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레베이스

 

포켓몬 도감 나열 순서
[image] 711 펌킨인
[image] '''712 꽁어름'''
[image] '''713 크레베이스'''
[image] 714 음뱃
지역 도감 나열 순서
마운틴칼로스도감
접기·펼치기
[image] 078 맘모꾸리
[image] '''079 꽁어름'''
[image] '''080 크레베이스'''
[image] 081 코고미

가라르도감
접기·펼치기
본토
[image] 357 고래왕
[image] '''358 꽁어름'''
[image] '''359 크레베이스'''
[image] 360 타타륜
왕관설원
[image] 141 마기라스
[image] '''142 꽁어름'''
[image] '''143 크레베이스'''
[image] 144 주뱃

'''정보 내 바로가기 '''
일러스트
기본 정보
특성
세부 정보
진화
방어 상성
종족치
도감 설명
skip
1. 정보
2. 소개
3. 포획
4. 대전
5. 애니메이션
6. 기타

[clearfix]

1. 정보



[image]
[image]
꽁어름
크레베이스

기본 정보
이름
도감 번호
성비
타입
한국어
일본어
영어
[image] 꽁어름
カチコール
Bergmite
전국: 712
마운틴칼로스: 079
가라르: 358본토 / 142왕관설원
수컷: 50%
암컷: 50%

[image] 크레베이스
クレベース
Avalugg
전국: 713
마운틴칼로스: 080
가라르: 359본토 / 143왕관설원

특성(숨겨진 특성은 *)
마이페이스
혼란 상태가 되지 않는다.
아이스바디
싸라기눈이 내릴 때 매턴마다 전체 체력의 1/16씩 회복한다.
*옹골참
일격기가 통하지 않으며 HP가 가득찼을 때 일격에 쓰러지지 않는다.

세부 정보
포켓몬
분류
신장
체중
알 그룹
포획률
712 꽁어름
얼음덩이 포켓몬
1.0m
99.5kg
괴수
(8세대부터)광물
190
713 크레베이스
빙산 포켓몬
2.0m
505.0kg
55

진화
진화
[image]
712 꽁어름
레벨 37

[image]
713 크레베이스

방어 상성(특성 미적용)
2배
1배
0.5배




종족치
포켓몬
HP
공격
방어
특수공격
특수방어
스피드
합계
[image] 꽁어름
55
69
85
32
35
28
304
[image] 크레베이스
95
117
'''184'''
44
46
28
514

도감 설명
스크롤 압박이 있습니다. 도감 설명을 넘기고 싶으시면 skip을 눌러주세요.

[image] 712 꽁어름
X
몸을 둘러싼 얼음이 적의 공격을막는다. 깨져도 냉기로 재빨리 얼음을 얼린다.
오메가루비
Y
마이너스 100도의 냉기로 적을 얼려버린다. 만년설로 덮인 산에서 무리를 짓는다.
알파사파이어
소드
영하 100도의 냉기로 공기 중의 수분을 얼려서 얼음 갑옷으로 몸을 지킨다.
실드
혹한의 지역에 서식한다. 크레베이스의 등에 자신의 발을 얼어붙게 해 고정한다.
[image] 713 크레베이스
X
얼어붙은 몸은 강철처럼 단단하다. 앞을 가로막는 것을 커다란 몸으로 파괴하며 이동한다.
오메가루비
Y
등에 수 마리의 꽁어름을 태우고 지내는 모습은 마치 얼음으로 된 항공모함 같다.
알파사파이어
소드
여러 마리의 꽁어름을 등에 태우고 고위도의 차가운 바다를 빙산 속에 섞여 헤엄친다.
실드
낮 동안의 활동으로 몸의 균열이 깊어지지만 하룻밤 사이에 균열이 없는 몸으로 돌아간다.


2. 소개


포켓몬스터 X·Y에 새로 추가된 얼음타입 포켓몬. 모티브는 기행의 나라 영국에서 건조하려고 시도했던 '''얼음으로 만든 항공모함'''인 하버쿡이다. 실제로 크레베이스는 가라르지방에서도 나온다. 수송선을 닮은 모습과 서식지가 추운곳이라는 것 때문에 스타워즈 시리즈AT-AT에서도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정된다.
이름은 빙하의 갈라진 계곡을 뜻하는 크레바스에 토대를 뜻하는 베이스를 합친 것으로 보인다.
체육관 관장 우르프의 에이스 멤버이기도 하다.
한칭 이름의 뜻은 꽁어름은 꽁꽁+얼음, 크레베이스는 일칭을 그대로 읽었다.

3. 포획


XY에서는 프로스트케이브에서 30레벨 후반대의 꽁어름이 나온다. 진화 레벨이 37이지만 잡는 시기가 시기인 만큼 1레벨만 올리면 바로 크레베이스까지 도감에 채워진다.
소드ㆍ실드에서는 진화전인 꽁어름이 9번도로에 스파이크마을 주변에서 심볼인카운터로 돌아다닌다
역린호수에서 싸라기눈 날씨일 때 심볼로 크레베이스가 출현하는데, 성격은 그래도 무른 편인지 크레베이스의 주변을 지나가는 행동을 하거나 휘파람을 부는 어그로를 끌어도 플레이어 캐릭터를 향해 포효 한번 하고서는 그냥 제 갈 길 가버린다.

4. 대전


이 포켓몬의 특징은 파르셀을 뛰어넘는 압도적인 물리 내구력. 레지락처럼 깡패수준의 물리 방어력을 가지고 있다. 특히 이래 봬도 '''비전설 포켓몬 중 체력 + 방어 종족값 합 1위'''라는 무시무시한 스펙을 보유 중이다. 기본 물리내구력만 해도 85208이다. 공격 또한 파르셀보다 더 강하다. 하지만 얼음 타입의 방어상성이 워낙 안 좋은지라 약점이 많고[1] 스피드가 얼음 타입 포켓몬 중에서 가장 느리며 특방이 종잇장이라 불대문자#s-2파동탄, 러스터캐논 같은 걸 맞으면 그냥 훅 가 버린다. 특수형 루카리오라도 만나면 그야말로 추풍낙엽. 무게가 잠만보를 가볍게 능가하기도 하기에 1배일 터인 풀묶기조차 위험하다.[2] 다행히 저주, HP회복을 자력으로 습득하므로 약점이 많아도 물리공격에는 쉽게 쓰러지지 않는다. 숨겨진 특성이 옹골참이라 특수기에 찔려도 한방은 버텨준다.
옹골참 특성의 가치가 일반적으로 가장 높다. 돌격조끼를 달아주는 것도 한 방법이겠지만, 어차피 안좋은 특수내구를 억지로 돌격조끼로 채워봤자 옹골참 특성이 아깝고 그다지 효율적이진 않다. 물리몬 앞에서는 딜탱으로 굴리고, 특수형이 튀어나와 버리면 한대는 옹골참으로 뻐기면서 한방은 먹이겠다는 마음으로 운용하는 것이 가장 좋다. 또한 절대다수의 물리기로는 옹골참이 발동할 일이 거의 없기 때문에 뽐내기에 강한 마이페이스 특성도 조금이나마 쓰인다. 아이스바디도 일부 시즌에서는 10% 가까이 차지하는 등, 아예 묻힌 특성이라 보기 힘들다. 옹골참이 제일 높은 평가를 받지만, 결국은 쓰기 나름.
공격기술폭으로 보면 얼음 타입치곤 상당히 호화롭다. 얼음 타입이 배우는 경우는 드문 스톤에지를 습득 가능하며[3] 얼음귀신과 마찬가지로 지진도 배운다. 그 외에도 엄청난힘, 깨물어부수기, 자이로볼 등 최소한의 요건은 갖춰졌다. 다만 자속을 살릴 수 있는 얼음 타입 고위력 물리기가 조건부 위력에 우선도까지 낮은 눈사태#s-2 하나뿐이나, 5세대까지 전용기였던 '''아이스볼을 자력으로''' 배워주신다. 그러나 쓰는 사람은 현재까진 없다. 하지만 역시 단순 어태커로 굴리기는 좀 거시기하다. 유전기로 미러코트가 있는데 옹골참 특성과 종족치 배분과의 궁합이 끝내주지만 hp회복까지 넣자니 기술칸이 딸리는 점이 아쉽다. 다른 보조기는 울부짖기, 맹독으로 좀 빈약하다. 상대가 물리 포켓몬으로만 파티를 구성하는 경우는 드물기 때문에 HP회복이 무조건 필수인 것은 아니다. 차라리 준수한 견제폭의 물리기 세 개와 미러코트를 채용하여 상대편의 귀찮은 물리몬 하나를 봉쇄하거나, 상대가 특수형으로 교체하면 그 놈과 동귀어진하겠다는 방식이 제일 쓸만하다. 자속받는 얼음의 견제폭에 서브웨폰으로 가치가 높은 스톤에지와 엄청난힘을 채용하면 기본적으로 선택지에서 밀리지는 않는다.
또 크레베이스의 가장 큰 특징 중의 하나인 스피드가 얼음 타입 중에서 가장 느리다는 것은 다시 말해서, 트릭룸 팟에도 채용될 가치가 있다는 얘기. 이 경우 야도킹이나 야느와르몽 등의 포켓몬과 시너지가 잘 맞을 것으로 예상된다.
2013년 11월 초 기준으론 약점이 많아 묻힐 것이라는 당초 예상과 달리 1군 포켓몬만큼은 아니지만 물리막이로서 그럭저럭 자주 레이팅매치에 엔트리되고 있다. 옹골참 + 미러코트의 존재만으로 함부로 특수기를 지르지 못하게끔 심리적 압박을 가할 수 있으며, 미러코트를 의식한 상대는 물리기로 옹골참을 먼저 깨고 특수기를 날린다는 점을 역이용하여[4] 노력치 D252 + 돌격조끼 장착으로 특수내구에 몰아줘서 버티는 형태도 있다. 다만 이 경우 HP회복을 못 쓰게 되니 파티구성에 따라 선택하자.
레이팅배틀 시즌 4에서 거꾸로배틀이 스페셜 배틀 룰로 채택되면서 환경 내에서 약점이 같은 얼음 1개라는 점때문에 주목받고 있다. 픽률도 이 환경 내에선 굉장히 높은 편.
8세대에서는 약간 상향이 이루어졌는데, 여전히 고드름떨구기는 배우지 못하지만 고드름침을 배우게 되어 더 이상 눈사태와 얼음엄니에 구애받지 않게 되었다. 또한 높은 방어를 살릴 수 있는 바디프레스를 배울 수 있게 되어 순간 화력을 원하지 않는다면 스스로 공격/방어를 낮추는 엄청난힘을 배우지 않아도 된다. 마지막으로 마이페이스가 위협을 무시하게되어 딜탱 역할을 좀 더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로 8세대 초반 환경에서 나름대로 주목 받고 있는데, 무시무시한 방어력 덕에 초반 탑 티어 삼대장(따라큐, 갸라도스, 드래펄트)에게 약하지 않다. 고드름침으로 따라큐의 탈을 뚫고 자이로볼로 마무리하거나, 갸라도스의 주력기에 한방에 당하지 않고 바위 기술로 반격할 수 있으며, 드래펄트는 얼음으로 잡을 수 있고 설령 불대문자를 쓰더라도 돌격조끼나 옹골참으로 버티고 미러코트로 역관광해줄 수 있다.
왕관의 설원에서는 같은 트릭룸형 얼음 타입인 블리자포스가 등장했는데, 블리자포스는 크레베이스보다 공격이 더 높고 특방은 월등히 높은데다가 기술폭은 비슷하지만 블리자포스 쪽이 조금 더 좋다. 다행히 방어는 크레베이스가 여전히 더 높고, 블리자포스는 미러코트와 HP회복, 그리고 저주를 배우지 못하기 때문에 블라자포스와는 차별화되는 전법을 쓸 수 있다.

5. 애니메이션


포켓몬스터 XY&Z 27화에서 우르프의 에이스 포켓몬으로 등장한다. 특성은 아이스바디. 선봉 눈설왕이 눈퍼트리기로 깐 싸라기눈을 이용해 체력을 회복하면서 싸웠다.
등장한 화에서 지우의 포켓몬 3마리를 '''풀스윕'''해버리는 충격적인 강력함을 선보였다. 루차불과 파이어로의 공격을 버티면서 눈사태로 간단히 쓰러트린 것으로 모자라 지우개굴닌자의 공격을 정면으로 수없이 맞고도 쓰러지지 않았다. 크레베이스 자체가 포켓몬 중에서도 상위의 물리방어력[5]을 보유하고 있었고, 지우의 포켓몬 선출이 죄다 물리기 위주의 라인업이었기 때문에 하드 카운터 역할을 제대로 했다. 참고로 사용한 기술은 스톤에지/눈사태#s-2/자이로볼/얼음엄니.
두 번째 체육관 전에서는 특수공격기인 피카츄의 10만 볼트를 맞고 쓰러뜨린 뒤 파이어로에게 패배한다.
6세대 애니메이션이 이제 거의 막바지로 달려가고 있고, 심지어 7세대까지 공개된 마당에, 아직까지 한지우의 XY 6번째 멤버가 추가되지 않자 크레베이스가 마지막 멤버로 거론되고 있다. 서양 포덕들의 인기와 지우의 포켓몬이었던 토대부기를 연상케 하는 외모로 지지를 받고 있는데 이게 실현될지는 미지수.
다만 현재 떠나보낸 미끄래곤을 데려와 여섯 마리를 다 채워 위의 예측은 시원하게 빗나갔다.

6. 기타


아마루르가와 함께 최종진화형 기준 6세대에서 추가된 둘뿐인 얼음 타입 중 하나이다.
처음 플라잉겟으로 공개됐을 때 도감상 이미지의 구도 때문에 '''절반 잘린 이미지 잘못 가져온 줄''' 아는 사람이 많았다.
한국에 정발된 칼로스 완전 공략 가이드의 대전팁에 '''로케트박치기'''를 채용하라고 한 내용이 포착되어 개그거리가 되었다.
꽁어름을 태우고 다닌다는 항공모함같은 포켓몬이지만, 지령 계열 기술은 못배운다. 대신 파도타기는 배운다. 실제로 심볼 인카운터로 등장하는 크레베이스는 물 위에 떠다니는 모습도 보인다. 빙산이 모티브인만큼 어쩌면 당연한 것일지도?
8세대에서는 알 그룹이 단일 괴수에서 괴수/광물로 바뀌었다.
후에 8세대에서는 항공모함 컨셉을 일부 차용한 드래펄트가 등장하였다. 진화 전 포켓몬을 태우고 다니며 공생하는 것도 동일하다.

[1] 사실 부가타입 없는 순수 얼음의 약점은 바위/격투/불꽃/강철 4개로, 다른 타입과 비교해볼 때 심각하게 많은 건 아니다. 문제는 반감이 얼음 하나뿐이라 막이로서는 최악의 상성.[2] 다행히도 효과가 같은 격투 물리기 안다리걸기는 상성 면에서는 불리하나 방어 덕분에 버틸 가능성이 높다.[3] 스톤에지를 배울 수 있는 얼음 타입 포켓몬은 툰베어, 맘모꾸리, 그리고 초전설 포켓몬인 큐레무 그리고 이 크레베이스가 있다. 이게 전부다. 그나마도 툰베어는 7세대 전까지는 맘모꾸리 하위호환 소리를 들었었다.[4] 반대로 말하면, 옹골참이 깨진 상황에서는 높은 확률로 특수기로 공격해 온다는 이야기이기 때문.[5] 포켓몬 중에서도 크레베이스보다 방어 종족값이 높은 포켓몬은 단단지, 강철톤(&메가강철톤), 레지락, 메가보스로라 정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