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함대(대한민국 해군)
[clearfix]
1. 개요
2. 상세
대한민국 해군의 해군작전사령부 산하 함대급 부대로, 대한민국 남쪽 해역을 책임지는 함대이다. 창설은 1946년 9월 24일에 부산에서 이루어졌으며, 1986년에 제3함대로 재편됐다.
지휘관인 함대사령관은 해군 소장이다.
천안함 피격사건으로 함대 기함이던 양만춘함을 2함대에 넘겨주면서 DDH는 한 척도 보유하지 않고 있으며[2] 북한과 거리가 있다보니 신형함이나 장비 우선 배치순위에서도 제일 뒤로 밀린다. 낡아빠진 PCC와 FF 중에서도 구형에 속하는 함정들이 배치되어 있으며 1, 2함대에서 마르고 닯도록 쓰다 낡아서 퇴역 얼마 안 남으면 3함대로 내려보내는 게 일반적이다. 이 낡은 배들 중 일부가 교육사 실습전대에 실습용으로 차출되어 가기 때문에[3] 실제 경비, 작전에 동원하는 전력은 더 적다. 참수리급의 경우 2010년대까지 40mm 수동포를 달고 있는 초기형들을 여러 척 찾아볼 수 있었다. 육군과 비교하면 제2작전사령부를 생각하면 되며, 실제로 이곳과의 협력도 자주 이뤄지고 있으며, 연락장교도 두고 있다.[4] 그래도 명색이 대한민국 해양경찰청과 함께 리아스식 해안이 많은 남해안의 주력부대로, 중국 해군 어뢰정 망명사건 때도 (당시 제3해역사령부이던)3함대가 대응했다. 최근에는 제주기지방호전대와 제9해병여단도 제주도에 배치되어 해병대와 협조해서 화력을 보강하려고도 하고 있다.[5][6]
2.1. 연혁
- 1946년
- 1947년 6월 21일 - 조선해안경비대 제주수영(濟州水營) 창설.
- 1949년 6월 1일 - 대한민국 해군 목포기지사령부, 목포경비부(木浦警備部)로 승격.
- 1950년
- 1973년 7월 1일 - 부산경비부, 제2해역사령부(第二海域司令部)로 개편.
- 1974년 1월 28일 - 목포경비부·제주경비부(구 제주수영), 제3해역사령부(第三海域司令部)·제6해역사령부(第六海域司令部)로 개편.
- 1986년 2월 1일 - 제2해역사령부를 제3함대로, 제3·6해역사를 제3함대 예하 목포기지전대와 제주방어사령부로 재편성.
- 1987년 - 제3목포기지전단 창설.
- 1987년 12월 - 제3목포기지전단, 목포해역방어사령부로 개편.
- 1998년 12월 17일 - 여수시에서 광명함이 북한 반잠수정 격파.
- 2007년 11월 15일 - 제3함대사령부 영암으로 이전 및 목포해역방어사령부 해체.
- 2015년 12월 1일 - 제주방어사령부 해체, 제주기지전대 창설.
3. 편제
3.1. 사령부 직할대
- 근무지원대대
- 부산항만방어전대
- 지휘통신대대
3.2. 예하부대
4. 출신인물
4.1. 사령관
4.2. 장교/부사관
4.3. 병
5. 기타
5.1. 근무환경
- 1함대가 대잠전, 2함대가 해상공방전을 중시한다면 3함대는 대침투전을 중시하는 게 특징. 북한의 반잠수정이나 공작선을 대상으로한 훈련을 자주한다. 기함은 전북함(FFG 813)이다. 후방인 남해를 담당하기에 동해의 제1함대, 서해의 제2함대에 비해 전력이 확연히 떨어지는 편이다. 후방이지만 전라도와 서부 경남의 복잡한 도서 지역을 끼고 광역/저속 초계 임무를 주로 수행하기 때문에 헬기 운용이 가능한 중대형함이 다수 필요하나 수요를 충족시키긴 힘들어 보인다. 설상가상 쫓겨나다시피 해서 들어온 구 목포해역방어사령부는 협수로, 얕은 수심, 협소한 항구 시설로 지원능력이 부산에 비해 월등히 떨어져서 광개토대왕급 이상의 함정은 줘도 운용이 힘들다.[12]
- 국내 최대 항구도시로 물동량이 어마어마한 부산항을 담당하는 부산항만방어전대는 부산해경과 연계해 부산지역 해안을 철저히 감시하기에 근무가 상당히 빡세다. 관내에 작전사령부가 있기 때문에 중요성은 더욱 크다. 항만방어전대의 항만경비정이나 고속정은 침몰, 화재, 추락 같은 재난사고 발생 시 출동해 해경을 보조하기도 한다.
- 최후방인 데다 80년대 이후 북한이 남해안까지 침투를 기도하는 사례가 뜸해졌고, 참여정부 시절 햇볕정책 차원에서 제주도 남북방으로 만경봉호 같은 북한 상선 통과 허락해준 것도 천안함 피격사건 이후 백지화된지라 1, 2함대에 비하면 신경쓸 게 확실히 적다. 거기다 남해는 제7기동전단이나 잠수함사령부 같은 해군 주력부대들이 별도로 주둔중이라 3함대에 걸리는 부담이 적다. 현실적으로 많이 신경쓰는 건 온갖 핑계를 대며 수시로 AO(작전구역) 침범을 기도하는 북한상선과 남쪽에서 끝없이 몰려오는 중국 어선단이다. 북한 상선의 경우 아예 경비구역을 신설해 관할해역 침범을 저지하고 있고, 중국어선단은 해경의 보조역할로 R/S를 통해 중점적으로 감시하는 정도다. 중국어선들이 무장하고 어업지도선이나 해경에 저항할 경우 인근 해군 함정이 지원나가는 경우가 있지만 많진 않다. 이어도의 경우는 신경을 안 쓰는 건 아니지만 본격적인 분쟁지역이나 영토가 아닌지라 해군이 전담하지 않고 해경 경비함이 이어도 인근 해역에 상시 대기한다.
- 중대형함은 돌아가면서 경비구역에서 경비뛰고 참수리는 주기적으로 편대교대와 기동, 사격훈련을 실시한다. 편한 건 아니지만 최소한 2함대처럼 해상전진기지에서 식사추진 받아가며 경비 뛰느라 고생하진 않는다. 가끔씩 밤중에 미확인 접촉물이 포착되면 바로 확인하러 나가야 하는 일이 생기는데 물론 막상 가서 확인해보면 백이면 백 술취해서 이리저리 비틀대던 배가 아니면 불법조업 선박이다. 그나마도 2010년 말 참수리 295호정을 야간에 무리하게 내보냈다 침몰시키고 사상자를 낸 이후론 어지간하면 밤에 참수리 내보내는 건 피하는 편이다. 또한 이 사건 여파로 참수리 편대 지휘체계와 배치방식이 바뀌었다.
5.2. 부대가
6. 여담
- 1998년에는 육군 제31보병사단 및 해양경찰, 경찰과 함께 육/해군 및 경찰. 해양경찰 합동작전으로 북한 반잠수정을 격침시켰던 전과도 있다. 이는 북한의 마지막 후방 해안선 침투사례로, 제대로 박살난 북한은 이후 후방 해안 침투를 단념하고 위조여권을 대량으로 풀어서 중국에서 조선족으로 위장시킨 간첩을 보낸다. 그리고 한국 해군과 해경도 제법 전력이 강해져 뚫고 내려오는 것도 힘들어 이 사건을 마지막으로 2작사의 대간첩 작전 사례는 없고 주력은 해군/해병대/해경으로 넘어온다. 31사단은 TOD를 사용하여 해안을 감시하던 중 최초로 반잠수정을 식별하여 간첩 침투사실을 확인하고 이미 잠수정에서 이탈하여 내륙으로 침투하려던 1명을 사살한 공을 인정받아 현재까지도 사단의 가장 영광적인 전공으로 여긴다. 때문에 31사단에서는 해당 사건을 98 완전작전이라고 명명하고 숫자 98을 예하 부대의 슬로건이나 엠블럼에 애용한다. 전방의 제22보병사단이 잠수함의 침투를 파악하지 못하고 간첩의 해안 상륙을 허용하여 일어난 강릉 무장공비 침투사건을 치욕으로 여기는 것과 대비적이다.
- 참수리 정장(해군) 등 여군 해상지휘관 T/O가 후방이라는 이유로 몰려 있는데, 그나마 지휘관 TO가 적어 진급점수 균등부여를 위해 1년도 안 채우고 가는 경우가 허다해 승조원들의 불만이 많다고 한다.
- 과거에는 제36고속정전대가 있었다.[13]
[1] 항상(常) 이기는(勝) 함대라는 뜻이다.[2] 2함대 넘겨준 양만춘함 대신 받아온 게 낡아서 고장 잘 나는 걸로 악명높던 서울함이었다. PCC는 2011년도까진 최후기형이 여러 척 배치되어 있었으나 11~12년 재배치 조치로 전부 1, 2함대로 넘겨주고 구형을 받아왔다.[3] 보통은 FF, PCC가 돌아가면서 교육사에 배속되지만 울산급 네임쉽인 울산함은 너무 낡아서 거의 교육사 고정배치되어 경비고 훈련이고 거의 안 뛰었는데 그 덕에 꿀산함이란 별명을 얻었었다. 울산함이 퇴역하자 그 다음으로 낡았고 고장 잘 나는 걸로 이름 높은 서울함이 그 자리를 이어받았다. 현재는 그마저 퇴역했다.[4] 한국 해군의 함대는 지휘관 계급이 소장이라 육군 사단급과 서열상 동급일 뿐, 하는 일은 육군의 군단이나 야전군에 가깝다. 1, 2함대는 인근 육군 군단에 연락장교들을 보내지만, 2작사는 예하에 군단이 없어 3함대 연락장교도 여기로 온다.[5] 실제로 제주도와 목포의 거리는 의외로 가까워서 전력이 높아질수 있다.[6] 하지만 나라에선 구.목포해역방어사령부를 바꾸지 않을 계획인 듯하다.[7] 이 결정을 내린 사람이 송영무 前국방부장관(당시 해군참모총장)이다.[8] 1~2함대의 1번대 전대와 달리, 구축함은 한 척도 없다. 예전에는 그나마 있었던 호위함도 울산함과 서울함이 다 퇴역하면서 기함인 충남함 1척 남았다가, 이마저도 퇴역하면서 인천급 호위함 3번함인 전북함이 새 기함으로 배치되었다. 현재는 울산급 4번함인 마산함이 배치되었고 인천급 6번함인 광주함이 추가로 배치되었다. 나머지는 전부 포항급 초계함.[9] 사실 광개토대왕급 구축함도 전세계 기준으로는 호위함급이며, 새로 배치중인 대구급 호위함과 톤수는 동등우세, 무장은 동등열세 수준인 점에서 한국의 해역함대에는 엄밀히 말하면 구축함이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10] 합참차장으로 영전 후 대장으로 진급했다. 군 역사상 5명 밖에 없는 4성 합참차장 중 한 명이다.[11] 前 해군교육사령관, 해군사관학교장, 합동참모차장까지 중장 보직만 4차례 역임했다. 그러나 대장 진급은 하지 못했다.[12] 한때 전남 해남군에 기지 신축을 검토한 적이 있었다.[13] 전대장 보직이 요직과 한직 취급을 오갔는데 어떤 때는 짬중령, 한 때는 대령(진)이 맡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