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미비아
[clearfix]
1. 개요
아프리카 대륙 남서부의 나라. 국토면적은 약 82만 5,000㎢. 인구는 약 260만 명. 수도는 25만의 인구가 거주하는 빈트훅(Windhoek).[1] 인접국은 북쪽에 앙골라와 잠비아, 동쪽에 보츠와나, 남쪽에 남아프리카 공화국. 서쪽은 대서양에 면한다.
특이한 것은, 국호는 나미비아이지만 정작 그 국호의 기원이 되는 나미브라는 지명은 북쪽에 접한 국가인 앙골라에 있다는 점이다. 나미브 사막(Namib)의 어원인 나마(Nama)는 "Vast Place" "엄청 넓은(아무것도 없는) 곳" 이라는 뜻이다. 즉, 국명이 "엄청나게 넓고 아무것도 없는 나라"인 것.
2. 역사
- 나미비아/역사 문서를 참고할 것.
3. 정세
탄자니아와 함께 과거 독일의 식민지였던 아프리카의 4국들중 정치/경제 상태가 가장 안정적인 나라로 평가받고 있다. 반면에 탄자니아와 나미비아와 같이 과거 독일 제국의 식민통치를 받았던 토고와 카메룬은 독재자들의 독재 정치와 극심한 빈부격차, 종족 간 갈등/대립으로 정치적으로 매우 불안정한 상황이다. 결국 독일 식민지령이었던 아프리카의 4개국들중에서는 그나마 나미비아와 탄자니아가 가장 나은 편이다.
전체적으로 안정적인 축에 속하지만, 북동쪽에 반도처럼 튀어나온 지역(잠베지 주 전 지역, 카방고 주 북동부)은 다른 지역에 비해 치안이 다소 불안하므로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정치적으로는 민주주의지수나 언론자유지수 등을 보면 민주주의가 꽤 잘굴러가는 편으로 평가받지만 옆나라나 아랫나라처럼 늘 같은 정당이 이긴다(...). 나미비아 독립운동을 이끈 남서아프리카 인민조직(SWAPO)이 나미비아에서 가장 큰 민족인 오밤보족의 몰표에 힘입어[2] 매 선거마다 압승을 거두는데, 2014년 선거에서는 대통령 선거에서는 86.7%, 국회 선거에서는 80.0%를 득표하였다. 다만 선거 제도가 비례대표제라 여당 SWAPO의 압도적인 득표율에 비해 비 SWAPO 계열 야당들도 국회에 많이 진출하고 있다. 2019년 선거에서도 SWAPO가 승리를 거뒀지만 대선에서의 득표율은 56%로 상당히 떨어졌고, 판둘레니 이툴라 후보가 29%를 득표하였다.
4. 민족
오밤보족, 헤레로족, 나마족 등 여러 부족이 합쳐 유지되는 나라이며, 실제로 보면 피부가 약간 붉고, 더 검고 등의 차이가 있다.
종족은 오밤보족, 카방고, 헤레로, 다마리족의 흑인들이며 그 외에 독일계로 추정되는 백인과 혼혈인도 살고 있다.
나무콰와 헤레로 제노사이드 문제도 있고, 무엇보다 후술 된 인종간 빈부 격차가 엄청 심해 여기도 갈등의 여지가 적은건 결코 아닌데, 일단 냉전 시기 아프리카너들이 정국을 독점하며 다른 민족들을 막 탄압했던 남아공 본토와 달리 여기는 식민지 백인 지배 계급 간에도 아프리카너, 영국인들, 짧은 시간이지만 많이 정착해서 존재감이 강했던 독일인들이 막섞이다보니 한 집단이 주도를 잡지 못했다. 특히 백인들 내에서도 의견이 그렇게 뚜렷하게 단합되어 있지도 않은 게 국제 여론은 갈수록 막장이고, 자기들이 보기에도 아파르트헤이트 남아프리카 공화국 정권이 오래 갈 것 같지 않다 보니 나미비아 지역의 백인 이권 단체들이나 기관들은 많은 수가 흑인들의 민권 투쟁에 간접적으로 동조했고, 최소한 당국에 빌붙어 탄압을 하진 않았다. 그러니 독립 후에도 대충 새로 집권한 흑인 혁명 정부와 경제적 기득권을 유지하며 공존하는 대신 SWAPO 정권의 집권을 암묵적으로 지지해 주는 조건으로 백인들은 새로운 독립 정부와 합의를 볼 수 있었다. 이후 딱히 피비린내 나는 인종간의 폭력 사태가 없다 보니 적어도 이웃 남아공이나 짐바브웨 같은 막장 인종간 충돌은 일어나지 않았다.
원주민이 처음보는 외부세계의 물건 콜라병 하나를 주워들고 임자에게 돌려주기 위해 먼 길을 나선다는 내용의 영화 부시맨으로 알려진 종족 부시맨(Bushmen)의 고향이기도 하다.[3] 하지만 저 명칭은 수풀(bush)에서 사는 사람을 뜻하므로 결코 적절한 표현은 아니다. 엄밀하게는 산(San)족이라는 종족명이 따로 있다.
많은 민족들이 AIDS에 시달리고 있다. 그나마 레소토나 에스와티니보다는 낫지만, 평균수명이 겨우 50살 밖에 안된다.
5. 언어
공용어는 영어이다. 그리고 각 부족어와 아프리칸스어, 독일어가 사용된다. 독일어는 나미비아가 독일의 지배를 받았을 당시에 사용하게 되었는데, 현재 대부분의 흑인들은 독일어를 모어로 사용하지 않으나, 독일계 백인, 또는 나미비아 독립 후 독일에서 나미비아로 돌아온 흑인들 약 22,000명에 의해 모어로 사용되며 수십만의 나미비아인이 제2언어, 제3언어로 사용할 수 있다고 한다.[4] 또한, 나미비아에서 쓰이는 독일어는 독일 본토와는 다른 표현도 있고 심지어는 독일어 피진도 쓰이고 있다.
나미비아도 반투계 민족, 코이산족 등의 다른 소수민족들도 거주하고 있어서 헤레로어, 나마어, 코이산어족의 언어들도 쓰이고 있다.
6. 종교
나미비아인의 90퍼센트 이상이 기독교를 믿고 있으며, 가톨릭 및 개신교, 그리고 토착 기독교 등이 잘 보장되는 종교의 자유 속에서 공존하고 있다. 그 외 부족별로 토착종교도 믿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독교의 경우 루터교회가 기독교 인구의 절반 정도를 차지하는데 핀란드 출신 선교사에 의해 전해졌기 때문에 윗 문단에서 언급한 반독 감정과는 별개로 루터회에 대한 인식은 좋은 편이다. 다만 핀란드를 포함한 북유럽의 루터교회가 성공회처럼 개신교이면서도 성직제도가 유지되는[5] 반면 독일어권의 루터교회는 일반적인 개신교처럼 성직제도가 없고 목사가 교회를 이끌기 때문에, 오늘날 나미비아의 루터교회는 크게 이 두 가지로 나뉘어진다. 나머지 절반 정도는 성공회, 감리회, 오순절파 등이 차지한다. 보어인의 영향으로 칼뱅파 신자들도 있다.
유대교 또한 소수종교로서 존재하고 있다. 나미비아의 유대인들은 주로 독일령 시절에 독일 본토에서 이주해온 독일계 유대인들, 영국령 시절에 영국 본토에서 이주해온 영국계 유대인들, 네덜란드에서 이주해온 네덜란드계 유대인들을 조상으로 두고 있다.
7. 경제
국민소득이 PPP 기준 8,000달러로 국민소득만 봤을 때는 아프리카 중에서는 부국이지만, 인종간 격차가 심한데다가 체계적인 재분배 정책의 미비로 빈부격차가 엄청나 세계 1위를 자랑한다.[6] 2003년 기준 상위 10%와 하위 10%의 소득격차가 129배에 달한다. 물론 부유층은 대다수가 백인. 덕분에 인구 대다수를 차지하는 현지 흑인계 인구들의 불만이 가득하여 여기도 짐바브웨나 많은 아프리카 나라들이 가질 내전이 터져도 이상하지 않다.
현지시민단체와 교회에서 일부 지역에 시범적으로 기본소득제를 시행했는데 어느 정도 성과를 보았다고 한다. 그런데 기본 소득을 입에 풀칠하는 데만 썼다가 실험이 끝나자 다시 옛날로 돌아간 사람들이 많아 문제가 되고 있다. 기본소득제가 전부가 아니란걸 보여주는 대목. 사실 액수자체도 그렇게 많이 주는 것은 아닌지라 먹고 살 정도의 돈은 되기는 하지만 거하게 사업할 정도의 금액은 못되기는 하다. 물론 소규모 사업을 하면서 저축할 정도의 금액은 되지만.
산업 자원은 구리과 아연이 산출되고 있지만, 가장 일자리를 많이 제공하는 것은 역시 다이아몬드이다. 나미비아는 세계 3위의 다이아몬드 생산국이며, 다이아몬드의 질도 좋아서 각종 미인대회에 후원하기도 한다. 하지만 산출권의 대부분이 미·영국의 대기업들이 가지고 있고, 세공 등의 작업만이 나미비아에서 이루어져서 큰 수입은 없다.
또한 2013년 기준으로 우라늄 27만5000톤(세계 8위), 형석 9000톤(세계 9위)이 매장된 자원강국이기도 하다.
최근에는 관광 자원을 조금씩 개발해서 남대서양 투어를 만들어 놓고 있다. 개발되지 않아 바다는 무척 아름답고 깨끗해서 조금씩 입소문을 타고 있고 나미비아의 자랑이자 세계에서 유일한 붉은 모래 사막인 나미브 사막[7] 은 이색적인 아름다움으로 명성이 자자하다. 붉은 모래 사막언덕에서 보드를 타고 내려오는 게 인기가 많다고.
2018년에 나미비아는 극심한 경제침체로 건설, 우라늄, 다이아몬드 사업 등이 악영향을 받자 정치인과 관료들의 해외출장을 1월 31일부터 최소한 2월말까지 금지시켰다.#
나미비아가 극심한 가뭄과 코끼리 개체수 증가로 인해 야생 코끼리 170마리를 경매에 부쳤다.#
8. 문화
우리나라의 장기와 같은 위치를 가지고 있는 놀이로 오웰라라는 놀이가 있는데, 바오밥 나무 열매로 두 팀이 한 게임 하는데 한나절이 걸리고 하루에 한 게임씩 일주일간을 해서 먼저 4승을 하는 팀이 이기는 만만디스러운 놀이다. 무엇보다 특이하게 보통 어느 나라던 놀이에 내기가 끼이는데 나미비아에선 이 놀이에 내기가 끼이지 않는다.
2011년 WCG에 아프리카 국가로는 유일하게 참가했다. 아스팔트 6 대표는 놀랍게도 영화 부시맨에서 주인공으로 나온 니카우의 조카인 사이 엔콰니. 1시간 연습하고 국가대표가 됐다고 한다. 산족 마을에서 게임을 할 조건이 못되어서 현지 파트너사가 태양광 충전기를 지급해 연습을 할 수 있었다. 결국 예선에서 탈락했지만 그는 산족을 알리고 싶어서 나왔다고 미소지었다. 대학도 졸업하고 영어도 능통해서 현지 관광 가이드로 일한다고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다이아몬드가 풍부한 지역이라서 독일의 식민지 시절에는 광산 주위에 마을이 세워지기도 했다. 그러나 광산의 채산성이 떨어져서 광산이 폐쇄되면서 아무도 살지 않는 마을이 폐허가 되기도 했는데, 그 폐허가 관광명소가 되기도 한다. 대표적인 예가 콜만스코프(Kolmanskop)로, 1908년에 다이아몬드가 발견되면서 광산 주위에 생긴 마을이었지만 1954년에 폐광되면서 유령마을이 되어버린 곳인데 특이한 경관 때문에 이곳을 찾는 관광객이 많고 촬영장소로도 자주 쓰인다.
[image]
[image]
9. 여행
유독 대한민국 여권 소지자에게는 다른 선진국과 달리 비자 면제를 하지 않고 있다. 원래 남부 아프리카 국가들 중 유일하게 한국 여권에 사전 비자를 요구하는 나라였으나 2019년 10월 1일부터 도착비자 제도를 시행한다.# 다만 이는 빈트후크 국제공항 입국자에 한정되는 사항으로 육로로 입국할 경우 여전히 사전비자가 필요하다.
한국에서 가는 직항은 없다. 그나마 에티오피아 항공이나 카타르 항공에서 자국 수도를 1회 경유하는 항공편이 있다. 에티오피아 항공이 경유할 때 기다리는 시간이나 항공권 값 면에서 조건이 더 낫다.
최근 색다른 여행지를 찾는 사람들이 나미비아의 괜찮은 치안과 자연환경에 매력을 느끼고 방문하는 사람이 많다. 보통 남아공과 같은 다른 남부 아프리카 국가들과 연결해서 여행한다.
10. 스포츠
영연방 국가인 나미비아에서 인기있는 스포츠는 럭비 유니온이며, 럭비는 1916년 남아프리카 공화국으로부터 도입되었다. 왜냐하면 나미비아는 이전에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지배를 받았기 때문에, 나미비아에서 럭비는 국내 및 국제 경기대회를 통해 영향을 자주 받았었다.
나미비아 럭비 국가대표팀은 일반적으로 ''웰위치아스(Welwitschias)''[8] 라는 닉네임을 가지고 있다.[9] 나미비아 럭비대표팀은 1999년, 2003년, 2007년, 2011년, 2015년, 2019년 6차례 럭비 월드컵에 출전했지만 한 번도 우승한 적이 없을 뿐더러 성적이 좋지 않다. 또한, 아프리카에 위치한 국가임에도 불구하고 남아프리카 공화국 럭비대표팀인 스프링복스(Springboks)와 마찬가지로 나미비아 럭비대표팀은 백인선수들이 주축을 이룬다.
이외에도 축구가 상당히 인기가 많다. 자세한 건 나미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참조.
11. 자연
나미비아 서쪽은 나미브 사막이 위치해 있지만, 대서양과 접해 있다. 나미비아의 어느 해안가에는 그 곳에만 사는 희귀종인 사막비개구리가 살고 있다. 남부아프리카는 건조한 지역이라 양서류가 살기 어렵지만, 나미비아의 해안가는 1년에 100일 이상의 안개가 낀 습한 지역이기 때문에 살 수 있는 것. 낮에는 땅을 파고 숨어있다가 안개 낀 밤이 되면 나와서 이동한다.
[image]
Skeleton Coast라고 사막에서 바다로 이어지는 경관이 유명하다. 이 곳은 바닷가에서 불어오는 바람이 매우 강해서 좌초된 선박들이 많고 서퍼들이 자주 찾는 곳이다.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사구들이 있는 곳이다.
[image]
데드블레이(데드플라이)[10] 라는 장소가 알려져있으며 위의 '''사진'''이 매우 유명하다. 절대 그림이 아니다.[11] 뒤의 주황색 배경은 하늘이 아니라 모래사막의 언덕이다. 본래 인근에 자주 범람할 정도로 큰 강이 있었으나 모래언덕이 들어서면서 물이 말라붙어 지금과 같이 되었다. 호수였기 때문에 진흙들이 쩍쩍 갈라져 있으며 말라죽은 채로 서 있는 나무들이 특별한 인상을 준다.
영화 매드 맥스: 분노의 도로가 나미비아 사막에서 촬영됐다.
세계에서 가장 이상한 식물인 웰위치아 미라빌리스는 나미비아 및 앙골라의 사막에서만 자생하는 희귀식물이다. 대항해시대3에 나오는 웰 웽챠(더듬이풀)이 이 식물이다. 개체수가 적어서 반출금지대상으로 지정되어, 현지에서는 철조망과 군인을 동원해서 보호하고 있다.
피시리버캐니언이라는 대협곡은 길이 160km, 폭 27km, 깊이 550m에 달하며 미국의 그랜드 캐니언에 이어 세계에서 두번째로 큰 협곡이다.
이런 천혜의 자연 풍경과 상대적으로 주변국에 비해 안정적인 정치, 경제적 상황 때문인지, 매년 BMW에서 진행하는 행사의 무대이다. 어떤 행사냐면, BMW X5를 타고 나미비아의 사막을 건너다니는 일정이 주, 초호화 여행을 누리는 일정으로 가득인 행사다. 사막운전은 BMW 소속의 인스트럭터가 직접 강의해주며, 한 번 갔던 길은 피하고 새로운 길로만 가며 도로 돌아가야 할 일이 있을 때에는 진행자들이 차를 참가자들의 위치에 옮겨준다. 숙박, 식사 등 모든 계획은 BMW에서 진행하고 책임을 진다. 참가비는 비행기 표값을 제외하고 약 800만원인데, 여행 일정을 보면 매우 싸게 느껴진다고 한다(...)[12]
[EBS 세계테마기행] 두개의 바다가 만나다, 나미비아 1~4부
12. 외교
13. 출신 인물
13.1. 실존 인물
- 라이언 은얌베 : 블랙번 로버스에서 뛰고있는 축구선수
- 베하티 프린슬루: 마룬 5의 보컬 애덤 르빈의 아내이자 빅토리아 시크릿 모델.
- 사키 바트만: 흔히 남아프리카 공화국 출신으로 알려져 있지만 본적은 이쪽이다. 유럽인들에게 붙잡히고 나서 남아공 쪽으로 이주했다가 유럽으로 팔려간 것.
- 프랭키 프레데릭스 : 90년대 세계적인 육상 선수로 명성을 얻었다.
- 은딱카우 끄토마(Nǃxau ǂToma, 별명 니카우): 1944년 12월 16일~2003년 7월 5일. 영화 부시맨에서 주인공 자이(Xi) 역을 맡은 배우로, 실제로 본인이 부시맨 족(코이산족)이기도 하다. 다만 영화에서처럼 진짜로 현대 문명에 무지한 건 아니었으며, 그를 포함한 코이산족 상당수는 벽돌집에서 전기와 수도를 잘만 쓰며 생활한다. 끄카오 테케네 코마(Gcao Tekene Coma)라는 이름으로도 불린다.
13.2. 가상 인물
14. 둘러보기
[코로나19]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한 여행경보[1] 아프리칸스식 철자. 독일어식으로는 Windhuk라고도 쓴다.[2] 2014년 선거 당시 오밤보족이 많이 거주하는 지역이자 독립영웅 샘 누조마의 고향인 오무사티(Omusati) 지역에서는 SWAPO가 무려 98%를 득표했다.[3] 그런데 그 영화는 이웃나라인 보츠와나&남아공 합작영화다. 다만 보츠와나도 부시맨이 사는 곳이 맞다.[4] 출처:Allgemeine Zeitung(나미비아 내 독일어 신문)[5] 쉽게 말해서 신부와 수도자가 존재한다.[6] 적도 기니는 지니계수 통계에 없는데, 적도기니가 통계에 있었으면 빈부격차 크기는 적도기니가 1위이고 나미비아가 2위였을지도 모른다.[7] 모래에 다량의 철분이 함유되어 있어서 붉은 색을 띤다.[8] 웰위치아는 1800년 아프리카 나미비아에서 웰위치가 처음 발견한 희귀한 식물로 단 한 종뿐이다.[9] 남아프리카 공화국 럭비 국가대표팀은 스프링복스(Springboks)라는 닉네임을 가지고 있기도 하다.[10] Deadvlei. Dead는 영어로 '죽은'을 의미하고 Vlei는 아프리칸스 어로 '호수'를 의미하므로 '죽은 호수'라는 뜻이다.[11] 여느 사진이 안 그렇겠냐만 이 사진은 잘 찍힌 사진이고 다른 사진들을 보면 현실감 있는(?) 사진을 볼 수 있다.[12] 실제 이런 일정대로 여행하면 훨씬 많은 돈이 드는데, 이게 다 BMW 홍보용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