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연방 왕국

 

[image]
영어
Commonwealth realms
1. 개요
3. 영연방 왕국에서 국왕의 지위
4. 영연방 왕국 국민들의 이점
5. 영연방 왕국 목록
5.1. 과거에 영연방 왕국이었던 국가
5.2. 영연방 왕국을 자칭하던 국가
6. 영연방 왕국 외 영연방의 구성
7. 관련 문서


1. 개요


영연방에 속한 52개국 중에 영국동군연합 상태인 16개국(영국 포함)이 있다. 이런 국가 하나하나를 각각 '영연방 왕국(Commonwealth realm)'[1]이라 부른다.
이들 나라들의 목록은 아래 참조. 이들 나라들의 영토는 총 1880만㎢이며, 인구는 1억 3500만 명으로, 따라서 현재 이들 나라들의 국왕인 엘리자베스 2세는 세계 군주들 중에서 가장 많은 인구[2]를 두고 있는 셈이다.
초창기 영연방은 영국 본국과 대영제국 내 자치령(dominion)들로 구성되어 회원국들이 전부 영국 국왕을 자국의 국왕으로 하고 있었다. 하지만 이제 대영제국이니 자치령이니 하는 용어 자체가 구 시대의 유물이 되고, 영연방 내에 영국 국왕을 자국의 국왕으로 하지 않는 나라들이 더 많아짐에 따라, 영연방 내에서 영국과 동군연합 상태인 나라들만 따로 골라서 지칭할 용어가 필요하게 되었다. 그래서 이들을 영연방 왕국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영연방에서 국력이 크고 백인 위주로 구성된 영국,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3]는 전부 영연방 왕국이며 특히 이들은 미국의 핵심 동맹국인 5개의 눈 대상국이다.

2. 총독


영국을 제외한 이들 나라에는 국왕을 대신해 명목상의 국가원수 역할을 하는 총독이 있다.[4] 해당국에서 총독을 선출 혹은 지명하면 왕의 형식적인 인가를 받아 임명된다. 현실적으로 영국을 제외한 영연방 왕국들은 총독이 국가원수 '대리'가 아니라 사실상의 국가원수처럼 돼 버렸는데, 군주처럼 평생 그 자리에 있는 것도 아니고 정치적 실권을 쥐는 것도 아니니(의원내각제라 실권은 총리에 있으니까) 사실상 내각제 공화국의 대통령과 큰 차이가 없다고 평가 받기도 한다. 내각제 공화국의 대통령도 임기가 정해져 있고 실권 없이 거의 상징적인 역할을 수행을 하니 영연방 왕국의 총독과 별 차이가 없다. 차이점은 전자는 진짜 국가원수지만 후자는 국가원수 역할을 대행하는 사람이라는 정도 뿐이다. 또한 총독은 국왕의 대리인으로써 기본적으로 군 통수권, 총리와 내각 관료 해임권, 그리고 '''의회 해산권'''을 가지며, 각국의 헌법에 따라 추가되는 권한에 차이가 있다. 물론 이런 권한을 쓰는 경우는 대부분 해당국 의회나 국민들의 요청이 있는 경우이고, 평상시 실질적인 권한은 대부분 해당국 의회에서 선출된 총리가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이런 나라들을 '왕관 쓴 공화국'(crowned republic)이라고 하기도 하는데 해당국의 공화주의자들이 자국의 현 체제를 비꼬는 뉘앙스가 강하다. 반대로 내각제 공화국의 대통령을 농담삼아 '대통령은 이름뿐이고 실제로는 영국 여왕을 대리하는 총독'이라고 하기도 한다.
위에서 언급했듯 총독은 '이론상' 총리를 해임하거나 의회해산을 할 수 있는데, 캐나다에서는 실제로 총독에 의한 의회해산이 2011년에 한 번 있었다. 물론 총독의 독단적인 행동은 아니었고 조기선거를 위해 총리가 총독의 권한을 빌려간 형식이다. 총리 혼자서 의회해산을 행할 수도 있지만 총독에게 의회해산권을 발동하도록 하여 상징성을 얻음으로써 정치적 부담을 조금이라도 덜기 위한 것이다. 호주에서는 과거 1975년에 존 커(John Kerr) 총독이 호주 국민들의 의견을 묻지 않고 독자적으로 고프 휘틀럼 총리를 해임하여 난리가 난 적이 있었다. 호주가 영연방 왕국 중 가장 공화제 논의가 활발하게 일어나는 이유도 이 사건에 연원을 묻는 사람이 있을 정도이다.
총독이라는 지위가 있기는 하나 영연방 왕국은 영국과 평등한 주권을 가진 독립국가이지, 결코 영국의 식민지가 아니다. 총독은 총리나 기타 자문 기구의 추천으로 임명되는 명예직이며, 절대로 영국에서 파견하는 게 아니다. 이들 입장에서 보자면 영국은 자기들의 군주가 사는 지역인 것이다. 물론 식민지 시대에는 영국이 본국 행세를 했고 지금도 영국과 영연방 각국에 그런 의식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지만, 현재로선 동등한 주권국가로서 같은 군주를 국가원수로 내건 것이다. 캐나다나 호주, 뉴질랜드는 영국인들이 이주해 건설한 식민지이기는 하나 19세기 말부터 자치령이 되어 자치를 보장받고 1931년부터 영국과 완전히 동등한 권한을 가진 사실상의 '국가'가 되었다.
이 때문에 엘리자베스 2세는 굳이 영국에 거처하는 것이 아닌, 캐나다호주, 뉴질랜드의 왕으로서 해당 국가로 자신의 거처를 옮겨도 된다. 이 상황에서 새로운 왕궁 역할을 할 궁궐은 현재 총독관저로 사용중이다. 예를 들면 캐나다의 경우에는 오타와리도 홀퀘벡 시티퀘벡 요새가 있다.[5] 오늘날의 영국 외 영연방 왕국들이 영국과의 동군연합을 유지하고 있는 이유는 엘리자베스 2세가 세계에서 위엄이 있다보니, 비록 실권이 없다고해도 엘리자베스 2세를 자신들의 국왕으로 삼는 것이 국가적 이익이 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동군연합을 매개로 다른 영연방 왕국 국가들과 긴밀한 관계를 맺을 수 있다는 점이 강하게 작용하고 있다.
이 때문에 호주에서는 공화제 전환 움직임이 있었으나, 엘리자베스 2세 여왕에 대한 해당국 국민들의 높은 지지 때문에 1999년의 국민 투표에서 왕국의 일원으로 남기로 결정했다. 2008년 투발루, 2009년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에서도 공화제 전환 국민투표가 있었으나 모두 부결되었다.
영연방 왕국 각국의 총독들은 그 나라 의회의 추천을 받아 영국 국왕이 임명장을 하사하는 경우가 많으며, 시대가 흐름에 따라 남성인 영국인이나 영국인의 후손만이 총독을 하던 예전과 달리, 여성, 소수민족, 원주민, 혼혈 등 다양한 출신과 능력을 지닌 사람들이 사회적 배려와 영연방의 다양성을 나타내기 위해 총독 자리에 앉고 있다.
영연방 왕국 중에 내부 구조가 연방제인 나라들은 주와 준주에도 주 총독을 둔다. 캐나다와 호주가 대표적이다. 또 본토와 떨어진 속령이 있는 경우(영국, 호주, 뉴질랜드 등) 각 속령에 대해서도 총독과 유사한 직위를 두어 여왕을 대리하게 하고 있는데 직위 이름은 각각 다르다.
영국 외 영연방 왕국이라고 반드시 총독을 둬야 하는 의무가 있는 건 아니다. 다른 직위명을 써서 여왕의 대리를 맡게 해도 되고, 아예 그런 직위를 없앨 수도 있다. 단지 굳이 그럴 필요가 없으니까 그냥 관례대로 총독을 두고 있는 것일 뿐이다. 영연방 탈퇴 전 아일랜드의 경우가 독특한데, 영연방에 남으면서 대통령도 두고 영국 왕의 지위도 외교 업무에 한해 애매하게 인정하고 있던 시기였던 1937~1949년에는 총독을 따로 안 두고 있었다(그 전신인 아일랜드 자유국 시기에는 있었음). 즉 이 시기 아일랜드는 국왕의 재가 절차가 필요할 경우 대리자 없이 런던에 있는 국왕 조지 6세가 직접 해당 업무를 처리하게 한 것이다. 이 시기에도 어차피 국왕은 명목상 국가원수에 불과했고 실권은 아일랜드 의회에서 뽑힌 총리에 있었기에 특별히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니었다. 그러나 아일랜드는 결국 반영 감정 때문에 1949년에 아일랜드 내에서 영국 국왕의 지위를 완전히 박탈하여 공화국이 되었다. 또 스코틀랜드 자치정부의 집권당인 스코틀랜드 국민당(SNP)은 2014년 주민투표 당시에 독립한다면 엘리자베스 2세가 스코틀랜드의 여왕으로 계속 남되 별도의 총독은 따로 두지 않겠다고 한 바 있다. 이 경우 여왕이 스코틀랜드 국가원수로서 수행해야 하는 모든 업무를 그대로 처리해줘야 한다는 뜻이다. 물론 일단은 주민투표가 부결되면서 이건 현실화되지 않았다.[사실은] 어쨌든 아일랜드의 과거 사례나 스코틀랜드가 독립 시 실시하려고 했던 방식은 이 두 곳이 런던과 물리적 거리가 비교적 가깝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고, 캐나다 등 다른 영연방 왕국들은 거리가 멀고 시차가 많이 나기에 이렇게 하기가 힘들고 반드시 총독이나 기타 다른 방식으로 여왕의 대리인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3. 영연방 왕국에서 국왕의 지위


현 영연방 왕국 각국의 국왕인 엘리자베스 2세의 칭호는 상당히 복잡하다. 영국에서는 "하느님의 은총에 의한, 그레이트브리튼 및 북아일랜드 연합왕국 및 그녀의 다른 왕국들과 영토들의 여왕, 영연방의 수장, 신앙의 수호자 엘리자베스 2세(Elizabeth the Second, by the Grace of God, of the United Kingdom of Great Britain and Northern Ireland and of Her other Realms and Territories Queen,[6] Head of the Commonwealth, Defender of the Faith)"으로 불린다. 여기서 Her other Realms라는 표현이 앞서 언급한 영국을 제외한 다른 영연방 왕국들을 의미하는 표현이다.
하지만 영연방 왕국 각국에서는 이 호칭이 아닌 자신들만의 호칭을 쓰는데, 예를 들면, 호주에서는 "하느님의 은총에 의한, 호주 및 그녀의 다른 왕국들과 영토들의 여왕, 영연방의 수장 엘리자베스 2세(Elizabeth the Second, by the Grace of God Queen of Australia and Her other Realms and Territories, Head of the Commonwealth)"으로 불린다.
대부분의 영연방 왕국들은 국왕의 정식 호칭에 자신들의 국명을 우선 배치하고, 그 뒤에 영연방의 수장임을 나타내는 칭호를 넣는다. 해당 국가들이 독립하기 이전까지는 영국 국왕의 호칭이 우선했으나, 독립을 함에 따라 자신들의 국명을 우선으로 놓게 됐다.
쉽게 얘기해, 국왕의 지위는 호칭을 붙인 해당국의 국왕으로서의 지위가 우선하며, 그 뒤로 타 영연방 왕국들과 영연방의 수장 지위가 따라온다. 따라서 영국 입장에서는 영국 국왕이 호주 국왕과 캐나다 국왕을 겸하고 있는 것이고, 호주 입장에서는 호주 국왕이 영국 국왕과 캐나다 국왕을 겸하고 있는 형태가 현 영연방 왕국 각국에서 바라보는 국왕의 위치이다.
해당 국가들에서 국왕과 국왕의 직계 가족들은 국왕과 왕족으로서 면세 혜택, 시민권 혜택을 누릴 수 있으나, 사실상 순방할 때를 제외하면 별 의미가 없다고 볼 수 있다.
미국 등 영연방 왕국이 아닌 나라에서는 통상적으로 엘리자베스 2세와 그녀의 가족들을 그냥 영국 왕족으로 지칭하기에, 다른 나라 국민들에게는 이들이 영국 외 15개국의 왕족이라는 사실이 쉽사리 잘 인지가 안 된다고 볼 수 있다. 물론 영국을 제외한 15개 영연방 왕국 국민들 중에도 그들을 자국의 왕족이 아닌 다른 나라인 영국의 왕족이라고 인식하는 경우가 많이 있고 이런 경향은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강화되는 편이다.

4. 영연방 왕국 국민들의 이점


1972년 이전까지 영연방 왕국 국민들은 수준 높은 혜택을 누렸다. 우선 영국과 해외속령, 식민지, 영연방 국가들 사이에는 지금의 유럽 연합처럼 국경이 없었고 각 국가의 국민이 서로의 나라에서 거주, 노동, 영주의 자유를 누리며 살았다. 또한 영연방 왕국 국민들은 영국 여권을 신청할 수 있었고, 영국에도 내국인과 비슷한 권리를 부여받으며 생활할 수 있었다. 영연방 국가 중 개발도상국 국가들은 선진국으로 별다른 비자 심사 없이 넘어가서 영주할 수 있어, 이 제도는 큰 호응을 받았다. 그러나 1973년 영국이 유럽 공동체에 가입하면서 이 조약은 파기되었고, 그에 따라 영연방 왕국 국민들에게 부여되는 영주 권한은 사라지게 되었다.[7]
그렇다고 영연방 국민들에게 혜택이 아예 사라진 것은 아니다. 비록 과거에 비하면 초라하기는 하지만, 비영연방권 국민들과는 꽤 차이가 날 정도로 권리는 남아있다. 우선 영연방 왕국 국민들은 '외국인' 으로 분류되지 않으며, BNO 여권이나 영국 해외 여권 소지자들처럼 영연방 국민이라는 별도의 카테고리로 분류된다. 준영국인처럼 취급받는 것. 특히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같은 영연방 선진국들은 비자 없이 6개월간[8] 영국에서 체류할 수 있고, 이 기간동안 학업과 거주, 노동의 자유가 주여진다. 또한 이들이 학생 비자나 취업 비자, 영주권등을 신청하면 그 때부터 영국에서 열리는 모든 선거에 투표권이 주여지고, 학생비자의 경우 CAS 번호를 부여하고 의료보험을 일부 지원해준다. 또한 영국에 워킹홀리데이를 신청할 경우 스폰서 자금과 영어 서류 제출, 결핵 검사 등이 면제된다. 또한 1983년 이전 출생한 사람은 영국 거주권이 있고, 1922년 이전에 아일랜드나 맨 섬, 채널 제도에서 태어난 조부모가 있을 경우 5년간 한시적으로 거주를 허락하는 비자를 발급받을 수 있다.
또한 영연방 국민들은 영국군에 입대하는 것이 가능해졌고, 만약 외국에 자신의 국가 대사관이 없을 경우 영국 대사관 / 영사관으로부터 보호를 받을 수 있다.[9][10] 영국 긴급여권 발급도 가능하다.[11] 단 이는 방문하는 국가에 자신의 나라의 외교공관이 없을 경우에 한정하기에, 보통 영연방 선진국 국가 국민들은 자기들 대사관을 이용하지 영국 대사관에는 가지 않는다. 보통 영연방 개도국 중 외교공관이 타국에 없는 경우 영국 대사관을 찾는 경우가 있다.[12]
그러나 이들은 준영국인으로 분류만 될 뿐, 위에 서술한 부분 이외에는 다른 외국인들과 똑같은 조건을 요구받는다.

5. 영연방 왕국 목록


현재의 영연방 왕국이다.
  • 오세아니아
    • 뉴질랜드(New Zealand proper) 또는 뉴질랜드 왕국(Realm of New Zealand): 주권 국가인 뉴질랜드 본국과, 뉴질랜드가 거느린 속령 및 자유연합 국가들을 총칭하는 용어가 뉴질랜드 왕국이다. 뉴질랜드 국왕/여왕은 뉴질랜드 본국의 군주가 아니라 뉴질랜드 왕국의 군주라는 법적 해석이 있으며, 이에 따라 다른 영연방 왕국과 달리 주권 국가가 아닌 주권 국가와 관련 영토를 총칭하는 상위의 정치적 실체가 통째로 하나의 영연방 왕국이라고 보기도 한다.[13][14]
    • 솔로몬 제도
    • 투발루
    • 파푸아뉴기니: 영국에서 바로 독립한 게 아니라 호주의 속령을 거쳐서 독립했다.
    • 호주

5.1. 과거에 영연방 왕국이었던 국가


헌법 개정, 국민 투표, 군사정변 등으로 공화국으로 전환한 경우이다. 단 뉴펀들랜드의 경우 이웃한 영연방 왕국인 캐나다에 가맹하여 독립국 지위를 잃었기 때문에 이 목록에 들어갔다.
  • 오세아니아
    • 피지 자치령(현 피지 공화국): 1987년에 공화국이 되면서 더 이상 영연방 왕국이 아니지만 2012년까지 영국 여왕을 피지의 비공식적인 '대추장(Paramount Chief)'으로 예우했다.[15]
  • 유럽
    • 몰타국(현 몰타 공화국)
    • 아일랜드 자유국아일랜드: 현재는 영연방 소속 또한 아니다. 참고로 1936년부터 1949년까지는 대외적으로 대표하는 '국왕'(영국 국왕)과 대내적으로 대표하는 '대통령'이 공존하는 정치 구조를 지녔었다. 동시에 이 시기에 총독직은 폐지되었다. 국왕과 대통령의 불안정한 공존은 1949년 완전히 공화국이 되면서 종결되었다.

5.2. 영연방 왕국을 자칭하던 국가


  • 로디지아 - 현 짐바브웨 공화국. 영국령이었던 남로디지아 식민지(Colony of Southern Rhodesia)였으나 현지의 백인 정권이 1965년 로디지아라는 이름으로 일방 독립을 선언하면서 엘리자베스 2세를 자국의 여왕으로 취급하였기 때문에 영연방 왕국을 자칭한 것으로 볼 수 있다. 1970년 공화국이 되면서 영연방 왕국을 더 이상 자칭하지 않았다. 물론 영국과 국제 사회는 영연방 왕국으로서든 공화국으로서든 인정하지 않고 계속 영국령 남로디지아 식민지라고 간주, 백인들이 다수의 흑인들을 무시하고 통치하던 자칭 로디지아 정부를 불법 정권으로 취급해 제재를 가했다. 자세한 역사는 로디지아 문서 참고.
  • 헛리버 공국 - 레너드 캐슬리 공이 엘리자베스 2세의 신하됨을 선포하며 영연방의 일원이 됨을 주장했으나, 현실적으로 다수 영연방 국가들에게 국가 인정을 받지 못하는 초소형 국민체에, 영연방 기구 측에서도 회원국으로 인식하지 않고 있으므로 영연방 국가라고 볼 수 없다. 그러나 몬테비데오 협약에서 국가임을 인정 받았고 여왕의 승인도 받았다. 그리고 호주정부도 관광 수입 등을 위해 헛리버를 홍보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2020년 8월 스스로 해체하고 영토를 호주 정부에 반환하였다.

6. 영연방 왕국 외 영연방의 구성


영연방 문서에 나와있듯, 영연방의 구성국들 중 대다수는 영연방 공화국들이다. 영연방 소속국들 중 자신들이 선출한 대통령이 국가를 위해 봉사하는 공화국들이 이들이다.
영연방 회원국들 중 영연방 왕국이 아닌 국가들이 반드시 공화제 국가인 것은 아니다. 실제로 말레이시아만 해도 술탄을 국가원수로 한 입헌군주제 국가이다. 말레이시아 외에도 자신들의 군주가 자국민들을 위해 봉사하는 왕국들도 영연방에 존재한다.

7. 관련 문서



[1] 렐름(realm)은 상당히 서구 고전적인 개념으로, 확고하게 소속 의식을 가진 하나의 나라라고 보기 어려운 애매모호한 개념이다. 단어 그 자체를 직역할 경우 "영역"이라는 뜻이지만, 주권 개념 등과 결부되면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영역"과 다른 의미로 쓰이는 경우도 많다. 영연방 왕국들은 국왕만 같은 독립국으로, 같은 국가도 아니고 연합체도 아니기 때문에 Kingdom이 아닌 Realm을 쓰게 됐다. 때문에 Realm을 왕국으로 번역한다는 가정 하에서 쓰이고 있는 영연방 왕국이라는 말은 엄밀히는 부정확하지만, 동아시아식으로 Realm을 완벽하게 번역할 말이 없어 왕국이라고 쓰고 있다. 이는 "천상의 왕국(Realm of Heaven)" 등 크리스트교 용어들도 마찬가지.[2] 일본보다 인구가 많다.[3] 이 네 나라를 CANZUK이라고 부른다. 캐나다(C), 호주(A), 뉴질랜드(NZ), 영국(UK)의 머릿글자를 딴 표현이다.[4] 영국과 다른 영연방 왕국 내 구성 지역이나 속령에도 총독에 대응되는 직책이 있고 이들도 보통 한국어로는 똑같이 총독으로 번역되지만, 사실 영문 칭호가 영연방 왕국 각각을 대표하는 총독(governor general)들과 다르다.[5] 영국을 배경으로 하는 창작물들에선 이를 반영해 영국 본토가 막장 상황이 될 땐 영국 왕실이 영연방 국가인 캐나다 등으로 피신하는 경우가 많다. 대표적인 경우가 카이저라이히당신들의 조국.[사실은] 연합왕국이라는 나라는 잉글랜드 왕가의 단절로 인해 스코틀랜드 왕가가 잉글랜드 왕위까지 계승하면서 만들어졌으므로 만약 잉글랜드 왕가가 단절되지 않았다면 현 연합왕국 여왕폐하는 스코틀랜드 여왕일 확률이 매우 높다. 그러므로 실질적으로는 잉글랜드가 본국이지만 정통성만 놓고 보면 스코틀랜드가 본국이다. 그러니 총독을 두면 관계가 매우 이상해진다.[6] 영국에서 쓰는 칭호는 일부러 Queen of ... and ... 식이 아니라 of ... and of ... Queen 식으로 써 Queen을 뒤로 보냈다. Queen의 칭호가 걸리는 나라와 지역을 가리키는 어구가 워낙 길기 때문에 확실하게 '앞에 있는 어구가 전부 Queen이 걸리는 부분'이라고 명시하기 위해 이렇게 도치를 한 것이다. 그리고 of ... and of ... Queen 형태로 of가 두 번 들어간 이유는 and 앞에 언급된 영국의 여왕 칭호가 다른 나라의 여왕 칭호가 별개의 것이라는 것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다. 즉 Queen of the United Kingdom of Great Britain and Northern Ireland와 Queen of Her other Realms and Territories로 나뉘어진다는 뜻이다.[7] 호주와 뉴질랜드는 이 후 따로 협정을 체결하여 두 나라의 국민이 서로의 나라에서 이동, 거주, 노동의 자유를 주도록 하고 있다.[8] 참고로 한국도 협정상으로는 90일이지만 영국에서 일방적으로 180일까지 무비자 체류를 허가해준다. 하지만 영연방 국민들처럼 학업, 거주, 노동의 자유까지는 불가하고 단기 관광 및 출장만 가능하다.[9] 대표적인 예가 북한이다. 북한에서 영연방 국가 국적자들에게 문제가 생기면 평양에 있는 영국 대사관에서 해당 국적자를 보호해준다.[10] 미국 같은 경우는 스웨덴 대사관에서 처리하는 것이 보통이다.[11] 영국 대사관에서 긴급한 업무를 처리해주고 해당 국적자의 외교공관으로 넘기는 경우가 많다.[12] BNO나 해외 시민들은 여권의 발행 국가가 영국임으로 영국 대사관에서 모든 서비스를 처리해준다.[13] 이 점은 다른 영연방 왕국의 경우와 다르다. 예를 들어 호주 연방 본국은 주권국가이고 외부에 해외영토(External Territories)를 거느리고 있지만 뉴질랜드 왕국과 비슷하게 이들을 총칭하는 '호주 왕국' 같은 개념어는 존재하지 않는다. 그래서 호주 연방 본국이 영연방 왕국으로 간주된다. 그리고 옛 뉴질랜드 자치령(Dominion of New Zealand)은 현 뉴질랜드 본국의 전신이 아니라 뉴질랜드 왕국의 전신이라고 해석하는 게 일반적인 듯하다. 이 점 역시 옛 자치령, 현 영연방 왕국들과 여러 모로 다른 모습이다.[14] 이 점 때문에 만약 뉴질랜드가 공화국이 될 경우 뉴질랜드 본국 자체가 공화국으로 이행하느냐, 뉴질랜드 왕국 전체가 통째로 공화국으로 이행되느냐에 따라 뉴질랜드의 속령과 자유연합 국가들의 운명이 바뀔 수 있다고 지적되고 있다.[15] 대추장 자체가 국왕/여왕을 추장이 다스리는 부족들이 거주하는 식민지에서 현지어로 번역한 표현이었다. 식민지 주민들에게 익숙한 추장들 위에 있는 큰 추장이라는 개념으로 인식시키려고 했던 것이다. 그러다가 피지가 군사 쿠데타로 공화국이 되면서 이 표현을 다시 거꾸로 영어로 직역해서 여왕의 비공식 칭호로서 부여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