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축함/배수량별 목록
[image]
[1]
1. 개요
이 항목은 배수량과 시기순으로 구축함을 기입하는 문서이다. 단 호위구축함(DE)은 지금의 호위함이나 초계함과 유사한 등급이기에 여기서 제외한다. 호위구축함(DE)의 경우 미국의 호위함(프리깃)이라 불린 선도구축함(DL) 보다 하위 단계로 애매한 등급이다. 이것은 구축함, 호위함(프리깃) 보다 낮은 등급의 명칭이다. 구축함에는 방공구축함(DDG)과 선도구축함(DL) 등이 존재한다. 1975년 6월 30일, 미국은 ''''1975년 순양함 격차 논쟁''''으로 대부분의 선도구축함(DL)들이 방공순양함(CG) 상향되어 이동한다. 때문에 분류 이전에 선도구축함(DL)으로 퇴역한 소수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순양함(CG)이된 선도구축함들은 이 목록에서 제외한다.
2. 1860년 ~ 제1차세계대전 이전(1913년): 철갑선 출현
2.1. 250톤 이상 ~ 3,000톤 미만
[image]
프랑스의 듀란달급 구축함
3. 제1차세계대전(1914년) ~ 1949년
3.1. 250톤 이상 ~ 3,000톤 미만
[image]
1928년, 아르헨티나의 ARA Cervantes(추루카급 구축함)
3.2. 3,000톤 이상 ~ 5,000톤 미만
[image]
1968년 8월 28일, 구소련의 Project 30bis Skoryy(스코리급 구축함)
4. 1950년 ~ 현대: 배수량별 구축함 목록[30][31]
4.1. 3,000톤 이상 ~ 5,000톤 미만: 일반적인 호위함급의 배수량
[image]
1993년 3월 2일, A port bow view of the British destroyer (42형 구축함 Batch 1)HMS BIRMINGHAM (D-86) entering port
4.2. 5,000톤 이상 ~ 8,000톤 미만: 일반적인 구축함급의 배수량
[image]
이탈리아 해군의 Nave Caio Duilio D5549호라이즌급)
4.3. 8,000톤 이상 ~ 10,000톤 미만: 제2차세계대전 경순양함급의 배수량
[image]
영국 해군의 HMS Dauntless in Scotstoun(45형 구축함)
4.4. 10,000톤 이상~ : 일반적인 순양함급의 배수량
[image]
2008년 10월 7일, 대한민국의 세종대왕급 구축함
러시아의 리데르급이 18000톤급 초대형 구축함으로 낄뻔했지만 2020년 러시아 국방부가 사실상 프로젝트 폐기를 공식화하면서 물건너 갔다.사실 이렇게 급수를 낮춰서 주장하는건, 일본이 아타고급으로 10000톤을 살짝 넘기며 첫 스타트를 끊었고, 이어서 한국이 11000톤[33] 의 세종대왕급을 구축함이라고 주장하면서 본격적으로 논란이 되었다. 미국은 한술 더 떠서 15000톤의 줌왈트급을 구축함이라고 주장하고 있고, 러시아, 일본, 중국도 동참하고 있는 셈이다.
구축함의 대형화는 세계적인 추세이고, 일반적으로 구축함과 순양함의 경계로 취급받던 10000톤 기준이 훨씬 더 높이 올라가고 있다고 보는게 맞을 듯 싶다.
일본은 만재배수량 19000톤의 휴우가급과 27000톤의 이즈모급 마저 구축함(헬리콥터 탑재 호위함)이라고 주장하지만, 함선의 모습이나 역할로 볼때 다른 나라에서는 모두 헬리콥터 모함으로 취급한다. 실제로 이즈모급은 F-35B를 탑재한 '''경항공모함'''으로의 개장을 진행 중이다.
5. 관련 문서
[1] 미해군의 구축함 역사. 구축함의 대형화를 여실하게 보여주고 있다.[2] http://en.wikipedia.org/wiki/List_of_destroyer_classes[3] 영문표기 중심으로 기재함. 일본의 경우 4,000톤급 이상 영문표기로 구축함이므로 구축함에 포함. 단 호위구축함은 엄밀히 말하면 구축함이라 보기 힘든 등급이므로 제외.[4] http://en.wikipedia.org/wiki/Ardent_class_destroyer[5] http://en.wikipedia.org/wiki/Havock-class_destroyer[6] 데어링급 구축함 1893년형[7] http://en.wikipedia.org/wiki/Durandal-class_destroyer[8] 미국의 베인브리지급[9] HMS 레틀스네이크[10] 트리벌급 구축함 1905년형[11] http://en.wikipedia.org/wiki/Beagle-class_destroyer[12] http://en.wikipedia.org/wiki/Paulding-class_destroyer[13] https://en.wikipedia.org/wiki/T%C3%A1tra-class_destroyer[14] http://en.wikipedia.org/wiki/Soviet_destroyer_Yakov_Sverdlov[15] http://en.wikipedia.org/wiki/Buenos_Aires_class_destroyer[16] http://en.wikipedia.org/wiki/Churruca_class_destroyer[17] http://en.wikipedia.org/wiki/Mendoza_class_destroyer[18] http://en.wikipedia.org/wiki/Opytny-class_destroyer[19] http://en.wikipedia.org/wiki/Fletcher_class_destroyer[20] 영국의 C급 구축함[21] http://en.wikipedia.org/wiki/Ognevoy-class_destroyer[22] http://en.wikipedia.org/wiki/Chacal_class_destroyer[23] http://en.wikipedia.org/wiki/Skoryy-class_destroyer[24] http://fr.wikipedia.org/wiki/Classe_Vauquelin[25] http://en.wikipedia.org/wiki/Aigle-class_destroyer[26] http://en.wikipedia.org/wiki/Gu%C3%A9pard-class_destroyer[27] http://en.wikipedia.org/wiki/Fantasque-class_destroyer[28] http://en.wikipedia.org/wiki/Narvik_class_destroyer[29] http://en.wikipedia.org/wiki/Mogador_class_destroyer[30] http://en.wikipedia.org/wiki/List_of_destroyer_classes[31] 영문표기 중심으로 기재함. 일본의 경우 4,000톤급 이상 영문표기로 구축함이므로 구축함에 포함. 단 호위구축함은 엄밀히 말하면 구축함이라 보기 힘든 등급이므로 제외.[32] USS 노퍽 선도구축함[33] 그것도 배수량을 축소 발표한 것이라고 의심 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