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의 외래어/라틴어

 



●영어를 통해 전래된 것이 많다.
●라틴어는 사어이므로 더이상 변화하지 않아 학명으로 사용된다.
1. 과학
1.3. 도량형
1.4. 그 외
2. 심리
3. 예술/문학
4. 종교
5. 상표
6. 구절
7. 기타
8. 관련 문서


1. 과학



1.1. 화학 원소


  • 플루오린 Fluorine(fluore(흐르다) 혹은 fluorite(형석)의 변형)
  • 나트륨 Natrium(natron(소다)의 변형)
  • 알루미늄 Aluminium(alumen(백반)의 변형)
  • 실리콘 Silicon(silex(부싯돌)의 변형)
  • 칼슘 Calcium(calx(석회)의 변형)
  • 스칸듐 Sacandium(Scandiax(스칸디나비아)의 변형)
  • 갈륨 Gallium(Gallia(프랑스)의 변형)
  • 카드뮴 Cadmium(cadmia(탄산아연 광석)의 변형)
  • 인듐 Indium(indicum(청람색)의 변형)
  • 텔루륨 Tellurium(tellus(지구)의 변형)
  • 라듐 Radium(radius(광선)의 변형)
  • 라돈 Radon(radius(광선)의 또 다른 변형)
참고출처

1.2. 학명



1.3. 도량형




1.4. 그 외



2. 심리


  • 정신분석학 분야 용어
  • 페르소나 Persona(가면, 신분, 인격)
  • 아니마 anima(영혼)[1]
  • 아모르 파티 Amor Fati(운명에 대한 사랑)

3. 예술/문학


  • 오페라 opera(작품)
  • 데우스 엑스 마키나 deus ex machina(기계장치로 된 신)
  • 카메오 cameo
  • 옥타브 octavus(8번째)
  • 레퀴엠 Requiem(진혼곡)
  • 계이름[2]
  • 시소러스 thesaurus(창고)

4. 종교


  • 미사 missa
  • 아베 마리아 Ave Maria(Ave(안녕하십니까)+Maria(성모 마리아), 성모송)
  • 쿠오 바디스 Quo vadis(어디로 가십니까?)
  • 루시퍼 Lucifer[3]

5. 상표



6. 구절



7. 기타



8. 관련 문서




[1] 여기서 애니메이션(animation)과 애니미즘(animism)이 파생되었다.[2] 귀도 다레초가 당시 찬송가의 앞부분을 따서 지었고, 이후 약간의 추가가 있었다. 물론 찬송가는 라틴어로 쓰여졌다.[3] 다만 해당 문서를 보면 알겠지만 본래는 고유명사가 아닌 보통명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