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 S. 루이스
[clearfix]
1. 개요
영국의 소설가이자 기독교 변증가.[2]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철학과 르네상스 문학을 가르쳤다.
2. 생애
북아일랜드의 벨파스트에서 태어났다. 그의 가까운 친구에게는 잭(Jack)이라는 이름으로 불렸다. 어머니의 사망을 계기로 15세부터 무신론자가 되기도 했지만[3][4] , 가톨릭 신자인 톨킨과 다른 친구들의 영향으로 30세 때인 1929년 성공회 신앙을 받아들여 성공회 성삼위(holy trinity) 교회에서 평생 신앙생활을 하였다.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문학과 철학 동아리인 '''잉클링스'''의 멤버였으며, 《반지의 제왕》의 저자인 J. R. R. 톨킨과 우정을 유지했다. 그는 개신교, 가톨릭 등 기독교 교파를 초월한 기독교의 교리를 설명한 기독교 변증[5] 과 소설, 특히 후에 영화화 된 나니아 연대기로 유명하다
언론으로부터 <20세기 최고의 기독교 변증론자>라는 찬사를 받았고,[6] 뛰어난 필력으로 인간의 본성과 기독교 신앙에 대한 깊은 통찰을 보여주었다. 알리스터 맥그래스나 제임스 패커, 존 스토트, 팀 켈러 같은 복음주의권 신학자나 목회자들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3. 기독교 신앙
"기독교가 인간이라는 기계의 전체 설계도라면 이런 일이 벌어지는 게 당연합니다. 우리 모두는 각기 다른 방식으로 그 설계도에서 이탈했고, 원래 설계도를 변경한 자신의 설계도야말로 진짜라고 믿고 싶어합니다. 그러므로 진정한 기독교적인 것에는 이런 반응이 거듭 나타날 것입니다. 즉 누구나 거기(기독교)에서 끌리는 부분을 발견하지만, 오직 그 부분만을 골라낸 뒤 나머지는 버리고 싶어합니다. 이것이 우리가 앞으로 더 나아가지 못하는 이유입니다. 또한 정반대의 주장을 펴는 사람들이 '''자신이야말로 기독교를 옹호하기 위해 싸운다'''고 말할 수 있는 이유이기도 합니다."[7]
청년 시절 그는 기독교를 믿지 않으려고 애썼고, 기독교를 받아들인 뒤에도 한동안 성찬식만 참여할 정도로 기독교 예식 전반에 대한 거부감이 있었다. 말년에는 싫어하던 찬송에 대해서도 경의를 표하게 되었다고.요즘에 어떤 이들은 자선이 필요없는 사회를 만들어야 하며, 가난한 이들에게 무엇을 주기보다는 그런 가난한 자들이 없는 사회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합니다. 그것은 그야말로 옳은 말입니다. 그러나 그렇기 때문에 지금 가난한 자에게 주지 않아도 좋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있다면, 그는 모든 기독교의 도덕과 결별하는 것과 같습니다.[8]
루이스의 핵심적인 기독교관은 '''기독교의 범주를 엄격하게 구분해야겠지만, 그 안에 속하는 여러 교파들간의 차이는 기독교와 비기독교 사이의 차이에 비하면 미미하다''' 정도. 덕분에 루이스는 기독교로 회심하는 과정에서 엄청난 갈등과 고뇌를 느껴야 했는데, 모더니즘적인 그의 성격상, 기독교에 투신한다는 것은 '''삶의 양식을 뜯어고쳐야 한다'''는 것을 의미했기 때문이다. 반면에 성공회 내의 저교회파/고교회파간 차이, 여러 개신교 종파간의 차이, 가톨릭과 동방정교, 신교 계열의 차이 같은 것들은 비교적 사소한 것으로 여겼다. 어차피 자세한 교리에 있어서 의견이 다른 것은 부차적인 문제이고, '성부와 성령과 함께 한 분 하나님이신 예수를 구세주로 고백한다'는 기독교의 핵심 교리를 받아들이냐 마느냐'가 진짜 문제라고 생각했던 것이다. 본인은 만년까지 가톨릭 신도가 아니었지만, '가톨릭 신자들이 성모 마리아 교리에 대한 비판을 들었을 때 일면 기사도적인 분노를 느끼게 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다' 정도로 유한 언급을 하기도 했다. 루이스의 입장에서는 결국 기독교 내 여러 분파들은 '''기독교라는 같은 건물에 입주한 여러 세대의 다른 가정들''' 정도였기 때문.
<순전한 기독교>는 이러한 루이스의 기독교관을 잘 드러내는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예수가 잘난 인간이라면 모를까 초월적인 구세주라고 하기는 그렇다'는 논리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선을 긋고 반대하고 있다. '예수를 구세주로 받아들이든지, 미친 놈 취급하든지 자유지만 '''그 중간은 없다''''는 단호한 입장.
"유대인 가운데 한 남자가 갑자기 나타나 '''하느님으로 자처하며 다니기 시작한 것입니다. 그는 자신에게 사람들의 죄를 용서해 줄 권한이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리고 자기가 전부터 항상 존재해 왔다고 했습니다. 또 마지막 날 다시 와서 세상을 심판하겠다고 했습니다.''' 여기에서 우리가 분명히 짚고 넘어가야 할 점이 있습니다. 힌두교인 같은 범신론자라면 얼마든지 자기가 신의 일부라고 말하거나 신과 하나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그러니까 그런 사람들한테는 이 말이 하등 이상하게 들리지 않을 수 있지요. 그러나 이 사람은 유대인이었고, 따라서 그가 말하는 하느님은 그런 범신론적인 신이 아니었습니다. (중략) '''이 점을 생각한다면, 이 사람의 말이야말로 인간의 입에서 나올 수 있는 가장 충격적인 말임을 알 수 있을 것입니다.''' 그의 주장 중에 이제는 우리 귀에 너무 익은 나머지 무심코 흘려듣는 말이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죄를 용서해 준다'''는 말, 그 어떤 죄라도 용서해 준다는 말입니다. 이 말을 한 사람이 하느님이 아니라면, '''이것이야말로 웃음이 나올 정도로 황당무계한 말'''이 아닐 수 없습니다. 우리가 알다시피 용서라는 것은 해를 입은 사람이 해를 끼친 사람에게 베푸는 것입니다. 즉 여러분이 제 발을 밟았을 때, 제 돈을 훔쳤을 때 제가 여러분을 용서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자기 발을 밟히지도 않았고 자기 돈을 도난당하지도 않았으면서 다른 사람의 발을 밟고 돈을 훔친 당신의 죄를 용서해 주겠다고 선언하는 사람'''이 있다면, 과연 어떻게 생각해야 할까요? 그것은 아무리 부드럽게 표현한다 해도 '''얼간이 짓'''이라고 말할 수 밖에 없는 행동입니다. 그런데 예수가 바로 그런 행동을 한 것입니다. 그는 사람들에게 그들의 죄가 용서받았다고 선언했으며, 그들의 죄에 피해를 입은 이들의 의견을 구하지 않았습니다. 그는 '''일말의 망설임도 없이 스스로 가장 큰 피해를 입은 당사자'''인 양 행동했습니다. 이것은 그가 '''정말 하느님일 경우에만 이해할 수 있는 행동'''입니다. 모든 죄는 '''하느님의 법을 깨뜨리며 그의 사랑에 상처를 입히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하느님이 아닌 존재가 이런 말을 했다면, 역사에 등장했던 그 어떤 인물보다 '''우스꽝스럽고 자만에 찬 짓'''을 했다고 볼 수 밖에 없습니다. 그러나 문제는(이것은 이상하고도 의미심장한 사실인데) 예수를 반대하는 사람들조차 복음서를 읽을 때 그에게서 우스꽝스럽거나 자만심에 차 있다는 인상은 받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물론 편견 없이 복음서를 읽는 사람들은 두말 할 나위가 없지요. 예수는 스스로 "나는 온유하고 겸손하다"고 했고(마태오 복음서 11장 29절), 우리는 그의 말을 믿습니다. 그러면서도 그가 인간에 불과할 경우, 온유나 겸손과는 아주 거리가 멀다고 해야 할 말들을 자주 했다는 사실은 알아채지 못하지요.
제가 이런 말을 하는 것은 "나는 예수를 위대한 도덕적 스승으로는 기꺼이 받아들이지만, 자신이 하느님이라는 주장만큼은 받아들일 수 없다."는 어리석기 짝이 없는 말을 그 누구도 못 하게 하기 위해서입니다. 우리는 이런 말을 할 수 없습니다. 인간에 불과한 사람이 예수와 같은 주장을 했다면, '''그는 결코 위대한 도덕적 스승이 될 수 없습니다.''' 그는 정신병자-자신을 삶은 계란이라고 말하는 사람과 수준이 똑같은 정신병자-거나, 아니면 지옥의 악마일 것입니다.
다만 이 논리는 기본적으로 기독교의 성경, 그 중에서도 예수의 언행을 다룬 복음서가 논리적으로 일관성이 있으며 신뢰할 만한 사실에 대한 기록이라는 점을 전제할 때 유효성을 얻는다. 예를 들어서 무슬림들은 복음서를 믿지 않는다. 그렇지 않을 경우 자신들의 종교 서적을 바탕으로 그 서적의 신뢰성을 부정하는 사람들에게 '''예수가 미친놈인지 구세주인지 선택하라'''고 강요하는 부당한 흑백논리의 오류를 범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 점은 리처드 도킨스나 크리스토퍼 히친스 같은 유명 무신론 인사들에게 통렬히 비판을 받기도 했다.[9]이제 여러분은 선택을 해야 합니다. '''이 사람은 하느님의 아들이었고, 지금도 하느님의 아들입니다. 그게 아니라면 미치광이거나 그보다 못한 인간입니다.''' 당신은 그를 바보로 여겨 입을 틀어 막을 수 있고, 악마로 여겨 침을 뱉고 죽일 수도 있습니다. 아니면 그의 발 앞에 엎드려 하느님이요 주님으로 부를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위대한 인류의 스승이니 어쩌니 하는 선심성 헛소리에는 편승하지 맙시다. '''그는 우리에게 그럴 여지를 주지 않았습니다. 그에게는 그럴 여지를 줄 생각이 처음부터 없었습니다.'''
그의 주장은 기독교 대 외부세계가 아니라 기독교 내적으로 보다 유의미한데, 논리적으로 볼 때 '''복음서의 내용을 취사 선택해서 받아들이는 신앙관'''에 대해 매우 강력한 반론이 되기 때문이다. 복음서의 내용에 따라 예수를 뛰어난 인간으로 인정하지만 삼위일체의 하나님이자 인류의 구세주로 받아들이는 건 좀 후대의 오바가 아닌가, 하는 식의 기독교 내적인 절충주의에 대해 루이스가 가하는 비판이 바로 저것인 셈. 해당 구절이 등장하는 저서 <순전한 기독교>의 목표는 무수한 종파로 나뉘어진 기독교의 공통적 본질을 제시하는 것에 있기 때문에, 그리스도론을 부정하는 절충주의를 기독교의 범주에 포함시킬 수 없다는 통찰을 주장의 형태로 제시한 것이 바로 위 제시문의 목표라고 할 수 있다. 당연하지만 기독교 신자가 아닌 사람들을 납득시키기에는 주장의 전제부터 공격의 대상이 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좌우지간 루이스의 저서에서 인간성에 대한 흥미 있는 통찰이나 근본주의 기독교와 운동화된 기독교 등에 대한 날카로운 풍자를 찾아볼 수 있는 것은 사실이다. 또 성공회의 오랜 대립 문제인 고교회파와 저교회파에 대해서도 어느 한편에 서지 않았다. 말년에 상당히 가톨릭에 호의적인 태도로 있었다는 평가도 많고, 실제로 가톨릭계 서적들에서도 자주 인용되는 인물.
진화론을 자신의 신앙과 융합시키려고 시도했던 그의 어록을 여기 잠깐 인용해 보자.교만의 반대편에 선 미덕은 겸손이다. 겸손을 배우고 싶어 하는 사람이 있다면 '사람은 누구나 교만하다'는 사실을 깨닫는 것이 겸손의 첫 단계라 말해주고 싶다. 적어도 이 단계를 밟기 전에는 그 어떤 일도 일어나지 않는다. 만일 자신이 교만하지 않다고 생각한다면 그것이야 말로 가장 큰 교만이다.
순전한 기독교 (라디오 방송 편집본)
루이스는 '기독교'의 범주를 정하는 데 있어서는 완강한 편이었고 스스로 신앙을 가질지 판단하는 여부에서도 엄격했지만, 기독교 안으로 들어온 뒤로는 기독교 바깥의 사상이나 과학적 연구 등에는 상당히 열린 자세를 유지했다. 가령 외우주에 인류와 별도의 문명이 존재한다면 '''그들에게는 그들을 위한 그리스도가 있었을지도 모르지만 아무튼 그건 우리가 아직 모르는 일이다'''라는 정도의 주장을 하기도. 무분별하게 그의 발언을 인용하여 어거지를 쓰는 일부 기독교인들에 비하면 대인배적인 면에서 한참 윗길에 있다고 하겠다."...신은 동물의 형상을 완성했고, 그것은 장차 인간의 매개체가 되고 신의 형상이 될 것이었다. (중략) 그러나 그것은 동물일 뿐이었다. 모든 물리적, 정신적 과정이 물질적이고 자연적인 것들만을 목표로 삼았기 때문이다. 그리고 한참 시간이 흐른 뒤에 신은 이 유기체의 심리와 생리에 '나' 라고 하는 새로운 의식을 심어주었는데, 그 의식은 스스로를 객관적으로 볼 수 있으며, 신을 알고, 진실과 아름다움과 선을 판단할 수 있으며, 시간 너머에 존재하면서 흘러가는 시간을 감지할 수 있는 인식이었다... (중략)
...우리는 신이 이런 창조물을 얼마나 많이 만들었는지, 이들이 얼마나 오랫동안 천국 같은 상태를 지속했는지 알 수 없다. 그러나 이들은 머잖아 끝이 났다. 누군가는 또는 무언가는 자기들이 신이 될 수 있다고 속삭이기도 했다. (중략) 이들은 신을 향해 "이건 우리 일이지 당신의 일이 아니오" 라고 말할 우주 어딘가의 후미진 곳을 원했다. 그러나 그런 후미진 곳은 없다. 이들은 명사가 되고 싶었지만 단지 형용사에 머물렀고 앞으로도 영원히 그러할 것이다. 우리는 그 자기모순의 불가능한 소망이 어떤 행위에서 또는 일련의 행위들에서 표출되었는지 알 길이 없다. 내가 알 수 있는 것이라고는, 그 소망은 아마도 열매를 말 그대로 먹는 행위와 관련이 있었는지 모르겠지만, 그 문제는 전혀 중요하지 않다..."
C.S.Lewis (F.Collins, pp.210~211에서 재인용)
4. 작품
4.1. 나니아 연대기
- 사자와 마녀와 옷장(The Lion, The Witch, and the Wardrobe)
- 캐스피언 왕자(Prince Caspian)
- 새벽 출정호의 항해(The Voyage of the Dawn Treader)
- 은의자(The Silver Chair)
- 말과 소년(The Horse and his boy)
- 마법사의 조카(The Magician's Nephew)
- 최후의 전투(The Last Battle)
4.2. 기독교 관련
- 스크루테이프의 편지 (The Screwtape Letters)[10]
- 순전한 기독교 (Mere Christianity)
- 고통의 문제 (The Problem of Pain)
- 천국과 지옥의 이혼 (The Great Divorce, 픽션)
- 영광의 무게 (The Weight of Glory)
- 예기치 못한 기쁨 (Surprised by Joy)
- 시편 사색
- 네 가지 사랑 (The Four Loves)
- 헤아려 본 슬픔 (A Grief Observed)
- 기적 (Miracles)
- 피고석의 하나님 (God in the Dock)
- 기독교적 숙고 (Christian Reflections)
4.3. 그 외
- 순례자의 귀환[11]
- 우리가 얼굴을 찾을 때 까지 (Till We Have Faces)
- 우주(Space) 3부작[12] - 침묵의 행성 밖에서(Out of the Silent Planet), 페렐란드라(Perelandra)[13] , 그 가공할 힘(That Hideous Strength)
- 인간 폐지 (The Abolition of Man)
- 세상의 마지막 밤
- 당신의 벗, 루이스 (Yours, Jack)
- 루이스가 나니아의 아이들에게 (Letters to Children)
- 루이스가 메리에게 (Letters to an American Lady)
- 오독 (An Experiment in Criticism)
- 실낙원 서문
4.4. 루이스에 대한 전기물
아래 책들은 C. S. 루이스가 쓴 책이 아니라 다른 사람들의 손으로 쓰여진 루이스의 전기이다.
- 루이스와 잭(Jack : A Life of C.S.Lewis) -George Sayer 저
- 루이스 VS 프로이트 (C.S. Lewis and S. Freud) -Armand M. Nicholi, Jr. 저
- 루이스와 쉐퍼의 대화 (C. S. Lewis and Francis Schaeffer) -Scott R. Burson 저
- 루이스와 톨킨 (Tolkien and C. S. Lewis) -Colin Duriez 저
- C. S. 루이스 (C. S. LEWIS) -Alister E. McGrath 저
- C. S. 루이스와 점심을 먹는다면 (If I Had Lunch with C. S. Lewis) -Alister E. McGrath 저
- C. S. 루이스 그의 삶 그의 세계 -더글라스 길버트, 클라이드 S. 킬비 편저
- C. S. 루이스의 순전한 교육 (Mere Education) -마크 파이크 저
- C. S. 루이스와 함께한 하루 (Conversations with C. S. Lewis) -Robert Velarde 저
- C. S. 루이스의 생애 -Devin Brown 저
- C. S. 루이스가 말하는 천국과 지옥 (Beyond the Shadowlands) -Wayne Martindale 저
- C. S 루이스를 통해 본 일곱가지 치명적인 죄악과 도덕 (C.S Lewis Vice & Morality) -Gerard Reed 저
- 순결한 영혼의 순례자 C.S. 루이스 -캐서린 스위프트 저
- C. S. 루이스 삶과 사랑 -샘 웰만 저
- C. S. 루이스가 일생을 통해 씨름했던 것들 -Louis A. Markos 저
- C. S. 루이스를 통해 본 거룩한 삶 -제럴드 리드 저
- C. S. 루이스의 기독교 세계 -클라이드 S. 킬비 저
- C. S. 루이스와 나니아 나라 이야기 (Into the wardrobe C.S. Lewis and the Narnia) -David C. Downing 저
- 반항적인 회심자 C. S. 루이스 (C.S. Lewis's Journey to Faith The Most Reluctant Convert) -David C. Downing 저
- 작은 그리스도 C. S. 루이스 (C.S.Lewis Life at the Center) -페리 브램릿 저
- C. S. 루이스와 기독교 세계로 -캐스린 린즈쿡 저
- 나니아 연대기의 작가 C. S. 루이스 -이지영, 김찬영 저
- 본향으로의 여정 (C. S. 루이스가 안내하는 순례자의 길) -박성일 저
- C. S. 루이스가 만난 그리스도 -박성일 저
5. 여담
제1차 세계 대전에서 그의 친구 J. R. R. 톨킨처럼 영국군 장교로 참전한 바 있다.[14] 참호전의 와중에 부상을 입어 우울증에 시달렸지만, 이런 경험이 스크루테이프의 편지 등에도 반영되어 있다. '전쟁은 되려 인간이 신에 가까워 질 수 있는 곳'이기에, 전쟁이 일어난다고 좋아할 필요가 없다는 고참 악마의 논리가 대표적이다.
톨킨은 그의 종교관을 설득시키는데 가장 많은 공로(?)가 있었으나 그가 가톨릭으로 개종하지 않은 것을 무척 아쉬워 했다고 한다.
결혼은 상당히 늦은 예순(만 58세 6개월)의 나이에 했는데, 상대 조이 데이빗먼은 미국의 소설가인 빌 그레셤(Bill Gresham)의 아내이자 두 아이의 어머니로[15] , 무신론자에 마르크스 주의자(미국 공산당원)유대인계였다. 그녀는 또 결혼 직전에 골수암 판정을 받았다. 그러나 루이스는 그녀를 기독교인으로 변화시켰고, 이민 비자를 위해 1957년 결혼했으며, 3년만에 그를 떠나 보냈다. 이런 상황을 그는 '죽음의 신(사신)이 연적인 팔자'라고 말했다. 그리고 3년 후 그 역시 사망한다. 이 결혼 이야기는 1993년에 영화 섀도우랜드로 영화화되었는데, 루이스 역을 맡은 사람이 다름 아닌 한니발 박사님...
연옥 교리에 대해서는 그가 대죄까지도 연옥에서 씻겨진다고 보았다는 평가가 있다. 즉, 이 평가에 따르면 지옥행으로 가는 인간이 훨씬 적었다고 보았다는 이야기. [16]
5.1. 아일랜드와의 관계
[image]
벨파스트에 있는 C.S. 루이스의 동상
그는 무신론자 시절에 아일랜드 신화와 켈트 전통, 북유럽 신화 등에 관심이 많았고, 아일랜드어에도 관심이 많았다고 한다. 그는 윌리엄 버틀러 예이츠를 젊은 시절 두 번 실제로 만난 적이 있다. 이런 그의 관심은 기독교로 개종한 이후에도 계속되었다.
비록 북아일랜드 독립을 지지한 건 아니었지만, 조상을 웨일즈에 둔 성공회교도 집안에서 자란 그가 가진 종파적 비 배타주의 관점과, 아일랜드의 정체성을 버리지 않으려고 한 점은 예나 지금이나 종교갈등이 심각한 북아일랜드의 상황을 감안하면 나름 대인배급이라 평가할 수 있다.
6. 한국에서의 입지
C. S. 루이스는 한국의 기독교 출판계에서도 인기 있는 작가이다. 《순전한 기독교》(영어: The Mere Christianity)등의 일부 저작들이 영국 C. S. 루이스 협회와 정식 저작권 계약을 맺은 홍성사에서 출판하고 있는데, 이는 전 홍성사 편집장 옥명호 씨가 대학생 시절 우연히 성 바오로서원 출판사에서 읽은 C. S. 루이스의 작품에 심취했기 때문이다. 또한 2006년 4월호 《기독교사상》에 《순전한 기독교》를 번역한 이종태 목사(장로회)와 C. S. 루이스 팬인 옥명호 전 홍성사 편집장 등이 C. S. 루이스의 신학과 삶에 대해서 쓴 글이 실리기도 하였다. <스크루테이프의 편지>의 후속편 서문이 스크루테이프의 편지에 대해 다루고 있자 이를 소개하고 차기 번역을 약속할 정도.
옥명호 씨가 루이스를 접하게 된 성바오로서원이란 이름에서 짐작 갔을지 모르지만, 가톨릭에서도 매우 호의적으로 인용하는 인사다. 루이스가 기독교 교파간의 차이를 '''같은 건물 다른 세대''' 정도로 비유할 만큼 교파간의 차이를 유연하게 받아들인 사람이었기에 가톨릭 측에서도 루이스의 작품을 거부감 없이 출판해 왔다. 개신교 신앙도서는 무조건 거르는 골수 극우성향 가톨릭 신자들[17] 도 이 사람의 신앙도서는 안심해도 된다고 말할 정도. 성바오로서원 자체가 성바오로 수도회가 운영하는 것으로, 루이스의 책 대부분을 취급했던 것은 물론 나니아 연대기 역시 일찌감치 번역했다. 저자는 전경자. '나르니아' 등 실제 발음과 고유명사가 차이를 보이는 일이 많았지만 특유의 착 달라붙는 문체는 나름의 매력이 있었다.[18] 가톨릭 청년 교리서인 유캣에서도 루이스의 발언을 인용하고 있다.
성공회 교인이면서 가톨릭에 우호적이었던 C. S. 루이스가, 성공회의 영향력이 미미하고 가톨릭에 그리 우호적이지 않은 한국의 개신교계에서 무척 인기가 있다는 것은 꽤 흥미롭다.[19] 그러나 국내의 보수적인 경향이 강한 복음주의 개신교인 중에는 C.S.루이스가 인문학적으로 지나치게 인텔릭하고, 말년으로 갈수록 가톨릭에 호의적이 되었다고 탐탁치 않아 하는 사람들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20]
특히 가톨릭 신자들 사이에서, 루이스가 죽기 전에 가톨릭으로 개종했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으나, 이는 전혀 사실이 아니다. 그는 죽음에 이르기 직전까지 개신교(성공회) 신앙을 지켰다. 다만 말년으로 갈수록 가톨릭에 더욱 호의적인 입장을 취한 것은 맞다. 루이스가 가톨릭으로 개종했다는 루머는, 이런 루이스 말년의 모습에 루이스에 대한 애정이 더불어져 가톨릭 커뮤니티 쪽에서 나오는 이야기로 생각된다.
요약하자면, 국내에서 칼뱅주의[21][22] 를 철저하게 고수하는 일부 극우성향의 교인들을 제외하면, 신·구교를 막론하고 기독교계에서 매우 인기있는 작가이다. 또한 한국의 기독교인(천주교인과 개신교인 모두)들에게 성공회라는 교파를 강하게 각인시킨 인물임에 틀림 없다.
의외로, 판타지라는 장르 자체에 꽤 부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는 골수 개신교 근본주의자들에게 좋은(?) 평을 듣는 작가이기도 하다. 예를 들어 사탄은 마침내 대중문화를 선택했습니다를 써댄 신상언 같은 광신도 목사의 경우, 해리 포터 시리즈같은 사탄 숭배 사상 깃든 판타지를 읽느니 그나마 나니아 연대기를 추천한다고 할 정도였다.
7. 기타
- 아무래도 기독교사의 한 획을 그은 인물인 만큼, 기독교 서적에 가면 루이스의 작품을 얼마든지 구할수 있다. 관심있는 위키러라면 읽어보는 것도 신앙의 여부에 관계없이 기독교의 기본기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만약 영어실력이 좀 되고 하드코어한 독서(...)를 하고 싶다면, 원서를 구해서 읽어보자.
- 국내에서는 그를 "20세기 최고의 기독교 변증가"라고 소개하는 경우가 많고 그 출처가 타임지라고 하는데 정확히 말하면 타임지는 그를 "영어권에서 가장 영향력있는 기독교 변증가 중 한명"라고 소개했다. 크리스찬니티 투데이에서는 "20세기 가장 영향력 있는 기독교 작가"라고 평했다. 국내에서는 마케팅적인 차원에서 앞서 언급한 해외 언론사의 평을 비슷한 의미인 "20세기 최고의 변증가"로 소개하는데 왜곡 및 오해의 여지가 있는 발언이다. 루이스의 기독교 변증은 철학사적으로 이미 낡은 논증에 기반하거나 본인의 특정 가치관을 전제하고 거기에 의존해서 논리를 펼치는 등 철학을 어느정도 공부한 사람이 본다면 허술한 부분이 많다. 그렇기 때문에 언론에서의 그가 최고의 기독교 변증가라는 말만 믿고 그의 논증을 근거로 기독교 변증을 한다면 털릴 가능성이 매우 높다.[23] 물론 종교철학에서 그가 간혹 인용되기는 하지만 상징적인 의미에서 언급이 될 뿐 실질적으로 종교철학에 학문적으로 기여한 바는 거의 없다.[24][25] 누군가가 루이스를 최고의 기독교 문학가 중 하나라고 한다면 이에 반론할 기독교인은 많지 않으나, 최고의 신학자 중 하나라고 한다면 반론의 여지가 꽤 다분한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