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로디지털단지역

 


'''구로디지털단지(원광디지털대)'''
[image]
미개통 전철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 0.9 ㎞
신안산선(미개통)

1.7 ㎞ →
<width=120px><bgcolor=#ffffff,#191919>
← 2.1 ㎞ ||<width=120px><bgcolor=#f04938> [[신안산선|
신안산선
'''급행'''
]]
(미개통) ||<width=120px><bgcolor=#ffffff,#191919> --[[한양대에리카캠퍼스역|{{{#!wiki style="letter-spacing: -1px"
한양대에리카캠퍼스 방면
]]석 수--
4.4 ㎞ →
}}}}}}}}}

'''다국어 표기'''
영어
Guro Digital Complex
(Wonkwang Digital Univ.)
한자
九老디지털團地
중국어
九老数码园区
일본어
九老(クロ·デジタル団地(ダンジ
'''주소'''
2호선
서울특별시 구로구 도림천로 477 (구로동)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동 1674
'''운영 기관'''
2호선

신안산선
'''개업일'''
2호선
1984년 5월 22일
신안산선
2024년
'''역사 구조'''
지상 3층
'''승강장 구조'''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가능)
[ 미개통 노선거리표 보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width=125px><bgcolor=#ffffff,#191919>
여의도 방면
← 0.9 ㎞ ||<width=120px>
(미개통) ||<width=125px><bgcolor=#ffffff,#191919> [[한양대에리카캠퍼스역|{{{#!wiki style="letter-spacing: -1px"
한양대에리카캠퍼스 방면
]]
1.7 ㎞ →
}}}}}}
+1 九老디지털團地驛 /
Guro Digital Complex(Wonkwang Digital University) Station
1. 개요
2. 역 정보
3. 일평균 이용객
4. 역 주변 정보
5. 승강장
6. 연계 교통
6.1.1. 1번 승강장
6.1.2. 2번 승강장
6.2. 환승센터 남편 정차
6.4. 시흥대로 가로변 정류장 정차 (디지털로 방면)
6.5. 신사로 정류장 정차
6.6. 조원로 정류장 정차

[clearfix]

1. 개요


서울 지하철 2호선 232번[1], 서울특별시 구로구 도림천로 477 (구로동) 위치.
신안산선 미정,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동 1674번지에 위치할 예정인 신안산선 정차역이다.

2. 역 정보


[image]
역 안내도
신대방역부터 이 역을 거쳐 대림역까지 지상 구간이다.
출구는 구로구 구로 3동과 영등포구 대림 2동에 걸쳐 있으며, 구로구, 동작구, 관악구, 영등포구, 금천구 등 '''서남권 5개 구의 접경 지역'''에 위치해 있다.
사실 금천구의 경계는 앞서 언급한 구들과 달리 2호선에 직접 맞닿아 있지는 않다. 1975년 이전에는 관악구에 해당하는 부분이 독산동 지역이었다.(구체적으로는 조원동 지역 중 조원중앙로 서측 전역과 동측 일부 지역) 즉, 행정 구역 조정 없이 분구되었으면 금천구 영역에 포함될 가능성도 있었다는 말.
또한 실질적으로 구로디지털단지역을 가장 많이 이용하는 지역은 직접적으로 맞닿은 4개구 주민이 아닌 금천구 지역 주민. 금천구를 관통하는 경부선이 원체 구석으로 치우친데다 경부선과 주거지역 사이에 떡 하니 위치한 군 부대와 공장부지[2]로 인해 접근이 어려웠었던 반면, 시흥대로와 독산로가 구로디지털단지역으로 뻗어 있어 많은 금천구 주민이 접근성이 좋은 이 역을 이용하고 있다. 경부선 접근성이 개선된 2020년 현재에도, 강남으로의 접근성에 있어서는 버스를 타고 올라와서 구로디지털단지역에서 환승하는 것이 경부선을 이용하는 것보다 훨씬 빠르기 때문에 여전히 많이 이용하고 있다.[3] 구로구, 동작구, 관악구, 영등포구는 다른 편리한 대안이 많고 특히 주소지로 되어 있는 구로구 다른 지역(구로3동 이외 지역)으로 가는 방법은 서울 버스 구로09가 전부다.
[image]
구로공단 시절의 모습. 2001년 3월에 촬영한 모습이다.
건설 계획 당시 역명은 '공단입구'였으나 개통할 때는 '''구로공단역'''(九老工團驛, Gurogongdan Stn.)으로 개업했고, 2004년 10월 1일 지역 이미지 개선을 이유로 구로디지털단지역으로 개칭했다. 사실 주변의 공장들은 한참 전에 해외, 지방으로 이전했고, 2000년대 초부터 높은 오피스 빌딩이 들어서고 IT 업계가 대규모로 들어서던 중이었다. 개칭이 상당히 늦게 된 셈이다.
구로공단역 시절에는 '''공단역'''이 비공식 약칭이어서 수도권 전철 4호선공단역(현재 초지역)과 간혹 헷갈리기도 하였다. 이 역명 변경 조치는 가리봉역이 가산디지털단지역으로 개칭하는 데에 큰 영향을 주기도 했다. 역 이름이 너무 길다 보니 "구디", "구털", "구디단" 등으로 줄여 부르는 사람이 많다.[4] 나이가 있는 사람들은 아직 "구로공단역" 으로 부르기도 한다. 역명이 참 애매한데, 바로 옆의 '''영등포구''' 대림동에 걸쳐있는 역인 대림역의 병기역명이 '''구로구청'''이기 때문에 헷갈린다. 또, 가산디지털단지역과도 헷갈리지 않도록 주의하자.
시흥대로에 위치해 있는데, 시흥대로가 광명시, 안양시, 군포시 등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경기도 서남 방면의 '''지하철 - 버스 환승장'''의 역할도 하고 있어, 이용객도 많고 교통상 중요한 역이기도 하다. 7호선 개통 이전의 과거에는 2호선을 이용하려는 광명시 동부지역(철산동, 하안동, 소하동) 사람들까지 몰려들었다. 해당 노선(5536번 등)은 현재도 운영하고 있으나, 7호선 개통 이후엔 철산동 주민들은 대부분 대림역 환승으로 빠져나갔다.
하지만 철산역에서 어차피 버스를 한 번 더 갈아타야 하는 하안동이나 소하동에서는 여전히 구로디지털단지역을 절찬리에 이용하고, 철산동에서도 디지털로 연선(푸르지오, 래미안, 철산한신, 철산주공12단지 일부)에서는 철산역까지 걸어가는 것도, 대림역에서 지하-고가의 천국의 계단을 오르는것도 귀찮아하며 그냥 정체 감수하고 여기로 오는 사람들이 꽤 있다. 철산·하안동으로 들어가는 5536번의 경우 성애병원, 광명경찰서 등의 광명시 주요 지점을 지나가긴 하기 때문에 앉아서 가고 싶다면 고려해볼만 하나 만민중앙교회와 가산디지털오거리 등의 정체구간을 미리 염두에 둬야 한다. 퇴근시간대에 심하면 철산대교를 넘는데까지만 과장 안 보태고 정말로 1시간이 소요된다.
2012년 기준 구로디지털단지역의 승하차 기준 전체 순위는 13위다. 이것도 떨어진 순위이고, 보통 10위 ~ 11위에서 논다. 환승역이 아닌 역으로서는 신림역(6위), 삼성역(8위) 다음으로 무려 세 번째에 해당하는 무시무시한 승하차량을 자랑한다. 혼자서 매일 12만명을 꾸역꾸역 소화하는 위엄.
이 역의 백미는 출근 시 전광판. 보통 7시 50분 ~ 8시 20분 전후로 외선순환 전광판을 보면 아래와 같은 충격과 공포의 전철 배차도를 매일 볼 수 있다.
[image]
'''절대 사고 났을 때 모습이 아니다!''' 아무리 2호선 승하차 시간이 빗자루 배차라고 해도 저런 황당한 장관을 매일 볼 수 있는 것은 이 역 말고는 사당역 정도인데, 사당역도 보통 4대, 많아야 5대지만 6대는 구로디지털단지역 아니면 보기 어렵다. 또한 평소에 2호선이 신규 출발할 때 일반적으로 신도림역에서 출발하지만, 출퇴근시간에는 '''신도림역의 무지막지한 헬게이트 때문에''' 추가 전동열차 투입은 대림역부터 시작하는 경우가 있다. 즉, 기존 외선순환 + 신도림발 + 대림발 출퇴근 열차가 뒤섞이면서 저런 시츄에이션이 만들어지는 것이다.
저 화면에 있는 열차 중 한 대는 신정기지에서 곧바로 출고된 대림역 출발이라 운 좋으면 앉아서 갈 수 있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대림역 출발도 대림역에서 이미 다 좌석 차서 오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신림역 지나면 이미 다른 열차랑 비슷한 수준으로 차면서... 답이 없는 상태가 된다.
안내방송도 무지하게 길다! 외선순환 타고 대림역 출발하자마자 교통약자석 관련 안내방송, 구로디지털단지역 한국어, 영어, '''중국어, 일본어''' 안내방송과 승강장 발빠짐 주의 안내방송, 게다가 마지막에 광고까지 나오면 이미 열차가 도착해서 출입문을 열고 있는 상태이다. 반대편 내선순환 방향도 만만치 않다...신안산선 환승까지 되면...안 봐도 비디오
반면 역 건물은 대림역과 같이 낡은 상태에서 크게 못 벗어났고, 바로 옆의 역인 신대방역은 리모델링이 끝난 깔끔한 상태라 비교된다.
2013년 말에 역사 지붕에 태양광 설비를 설치하여 역 외부 멀리서 보면 지붕 위에 집광판이 줄줄이 늘어선 모습을 볼 수 있다.
[image]
출구가 협소한데 승객 출입량은 많아서 2번, 3번 출입구 확장 공사를 했다. 이를 통해 2, 3번 출구가 기존보다 두 배로 확장됐고, 에스컬레이터도 설치했다. 4, 5번 출구도 에스컬레이터 설치와 확장공사로 확실히 넓어졌다. 또한 기존에 있던 1, 6번 출구를 하나로 묶어서 6번 출구로 만들고 왼쪽(올라가는 방향)에 계단을 새로 만들어 1번 출구가 되었다. 버스 환승센터와 직통이라 사람들이 자주 이용하는 편.
[image]
[image]
신안산선 구로디지털단지역 조감도
신안산선과의 환승이 예정되어 있다. 신안산선 구로디지털단지역은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동 1674번지 일원에 위치할 예정이다. 지하 2층의 역사로 지어지며, 2홈 2선식의 상대식 역사로 건설될 예정이다. 역 출구가 생긴다면 길 건너 관악구에도 출구가 생길 듯. 2호선 승강장이 지상 3층이라 막장환승 목록에 이름을 올리게 생겼다. 아무튼 신안산선이 개통되고 신대방역신림역, 서울대입구역 등에도 경전철이 들어가면 신촌역에서 사당역까지의 2호선 구간에 비 환승역은 단 세 개만 남게 된다(문래역, 봉천역, 낙성대역).
서울 2호선 역 중에서 대림역과 더불어 자갈 선로가 되어 있는 둘뿐인 역이다. 나머지, 특히 동부 지상구간 역들도 콘크리트 선로로 되어 있다. 또 과거에는 화장실이 4개나 있었다[5]. 그것도 계단을 올라가야 화장실이 나오는 구조였다. 그러나 2018년 하반기부터 서울 지하철이 대대적으로 화장실 공사에 들어갔는데, 공사가 완료된 현재는 공평하게 남자화장실과 여자화장실이 한 개씩 있는 구조로 변경되었다.
구로디지털단지역에서 1호선 인근 지역을 갈 때는, 인천역 방향인 경우라면 그냥 신도림역에서 갈아 타는 게 낫지만, 서동탄역, 신창역 방향이나 소요산 방향으로 가야 할 때는 신도림역에서 갈아타는 것보다 중앙버스전용차로 상행 정류장이나 하행 정류장에서 150번, 5531번을 타는 것이 좋다. 북쪽 방향인 경우 상행 정류장에서 150번, 5531번을 타고 가서 대방역에서 1호선을 이용하면 되고, 남쪽 방향인 경우 하행 정류장에서 안양권으로 가는 버스중 하나를 타고[6] 관악역, 석수역 등 경부선과 도로가 붙어 있는 곳에서 1호선으로 갈아타면 된다. 출퇴근시간 이거나 경부선 급행을 이용할거면 신도림역으로 가는게 낫다.

3. 일평균 이용객


구로디지털단지역을 이용하는 도시철도 일일 승객 수이다. 아래 표는 승차객 + 하차객의 총합이다.
'''서울 지하철 2호선'''
<^|1>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 2000년~2009년 ]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87,240명
84,507명
84,897명
85,552명
89,174명
92,866명
99,837명
106,679명
112,045명
114,197명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117,630명
122,199명
124,422명
125,805명
128,236명
127,824명
126,914명
124,977명
124,380명
126,035명
2020년
'''98,133명'''
  • 앞서 언급했듯 금천구, 광명시, 안양시, 시흥시, 군포시 5권역 일대로 넘어가는 주요 길목 중 하나이다. 이런 이유로 이들 지역에서 영등포로 넘어가는 버스들이 예로부터 지나쳤던 곳이며, 따라서 2004년 지하철-버스 무료환승제도 및 2007년 경기버스-서울버스 환승할인제도가 시행되었을 때 이용객이 크게 늘어난 역이다. 지하철-버스간 환승할인이 되지 않을 땐 일평균 8만명대 중후반에 머물렀지만 서울버스와 환승이 된 이후에는 9만명대로 다소 증가했으며, 경기버스와 환승이 된 후에는 하루 평균 12만명으로 수요가 껑충 뛰었다. 같은 노선의 잠실역, 강남역, 사당역, 신도림역, 당산역과 더불어 버스와의 환승할인제도의 수혜를 톡톡히 본 역으로, 현재도 5권역 환승거점의 역할을 하면서 외지인들을 많이 끌어모아 2호선 전체 5위를 거머쥐며 2호선의 주요 역으로써의 역할을 다하고 있다.[7]
  • 신안산선이 개통될 경우 버스 ~ 2호선 수요는 줄지만 버스의 수요 원천지가 신안산선이 깔릴 자리에서 오기 때문에 환승 수요는 늘 것이다. 고로 역 내에서의 헬게이트는 확정이다.
  • 구로구 내 도시철도역 중 가장 이용객이 많은 역이다.
  • 단일 노선 기준으로 도시철도의 모든 지상역 중에서 가장 이용객이 많다.
  •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인해 2020년에는 10만명 선이 무너졌다. 그러나 코로나19가 잠식되면 다시 10만명대를 회복할 것으로 보인다.

4. 역 주변 정보


[image]
구로디지털단지역 2번 출구 바로 앞의 버스 환승 센터.
위에 언급된 대로 역을 중심으로 4개의 구(800m남쪽 남부순환로 너머 금천구를 포함하면 5개)가 자리잡고 있다. 지도 기준으로 12시방향이 영등포구 대림동, 시흥대로 넘어 2시 방향은 동작구 신대방동[8], 도림천 아래 4시방향은 관악구 신림동[9], 그리고 역을 포함한 7시방향 주요 구역은 구로구 구로동[10]이다.
1~3번 출구가 구로디지털단지 방향의 출구이다. 디지털단지 오피스 거리 방향으로 가기 위해서는 3번 출구가 가장 빠르며, 1, 2번 출구는 구로디지털단지 먹자 골목('''깔깔거리'''),그리고 버스환승센터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구로디지털단지 원룸촌으로 향하는 길목이 나온다. 출퇴근 시간 이 방향으로의 유동 인구는 어마어마하다. 관악구, 동작구의 원룸촌, 그리고 디지털단지사거리와 시흥대교쪽은 6번 출구로 나가는 것이 가장 빠르다. 사람인이 이 주변에 있어서 안내 방송은 물론이고 2번 출구 전체에 사람인 광고를 냈다.
3번 출구 구로디지털단지 방향으로 멀지 않은 곳에 이마트 구로점이 위치해 있다. 단 유동인구가 많긴 하나 멀티플랙스는 없다. 영화를 보려면 가까운 가산디지털단지나, 신도림역 쪽으로 가는 것을 권장한다,
이마트 구로 디지털단지점은 한참 멀리 있다.
5번 출구로 나오면 BYC 본사와 직영 매장이 있다.[11]
대학가는 아니지만 회사가 많다 보니 술집들이 꽤 많다. 홍대가 대학생이 많고, 신림이 2,30대 공시생이 많다면, 이 쪽의 분위기는 60, 70대 이상 노년층의 느낌이 확 온다. 어르신들 노는 콜라텍도 더러있고, 진득한 트로트가 들리는 노래방들이 많다.
버스 승강장 주변에 '''풍무양꼬치'''가 있다. 풍무뀀성은 중국 본토에서 유명한 양고기 요릿집이다. 대림동에서 장사가 잘 돼서 이전해왔다. 양꼬치 말고도 훠궈를 파는 가게도 있다. 금천구 쪽으로 나가게 되면 슬슬 중국 간판들이 눈에 띈다.
1번 출구로 나오면 헌혈의 집이 있다. 인근에서 규모가 꽤 큰 편에 속하며 운영 시간 또한 인근의 신도림점과 달리 주말, 공휴일에도 운영되고 선택의 폭이 좀 더 많으므로 구로구, 영등포구, 금천구 주민이라면 참고해두면 좋다.
역 건물 아래에는 도림천이 흐르고 있는데, 나름대로 휴식 시설을 갖춰 놓았다. 다만 바로 옆의 고가 도로와 하천 위의 철로 때문에 음침한 느낌이 나고 간혹 물냄새도 난다. 여름에 날파리는 덤.
컴뱃 밀리터리샵 또한 구로디지털단지역 근처에 있다.
역 근처로 비즈니스 호텔인 신라스테이롯데시티호텔이 있다.
[12]

5. 승강장


[image]
신대방




대림

[image] 서울 지하철 2호선
신림·사당·교대·잠실 방면

신도림·영등포구청·홍대입구·시청 방면

6. 연계 교통



6.1. 환승센터


구로디지털단지역 1번 출구를 통해 나오면 바로 나타나는 정류장에 정차하는 버스 노선 목록이다. 바로 앞에 보이는 승강장이 1번 승강장, 건너편에 위치한 승강장이 2번 승강장이다.

6.1.1. 1번 승강장


'''구로디지털단지역환승센터(17014)'''
<^|1><height=32>
[ 버스 목록 ]
[1] 개정 전 32번[2] 구 도하부대 터 한정으로 롯데캐슬 아파트단지로 개발되어 경부선 접근성이 한결 나아지긴 했다.[3] 경부선에서 2호선으로 환승하기 위해서 신도림역까지 올라갔다 다시 내려와야 하는 데 선형 자체도 비효율적인데다, 가산디지털단지역-구로역사이의 고가교 및 신호대기로 인해 시간을 많이 잡아먹는다.[4] 지역 주민들은 주로 구디라고 더 많이 부른다. 인스타그램 태그 기준 구디가 3만여 개, 구디단이 5천여 개로 압도적으로 차이난다.[5] 남자화장실 1개, 여자화장실 3개. [6] 150번은 시흥대교가 회차지점이라 시흥사거리 이남으로 내려가지 않는다. 5531번이나 51번이 안 와서 150번을 탔다면 '금천구청.금천경찰서'에서 내려서 신호를 건너 소위 금천구청길(시흥대로73길)로 들어가자마자 '무지개아파트'(18508)이 있는데 마을버스 노선이 '''3분'''의 배차간격을 자랑하는 01번을 필두로, 01-1번, 06번, 07번으로 4개나 돼서(04번은 제외. 롯데캐슬 골드파크 아파트 쪽으로 다소 우회한다) 배차간격이라는 게 없는 수준이라 오는 거 아무거나 타고 300m 정도 거리의 한 정거장만 가면 구청 및 역 앞이고 거기서 1호선을 타면 된다.[7] 단일역으로만 계산해도 전국에서 5번째로 이용객이 많다.[8] 행정동으로는 신대방1동[9] 행정동으로는 조원동[10] 행정동으로는 구로3동[11] 본사 건물이 상당히 낡았다.[12] 현재는 철거되었다.
}}}

6.1.2. 2번 승강장


'''구로디지털단지역환승센터(17015)'''
<^|1><height=32>
[ 버스 목록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지선
일반시내
}}}

6.2. 환승센터 남편 정차


  • 도로 구조상 환승센터를 이용하기 어려운 구로디지털단지역에서 회차하는 노선이 주로 이용한다. 왜냐하면 환승센터의 구조가 시흥대로의 남쪽(여의대방로 방향)에서 좌회전해서 들어오는 것을 전제로 만들어졌는데, 이 둘은 그렇지 않고 오히려 북서쪽에서 들어오기 때문이다. 환승센터 앞에 4층 벽돌의 허름한 상가건물이 있는데 그 건물 너머의 깔깔거리 입구 근처에 있다. 구로09용 정류장과 영등포01용 정류장은 서로 60m 정도 떨어져 있다.
'''디지털로32길(서)/한국산업단지공단·이마트구로점 방면'''
마을

6.3. 중앙버스전용차로



6.3.1. 상행 (여의대방로 방면)



<^|1><height=32>
[ 버스 목록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시흥대로(북)/동작쌍떼빌아파트 방면'''
간선
지선
심야
직행좌석
시내일반
}}}

6.3.2. 하행 (시흥대로·독산로·남부순환로 방면)



<^|1><height=32>
[ 버스 목록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시흥대로(남)/금천우체국 방면'''
간선
지선
심야
직행좌석
시내일반
'''독산로(남)/독산동남문시장 방면'''
간선
지선
'''남부순환로(동)/난곡입구 방면'''
지선
}}}

6.4. 시흥대로 가로변 정류장 정차 (디지털로 방면)



'''디지털로32길(서)/한국산업단지공단·이마트구로점 방면'''
지선

6.5. 신사로 정류장 정차



'''시흥대로(북)/동작쌍떼빌아파트 방면'''
공항

'''신사로(동)/신대방역 방면'''
공항

6.6. 조원로 정류장 정차


  • 5524번은 양 방향이 같은 정류장에 정차하니, 승차 시에 주의하여야 한다.
<^|1><height=32>
[ 버스 목록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신사로(동)/신대방역 방면'''
지선
시내일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