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국왕

 




[image]
'''그레이트브리튼 및 북아일랜드
연합왕국 국왕

King of the United Kingdom of
Great Britain and Northern Ireland
'''
<colbgcolor=#1353b4> '''현직'''
엘리자베스 알렉산드라 메리
'''취임일'''
1952년 2월 6일
'''지위'''
영국과 영연방 왕국들의 상징적 국가원수
'''관저'''
버킹엄 궁전
1. 개요
2. 권한
2.1. 영국 국교회의 최고통치자
2.2. 영연방의 수장
2.3. 영국군의 통수권자
3. 역대 영국 국왕 목록

[clearfix]

1. 개요


[image]
'''영국 왕실의 문장'''
영국 국왕은 영국군주로, 현 영국의 국가원수이다. 현임 국왕은 윈저 왕조엘리자베스 2세.
또 영국 국왕은 채널 제도맨 섬의 군주(영주)다. 채널 제도맨 섬은 영국령이 아니라 영국 왕실령, 즉 영국왕의 사유지이다. 따라서 영국이 군주제를 폐지해도, 채널 제도맨 섬의 영주로 존재할수 있다.
왕위 계승 서열은 윈저 왕조 문서 참고.

2. 권한



2.1. 영국 국교회의 최고통치자


영국 국왕은 '영국 국교회의 최고통치자(Supreme Governor of the Church of England)'직을 겸한다. 이렇게 국왕이 교회의 최고직위를 겸하기 때문에 영국 국왕은 신앙의 수호자(Defender of the Faith/Fidei Defensor[1])라는 칭호도 가진다.
다만 영국 국왕은 '''영국 국교회'''(Church of England)의 지도자일 뿐 흔히 알려진 것처럼 '''성공회'''(Anglican Communion) 전체의 수장은 아니다. 정확히 말하면 영국 국교회가 성공회 아래에 속해있는데 성공회 전체의 수장은 영국 국왕이 아닌 캔터베리 대주교이다.

2.2. 영연방의 수장


영국 국왕은 영연방의 수장(Head of the Commonwealth)이다. 다만 상징일 뿐이고 실질적인 업무는 영연방 사무총장이 처리한다.
영연방 소속의 53개국들 중에는 영국과 동군연합 상태인 영연방 왕국 16개국(영국 포함)이 있기 때문에 영국 국왕은 영국 이외에도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파푸아뉴기니, 자메이카 등 15개 나라들의 군주 자리들을 동시에 겸임하게 된다.
그러나 영연방 왕국에 속한 나라들은 영국의 식민지가 아니라 엄연한 독립국이기 때문에 호주뉴질랜드와 같은 영국 이외의 영연방 왕국 국가들이 '영국 국왕을 군주로 모신다'라고 하면 틀린 말이 된다. 예를 들어 현재 재위하고 있는 엘리자베스 2세의 영국 내에서의 공식 칭호는 영국 여왕이지만 호주 내에서의 공식 칭호는 호주 여왕으로 군주의 공식 칭호에 영국이라는 단어 자체가 없고[2] 뉴질랜드도 마찬가지로 국내에서 엘리자베스 2세의 공식 칭호가 뉴질랜드 여왕이기 때문.[3] 다만 영연방 왕국들 중에서 캐나다(#)와 그레나다 둘만은 예외적으로 정부의 공식 칭호로는 각각 '영국과 캐나다의 여왕', '영국과 그레나다의 여왕'이라고 칭하고 있다.

2.3. 영국군의 통수권자


영국 국왕은 영국군통수권자이기도 하고 또한 캐나다군의 통수권자와 뉴질랜드군의 명예수장(Head of the New Zealand Defence Force)도 겸임한다. 다만 명예수장과는 별개로 뉴질랜드군의 통수권은 총독이 갖는다. 호주영연방 왕국 소속 국가이지만 호주군의 통수권자는 국왕이 아닌 호주 총독이다. 다만 호주군의 일부 부대들은 개별적으로 영국 국왕을 명예연대장(Colonel-in-Chief)으로 예우하고 있다.

3. 역대 영국 국왕 목록



3.1. 잉글랜드 왕국스코틀랜드 왕국동군연합



<rowcolor=#fff> '''이름'''
'''왕조'''
'''재위 기간'''
'''권리'''
'''비고'''
제임스 1세
스튜어트
1603 ~ 1625

[4]
찰스 1세
스튜어트
1625 ~ 1649
제임스 1세의 차남[5]
[6]
공위시대(Interregnum)
1649 ~ 1660

[7]
찰스 2세
스튜어트
1660 ~ 1686
찰스 1세의 차남[8]
[9]
제임스 2세
스튜어트
1685 ~ 1688
찰스 1세의 3남
[10]
메리 2세
스튜어트
1689 ~ 1694
제임스 2세의 장녀
[11]
윌리엄 3세
오라녜
1689 ~ 1702
찰스 1세의 외손자[12]
[13]

스튜어트
1702 ~ 1714
제임스 2세의 차녀
[14]

3.1.1. 잉글랜드 연방


잉글랜드 연방(Commonwealth of England)이 세워진 곳은 잉글랜드인데, 언약도 성립에 따라 스코틀랜드와 아일랜드도 흡수해 모두 호국경을 국가지도자로 옹립하고 국호도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및 아일랜드 연방(Commonwealth of England, Scotland and Ireland)'이 되었다. 이들은 엄밀히 말하면 이 아닌 호국경으로서 통치했으나 정보 전달을 위해 본 문서에 같이 기재한다.
<rowcolor=#fff> '''이름'''
'''재위 기간'''
'''비고'''
올리버 크롬웰
1653 ~ 1658

리처드 크롬웰
1658 ~ 1659


3.2. 그레이트브리튼 아일랜드 연합왕국, 영국


제임스 1세 이후 동군연합이 성립되어 잉글랜드 왕이 스코틀랜드 왕을 겸임했지만 잉글랜드 왕국스코틀랜드 왕국이라는 국가들은 별개로 존재하고 있었고 각각 정부가 따로 있었다. 하지만 1707년부터 법적으로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가 합쳐져 한 나라인 '그레이트브리튼 왕국(Kingdom of Great Britain)'이 되었고, 1801년 아일랜드 왕국까지 합병하여 '그레이트브리튼 아일랜드 연합왕국(United Kingdom of Great Britain and Ireland)'이 되었다가 1922년 아일랜드 일부가 아일랜드 자유국으로 떨어져나가 '그레이트브리튼 및 북아일랜드 연합왕국(United Kingdom of Great Britain and Northern Ireland)'으로 국호를 바꾸고 현재에 이르고 있다.
<rowcolor=#fff> '''이름'''
'''왕조'''
'''재위 기간'''
'''권리'''
'''비고'''
[image]
[image]
''''''
Anne
(1665 ~ 1714)
스튜어트
1702년 3월 8일 ~ 1714년 8월 1일
(12년 146일)
제임스 2세의 차녀[15]

[image]
[image]
'''조지 1세'''
George I
조지 루이
(1660 ~ 1727)
하노버
1714년 8월 1일 ~ 1727년 6월 11일
(12년 318일)
제임스 1세의 증손자[16]

[image]
[image]
'''조지 2세'''
George II
조지 어거스터스
(1683 ~ 1760)
1727년 6월 11일 ~ 1760년 10월 25일
(33년 146일)
조지 1세의 장남

[image]
[image]
'''조지 3세'''
George III
조지 윌리엄 프레더릭
(1738 ~ 1820)
1760년 10월 25일 ~ 1820년 1월 29일
(59년 110일)
조지 2세의 손자[17]
[18][19]
[image]
[image]
'''조지 4세'''
George IV
조지 오거스터스 프레더릭
(1762 ~ 1830)
1820년 1월 29일 ~ 1830년 6월 26일
(10년 152일)
조지 3세의 장남

[image]
[image]
'''윌리엄 4세'''
William IV
윌리엄 헨리
(1765 ~ 1837)
1830년 6월 26일 ~ 1837년 6월 20일
(6년 359일)
조지 3세의 3남[20]
[21]
[image]
[image]
'''빅토리아'''
Victoria
알렉산드리나 빅토리아
(1819 ~ 1901)
1837년 6월 20일 ~ 1901년 01월 22일
(63년 216일)
조지 3세의 손녀[22]

[image]
[image]
'''에드워드 7세'''
Edward VII
앨버트 에드워드
(1841 ~ 1910)
작센코부르크고타
1901년 1월 22일 ~ 1910년 5월 6일
(9년 104일)
빅토리아의 장남

[image]
[image]
'''조지 5세'''
George V
조지 프레더릭 어니스트 앨버트
(1865 ~ 1936)
1910년 5월 6일 ~ 1936년 1월 20일
(25년 259일)
에드워드 7세의 차남[23]
[24][25]
윈저
[image]
[image]
'''에드워드 8세'''
Edward VIII
에드워드 앨버트 크리스천 조지
앤드루 패트릭 데이비드

(1894 ~ 1972)
1936년 1월 20일 ~ 1936년 12월 11일
(327일)
조지 5세의 장남
[26]
[image]
[image]
'''조지 6세'''
George VI
앨버트 프레데릭 아서 조지
(1895 ~ 1952)
1936년 12월 11일 ~ 1952년 2월 6일
(15년 61일)
조지 5세의 차남[27]
[28]
[image]
[image]
'''엘리자베스 2세'''
Elizabeth II
엘리자베스 알렉산드라 메리
(1926 ~ )
1952년 2월 6일 ~ 현재
조지 6세의 장녀
[29]

[1] 헨리 8세가 교황 레오 10세에게 받은 칭호[2] 호주도 1973년 이전까지는 캐나다와 마찬가지로 '영국과 호주의 여왕'이란 칭호를 썼으나 1973년에 독자성을 강화하기 위해서 칭호에서 영국이란 단어를 빼버렸다.[3] 호주와 마찬가지로 1974년 여왕의 칭호에서 영국이란 단어를 빼버렸다.(Royal Titles Act 1974)[4] 스코틀랜드에서는 제임스 6세[5] 형은 요절[6] 청교도 혁명으로 인해 폐위되어 처형됨[7] 영국에서 찰스 1세 처형 후 찰스 2세가 복위하기 전까지 기간을 일컫는 말.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잉글랜드 연방 단락 참조.[8] 형은 요절. 사실상 장남.[9] 왕정복고[10] 명예혁명으로 폐위됨. 스코틀랜드에서는 제임스 7세.[11] 윌리엄 3세와 공동으로 재위[12] 동시에 메리 2세의 남편. 명예혁명으로 메리 2세와 함께 추대됨.[13] 1694년까지는 메리 2세와 공동으로 재위. 스코틀랜드에서는 윌리엄 2세.[14] 1707년 연합법 발효 이후로는 그레이트브리튼의 여왕으로서 통치[15] 메리 2세의 동생.[16] 정확히는 제임스 1세의 딸, 엘리자베스 - 엘리자베스의 딸, 조피(소피아) - 조피의 아들이다. 조지 1세보다 앤 여왕과 더 가까운 왕족들이 50여명 있었지만, 모두 가톨릭이라서 조지 1세가 이어받았다.[17] 조지 2세의 장남 프레데릭이 사망하여, 프레데릭의 아들인 조지가 물려받음.[18] 1801년부로 "그레이트 브리튼 및 아일랜드 연합왕국"[19] 역대 영국의 남성 군주 중에서 최장수, 최장 재위 군주.[20] 조지 4세의 동생. 조지 4세의 딸과 둘째 형은 사망.[21] 영국-하노버 동군연합의 마지막 군주 또한 최고령에 즉위한 국왕(즉위할 당시 65세).[22] 윌리엄 4세의 조카. 조지 3세의 4남 에드워드의 딸. 윌리엄 4세의 두 딸이 요절.[23]앨버트는 독감으로 사망[24] 작센코부르크고타에서 개칭, 1922년부로 "그레이트 브리튼 및 북아일랜드 연합왕국"[25] 둘이 외가쪽으로 사촌형제라서 그런지 러시아 제국니콜라이 2세와는 일란성 쌍둥이 수준으로 외모가 동일하다.[26] 결혼을 위해 양위.[27] 에드워드 8세의 동생. 형으로부터 양위 받음.[28] 튜더 왕조 이후 최초로 내국인과 결혼.[29] 현재 기준 영국 국왕 중 최장 재위 및 최장수 국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