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경궁 자경전

 






[image]
동궐도》 자경전
1. 소개
2. 역사
3. 구조


1. 소개


昌慶宮 慈慶殿
창경궁의 대비전이다. ‘자경(慈慶)’ 뜻은 ‘자친(慈親), 즉 (왕의) 어머니가 복(慶)을 누린다’이다.# 훗날 고종 시기 대왕대비 신정왕후 조씨의 처소로 지은 경복궁 자경전도 여기서 이름을 땄다.

2. 역사


1777년(정조 1년) 정조가 어머니 혜경궁 홍씨를 위해 지었다. 위치는 양화당 북쪽의 언덕이었다. 왜 높은 곳에 지었는 지는 모르나 두 가지 의견이 있다. 첫째는 혜경궁이 사도세자사당경모궁을 바라볼 수 있게 하려던 것이고, 둘째, 창덕궁과 가까우면서도 편하게 갈 수 있는 곳에 지었다는 것이다. 창덕궁창경궁 지대의 높이 차이가 꽤 나서[1] 창덕궁에 살던 정조가 원래 혜경궁이 머물던 창경궁 경춘전으로 일일이 문안가려면 꽤 높은 계단을 이용하거나 한참을 돌아가야 했기 때문이다.#
첫 이름은 자경당(慈慶堂)이었다. 공식적으로 혜경궁 홍씨임금숙모이자[2], 왕이 되지 못한 전(前) 세자일 뿐이라 ‘전(殿)’[3]을 쓸 수 없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정조는 혜경궁을 자신의 생모로서 극진히 대접했기에 사람들도 처소의 이름을 자경전으로 불렀고 1778년(정조 2년)부터는 공식적으로도 자경전으로 언급했다.##
창경궁에서 제일 높은 곳에 있다는 위치도 그렇고, 규모도 그렇고, 무엇보다 사는 사람이 사람이니만큼 건물의 위상은 굉장히 높았다. 혜경궁의 손자 순조가 훗날 지은 《자경전기》에 따르면 창경궁에서 위상이 법전, 즉 궁궐에서 제일 중요한 전각과 같다고 했다.
1780년(정조 4년)에는 화빈 윤씨의 가례를 여기서 올렸다. # 혜경궁은 이곳에서 계속 살다가 순조가 즉위한 후인 1802년(순조 2년)에 경춘전으로 옮기고 14년을 더 살다가 1816년(순조 16년) 1월에 세상을 떠났다. 혜경궁이 나온 뒤엔 왕대비 김씨(효의왕후)가 살았고 1821년(순조 21년) 여기서 승하했다. 1827년부터 1830년까지, 효명세자대리청정 하던 시기에는 이 곳에서 순조에게 존호를 올리고, 순조 부부생일을 축하하며, 즉위를 기념하는 잔치를 열었다.### 이 때 연회공간으로 사용하면서 건물을 증축했다.
1865년(고종 2년) 경복궁 중건 때 헐어서 자미당[4]으로 지었다. 이후 다시 짓지 않았다.
[image]
제실박물관 시절의 모습
[image]
장서각 시절의 모습
1909년(융희 3년)에 자경전 터 옆에 제실박물관을 지었다. 일제강점기에는 이왕가 박물관으로 바꾸었으며 박물관을 덕수궁으로 옮긴 1937년부터 장서각[5]으로 활용했다. 해방 이후 1981년에 장서각의 보관 문서 전부를 한국정신문화연구원으로 옮긴 후 빈 건물로 방치했다가 1992년 11월에 철거했다. 현재는 빈 터이며 자경전 터라는 표지판만 있다.
[image]
자경전 터

3. 구조


※ 현재 남아있지 않지만, 옛 기록이나 그림들로 모습을 유추할 수 있다.
  • 1827년에 제작한 《진작정계의궤》와 1829년에 제작한 《기축진찬의궤》에서 묘사한 모습이 다르다. 위에 언급했듯, 연회공간으로 쓰면서 증축했기 때문이다.
[image]
[image]
《진작정계의궤》의 《자경전도》
《기축진찬의궤》의 《자경전도》
  • 창건 당시부터 1827년까지 자경전의 모습을 보면, 정면 5칸으로 동, 서, 남쪽에 행각을 두고 자경전 본채와 연결시켜 ‘ㅁ’자 형태를 띄게 했다. 소맷돌이 없는 3개의 계단을 중앙에 놓았다. 지붕은 팔작지붕이다.
  • 1827년에서 1829년 사이에 증축한 모습은 《동궐도》에서 볼 수 있다. 이전과 크게 달라지진 않았으나 정면 7칸, 측면 3칸으로 더 넓어졌다. 중앙의 3칸을 대청으로 두고 앞, 뒤로 툇간을 두었으며 대청 양 옆의 온돌로 두었다. 그리고 서남쪽으로 2칸의 방을 덧대었으며 동쪽 칸의 외부는 가퇴를 두고 나무 기둥으로 받쳤는데 가퇴의 외면에는 이나 을 두지 않았다. 그리고 건물 전면에 월대를 두어 위엄을 돋보임과 동시에 여러 행사를 하기 편하게 했다. 계단도 전과 같은데 새 건물의 경우, 정면의 서남쪽에도 계단이 보인다. 각도 상 보이지 않으나 정황 상 동남쪽에도 계단이 있었던 듯 하다. 이 외에는 전과 크게 다르지 않다.


[1] 창덕궁이 높고 창경궁이 낮다.[2] 임오화변 이후 영조정조사도세자효장세자양자로 입적시켰기 때문에 정조의 법적 어머니는 현빈 조씨(효순왕후로 추증)였다.[3] 건물의 이름도 위계가 있었다. 제일 높은 것이 ‘전(殿)’이었다. 임금과, 왕비, 상왕대비만 쓸 수 있었다. 세자도 원칙적으로는 못쓰는데 경희궁 승휘전, 창경궁 저승전 같이 아주 용례가 없는 것은 아니었다.[4] 위치는 경복궁 교태전경복궁 자경전 사이이다.[5] 왕실 문서 자료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