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장
[image]
錫杖 Khakkhara
불교에서 승려들이 길을 나설 때 짚는 구리 혹은 청동으로 만든 지팡이이다.비구(남자 승려)가 들고 다닐 수 있도록 허용된 18가지 물건(비구 18물)[1] 중 하나이다.
[image]
보통은 6바라밀을 상징하는 고리 6개가 달려 육환장(六環杖)이라고도 한다. 가끔씩 고리 9개가 달린 것도 있는데, 이는 서유기에서 삼장법사가 들고 다니던 것과 비슷하며 덕이 높은 고승 전용이라 보통 승려들은 소지할 수 없다. 고리 12개 달린 석장은 부처님이 들고 다니는 지물로 묘사된다.
[image]
석장은 짚을 때마다 고리들이 흔들려 짤랑거리는 소리를 내는데 이는 땅을 두들기고 소리를 울려 갈길에 있을지 모르는 산 생명들에게 경고하여 살생을 막기 위함이다. 거기에 승려 본인의 몸을 지키는 용도도 있었는데 야생짐승과 갑자기 조우했을 때 동물이 위협을 느끼고 먼저 공격하는 경우가 있는데 석장의 고리 흔들리는 소리로 동물들이 먼저 알아채고 피할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2] 위험한 육식동물들에게도 효과 있는게 쇠붙이 달그락 대는 소리가 인간의 무기를 연상하기 때문에 피하게 된다고. 또 종종 이를 이용하여 석장을 흔들면서 염불을 하며 탁발을 하는 경우도 있었다. 지금은 사라졌지만 과거에는 길이가 짧은 석장을 흔들어, 마치 목탁처럼 소리 내는 도구로 사용하기도 했다고 한다.
삼국유사에는 양지(良志)라는 승려가 자기 석장에 시주자루를 묶어서 날려보내면 석장이 알아서 날아다니며 시주를 받아왔다는 이야기도 있다.
[image]
석장 끝은 보통 단단한 쇠붙이로 만들지만 장대 부분은 보편적으로 단단한 나무로 다듬어서 칠 먹인 곤봉 형태로 끼워맞추곤 했다. 물론 전부 쇠붙이로 만든 것도 있지만 무게가 무게인지라 힘센 장사가 아니라면 사용하기 힘들었으므로 보편화되지 못했다.
장대이니까 몽둥이로 쓸 수 없진 않으나 되도록이면 쓰지 않는다. 불교의 십선 중에 불살생, 불진심[3] 이 있다. 각종 창작물에서 스님들이 칼처럼 붕붕 휘둘러 대느라 메이스와 같은 급인 '''성직자 전용 타격 무기'''로 아는 사람들이 많지만 기본적인 용도는 그저 지팡이일 뿐이다. 하지만 귀신한테는 자비가 없는지, 불교 전설 중에는 '''석장이 알아서 날아가 악령을 퇴치'''했다는 이야기도 있다.
보통은 밀교 법력승들이 애용하는데 접이식이라든지 석장 끝을 빼니 안에 창이나 암기가 있다는 여러 가지 바리에이션이 있을 정도로 활용도는 무궁무진하다.[4][5]
그리고 여기에서 파생된 가장 대표적인 무기로는 선장(禅杖)이 있다.
한중일 삼국에서 모두 사용되었으나 현재 한국에서는 이상할 만큼 보기 힘든 물건. 가끔 사찰 박물관에 가면 아무개 큰스님의 석장이라는 것을 볼 수 있다.[6] 그러나 아주 가끔씩 나이 든 승려들 사이에 의장용으로 사용하는 경우를 볼 수 있다.
중국에서도 요즘은 거의 사라졌으나 일본에서는 아직도 많이 사용되는데, 이는 한국 민간불교가 미륵신앙으로 대표되는 것처럼, 일본 민간불교는 지장신앙으로 대표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즉, 설법하는 보살로서 좌불의 형태로 곧잘 묘사되는 미륵과는 달리, 지장은 육도를 방랑하는 탁발승의 형태를 띄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지장의 지물로는 육환장이 많이 등장하는데, 6개의 고리가 달려있는 육환장은 실질적으로는 탁발 시 시주에게 내방을 알리는 용도이기도 하고, 상징적으로는 여섯 개의 고리가 육도윤회를 의미하기도 한다.[7] 특히 일본에서는 석장 머리 부분에 짧은 자루를 달아 예불이나 음악을 할 때 박자를 맞추는 악기처럼 사용한다.
가끔 한국 스님 캐릭터가 저거 들고 다닌다고 왜색이라고 착각하는 사람이 있는데, 상기되었듯이 '''원래 승려의 기본장비'''다. 요즘 흔히 보이지 않기는 해도, 과거에는 우리나라나 중국 승려들도 흔하게 들고 다니는 물품이었다.
錫杖 Khakkhara
1. 개요
불교에서 승려들이 길을 나설 때 짚는 구리 혹은 청동으로 만든 지팡이이다.비구(남자 승려)가 들고 다닐 수 있도록 허용된 18가지 물건(비구 18물)[1] 중 하나이다.
[image]
보통은 6바라밀을 상징하는 고리 6개가 달려 육환장(六環杖)이라고도 한다. 가끔씩 고리 9개가 달린 것도 있는데, 이는 서유기에서 삼장법사가 들고 다니던 것과 비슷하며 덕이 높은 고승 전용이라 보통 승려들은 소지할 수 없다. 고리 12개 달린 석장은 부처님이 들고 다니는 지물로 묘사된다.
[image]
석장은 짚을 때마다 고리들이 흔들려 짤랑거리는 소리를 내는데 이는 땅을 두들기고 소리를 울려 갈길에 있을지 모르는 산 생명들에게 경고하여 살생을 막기 위함이다. 거기에 승려 본인의 몸을 지키는 용도도 있었는데 야생짐승과 갑자기 조우했을 때 동물이 위협을 느끼고 먼저 공격하는 경우가 있는데 석장의 고리 흔들리는 소리로 동물들이 먼저 알아채고 피할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2] 위험한 육식동물들에게도 효과 있는게 쇠붙이 달그락 대는 소리가 인간의 무기를 연상하기 때문에 피하게 된다고. 또 종종 이를 이용하여 석장을 흔들면서 염불을 하며 탁발을 하는 경우도 있었다. 지금은 사라졌지만 과거에는 길이가 짧은 석장을 흔들어, 마치 목탁처럼 소리 내는 도구로 사용하기도 했다고 한다.
삼국유사에는 양지(良志)라는 승려가 자기 석장에 시주자루를 묶어서 날려보내면 석장이 알아서 날아다니며 시주를 받아왔다는 이야기도 있다.
[image]
석장 끝은 보통 단단한 쇠붙이로 만들지만 장대 부분은 보편적으로 단단한 나무로 다듬어서 칠 먹인 곤봉 형태로 끼워맞추곤 했다. 물론 전부 쇠붙이로 만든 것도 있지만 무게가 무게인지라 힘센 장사가 아니라면 사용하기 힘들었으므로 보편화되지 못했다.
장대이니까 몽둥이로 쓸 수 없진 않으나 되도록이면 쓰지 않는다. 불교의 십선 중에 불살생, 불진심[3] 이 있다. 각종 창작물에서 스님들이 칼처럼 붕붕 휘둘러 대느라 메이스와 같은 급인 '''성직자 전용 타격 무기'''로 아는 사람들이 많지만 기본적인 용도는 그저 지팡이일 뿐이다. 하지만 귀신한테는 자비가 없는지, 불교 전설 중에는 '''석장이 알아서 날아가 악령을 퇴치'''했다는 이야기도 있다.
보통은 밀교 법력승들이 애용하는데 접이식이라든지 석장 끝을 빼니 안에 창이나 암기가 있다는 여러 가지 바리에이션이 있을 정도로 활용도는 무궁무진하다.[4][5]
그리고 여기에서 파생된 가장 대표적인 무기로는 선장(禅杖)이 있다.
한중일 삼국에서 모두 사용되었으나 현재 한국에서는 이상할 만큼 보기 힘든 물건. 가끔 사찰 박물관에 가면 아무개 큰스님의 석장이라는 것을 볼 수 있다.[6] 그러나 아주 가끔씩 나이 든 승려들 사이에 의장용으로 사용하는 경우를 볼 수 있다.
중국에서도 요즘은 거의 사라졌으나 일본에서는 아직도 많이 사용되는데, 이는 한국 민간불교가 미륵신앙으로 대표되는 것처럼, 일본 민간불교는 지장신앙으로 대표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즉, 설법하는 보살로서 좌불의 형태로 곧잘 묘사되는 미륵과는 달리, 지장은 육도를 방랑하는 탁발승의 형태를 띄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지장의 지물로는 육환장이 많이 등장하는데, 6개의 고리가 달려있는 육환장은 실질적으로는 탁발 시 시주에게 내방을 알리는 용도이기도 하고, 상징적으로는 여섯 개의 고리가 육도윤회를 의미하기도 한다.[7] 특히 일본에서는 석장 머리 부분에 짧은 자루를 달아 예불이나 음악을 할 때 박자를 맞추는 악기처럼 사용한다.
가끔 한국 스님 캐릭터가 저거 들고 다닌다고 왜색이라고 착각하는 사람이 있는데, 상기되었듯이 '''원래 승려의 기본장비'''다. 요즘 흔히 보이지 않기는 해도, 과거에는 우리나라나 중국 승려들도 흔하게 들고 다니는 물품이었다.
2. 소지 캐릭터
- 가면라이더 포제 - 리브라 조디아츠
- 가면라이더 블레이드 - 가면라이더 렌겔
- 가정교사 히트맨 리본 - 로쿠도 무쿠로
- 갓초 - 강철전기 C21
- 굉굉전대 보우켄저 - 보우켄저 들어오기전의 타카오카 에이지
- 귀멸의 칼날 - 세키도
- 나루토 - 오오츠츠키 하고로모, 오오츠츠키 하무라, 우치하 오비토, 우치하 마다라
- 나이트런 - 만시를 비롯한 전투승려
- 남코X캡콤, 무한의 프론티어 시리즈 - 샤오무
- 노기 와카바는 용사다 - 노기 와카바
- 노라가미 - 후지사키 코토
- 누라리횬의 손자 - 쿠로타보, 카라스 텐구, 쿠로우마루, 토사카마루, 사사미
- 던전 앤 파이터 - 무녀(던전 앤 파이터)[8] , 반야
- 데이트 어 라이브 - 호시미야 무쿠로
정확히는 긴 열쇠에 석장 형태를 합친 거다.
- 디지몬 테이머즈 - 샤크라몬
- 로스트사가 - 수도승
- 마탄의 왕과 바나디스 - 소피야 오베르타스 -
- 블리치 - 센나
- 사무라이 스피리츠 시리즈 - 가후인 니코친
- 성전 - 공작
- 아랑전설 - 모치즈키 소카쿠
- 요괴소년 호야 - 아키바 나가레
- 원피스 - 쿠마도리
- 은혼 - 천도중지사나락 전원, 엔미
- 이누야샤 - 미로쿠를 포함한 작중 등장하는 모든 법사들 전원
- 임진록 2 - 사명대사, 세이쇼오
- 진삼국무쌍 - 장각
- 진심으로 날 사랑해라!! - 무사시보 벤케이
- 천년의 신화 - 원효
- 청의 엑소시스트 - 시마 렌조
- 츠고모리 마사카게 - 수리검전대 닌닌저
- 태조 왕건 - 궁예
승려를 자처하여 승복을 입고 석장을 들고 다녔다. 나중에 법봉이라고 부르는 쇠몽둥이로 바꾼다.
[1] 비구 18물 목록 : 1.양지-이를 청결히 하기 위한 버드나무. 2.조두-대두.소두의 분말.손을 씻는 비누로 쓴다. 3.삼의-법복, 승가리, 울다라승, 안타희. 4.병-마실 물을 넣는 그릇. 5.발-음식을 담는 그릇. 6.좌구-앉고 누울 때 까는 천,'니사단'. 7.석장. 8.향로-향을 사르는 그릇. 9.녹수낭-물을 마실 때 수중벌레들의 목숨을 보호하고, 자신의 위생을 지키기 위하여 물을 거르는 천으로 된 주머니. 10.수건-손과 얼굴을 닦는 천. 11.도자-손칼. 12.화수-불을 피우는 도구. 13.섭자-콧수염을 빼는 쪽집게. 14.승상-노끈 등으로 만든 상. 15.경-진리에 관한 부처님의 말씀이 담긴 책. 16.율-출가 수행자가 지켜야 할 조항이 담긴 책. 17.불상-부처님의 성상. 18.보살상-보살님의 성상[2] 지금도 야생동물 출몰 위험 있는 곳에서 일부러 큰 소리내고 떠들면서 가는 게 동물 피하는 방법으로 전해지고 있다.[3] 不嗔心, '嗔'은 '성낼 진'[4] 실제 접이식 석장, 칼이 든 석장들이 있었는데 이는 전국시대에 밀교 탁발승들을 가장한 닌자나 첩자들이 들고 다니기 위함이었다. 즉, 실제 승려가 쓴 적은 없다.[5] 승병이 흔했지만 당연히 무기들을 들었지 석장을 쓰지 않았다.[6] 불과 1940~1950년대만 해도 제법 많이 사용되었는데 요즘은 교통이 발달하고 실제 걸어서 행각을 다니는 스님이 줄면서(가짜 탁발승들 때문에 탁발이 금지된 탓도 있음) 수요자 & 공급자가 나란히 사라진 케이스다. 요즘은 석장을 구하려면 일본에서 수입하거나 주문제작을 해야 한다.[7] 일본은 지금도 도보로 성지순례나 행각을 다니는 경우가 많다.[8] 사실 던파의 무녀는 착용하는 무기가 염주이나, 어프리스트는 염주를 착용시 각 전직에 맞는 봉으로 변하게끔 적용되었다. 이 중 무녀는 석장을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