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포교통
1. 소개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업체.[1]
1962년 1월 23일[2] 일광운수(一光運輸)[3] 로 창업하여 1972년 1월 태광교통(泰光交通), 1977년 안남운수(安南運輸) 순으로 상호를 변경한 후 1989년 다시 군포교통(軍浦交通)으로 업체명을 변경하여 지금에 이르고 있다. 창업 이후 초반에는 영등포구 신길동에 차고지를 두었다가 경기도 안양시 호계동(현, 만안경찰서 부근), 군포시 당동(군포초등학교 건너편) 순으로 차고지를 이전하였고 2001년부터 군포공영차고지에 입주하여 본사를 두고 있다. 그 외에도 500번의 공동 배차를 위해 서울특별시 금천구 시흥동 시경계 근처에도 영업소를 별도로 둬서 운영 중이다. 면허등록지는 서울특별시 구로구 도림로 84, 3층 (구로동)[4] 으로 되어있다. 이 부분은 안양교통 참고.
차량 도입에 있어 이전부터 자일상용차를 선호하였으며, 1991년에 현대 RB520SL을 일부 출고한 것 이외에는 대우버스를 주로 애용해 왔다. 2011년 2월에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저상버스 8대를 출고하여 '''20년'''만에 현대버스를 다시 구입하였고 2013년에도 동일 모델의 저상버스를 추가로 구입[5] 하는 등 현대버스의 비중이 조금씩 늘어나고는 있지만, 아직도 대우버스의 비중이 높은 편. 2014년 11월에 500번에 현대저상 7대를 추가로 출고했으며 2015년 2월에 대우저상 4대가 출고되어 5623에 3대, 5531에 1대가 투입되어 운행중이다. 2015년 7월에는 군포교통 최초로 06년식 대차분으로 NEW BS106(+ 저상도 같이 출고)을 출고했으며 2016년 4월에는 현대저상 3대를 출고했다. 또한 2017년에는 현대저상 7대를 추가로 출고했다. 2018~2019년에는 대우차량만 출고했고 2020년에 3년만에 현대저상을 3대 출고해 이 중 1대는 500번에 6년여만에 현대 신차가 출고되었으며, 나머지는 5531번에 투입한다. 대우버스를 선호하지만 그때그때 현대차량도 출고하는 듯하다. 반대로 현대버스를 선호하지만 대우를 가끔씩 출고하는 보영운수와 비슷한 사례인듯 하다. 군포교통만의 특징이라면 특징이다. 특히나 신차 뽑을때는 현대 또는 대우를 뽑을때 예측이 힘들다. 2020년 10월에는 에디슨 NEW e-화이버드를 첫 도입해 BS106 F/L이 전멸했으며, 우진산전 아폴로 1100도 도입했다. 전기버스는 5531번에 투입하여 우진산전 아폴로 1100의 경우 양천운수, 한남여객운수에 이어 지선버스에서 3번째로 투입하는 업체가 되었다.
대체적으로 군포교통은 '''특별한 변화 없이''' 군포시 '''당동''' 일대를 지켜왔고, 덕분에 지금도 당동 일대에서 '''이 업체의 버스에 대한 주민들의 충성도는 높은 편이다.''' 우신버스와 달리 산본신도시에 늦게 진출했는데, 1999년 99번에서 계통분리하여 99-1번[6] 을 운행한 이후부터였다. 이후 2000년 2월 26일에는 서울시의 운행지시에 따라 舊 유진운수의 104번 운영권을 승계받아 당동 구간만 연장한 후 운행을 개시했다. 여기까지가 산본동 진출 역사의 전부.
사세 확장을 잘 하지 않는다. 1988년 99번의 한강 이남 구간을 단축하면서 신촌교통에 차량 면허를 상당수 매각하였고, 98번의 좌석형 버전인 798번을 우신버스에 노선과 면허를 매각하였다.[7] 1990년대이 이르면서부터는 본사에서 멀리 떨어진 노선들(98-1번, 104-2번)을 타 업체에 매각하고 본사 노선(98, 99번)에만 집중하였다. 노선인수는 위에서 언급한 104번 입석 건이 사실상 유일.
개편 이후에는 서울교통네트웍에 출자하였으나, 2010년에 컨소시엄을 탈퇴했다. 따라서 500번의 운행분 일부를 군포교통 소속으로 분리하여 공동 배차 형태로 운행 중이다.[8]
최근 군포교통 소속 모든 버스 앞에 로고를 부착하기 시작했다.
수도권 최후의 2009년식 BS110CN F/L(전중문 모두 글라이딩 도어)를 5531번에 운행하는 회사다.
2. 운행 노선
총 95대의 차량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 업체에 소속된 3개 노선 모두 시흥대로를 주행한다.[9]
- 간선버스
- 지선버스
- 5531번: 군포공영차고지 - 당동 - 군포역 - 금정역 - 명학역 - 만안구청 - 안양1번가 - 관악역 - 석수역 - 시흥사거리 - 금천우체국 - 구로디지털단지역 - 보라매공원 - 보라매역 - 대방역 - 노량진역 - 노들역 (개편 전 98번)
- 5623번: 군포공영차고지 - 당동 - 남천병원(산본 9단지) - 산본시장 - 금정역 - 명학역 - 만안구청 - 안양1번가 - 관악역 - 석수역 - 시흥사거리 - 금천우체국 - 구로디지털단지역 - 보라매공원 - 보라매역 - 공군회관 - 샛강역 - 여의도역 → 여의도환승센터 → 한국거래소 (개편 전 104번)
3. 과거 운행 노선 (2004년 이전)
- 도시형 98-1번: 고속터미널~개포동 (신진운수[10] 에 매각 이후 1993년 8월 10일 폐선)
- 도시형 99번: 군포공영차고지~구로디지털단지역 (현 5624번, 개편 이후 대원여객에서 운행)
- 종로마을 104-2번: 서울역~삼청동 (1995년 매각, 현 삼청교통 종로11번 마을버스의 전신)
4. 과거 운행 노선 (2004년 이후)
- 5532번: 군포공영차고지~시흥유통센터 (개편전 99-1번→499번, 2005년 폐선, 아웃 서울 노선)[11]
5. 면허 체계
- 서울 70사 6759~6781호[12] , 83##호
- 서울 74사 22##호, 30##호, 47##호, 49##호, 66##호, 69##호, 73##호, 74##호, 76##호, 8301호 ~ 8397호[13] , 86##호, 87##호
6. 보유차량
6.1. 현재 보유차량
6.1.1. 자일상용차
6.1.2. 현대자동차
6.1.3. 에디슨모터스
6.1.4. 우진산전
6.2. 과거 보유차량
6.2.1. 자일상용차
- 대우 BM090 로얄미디 디젤
- 대우 BF101 디젤
- 대우 BV101 디젤
- 대우 BS105 디젤
- 대우 BS105L 디젤
- 대우 BS106L 하이파워 디젤
- 대우 BS106L 로얄시티 디젤
- 대우 BS106 로얄시티 천연가스버스
- 대우 BS106 로얄시티 F/L 천연가스버스
6.2.2. 현대자동차
6.2.3. 기아
[1] 군포시 면허의 경기도 마을버스 업체 군포운수와는 다른 곳이다. 다만 컨소시엄을 탈퇴하면서 공동배차 형태가 된 500번을 제외하곤 군포와 서울을 잇는 노선이라 이름값은 한다.[2] 버스공제조합 정보 기준.[3]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면허의 시내버스 회사인 일광여객과는 아무 관련이 없다.[4] 여담이지만 이 주소지는 보성운수의 주 사무소 겸 차고지 소재지이다.[5] 이 때 NEW BS110 저상버스도 같이 구입하였다. 각 4대씩 출고.[6] 99번의 산본 경유 노선이며, 이후 시흥공구상가에서 구로디지털단지역 구간을 단축 후 499번으로 변경[7] 이 때문에 우신버스, 신촌교통에 군포교통 차적인 74사 83##호 단위 차량번호가 상당수 남아 있다.[8] 이로 인해 도봉구 차적 시내버스 회사 주면허를 한 차들이 일부 존재하게 되었다.[9] 세 노선 모두 노량진에서 갈린다. 5531번은 노량진으로 들어가면서 노들역에서 회차, 5623번은 노량진 직전 갈라져 여의도환승센터에서 회차, 500번은 5531번과 같이 노량진으로 가지만 노들역에서 회차하는 5531번과 달리 한강대교와 용산을 거쳐 시청(을지로입구)에서 회차한다.[10] 선진운수와는 다르다! 2000년 서울시 부실버스업체 퇴출명령에 의해 폐업한 회사로 당시 83-1번, 83번, 288번 도시형버스를 운행했었다. 지금은 진화운수가 노선을 계승중.[11] 시흥유통센터는 석수역 지나면 바로다. 즉 코앞이 바로 안양시라는 소리.[12] 서울교통네트웍 출신 면허며, 컨소시엄을 탈퇴하면서 500번 공동배차를 위해 면허 그대로 넘어왔다.[13] 본 회사 주 면허. 우신버스에도 존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