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촌교통
新村交通 / Sinchon Transportation Company
[image]
덕은동 본사 차고지 전경.
1. 개요
서울 7권역 지역[1] 과 경기도 고양시 일원을 중심으로 운행하고 있는 업체다. 현재 간선버스 노선 2개, 지선버스 노선 3개, 맞춤버스 2개 등 총 7개의 노선을 운행하고 있다. 대표이사는 이기훈, 이강호다.
본사는 마포구 상암동 경계 근처인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덕은동 옛 국방대학교 근처에 있으며, 일산동구 설문동에 영업소가 있고 같은 계열의 마을버스 회사인 신일산교통·신일산운수도 설문동 차고지를 쓰고 있다. 면허 등록지는 서대문구 남가좌1동으로 되어 있다.
2014년 11월 18일부터 이강식 신촌교통 전무가 한국brt의 대표이사도 겸하고 있는데, 이는 과거 신성교통(서울운수를 거쳐 현재는 신수교통)이 2014년 8월부터 자금난이 심해져서[2] 한국brt의 지분을 신촌교통에 팔았기 때문이다.
- 면허 등록지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수색로 42(舊 남가좌1동 295-5)
- 덕은동 본사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덕은로 112(舊 덕은동 269)
- 일산 영업소 :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고봉로678번길 47(舊 설문동 787-15)
2. 연혁
1961년 2월 10일 설립된 시내버스 업체다. 당시에는 신촌 지역뿐만 아니라 관악 지역에도 별도의 영업소를 차려서 영업했는데, 관악영업소는 1970년 6월 12일 성진상운으로 독립했다.
1992년에는 903번 심야좌석버스로 한참 건설 중이던 일산신도시에 진출했으며, 1994년에는 771번 좌석버스가 신설되고 얼마 안 돼서 921번 심야좌석버스로 운행했다.[3]
이 회사 역시 동해운수, 선진운수, 신성교통, 제일여객[4] 등 일산에 진출한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업체와 마찬가지로 상당한 좌석버스 노선을 굴렸는데, 현재의 108번 좌석버스의 근원이 되는 1008번 직행좌석버스 공동 배차에도 참여한 바 있으며 선진운수 외 유일하게 남은 회사였다.[5] 1999년에는 903번의 공동 배차를 청산하면서 903-1번 심야좌석버스로 분리한다. 특이하게도 다른 좌석버스 노선들과 달리 거의 일직선형의 선형을 보여 준 노선인 셈이다.
그러나 2001년 들어서부터 명성운수의 운행 질서 방해를 비롯한 물량 공세 등과, 회사의 자금난 등을 겪으며 회사는 내리막길로 접어들게 되었다.[6] 결국 921번의 공동 배차를 포기하면서[7] 사실상 일산에는 903-1번 심야좌석버스만 남기게 됐다. 그나마도 2002년에 903-1번을 일반버스로 전환했지만 2003년 4월 14일에는 903-1번이 시속 100km/h로 과속하다가 능곡지하차도 위에서 마을버스와 충돌한 후 지하도로 추락하는 대형 사고를 냈고, 설상가상으로 차고지를 마련하지 못해 기존 탄현동 종점에서 노숙했던 일화는 유명하다. 또한 자신들의 차량들을 김포교통에게 팔아서 어떻게든 회사를 살려 보려는 등등[8][9] 크게 어려움을 겪었다.
2004년 7월 1일 서울 시내버스 개편으로 준공영제에 들어선 이후로는 차츰 경영 상황이 나아졌으며, 개편과 함께 일산동구 설문동에 영업소와 CNG 충전소를 차렸다. 그 전까지 903-1번 가스차량이 은평공영차고지에 회송해서 가스 충전을 했다는 점을 보면 장족의 발전이라 할 수 있겠다.
2014년 8월부터 신성교통이 자금난에 허덕이면서 한국brt 지분을 신촌교통에게 팔았고, 11월 18일 이강식 신촌교통 사장이 한국brt의 대표이사로 취임했다.
7권역에서 친절 업체로 상당히 언급되는 업체이기도 하다. 2010년 무렵에는 국토해양부 선정 우수 운송업체에 선정되기도 했다.
3. 특징
회사명에 '신촌'이라는 지명이 들어 있듯이, 3개 노선을 제외한 모든 노선들이 신촌로터리 종착 아니면 신촌 경유다. [10]
특이하게도 고양 일산신도시 내에 운행하는 몇 안 되는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업체임에도, 광역버스가 없다. '''심지어 2004년 7월 1일 개편 당시에도 일산신도시 운행 노선을 가지고 있는 서울 버스 업체임에도 광역버스는 없었다.'''
이 회사의 노선들 중 7727번만 일산동구 설문동 소재 영업소 출발이며, 나머지 노선은 덕양구 덕은동 소재 본사 출발로 사실상 서울에서만 운행한다. 그리고 7727번 역시 말이 지선버스지 간선버스나, 심지어 광역버스급의 노선 길이 혹은 일직선형의 선형을 자랑하며, 운행 거리도 지선버스 주제에 사내에서 가장 길다.
덕은동 본사에 별도의 CNG 충전소가 없었던 탓에 초창기 덕은동 노선은 은평공영차고지에서 충전했지만, 지금은 바로 앞에 있는 상암공영차고지에서 충전하고 있다. 여담이지만 설문동 차고지가 생기기 전에 903-1번이 수색에서 충전했다(...)
반면 일산 영업소에는 자체 CNG 충전소가 있다. 충전소 이름은 "동진CNG충전소"다. 바로 옆인 명성운수 성석영업소의 11번 차량들이 신촌교통 일산 영업소로 들어와서 가스 충전을 하고 있다.
계열사로는 탄현, 중산 지역을 기반으로 하고 있는 고양시 마을버스 업체인 신일산교통·신일산운수가 있다. 이 회사들 역시 일산동구 설문동을 본사로 두고 있으며, 신촌교통과 함께 차고지로 이용 중이다.
특이하게 군포교통(74사 83##호) 차적의 면허 차량이 꽤 있는 편인데, 이는 1988년 군포교통에서 99번 도시형버스를 종로2가에서 구로디지털단지역으로 단축하면서 해당 잉여 차량들을 신촌교통에 팔아넘겼기 때문이다.
과거 비슷한 이름의 신촌운수라는 회사가 있었으나 전혀 다른 업체며, 해당 회사는 2000년 5월 중부운수에 합병되어 현재의 중부운수 문래동영업소가 됐다.
공영 차고지에 별도로 입주하지 않았지만 개편 초기 750번 때문에 은평공영차고지 사무소가 존재했으나, 2007년 신촌교통 노선이 은평공영차고지를 앞두고 덕은동 본사로 노선을 꺾어 버리면서(...) 750A번으로 분리되고, 해당 사무소도 폐쇄됐다. 그리고 750A/B번은 공동 배차임에도 각자 회사마다 '''몰빵 시간이 따로 있는 등(...)''' 굉장히 엉성하게 운행하고 있다. 이 때문에 수많은 사람들이 불편을 느끼는 부분 중 하나다.
상암공영차고지에서 그리 멀지 않은 곳에 차고지가 있지만, 이 회사의 노선들은 상암공영차고지 방향으로 직진하는 노선이 없다.
7727번 버스 기사들은 특히 일산신도시나 탄현동, 중산동 거주자들이 많다고 한다. 아무래도 노선 자체의 역사가 워낙 오래 된 데다가, 신일산교통·신일산운수에서 3년 동안 무사고로 운행하면 신촌교통으로 곧바로 채용 자격을 준다고 한다지만 3년동안 힘겨운 갑질을 견뎌내야 하며 채용 가능성이 없다..[11] 물론 100% 그런 건 아니고 일산에 거주하면서 덕은동 본사로 출근하는 케이스도 있고, 반대의 케이스도 있다고 한다.
또 중요한 특징 중 하나는 회사 자체적으로 시민 모니터링단을 꾸려서 운영하고 있다는 점이다. 신촌교통 소속 몇몇 버스 출입문에는 아직도 모니터링 요원 모집 공고가 붙어 있으며, 상시 모집 중이라고 쓰여 있다. 이 회사가 몇 년째 7권역 내에서 가장 친절한 업체라는 명성을 얻고 있는 것은 모니터링 제도가 잘 갖춰져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아마 뒷문 근처에 교통불편엽서와 차량 정보 등이 써있는 철판을 본 적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 회사는 '''아예 격벽 뒤에 기사님의 바스트 샷과 성함을 달고 다닌다.이것은 한국brt에서도 활용하고 있다.[12] ''' 보이지 않아 참고로 삼성여객도 비슷하게 달고 다니지만 버스운전자격증이 아닌 회사에서 제작한 운전사원증으로 사용하고 있다...
알다시피 덕은동이 들어가 있는 대덕동의 특성상, 이 회사의 덕은동 본사 차고지 전화번호도 고양시 소재이나 서울통화권인 02국으로 지역번호가 되어 있다. 다만 일산영업소는 경기도 통화권에 있으므로 지역번호가 031로 되어 있다.
예전에는 BF나 BS090, BS106 등 자일대우상용차와 현대자동차 모두 있었지만 모두 대차되고, 현재는 현대자동차 원메이크로 운용 중이다.
자동변속기는 에코매트 시절부터 ZF를 주로 이용하고 있고, 자동차용 에어컨은 고상은 두원공조, 저상은 동환산업 제품을 적용해서 출고하며 2017년 이후 고상버스는 로우백 시트로, 저상버스 기존형은 하이백 시트였으나 개선형 저상은 하이백 시트와 로우백 시트를 혼용해서 출고한다.[13]
신인운수, 김해BUS와 더불어서 전국 최후의 동글이 뉴 슈퍼 에어로시티를 2019년 10월 초까지 굴렸던 업체다.[14]
4. 면허 체계
5. 운행 노선
5.1. 덕은동 본사
- 서울 버스 740(덕은동 - 대덕동주민센터 - 월드컵파크 9, 10, 11, 12단지 - DMC첨단산업센터 - 수색교 - 수색역 - 디지털미디어시티역 - 북가좌동삼거리 - 가좌역, 모래내시장 - 사천교 - 연희104고지, 성산회관 - 동교동삼거리 - 신촌로터리 - 서강대학교정문 - 광성중,고등학교 - 대흥역 - 공덕역 - 효창공원앞역 - 용산구보건분소 - 전쟁기념관 - 녹사평역 - 용산구청 - 한강중학교 - 잠수교 - 서울지방조달청,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 서울중앙지방검찰청 - 서초역 - 교대역 - 강남역 - 역삼역 - 선릉역 - 삼성역) (구 730번, 개편 전 772 좌석)
- 서울 버스 750A(덕은동 - 대덕동주민센터 - 월드컵파크 9, 10, 11, 12단지 - DMC첨단산업센터 - 수색교 - 수색역 - 디지털미디어시티역 - 북가좌동삼거리 - 가좌역, 모래내시장 - 사천교 - 연희104고지, 성산회관 - 연세대학교 - 서대문역 - 경찰청, 동북아역사재단 - [→ [[서울역버스환승센터|서울역버스환승센터(4번)]] →] - 갈월동 - 숙대입구역 - 삼각지역 - 신용산역 - 한강대교북단 - 한강대교 - 상도터널 - 상도역 - 숭실대입구역 - 봉천고개 - 서울대입구역 - 서울여자상업고등학교, 서울문영여자중학교, 서울문영여자고등학교 -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동물병원 - 서울대학교 정문) (개편 전 142-1 변경[18] ) [19]
- 서울 버스 7711(덕은동 - 대덕동주민센터 - 월드컵파크 9, 10, 11, 12단지 - 상암DMC홍보관, YTN - 상암초등학교 - [← [[디지털미디어시티역]] 2번출구 ←] - 성산아파트 - 중동초등학교 - 성산2교 - 성미약수터 - 경성중, 고등학교, 홍익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여중고 - 서울도시가스(마포사옥) - 홍대입구역) (신설노선)
- 서울 버스 7726(덕은동 - 윤창아파트 - 성보화학 - 원골마을회관 - 원골 - 덕은동 - 양묘장 - 현천동 일신농장 - 영일자원 - 현천동난점 - 양지말(대덕로156번길) - 한국항공대학교 - 양지말(대덕로) - 현천동마트 - 부대앞 - 쌍굴입구 - 마을회관 - 대덕동주민센터 - 월드컵파크 9, 10, 11, 12단지 - DMC첨단산업센터 - 수색교 - 수색역 - 디지털미디어시티역 - 북가좌동삼거리 → 가좌역, 모래내시장 → 서대문종합사회복지관 → 남가좌동현대아파트 → 모래내삼거리) (개편 전 141-2[20] )
- 서울 버스 8761(신촌로터리 → 창전현대홈타운 - 광흥창역.서강동주민센터 - 대한민국 국회의사당 - 국회의사당역) (출근 맞춤버스) [21]
- 서울 버스 8777(난지한강공원 - [→ 중앙잔디광장 →] - 노을공원(난지미술창작스튜디오) - 난지천공원다목적구장 - [← 서부면허시험장 ←] - 난지천공원 - 월드컵공원 → 월드컵경기장(서측) → 월드컵경기장(북측) → 월드컵경기장(동측) → 마포구청, 마포농수산물시장 → 월드컵경기장(남측)) (주말맞춤버스)
5.2. 일산영업소(신일산교통·신일산운수 차고지)
- 서울 버스 7727(설문동 - 청석궁, 성석동감내 - 상감천마을 - 고양실업고등학교 - 중산1단지 - 일산자동차학원 - 홀트학교 - 탄현마을 6, 7단지 - 탄현동문아파트 - 탄현큰마을 - 탄현마을 5, 6단지 - 상탄초등학교, 일산동중학교 - 동문아파트 - 일산시장 - 일산현대홈타운 - 신일중학교 - 일산국제컨벤션고등학교 - 발산중학교 - 일산동구청, 정발산역 - 마두역 - 백석동 - 대곡역 - 고양경찰서 - 행신동 - 소만마을 - 서정마을 - 화도교 - 화전역 - 화전동주민센터 - 덕은교 - 수색교 - 수색역 - 디지털미디어시티역 - 북가좌동삼거리 - 가좌역, 모래내시장 - 사천교 - 연희104고지, 성산회관 → 연세대학교 → 연세로, 스타광장 → 현대백화점 신촌점 → 동교동삼거리 → 연희동대우아파트) (개편 전 903-1번)
6. 과거 운행 노선
- 일반입석 141 : 덕은동 - 고속터미널 - 은마아파트[22] / 1997년 12월 폐선
- 일반입석 141-1 : 덕은동 - 고속터미널 - 삼성동 / 2001년 폐선
- 일반좌석 773 : 덕은동 - 강남구청 - 가락시장 / 2001년 10월 폐선.[23]
- 심야좌석 921 : 탄현, 중산 - 화정 - 신촌, 이대역 / 2001년 공동 배차 포기 및 명성운수에 양도.
- 직행좌석 1008 : 일산신도시 - 화정 - 여의도 / 2001년 공동 배차 포기.
- 730: 덕은동 - 신촌오거리 - 잠실역 / 2011년 노선 단축[24] 으로 740번으로 번호 변경.
- 7725: 덕은동 - 수색 - 신촌 / 2007년 7726번에 노선 통폐합.[25]
- 8663 : 서울 지하철 9호선 출근 맞춤 버스(...) 항목 참조.[26]
7. 현재 보유차량
7.1. 현대자동차
- 현대 그린시티 천연가스버스
-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도시형버스 L 천연가스버스
-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2차 F/L 도시형버스 L 천연가스버스
-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초저상버스 SE 천연가스버스
-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초저상버스 천연가스버스
-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2차 F/L 초저상버스 천연가스버스
8. 과거 보유차량
8.1. 현대자동차
- 현대 HD160 디젤
- 현대 HD170 디젤
- 현대 FB485 디젤
- 현대 RB520 디젤
- 현대 RB520L 디젤
- 현대 에어로시티 520 디젤
- 현대 에어로시티 540SL 디젤
- 현대 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 540SL 디젤
-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 SL 디젤
-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 L 천연가스버스
-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 L 천연가스버스
-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초저상버스 천연가스버스
- 현대 에어로 이코노미 디젤
8.2. 자일대우상용차
- 대우 BS090 로얄미디 천연가스버스
- 대우 BF101 디젤
- 대우 BV101 디젤
- 대우 BS105L 디젤
- 대우 BS106 하이파워 디젤
- 대우 BS106L 하이파워 디젤
- 대우 BS106L 로얄시티 디젤
- 대우 BH115H 로얄익스프레스 디젤[27]
8.3. 기아자동차
9. 관련 문서
[1] 마포구, 은평구, 서대문구.[2] 이 내막은 신성여객 항목 참조.[3] 당시 903번은 동해운수와, 921번은 명성운수와 공동 배차했다.[4] 이외에도 후일 선진운수에 합병되는 선진여객과 더불어, 일산-김포국제공항 간 310번 좌석버스를 운행하던 김포교통도 있었다.[5] 동해운수, 범양여객, 신성교통도 공동 배차에 참여했지만 범양여객은 선진운수에 인수되고 동해운수와 신성교통은 공동 배차에서 빠지며 운행차량(동해운수 서울 74 사 2461, 2462 BH115H, 신성교통 서울 74 사 4200, 4211, AERO E)과 면허 모두 선진운수에 넘겼다.[6] 부산여객으로 링크를 걸어놨는데, 이 회사 역시 후술하겠지만 준공영제가 회사를 살려놓은 케이스다.[7] 물론 과거 신촌교통이 그랬던 것처럼 921-1번 등으로 직선화 노선으로 분리했으면 광역버스를 1노선 정도 굴릴 수도 있었겠으나(심지어 직선화 노선이라면 서울역까지 연장해도 2018년 현재까지 남아있었을 수도 있다. 합정, 홍대, 신촌, 충정로 등 2호선 주요 역을 경유하는 경의중앙선 바이패스 노선이 되었을지도 모르는 일이니), 이 때 신촌교통이 부도 직전까지 갔던 걸 생각해보자(...)[8] 2003년에 추락 사고를 낸 74사 8353호를 포함해서 74사 1323, 1324, 5891, 5892, 5893, 5895, 5897, 75사 1852, 70사 7299호 등을 김포교통에 매각했다. 특이하게도 1979년에 확보했던 5890호 단위 차량들 상당수를 팔아 버렸다.[9] 이 때문에 142번 도시형버스에 유성운수가 공동 배차에 참여했던 이유이기도 했다. 신촌교통이 차량을 싸그리 팔아 버리면서 결과적으로 차가 부족해졌기 때문.[10] 사실 7726번도 7727번처럼 신촌오거리 종착이었으나, 2014년을 전후해서 북가좌동으로 단축되었다.[11] 서울 시내버스인데 티오가 나올 리가 거의 없다.[12] 친절 또는 안전하게 모시겠습니다라는 멘트와 함께 버스운전자격증명이 있다. + 바스트 샷.[13] 예를 들어 7727번에 처음으로 투입된 저상버스인 5872호의 경우 하이백 시트를 적용하고 있으나, 750A번에 투입된 저상의 경우 로우백 시트를 적용하고 있다.[14] 신인운수, 신촌교통은 저상형, 김해BUS는 일반형, 참고로 디젤은 통영교통에서 2019년 6월 말까지 굴렸다. 이로써 전국 최후의 페이스리프트 되기 이전 도시형버스는 53번에서 예비차량으로 굴리고 있는 부천 부일교통 2009년식 BS090 1대가 되었으나 2020년 7월 1일에 대차되었다.[15] 서대문구 면허의 시내버스 회사들 증차번호. 740번 7309호가 신촌교통 모든 차량들 중에서 유일무이하게 여기에 해당된다.[16] 본 회사 주 면허.[17] 본 회사 증차 면허.[18] 볼드 친 구간이 750A번 단독 구간이다.[19] 유성운수와 공동 배차[20] 볼드 친 구간은 양방향이 겹치는 구간.[21] 서부운수, 유성운수와 공동 배차[22] 개편 전까지 운행했던 2기 141번(구 7725, 덕은동 - 모래내 - 신촌로터리)과는 무관한 노선.[23] 신성운수에서 운행했던 773번, 및 현재 운행중인 제일여객 773번(당시 907번)과는 관련없다. 초창기에는 연대앞을 기점으로 삼던 노선이나, 2000년 덕은동까지 연장했다가 6호선 개통으로 몰락했다.(...)[24] 잠실역 - 삼성역 구간[25] 제일여객의 7725번과 무관하며, 당시 제일여객 노선은 7023번으로 운행했다. 이 노선이 단축되면서 7725번 번호를 승계했다가 이 노선도 폐선(...) [26] 신촌교통 노선 중에 유일하게 한강 이북 지역을 경유하지 않는다. 그리고 가양역은 덕은동 본사에서 멀지 않다. 가양대교만 건너면 바로 나온다.[27] 매각 후 경상남도 김해시의 삼도여객(현. 태영고속)에서 운행하였다. 창원권에서 최초로 운행한 전중문형 고급좌석 차량.(시외노선이지만 어쨌든 최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