다.[5] 한편 일본의 사철 또한 지상 구간에서는 일부의 대규모 역을 제외하면 평면으로 플랫폼까지 연결되는 곳이 많으며, 의외로 터미널역이 고가나 지하에 위치하면서도 두단식 승강장에 동일평면 개찰로 되어 있는 곳이 많다.
보기 드물게 공항에 바로타를 볼 수 있기도 한데, 소도시의 소규모 공항 중에 여기에 속하는 경우가 많다. 국내 공항 중 사천공항, 군산공항의 경우 탑승구에서 보딩패스의 바코드를 찍고 보안 검사를 한 뒤 나가면, 보딩 브릿지가 없고 바로 비행기가 대기하고 있어서 탑승교 계단으로 바로 올라가서 타면 된다.
3. 사례
※ 모든 승강장이 바로타인 경우 '''볼드체'''로 표시
3.1. 국내
-
[image] [image]
- 광주 도시철도 2호선의 저심도 역사 예상도
광주광역시에서 추진하고 있는 광주 도시철도 2호선이 일부 몇구간 제외한 전구간 저심도 경전철로 계획하고 있어, 개통되면 국내에서 바로타 구조를 가진 역이 가장 많은 노선이 바로 광주 도시철도 2호선이 될 것이다.
- 수도권 전철 1호선: 소요산역, , 광운대역[6] , 신이문역[7] , 외대앞역[8] , 동묘앞역, 노량진역[9] , 구일역[10] , 인천역, 화서역
- 서울 지하철 2호선: 용두역[11] , 신답역[12]
- 수도권 전철 3호선: 원흥역[13]
- 서울 지하철 7호선: 장암역, 건대입구역[14]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신평역[A] , 교대역, 명륜역[A] , 온천장역[A]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금곡역[15] , 부산대양산캠퍼스역[16]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대구역, 동대구역[17] - 모두 지상의 엘리베이터로만 가능하다.
- 대구 도시철도 3호선: 북구청역, 달성공원역, 서문시장역 - 모두 지상의 엘리베이터로만 가능하다.
- 광주 도시철도 1호선: 소태역, 도산역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서울역[18]
- 수도권 전철 경춘선: 천마산역
- 의정부 경전철: 회룡역[19]
- 인천 도시철도 1호선: 귤현역[20]
- 우이신설선: 북한산우이역~화계역
- 수도권 전철 서해선: 원시역
- 김포 도시철도: 양촌역, 구래역
- 동해선 광역전철: 부산원동역[21]
- 신분당선: 광교역
3.2. 해외
- 에노시마 전철선[22]
- 카시선 - 우미역
- IGR 이와테 은하철도 - 킨타이치온센역
- 도부 토죠 본선 - 오가와마치역[23]
- 도쿄메트로 긴자선 - 타와라마치역
- 오사카메트로 사카이스지선 - 닛폰바시역
- 타이베이 첩운 - 타이베이대교역[24]
- 암트랙의 정차역 대부분[25]
- 토론토 TTC의 정차역 일부분 - TTC는 전체적으로 플랫폼이 굉장히 작은편에 속하는지라, 많은 정차역들이 바로타 구조이다.
4. 기타
스위스에는 극단적인 바로타역이 있다.
[1] 교대'앞'역 시절의 사진으로, 현재는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2] 소규모 보통역이나 간이역 중에서는 지하 통로나 육교가 없어서 건널목을 통해 개찰구와 승강장을 왕래할 수 있는 곳이 많다. 다만 보통 승강장에 열차를 타지 않고 그냥 입장하려면 입장권(한때 유료였으나 2015(불명확)년경 무료화됨)이 필요하다.[3] 두단식 승강장 한쪽 끝에 맞이방이 있는데 그게 KTX1 기준 18호차 위치여서 특실인 2~4호차를 이용하려면 300m(...) 가까이를 걸어야 한다.[4] 구조는 (역)승강장|(선로)|(다른 승강장)[5] 유럽 대륙의 도시/광역철도의 경우 폐쇄식 개찰이 아니어서 논란의 여지가 있으나, 대체로 발권기가 위치한 공간과 플랫폼은 분리되어 있다.[6] 소요산 방면 승강장 한정[7] 4번 및 5번 출입구에서 이용시 4번은 소요산 방향, 5번은 인천 방향 승강장이 바로타 구조.[8] 소요산 방면 승강장 한정[9] 동인천(급행) 방면 승강장 한정[10] 고척 스카이돔이 있는 서편 출입구로, 소요산 방향 한정이다.[11] 출구에 따라 다를 뿐 전 방향 바로타다. 다만 진행방향 특성상 성수동 방면이 더 나은 편.[12] 신설동 방면 승강장 한정.[13] 양방향 모두 바로타 구조다. 출입구별로 목적지가 나눠지는 구조며, 지하 횡단은 승강장(운임구역) 진입 후에만 가능하고 맞이방에서는 건너갈 수 없다. 자세한 내용은 문서 참조.[14] 장암 방면 승강장 한정. 장암역은 단선이면서 바로타 구조.[A] A B C 다대포해수욕장 방면 승강장 한정[15] 양산 방면 승강장 한정, 6번 출구가 개통하면서 가능해졌다[16] 장산 방면 승강장 한정[17]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 공사 때문에 이설 및 임시 가설을 해서 운영하다가, 2016년 7월에 설화명곡 방면만 바로타가 막혔고 한때 안심 방면 바로타만 가동했다. 기존 설화명곡 방면 바로타 엘리베이터는 환승센터 공사 때문에 대합실까지 운행하다가, 대구신세계가 개장하고 얼마 후에 재개방했다.[18] 역 입구까지 오는 데 시간이 걸리고 배차간격도 선로 용량 때문에 길어서, 다른 의미로 바로 탈 수 없다. 이 때문에 타려다가 눈 앞에서 열차 놓치는 일이 벌어질 수 있다. 바로타의 치명적인 단점 대표적인 예시... 다만 출입문이 닫힌 직후 발차하기 전에는 배차간격이 길어서 어느 정도 감안을 하는지 스크린도어나 난간을 두들기면서 "기관사 아저씨, 잠시만요!"를 크게 외치면 다시 열어주는 경우도 있기는 하다.[19] 발곡 방면 승강장 한정. 다음역이 종착역이라 조금은 쓸모없을지도 모르지만...[20] 국제업무지구 방면 승강장 한정. 계양 방면에도 게이트는 있지만, 이쪽은 차량기지 직원 출입용이다.[21] 일광역 방면 승강장 한정. 출구가 이쪽으로만 나 있어서 부전역 방면은 에스컬레이터로 횡단해야 한다.[22] 상기한 바와 같이 일본 사철은 어느 업체나 평면구조 역이 많지만, 그 중에서도 에노덴은 모든 역이 폐쇄식 개찰을 실시하는 시내 역이면서도 평면 구조이다. 종점 후지사와역은 고가역이지만 플랫폼에서 JR, 오다큐 전철 역까지 고가 보행통로로 평면 연결되어 있어 사실상 완전한 평면구조로 보아 무리가 없다.[23] 하치코선도 지나가지만, 바로타 구조인것은 요리이역 방면의 1번 승강장과 이케부쿠로 방면의 2번 승강장 뿐이다.[24] 난스자오역 방면(남행) 한정 [25] 암트랙은 Northeast Corridor(NEC)와 일부 대도시 중심역을 제외하면 배차도 뜸하고 이용객이 적기 때문에 입체화된 역사가 적으며 정차 또한 역사 바로앞 플랫폼에 하는 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