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스(전투조종사)

 



1. 개요


대체로 적기를 5기 이상 격추시켰을 때 에이스 칭호를 받게 된다. 물론 제2차 세계대전독일 공군, 심지어 제1차 세계대전의 독일 제국 공군 파일럿들만 죽 늘어놓으면 5대가 무슨 유치원생 장난질처럼 보일지도 모르지만, 이건 독일군이 우수한 조종사와 항공기 육성을 전간기부터 준비한 결과였고 운용도 남들은 짱박아 놓을 때 대규모로 몰려가 몰빵을 놓거나 전략폭격은 미비한 대신 전술 공군위주로 육성했다거나 하는 등의 이유가 있었다. 또한 독일공군이 킬마크를 쌓은 전무후무할 대규모 물량전인 독소전에서 공중전은 대체로 중저고도에서 벌어졌지만, 고고도로 올라가지 못한다는건 고도의 우위를 잡을 수 없다는 이야기고 이는 공중전에서 상당히 불리하게 작용한다. 소련군 전투기들의 고질병인 고고도에서의 출력 부족 문제는 대전기간 동안 끝내 해결되지 않았다. 반면에 독일 공군은 최상급의 성능을 가진 항공기와 수 년간의 실전으로 단련된 조종사들이었으니 소련 공군은 탈탈 털리지 않으면 그게 이상한 상황이었다.
게다가 서부전선을 보면 독일공군 파일럿들은 압도적 수의 차이와 주도권을 상실하고 휘둘리는 바람에 그야말로 혹사당했고, 심지어는 (비록 사촌형만큼 유명하지는 않지만) 1차대전에서 굉장한 끗발을 날린 에이스 볼프람 폰 리히트호펜(게다가 이사람은 '''원수'''다!)까지 전투기 조종사로 직접 출격하는 막장 상황까지 연출되었다. 연합군보다 출격 횟수가 무려 5배에서 10배까지 많았다. 그에 따라 교전횟수도 당연히 연합군보다 많았으며 평균적인 5기 격추 파일럿은 미군은 1297명, 영국군도 영연방을 포함하면 1200명을 넘어가지만 독일군은 880여명 밖에 없다. 그야말로 격추대수의 부익부 빈익빈 '살아남는 운좋고 실력좋은 놈은 독식하고, 운없고 실력없는 놈은 첫 전투에 골로가는' 현상이 벌어졌던 것이다. 그러니까 신병 조종사가 참가하면 그의 운명은 두 가지 밖에 없었다. '''에이스가 되거나, 하늘에서 제대하거나.'''
물론 그중 소수의 독일 공군 에이스 조종사들의 기록에는 의무적인 출격 이외에도 본인이 원할 때 출격하고 얻은 기록이 포함 돼 있는 점을 볼 때 출격 자체를 즐기기도 했던 것 같다. 가령 독일 탑에이스이자 세계 격추수 1위인 에리히 하르트만은 2차 대전동안 약 1400 소티를 출격해서 852회 전투를 벌였고 352대 격추를 기록한 반면 영국군 탑에이스인 제임스 에드가 존슨은 515소티를 출격해서 57회 전투를 벌였고 38대를 격추시켰다.
상대적으로 인원의 여유가 좀 있던[1] 미군이나 영국군은 일정 이상의 전과를 낸 사람을 후방으로 빼서 교육이나 지휘 계통으로 복무할 수 있도록 해서[2] 일정 수준 이상의 격추수가 쌓일 수 없기도 했다(다만 이 로테이션 제도는 미 육군 항공대 내 모든 부대에서 실시한 것은 아니었으며 아예 이런 게 없는 부대도 있었다). 미군은 대전 후기에는 정원 14,000명의 정규사단 20개를 편성할 수 있는 300,000명의 파일럿을 본토에서 양성하고 있었고 그 정도면 배치되어 있는 조종사들이 다 쓸려나가도 1948년까지는 버틸 수 있다는 계산하에 비행학교 정원을 줄이고 훈련강도를 높였다. 이런 방식은 전체적인 조종사의 질을 확 높이는 데(상향 평준화) 아주 큰 기여를 했다. 우선 조종사들은 일정 전과를 달성하면 안전한 후방으로 배치될 수 있으므로 전방에서 언제 교전으로 전사할지 모른다는 부담감을 덜고 의욕적으로 임무를 수행할 수 있었다. 일선 조종사들이 실전에서 쌓은 경험들은 새내기 조종사들에게 교범만으론 배울 수 없는, 실전에서 살아남아 이길 수 있는 방법을 가르쳐 주는 매우 중요한 내용들이었다.
이렇게 좀 성과를 쌓으면 후방으로 송환하는 상황에서도 20대 이상을 잡는 연합군 에이스 조종사도 놀랍고 그렇게 숫적으로 불리했음에도 살아남아서 전과를 낸 독일군 조종사들도 엄청나다. 그러나 전투시에 연합군이 한 덩어리로 뭉쳐서 움직인건 아니라 실제 전투에 참가한 조종사들이 만나는 기체의 수는 비슷했다. 연합군은 적기는 구경도 못하는 경우도 많았고.
귄터 랄의 인터뷰에서 이 질문이 나온 적 있는데 간단히 3항목으로 설명했다. 첫째, 일단 독일군은 동부 전선에서도 활동했고 여기는 적들이 널려 있었다. 게다가 위에 언급된 것 처럼 대전 전반부는 말할것도 없고 후반기에도 야라레메카[3]의 향연이었던데다 소련군의 파일럿 스킬도 보잘것 없었기에 양민학살이 벌어진 것이다.[4] 둘째, 연합군이 상대적으로 적은 이유는 서부 전선을 통털어 엄청난 규모의 연합군 항공대가 마주할 수 있었던 독일군 기체는 얼마 없었다(아돌프 갈란트가 압도적인 연합군 전투기의 숫자와 조종사의 숙련도에 기겁하기도 했을 정도다). 애초에 격추할 적이 없는데 격추수가 낮은 것은 당연했다. 셋째, 독일군 조종사들은 하늘에서 한계까지 싸웠기 때문이다. 독일이 패망했다봐도 되는 1944년 말에도 소련공군과의 전력차는 7배이나 교환비는 루프트바페가 3배 높았다. 다만 동부전선의 경우 정말로 죽고 죽이는(만약 운이 좋게 착륙에 성공하거나 탈출에 성공하더라도 죽는다고 봐야되는) 곳이라 파일럿의 사망률이 높았다고 한다. 또한 파일럿들에게 있어서 탈출해도 뭘하든 일단 자신의 비행기를 잃으면 확실하게 죽는다는 부담감이 심했을 듯하다. 독일 에이스 조종사의 경우 상당히 부담스러웠다고 말했다.
저격수가 유명해지려면 적어도 저격으로 해치운 적의 숫자가 몇십, 몇백을 자랑하는 게 일반적인 반면에 이쪽은 5대만 잡으면 되니 상대적으로 숫자가 꽤 떨어지는데, 이 5대라는 숫자가 저격수에 비해서 전혀 쉬운 일이 아니다. 저격수의 살해수는 다수의 일반 보병과 약간의 '동업자'를 포함한 것으로 '동업자'의 비율은 다른 희생자에 비해서 절대 소수인 반면에[5] '에이스' 칭호를 받는 전투기 조종사는, 비록 전투기 조종사가 공군 내에서도 상당한 정예라는 것을 감안하더라도 자신과 '''동급 또는 그 이상의 훈련을 받은''' '동업자'와의 전투에서 5대를 잡을 때까지 살아남았다는 것을 뜻하니 대단한 것이다. 그리고 탈출이 가능한 건 어디까지나 탈출을 안 하면 조종사가 직접 맞지 않더라도 거의 100% 죽기 때문에 마련된 장치일 뿐이다. 자신의 바로 뒤에 수백kg~수t 단위의 연료와 폭발물을 단 채로 적의 폭발물을 탄두로 가진 미사일이나 철갑+소이탄두의 기총 소사를 받는 상황이다. 오히려 지상의 보병이야 말로 '동업자' 상대로 싸울 때는 즉사할 부위를 맞는 게 아니라면 후방으로 후송돼서 살 수 있다는 기대라도 있지 조종사는 부상 입은 채로 탈출한다면 구조될 때까지 살아남는다고 보장도 못한다.
현대전에서 본인 전투기에 적는 격추수는 자신이 격추되면 0대로 돌아온다는 소리가 있는데 농담이다. 베트남 항공전에서 유명해진 미 해군의 랜디 '듀크' 커닝햄이 5기 격추해 에이스단 날 SAM에 얻어맞고 격추당했지만 여전히 에이스로 기록된다.[6] 베트남 항공전 최고 킬수 기록은 월맹군의 응우옌반꼭의 9기, 동 시기 미군의 전설적인 파일럿 로빈 올즈 대령의 격추수는 4기로 에이스 조종사 기준에도 미달하는 수준이지만 실제로는 자기가 적 전투기를 다 제압한 뒤 자기 윙맨에게 미사일 발사를 시켰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베트남 항공전 최강자라고 할 수 있다. 미군은 에이스 달면 후방으로 빠지는데 올즈 대령은 베트남에 계속 남아서 싸우고 싶어 킬수를 조작해 줄였다. 공식적으로는 응우옌반꼭의 킬수가 1위인게 맞다. 현재 제트기 에이스 최고 킬수는 17기 기록을 갖고 있는 이스라엘의 지오라 호크아이 엡스타인(전역 후 엘 알 항공사에서 기장 근무)이다. 제2차 세계 대전 때의 루프트바페의 네임드 에이스 조종사들도 다들 두어번 격추당한 경험이 있었다.
간혹 가다가 자기가 올린 전공을 동료에게 넘기고 신고하지 않는다거나(독일의 발터 크루핀스키 소령이나 미해군의 데이비드 맥켐벨 중령) 일부러 출격회수와 격추기록을 누락시켜서 더많은 공중전을 하고자 했다는 인물도 존재한다(미군의 도널드 브레이크슬리 대령).
일부 에이스들의 경우 격추 횟수에 소수점 이하의 수치가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건 적기를 격추는 했는데 부서지기만 하고 살아서 도망쳤다는 뜻(...)은 아니고, 분명 격추를 시켰으나 혼란한 전장 상황 때문에 누가 격추시켰는지 정확히 알 수 없을 때는 같은 편대원들에게 격추 수를 나눠서 계산했다. 가령 아군의 10명의 조종사가 적기를 5기 격추시켰는데, 이걸 각각 누가 격추시켰는지 조사를 해도 알 수가 없는 경우 각 조종사에게 0.5기의 격추수를 배분하는 것이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세워진 기록들은 현대에 다시 깨어지기는 많이 힘들것으로 보인다. 현대의 전술기들은 극도로 복잡해지고 값이 비싸졌으며 조종사들 역시 극도로 전문화되었기 때문이다. 현대 공중전은 조선인민군 항공 및 반항공군에리히 하르트만, 게르하르트 바르크호른, 군터 랄급 슈퍼 에이스 조종사만으로 이루어져 있어도 북한 공군은 쓸려나간다. 더군다나 현대 전투기가 몇 개월 만에 뚝딱 생산해낼 수 있는 물건도 아니고 말이다. 다만 무인기가 상용화될 경우 좀더 값싸게 만든 다수의 무인기를 1~2기의 유인기가 지휘하는 식으로 편대 구성이 개편될 수도 있는데 이때 무인기도 기록에 넣는다면 비슷한 기록을 볼 수도 있을 것이다.

2. 세계대전사에 등재된 에이스



2.1. 제1차 세계대전



2.2. 제2차 세계대전



2.2.1. 독일



2.2.2. 핀란드


  • 닐스 에드바드 카타야이넨 - 최고 피탄기록 세계 1위
  • 에이노 일마리 유틸라이넨 - 격추수 94, 비독일계 격추수 세계 1위, 최저 피탄기록 세계 1위[8]
  • 한스 빈트

2.2.3. 미국


  • 개비 가브레스키 - P-47 썬더볼트를 몰고 1945년 3월까지 총 28대의 독일군 전투기를 격추시켰다. 영국군 복무 당시 영국 공군 최고의 에이스로 기록되었다. [9]
  • 제임스 서덜랜드
  • 리처드 봉 - 보기 힘든 쌍발기 에이스 조종사이며 40대 이상의 일본기를 격추했다.
  • 그레고리 보잉턴 - 메달 오브 아너를 받았다. 최소 28기의 일본기를 격추했다.
  • 로빈 올즈 - 2차대전에서 위관 조종사로 맹활약하며 에이스가 된 뒤 베트남 전쟁에서는 미사일 만능주의에 쩔어있던 미 공군에게 도그파이트의 가치를 일깨우며 부하들을 조련하고 스스로는 트리플 에이스에 등극했다.
  • 척 예거 - 인류 최초로 수평 비행에서 음속 돌파

2.2.4. 소련



2.2.5. 일본



2.2.6. 영국


  • 더글러스 베이더 - 일명 '나무다리 에이스'
  • 아돌프 말란 - 영연방을 대표하는 에이스로 말란의 공중전 10계명
  • 로알드 달 - 공식적인 격추 기록은 5대로 평범한 에이스(?)이지만, 이보다는 아동문학 작가로 더 유명하다.
  • 제임스 에드가 존슨 - 38대 격추로 영국 공군 공인 최고 기록
  • 스탠리 오르 - 해군 항공대 소속으로 17대 격추. 해군 항공대 1위.
  • 존 볼드윈 - 15대 격추로 타이푼 조종사중 격추수 1위. 이후 한국전에 미 공군 소속 F-86 조종사로 참전하였다가 1952년에 미그 앨리에서 실종되었다.
  • 프랭크 커레이 - 28대 격추로 허리케인 조종사중 2위. 1942년 이후는 비행하지 않았다.
  • 리처드 코크 - 11대 격추. 하루에 5대 격추 기록을 가진 유일한 영국 해군 항공대 조종사. 1944년 사고로 사망하였다.
  • 로널드 헤이 - 13대 격추. 영국 해병대의 유일한 에이스.
  • 마머듀크 "팻" 패틀 - 50대 격추 추정. 남아프리카 연방 출신으로 글로스터 글래디에이터로 15대, 허리케인으로 35대 이상을 격추시켜 글라디에이터와 허리케인으로 최다 격추기록을 가지고 있다. 1941년 그리스 전투에서 추락하여 사망. 서방 연합군 최대 격추기록 보유자일 가능성이 있으나 일부 기록이 확인되지 않아서 공식적으로 인정되지는 않았다.

2.2.7. 중화민국



2.2.8. 그 외



2.3. 베트남 전쟁


  • 응우옌반꼭 - 베트남 전쟁에서 미군과 북베트남군을 통틀어 톱 에이스.
  • - 미군 측에서 무덤 대령으로 불렸던 실존여부가 불분명한 인물. 아래의 미 해군 에이스 랜디 커닝햄에 의해서 격추되었다는 설이 있다.
  • 랜디 커닝햄 - 베트남전의 유일한 미 해군 에이스. 미군 사이에서 무덤 대령이라고 불린 북베트남 조종사를 격추했다는 설이 있다.
  • 스티브 리치 - 베트남전의 유일한 미 공군 에이스.

2.4. 현대전





[1] 다만 항공기 조종사의 총원은 독일이 더 많다. 항공기 조종사가 전부 전투기 조종사인 건 아니고 미군과 영국군을 합치면 독일군보다 많아지기는 하는데 영국이 19만 명, 미국이 24만 명인데 독일은 34만 명이다. 물론 미국은 일부가 태평양에 배치되어 있었고 독일은 동유럽에 대부분이 배치되어있었기는 하다.[2] 강제송환은 아니고 조종사 본인에게 후방에 배치될 수 있는 선택권을 준 것. 물론 대부분의 경우 후방 근무를 선택했지만 실전에 환장한 이들도 물론 있었다.[3] 당시 소련제 비행기들은 목재로 만들어져 있었던지라 MG151-20 mm HE탄두 앞에 제로센 전투기처럼 쉽게 불타올랐다. 후반에 개발/배치된 기체들은 그나마 덜하기는 해도 여전히 독일 공군의 격추셔틀 신세를 벗어나지 못했고 이는 영미군에 의해 독일 공군의 등뼈가 꺽일때까지도 변함이 없었다.[4] 당장 격추수 1위인 하르트만의 격추기록 352대중 345대가 소련 공군을 상대로 세운 기록이고 2위인 바르크호른은 301대 전부가 소련 공군을 상대로 세운 기록이다.[5] 그래도 꽤 비율을 차지하긴 하는게, 저격수의 주 임무 중에는 자신의 동업자를 처리하는 '역저격'이 있어서 동업자와 싸울 기회가 나름 존재한다. 외부 지원이 없이 보병만으로 상대한다는 전제하에서는 저격수를 처리하기 가장 좋은건 똑같은 '동업자'니까. 사실 저격수를 상대하기에 가장 좋은건 동업자가 아니라 포병, 공중 폭격, 20mm 이상의 기관포나 박격포, 시가전이라면 대전차 로켓이나 대전차 미사일 등의 중화기 지원을 불러 저격수를 매복했을 거라 보이는 지역이나 건물을 통체로 쓸어버리는 거다. 그러나 실제론 이러한 화력으로 쓸어버릴 수 없는 상황이 여의치 않은 경우가 많고 이런 대응은 시간이 걸리기에 결국 적을 관측하는 눈이 되어 줄 수도 있는 저격수의 엄호는 필요할 수 밖에 없다. 카를로스 헤스콕 같이 역저격이 저격 회수의 절반인 괴수도 있지만 이건 저격수 전체로 봤을 때는 극소수.[6] 다행히 커닝햄과 드리스콜은 무사히 구조되었다.[7] 현재도 지상공격기 가지고 기록이 진행중이나 아직까지 이 인물이 격파한 만큼 실적 올린 사람은 없다.[8] 적군에 의한 피탄기록이 없다.[9] 6.25 전쟁에서도 적기 6기를 격추시키는 등 공군으로서 활약을 다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