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에드거 후버

 


[image]
John Edgar Hoover
(1895년 1월 1일 ~ 1972년 5월 2일, 향년 77세)
1. 개요
2. 행적과 영향력
3. 대중 매체
4. 같이 보기


1. 개요


미국 연방수사국의 초대 국장. 1924년부터 1972년 까지 총 48년간에 걸쳐 FBI 국장을 지냈으며 그가 FBI 국장으로 지낸 48년동안 '''총 8명'''의 미국 대통령[1]백악관을 거쳐갔다. 존 에드거 후버는 미국 내 유명인과 정치인에 대한 약점을 죄다 조사하고 다녔고 정치적 파워가 극에 달해서 그 막강한 권력의 '''미국 대통령조차도 함부로 하지 못할 정도'''였다.[2] 사실상 현대 FBI의 위상은 그가 거의 만들었을 정도라고 평가받는다.

2. 행적과 영향력


가난한 형편 탓에 학교를 다니면서 미국 국회도서관에서 보조 사서로 일하다가 변호사 시험에 합격한 뒤 법무부에 들어가 후에 FBI의 전신이 되는 법무부 산하의 수사국에서 두각을 드러내기 시작했다. 아나키스트였던 엠마 골드만을 국외로 추방시키는 데 공헌한 후버는 그 공으로 1924년 20대 후반 나이에 수사국 국장에 임명되었다.[3]
1930년대에 미국은 금주법 등을 기회로 삼아 각지에서 일어나는 마피아와 거리 갱들의 범죄 때문에 골머리를 앓고 있었다. '각 카운티나 시, 주정부의 힘만으로는 마피아와 갱들을 잡기가 어렵다'고 판단한 미국 정부는 연방 정부 차원에서 이들에 대항할 만한 조직을 만들게 되는데 이리하여 1935년 수사국을 연방수사국으로 확대개편했다. 중앙집권적인 법체계를 가진 한국으로서는 낯설겠지만 당시만 해도 연방정부에서 범죄자를 잡는 것에 대해서 '주정부에 대한 권리 침해'라는 말이 많았다.
이후 후버가 이끄는 FBI는 새로 인력을 보강하여[4] 신출귀몰한 갱스터 존 딜린저를 당시로서는 최첨단 수사기법을 동원하여 검거, 사살했다. 후버는 딜린저에게 '공공의 적'이라는 별명을 붙이고 요란한 언론 플레이를 이용해 악당에 맞서 미국을 지키는 영웅의 이미지를 얻게 되었다. 하지만 그 이면에는 어두운 부분이 있었으니 후버는 FBI의 첩보능력을 이용해 유명인이나 유력 정치인의 뒤를 캐고 다녔다. 그리고 그들을 감시하여 치부를 고스란히 기록한 비밀 파일들을 만들어 두었다.[5] 혹여 정치권에서 퇴진요구가 있으면 조용히 정계인물들 관련 비밀 파일을 빌미로 협박을 일삼았다고 한다.[6] 이런 식으로 후버는 죽을 때까지 거의 50여 년 동안 FBI 국장직에 있을 수 있었다.[7] 하지만 닉슨 연간에는 조금씩 권력을 잃어갔고 그가 죽지 않았으면 닉슨의 손에 숙청당했으리라는 전망도 있다.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 재임기간 동안 FBI는 국외 첩보까지도 관장할 정도로 권한과 위상이 강화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자 후버는 스파이를 색출한다면서 광범위한 도청과 감시를 통해 많은 고급 정보들을 쌓아나갔다. 그러나 해리 S. 트루먼 대통령은 '''FBI가 너무 커졌다'''고 판단하여 국외 첩보를 담당하는 기관을 창설했으니 그게 바로 미국 중앙 정보국이다. 이로 인해 국외 첩보까지 장악해서 명실상부 모든 정보를 틀어쥐려 했던 후버의 야심은 물거품이 되었지만, 후버는 계속 국내 정보 수집을 통해 지위를 유지해나갔다.
존 F. 케네디 대통령 시절은 후버에게도, 케네디 형제에게도 갈등과 긴장의 연속이었는데 '마피아를 소탕하겠다고 선언한 로버트 F. 케네디 법무장관 때문에 후버가 마피아의 협박을 받았다'라는 소문이 돌기도 했다. 그러나 '후버의 권력을 줄이려던 케네디 형제에게 후버가 모 글래머 여배우와의 스캔들을 들이대자 케네디 형제도 데꿀멍했다'는 이야기가 나돌았다. 케네디가 정실 인사라는 비판까지 감수하면서 동생을 법무장관에 임명했던 것도, 후버의 상관 자리에 믿을만한 인물을 앉혀 그를 견제하려는 의도였다.
케네디 대통령이 암살된 뒤, 린든 B. 존슨 대통령은 처음엔 후버를 내쫓으려다가 "그 인간이 텐트 밖에서 텐트 안으로 오줌을 싸게 하느니 텐트 안에서 텐트 밖으로 오줌을 싸게 하는 것이 낫겠지."란 말을 남기면서, 후버를 '''종신 FBI 국장'''으로 임명해줬다.[8] 그리하여 후버는 죽을 때까지 FBI 국장에 앉아있을 수 있게 되었다. 오죽하면 리처드 닉슨 대통령은 ''저 영감은 100살까지도 국장짓 해먹을 양반"이라고 할 정도. 그러나 닉슨의 예언이 빗나가서 결국 닉슨 1기 재임기인 1972년 5월 2일 사망했다.
생전의 후버는 '''마피아란 존재하지 않는 가상의 범죄조직'''이라고 말하며 그들을 비호했다. 그의 관심사는 공산당 때려잡기와 맘에 안 드는 놈들 감시하기. 여기에 죽을 때까지 영구집권했다는 점[9] 등 모든 것이 드러난 지금 시점에서 좋게 말하면 '''냉전이라는 시기에 딱 맞는 사람''', 나쁘게 말하면 '''반인권의 상징'''이란 극단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10]
왜 후버가 마피아를 수사하자는 부하들의 간청을 뿌리쳐가면서까지 그들을 비호했는지에 대해 여러 가설이 있지만 정확한 진실은 알 수 없다. 대표적으로 뉴욕 시의 5대 마피아 조직 중 하나인 제노비스 패밀리가 후버와 그의 부하 클리드 톨슨이 동성 성행위를 하고 있는 사진이나 후버의 여장 사진을 가지고 협박했다는 설, 후버가 도박 중독이었다는 설, 부하 수사관들이 마피아와 거래하면서 부패하는 걸 원치 않았다는 설, 마피아와 대적했을 때 FBI의 무능이 공공연히 드러날 것을 걱정했기 때문이라는 설, 마피아를 공산주의에 대항하는 효과적인 방파제로 봤다는 설, 프랭크 코스텔로, 카를로 감비노로 대표되는 당대 정상급 마피아 두목들과 상호 협력 관계를 맺고 있었다는 설 등 다양하다.[11]
후버가 사찰한 사람들은, 엘리너 루스벨트, 헬렌 켈러,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존 스타인벡, 마틴 루터 킹, 찰리 채플린[12] 등이었다. FBI가 지겹게 감시하자 존 스타인벡은 법무장관에게 ''저 후버의 똘마니들 좀 처리해달라.''라고 할 정도였다고. 마틴 루터 킹 목사의 경우에는 후버 본인이 흑인을 안 좋아한 데다가[13] 민권 운동을 한 탓에[14] 킹 목사는 먼지 하나까지도 샅샅이 훑었다고 할 정도로 엄중하게 감시했다고 한다. 후버가 가장 싫어하는 세 가지는 공산주의자, 흑인, 동성애자였는데 이런 사람들은 FBI의 감시를 받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후버 본인도 동성애자였다는 소문이 파다하게 돌았다. 부국장이었던 클라이드 톰슨과는 연인사이였다고 하며, 어떤 증언에 의하면 후버가 호텔에서 '''중년 여성으로 여장을 하고''' 방에 앉아서 어린 소년들과 검열삭제를 했다는 말까지 있을 정도다. 상술했듯 후버가 마피아의 존재를 애써 부정하며 무시한 이유도 실은 후버가 동성애자라는 걸 약점으로 잡혀서였다는 말도 있을 정도.[15]
그 외에도 각종 음모론의 뒤에 그가 있는데 케네디 형제와 마틴 루터 킹의 암살 배후에 그가 있다는 것이다. 물론 소문만 무성할 뿐 진실은 알 수 없다.
소련 KGB가 그를 실각시키기 위해 갖은 애를 다 썼으나 실각은커녕 도리어 KGB가 역관광당한 경우까지 있어 결국 죽기 전까지 국장으로 남았고 대인배 러시아조차 인정한 '베스트 오브 대인배'로서도 명성을 떨치고 있다. 특히 2005년에 신설된 산하 조직인 국토안보부는 "에드거 후버가 무덤에서 다시 '부활'했다"는 소문이 날 정도로 이미 이곳저곳에서 악명을 드높이고 있다.

3. 대중 매체


  • 대부분의 영화에서 나오는 남의 정보를 쥐락펴락하는 암흑세력의 이미지는 후버를 본땄으며, 후버에 대한 전기 영화는 SBS에서 방영된 TV 영화판이 유명하다. 안소니 홉킨스가 닉슨 역으로 열연한 <닉슨>에서, 이너서클의 '베리야' 역, 에너미 앳 더 게이트의 '흐루쇼프' 역, 누가 로저 래빗을 모함했나에서 에디 발리언트 역으로 유명한 밥 호스킨스(1942~2014)가 후버로 분했는데 히스패닉 소년이랑 동성애를 하는 장면이 암시되며, 감독이 올리버 스톤인지라 로버트 케네디를 암살 모의한 걸로 암시된다.[16]
  • 클린트 이스트우드 감독,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 주연의 J. 에드가라는 2011년작 영화가 있다. 흔히 알려진 수사국장의 이미지보다 인간적인 부분을 더 중점적으로 다루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렇기 때문에 동성애 부분도 꽤나 부각되는 수준. 하지만 아카데미상에는 한 부분도 후보에 오르지 못했다.
  • 마틴 스콜세지 감독의 셔터 아일랜드에선 직접 등장하진 않지만 협조하지 않으면 우리가 아니라 후버의 똘마니들이 여기에 몰려올 것이란 협박을 통해 그의 존재가 언급된다.
  • 영화 더 록에서 영국 SAS 소속 정보장교였지만 33년 동안 미국에서 복역 중이었던 존 패트릭 메이슨(숀 코네리)이 후버가 갖고 있었던 이 필름을 입수해 도망치다가 캐나다 국경에서 미국 측에게 붙잡혀 간첩 혐의로 복역하게 된 것이라고 과거가 지나가듯이 언급된다. 메이슨은 이 필름을 자기만 아는 곳에 숨겨두고 있었는데 자신과 함께 알카트라즈 인질 사태를 해결한 화학자 스탠리 굿스피드(니콜라스 케이지)와 헤어지면서 이 필름을 숨겨둔 곳을 가르쳐준다.
  • 잠입 액션 게임 메탈기어 솔리드에서는 주인공 솔리드 스네이크와 그의 동료 마스터 밀러가 과학자 나오미 헌터의 과거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눌 때 잠깐 후버의 이름이 언급된다.[17]
  • 대체역사물의 거장 해리 터틀도브가 쓴 소설 에서는, 조 스틸이란 이름으로 미국에서 태어난[18] 이오시프 스탈린이 독재자가 되어 철권통치를 할 기반을 마련해 주었고 1953년 조 스틸이 죽은 뒤 3일 만에 에드가 후버미국의 독재자가 된다.
  • 만화로 알아보는! Fate/Grand Order에 등장하는 우동 어새신으로 등장. 숏컷의 네글리제 여성(?)으로 1성이라나 뭐라나. 보구는 상대의 비밀이나 약점을 잡아 폭로. 위에 언급된 여장을 즐기는 동성애자설이 반영된 듯하다. 코미디 영화 총알탄 사나이 3편에서도 존 에드거 후버의 물품이 보관된 캐비넷이 배경으로 나오는데 여성용 물건이 가득차 있는 걸 보면 동서양을 막론하고 널리 퍼진 도시전설인 듯..
  • 높은 성의 사나이에서는 미국 동부가 나치에 의해 함락된 이후 나치령 미국의 정보국장이 되었다. 시즌 3에서 후버는 북미 제국원수 조지 링컨 록웰[19]을 도와 그의 정치적 경쟁자가 된 존 스미스 친위대 상급집단지도자의 약점을 캐내 제거를 시도한다. 그러나 오히려 존 스미스가 역으로 후버의 약점을 잡으면서 그를 굴복시키는데 성공했고, 이를 모르던 조지 록웰은 총통 하인리히 힘러 앞에서 존 스미스를 고발하다가 후버가 증거를 내놓기를 거부하면서 허위 무고죄로 해임되어 쿠바로 추방, 존 스미스가 그를 대신해 북미 제국원수에 취임한다. 존 스미스 조차 극도로 경계할 정도로 유능하며, 배를 갈아탄 이후에도 계속 직위와 영향력을 유지하는 처세술의 달인으로 그려진다. 일단 반공과 인종에 대한 견해가 나치와 맞아떨어졌기 때문에 쉽게 투항한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실제 역사에서도 권력 유지하려고 별 짓 다하던 인물이다보니 나치에 투항한 것도 납득할 만하다.
  • 크툴루의 부름 지구의 음지에서 인스머스를 조사하는 수사관들의 리더로 등장. 처음부터 주인공 잭 월터스로부터 정보를 얻는답시고 전기고문을 가하는 막가파로 나온다. 이후 마시 제련소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마시에 의해 용광로에 담가질 뻔하나 잭 월터스 덕분에 간신히 살아난다. 고맙다면서도 니 태도는 마음에 안 든다며 툴툴거리는 게 압권. 잭 월터스도 니가 날 고문해놓고 내가 기분이 좋을 것 같냐며 응수.
  • 드라마 밀레니엄 시즌 3 (1999) 에피소드 14에서 클라이드 토이슨(Clyde Tolson)이 후버의 남자친구라는 소문이 언급된다.

4. 같이 보기




[1] 캘빈 쿨리지, 허버트 후버, 프랭클린 D. 루스벨트, 해리 S. 트루먼,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존 F. 케네디, 린든 B. 존슨, 리처드 닉슨.[2] 할리우드에서도 직접 출연해서 홍보하고 다닌 탓에 할리우드 자체 내에서 두려워 할 정도.[3] 당시 미 법무부 산하 수사국이 그다지 크고 중요한 부서가 아니었던 탓도 있지만 갓 들어선 쿨리지 행정부가 전임 대통령 하딩의 안 좋은 유산을 청산하려한 측면도 있다. 실제로 후버의 전임 국장은 온갖 지저분한 비리에 연루되어 있었다.[4] 후버는 당시로서는 상당히 높은 기준으로 사람을 뽑았고 수사관들에게는 되도록 깔끔하게 옷을 입고 다니도록 하였다.[5] 후버는 도서관에서 보조사서로 일했던 경험이 상당히 인상적이었는지 조직을 운영하면서 각종 기록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을 만드는데에 상당히 집착하였다. 후버가 활동한 시기는 공기관들의 기록관리시스템이 체계화되어 있지 않아 기록물들의 소실이 상당했는데, 후버는 일찍이 기록관리의 중요성을 깨닫고 수사기록을 체계적으로 수집, 관리, 공유해서 기관업무의 효율성을 높였다. 후버의 이런 기록관리에 대한 관심은 디카프리오 주연의 J.에드거에서도 나타난다.[6] 이 경우는 실제 그 인사가 그런 추문에 휘말린 경우도 있지만 전혀 관련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그런 의혹이 있는 것만으로도 치명적인 영향을 받는 경우도 있다.[7] 다만 후버는 새로운 대통령들이 자신의 FBI 국장 지위와 권력을 인정하는 조건으로 대통령의 정적들 비리와 불륜 증거를 주기적으로 넘겨주었다.[8] "내쫓아서 정치인들 비리를 동네방네 폭로하고 다니는 워싱턴의 골칫거리가 되게 할 바에야 그냥 놔둬서 안에서 날뛰게 내버려 두자."는 의미.[9] 물론 이건 당시 주적이던 소련을 농락하던 능력이 있었음을 감안해야 한다.[10] 그가 죽은 후 FBI 국장의 재임 기간 상한이 10년으로 제한되었으며, 당연히 인권운동가들의 대다수는 후버를 사탄 취급할 정도로 매우 싫어한다.[11] 훗날 후버가 사망하고 10년이 지나서야 FBI는 마피아에 대한 제대로 된 수사를 개시한다.[12] 공교롭게도 채플린은 후버가 세상을 떠나기 두 달 전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공로상을 받았다.[13] 그런데 후버의 조상 중 일부는 흑인 혈통이 흐른다. 꽤 오래 전 조상이긴 하지만 크리스천 후버가 흑인 노예 사이에 얻은 자식들이 후버의 조상이다.(이런 흑백혼혈의 후손들을 passing이라고 한다.) 같이 살게 된 지 300년이 넘은 탓에 미국 백인들도 평균적으로 1% 정도의 흑인 혈통이 있다.[14] 후버는 마틴 루터 킹의 흑인 인권 운동이 소련의 사주를 받은 것이라고 믿었다고 한다. 그러나 아무런 증거를 찾지 못했고 냉전 종식 후 공개된 소련의 비밀문서들을 통해서 소련과는 관계가 없었음이 확인되었다.[15] 후버 자신은 이런 소문을 불식하고자 자주 여배우들과 식사 자리를 공개적으로 마련했다고 한다.[16] 닉슨과 경마장에서 이야기하면서 '때로는 승부 조작도 가능하다'는 이야기와 함께 말이 쓰러지고 후버가 걸었던 말이 우승한다. 그리고 케네디 암살 소식 크리.[17] 스네이크에게 이 말을 들은 밀러는 인종차별주의자인 후버가 일본계라는 나오미의 조부를 자기 요원으로 썼을 리 없다고 의심했다. 자세한 건 나오미 헌터 참고.[18] 스탈린의 부모가 스탈린이 태어나기 몇달 전 미국으로 이민 왔다는 설정이다.(외국출생은 미국 대통령이 될 수 없다.) 여담으로 조(죠셉의 애칭) 스틸(강철)은 이오시프(요셉의 러시아식 발음) 스탈린('강철')의 영어판 패러디 이름이다.[19] 이 양반은 실제로 미국 나치당 당수를 맡았던 사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