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XY-7 오카
1. 개요
MXY-7 桜花.
Imperial Japan Navy Special Purpose Weapon MXY-7 Oh-Ka.
가이텐, 신요 보트, 츠루기, 후쿠류와 함께, 일본군의 자폭 병기중 하나. 기존의 카미카제가 전투기에 폭탄을 싣고, 최소한 개념적으로만은 하나의 수단으로써 자살공격을 했다면, 오카는 아예 처음부터 전투기로써의 운용은 안중에도 넣지 않고, 설계, 제작부터 오직 '''자폭공격'''만을 고려한 자살특공병기이다. 심지어는 항공기 주제에 단독으로 이륙이나 이함도 할 수 없다. 당장 Ki-115 츠루기만 해도 이륙이나 이함은 되는 마당에 이 녀석은 한 술 더 뜬 것이다. 문자 그대로 '''인간이 유도장치로 탑재된 미사일'''인 셈이다.
형식번호 MXY-7의 MX는 '특수기/특수'''활공'''기'를, Y는 요코스카 해군공창을 의미한다.
한자를 보면 알겠지만 명칭의 뜻은 앵화, 즉 벚꽃이다. 영어명은 벚꽃을 그대로 번역한 Cherry Blossom이다. 후술하겠지만 바카 밤이라는 별명도 유명했다.
2. 상세
[image]
일본 파인몰드사의 1/48 스케일 프라모델로 발매된 오카와 동스케일의 타미야제 G4M을 개조하여 재현한 모습이다.
기체는 길이 6미터, 폭 5미터, 탄두와 로켓 미장착시 440kg, 장착시 '''2,140kg'''[1] 이다. 수평 비행 최고 속도 640km/h, 급강하 비행 최고속도 1,040km/h을 낼 수 있었으며, 기수에 '''1,200kg''' 탄두를 장비했다.[2] 장시간 비행을 애시당초 고려하지 않은 설계상의 한계상 항속거리가 상당히 짧은 거리인 37km에 불과하였기 때문에 운용 시에는 폭격기를 개조한 모기(母機)[3] 의 동체 아래 장착되어 목표 가까이 날아간 다음, 분리됨과 동시에 로켓엔진을 점화하여 가속을 얻고, 엔진 정지 후 에는 활공 하여 표적에 돌진하게끔 설계되어 있었다. 코멧의 항속거리가 40km로, 오카와 견줄만하기 때문에 요격기/특공기 쪽으로는 괜찮게 굴릴 수도 있었다고 착각하기 쉽지만, 코멧은 올라갔다가 내려오면서 40km를 달성한 것인데 반해 '''이건 내려가기만 하면서 항속거리가 37km다.'''
[image]
특성이나 생김새나 운용 방식이나 사실상 비행기라기 보다는 '''유인유도 단거리 공대함 미사일'''에 가까웠던 물건.[4] 어찌 보면 독일의 V1와 비슷하게, 로켓 엔진과 유도 장치를 단 원시적인 미사일이라 볼 수도 있다. 다만 일본군은 자이로스코프와 컴퓨터 대신 '''살아 있는 인간의 뇌와 근육, 손발을 집어넣음으로써''' 열악한 기술을 대체했으니, 당시 일본군이 얼마나 막장이었는지 알 만하다. 이 녀석을 '''미사일'''이라고 간주한다면 당장 현대의 대함 미사일만 하더라도 저 만한 탄두를 단 무식한 미사일은 꽤 드물다. 옛 소련제 스틱스, 중국제 실크웜 탄두가 최대 513kg[5] 을 못 넘긴다는 걸 감안해 보자. 대함 미사일 용으로는 이 500kg 정도의 탄두도 꽤나 묵직한 것으로서, 하푼이나 엑조세 같은 서방제 미사일은 탄두가 대략 225~135kg수준으로 더 작다는 점을 고려해보면 그 약 5배에 달하는 오카의 작약량이 얼마나 많았던 건지는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6] 이 정도면 명중만 한다면, 대형함에도 큰 피해를 입힐 수 있다.
다만 이건 대함 미사일 중 탄두가 가장 큰 수준은 아니다. 나무위키에 등재된 대함 미사일 중 이미 더 큰 탄두를 가지고 있는 Kh-20가 있다. 이놈은 2.3톤짜리 탄두를 쓰며, 이는 당대의 전투기보다 무거웠다. 애초에 무기는 표적에 맞게 개발되므로 2차대전 이후 전함이 퇴출되고 공산권 해군은 더 빈약했다는 것뿐[7] , 당장 대형 대함미사일이 필요하면 수십톤짜리 미사일도 뚝딱 튀어나올 것이니 큰 의미는 없다. 정밀유도능력의 부족으로 대형 탄두가 필요했던 2차 대전 당시 기준이라면 미스텔(1.5톤), 아프로디테 계획(5.4톤) 등 다른 미사일들이 많이 있다. 게다가 이놈들은 당연히 오카와 달리 '''사람이 안타는 무인 조종'''이다.
일본군의 자폭에 시달린 연합군이 보다 못해 바보 폭탄이란 뜻에서 '''바카 밤'''(Baka Bomb)이란 코드명까지 지어주었지만, 바보치고는 큰 탄두를 달고 있어 일단 '적중한다'는 '''가정''' 하에서는 상당히 위협적인 병기라 그 위력을 우습게만 볼 수는 없었다. 일단 로켓 모터를 가동한 뒤 최대출력으로 급강하하면 속력도 빠른지라 다른 공격방식보다 요격하기도 힘들었다고 한다. 정작 발사되기도 전에 모기가 격추돼서 문제였을 뿐이다.
간단히 말해서, 제2차 세계 대전에 화력만큼은 현대의 것과 거의 비슷한 성능의 아음속 대함 미사일을 개발해낸 거라고 생각하면 된다, '''사람을 집어넣은 점만 제외한다면.''', 비슷한 개념이었던 독일의 Fieseler Fi 103R[8] 은 '''도중에 파일럿이 탈출하는''' 설계임에도 불구하고 '''천하의 그 히틀러가 비인도적이라고 반대'''할 정도였으니 말 다했다.[9]
3. 파생형
꽤 여러가지 모델이 만들어졌다. ''이탤릭체''는 설계로만 끝난 모델이다.
- 프로토타입
시제기는 무동력 글라이더 방식과 로켓 엔진을 탑재한 방식 두 가지가 따로따로 만들어졌다. 총 10기가 제작되었다고 전해진다.
- 11형
사실상 기본형으로, 윗 문단에 적혀있는 스펙은 이 11형의 스펙이다. 총 755기가 생산되었다.
- 22형
11형이 너무 무거웠기에 좀 작은 폭격기에도 달 수 있도록 중량을 낮춘 개선판이다. 탄두 무게도 600 kg으로 낮아졌다. 로켓이 아닌 제트 엔진을 달았는데, 시험 과정에서 두 번의 추락사고가 나는 등 문제가 많아서 종전될 때까지 사용하지 않았다. 총 50기가 생산되었다.
- 21형
22형에 11형의 로켓 엔진을 단 형식으로, 프로토타입으로 1기만 생산되었다.
- 33형
22형보다 조금 더 큰 형식. 탄두 무게는 800 kg으로 늘어났다. 설계는 남아 있지만 생산된 기록은 없다.
- 43A형
잠수함에서 발사 가능하도록 설계한 형식. 물론 잠수함 내에서 발사하는 당시 기준으로 오버 테크놀러지스러운 것은 아니고, 잠수함 위에 발사대를 얹어서 발사하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이것도 꽤 무리가 있어서 설계 단계에서 끝났다.
- 43B형
실전배치 직전까지는 갔지만 전쟁이 끝나는 바람에 사용되지 못한 모델이다. 제트 엔진을 탑재했고, 탄두는 800 kg이었다. 지상이나 동굴진지에 발사대를 놓고 발사하는 방식으로, 발사대는 일본 본토 각지에 설치되었다. 다른 모델과 달리 조종사 탈출이 가능하게 낙하산과 무전기도 탑재되었다. 중량도 2,600 kg으로 다른 모델보다 무거웠다. 1945년 8월에 몇 대가 완성되었고, 1대는 발사대에 장착되기도 했다. 실제 계획으로는 9월까지 실전배치를 마쳐 미군의 상륙부대 엄호 함정들을 자폭으로 침몰시킨다는 계획이었지만 8월 15일에 일본이 항복하면서 끝났다.
- 43 K-1형 와카사(若桜)
훈련용 기체. 조종사 두 명이 탈 수 있는 기체로, 당연히 탄두는 없는 모델이다. 어린 벚꽃이라는 뜻의 와카사라는 이명이 붙었다.
- 스즈카-24
오카에서 탄두 들어가는 자리에 연료탱크를 넣고 20 mm 기관포 2문을 장착한 모델. 카미카제용이 아닌 전투기로 개조한 버전이다. 역시 설계단계에서 끝난 모델이다.
4. 실전
연합군이 일본의 문턱에 다다른 1945년 3월 오키나와 해역에서 선보였지만 전과는 미군 구축함 1척 격침에 손상 여러척에 불과. 전과에 비해 특공대원의 피해는 물론 모기(母機)와 그 승무원들의 손실도 적지 않았다. 일단 총 10회 출격, 오카의 조종사 55명. 모기의 대원 368명이 물고기밥이 됐고 그 중에는 교관급 인원 100명 정도가 있었다. 400명 넘는 목숨의 대가로 이루어낸 의미있는 전과는 고작 알렌 M. 섬너급 구축함 USS Mannert L. Abele 한척 격침과 USS Hugh W. Hadley 한척 대파이다. 해당 함급의 승조원이 척당 400명이 조금 안 되는 것을 생각하면 일본 측이 오히려 손해였다. 심지어 USS Stanley 같은 경우는 오카 2대가 공격했는데 하나는 명중했지만 불발[10] , 하나는 완전히 빗나가서 실패했다.
상술하였듯 속도와 탄두중량등을 감안하면 결코 쉽사리 무시할 수 없는 상당한 스펙을 지녔으나, 애당초 그 좋은 스펙이라는 것이 양성하는데 엄청난 시간과 비용이 소모되는 값비싼 파일럿을 고작 일회용 유도장치로 갈아넣는 병신짓을 전제로 한 물건이었던데다 실전에서는 일본군 특유의 각종 삽질 덕분에 거둔 실적은 거의 없었고 무의미한 희생만 냈던 병기였다. 동맹국의 무인 폭탄 Fritz X가 오카와 비슷하게 반년만 사용되었지만 이쪽은 전함을 한척 격침하고 2척은 대파, 경순양함 2척 대파라는 상당한 전적을 올린걸 생각해보면 오카는 삽질도 이런 삽질이 없다. 더군다나 이쪽은 오카보다 크기도 작고 기술적으로도 단순했던 점을 생각해보면 변호의 여지가 전혀없다.
5. 문제점
대전 말 일본군의 병기답게도 사람을 썼단 것 이외에도 각종 심각한 단점이 수두룩했다.
오카가 실적을 못올린 이유는 오카를 공격지점까지 옮겨줄 운송수단이 너무 허접했던 탓이 크다. 현대에 와서도 미사일은 운송수단과 그 운송수단을 호위할 전투기들이 중요한 법인데 당시 일본군의 항공전력은 사실상 소멸한 상태였다. 설령 호위를 붙여줘봤자 파일럿의 기량과 기체 성능까지 압도적인 연합군 전투기에게 우수수 떨어지는 판이라 실질적으로는 오카와 모기 편대만 달랑 적진으로 돌격하는 꼴인데, 이래가지고서야 오카가 아니라 스틱스를 줬더라도 제대로 된 공격은 불가능했을 것이다. 게다가 스틱스를 제대로 쓰려면 통신을 제대로 해야 하는데, 통신은 무조건 전파를 쓴다. 그런데, 그 당시 일본의 전파에 대한 태도를 보면, 답이 없다.
사정거리가 짧고 혼자서 이륙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폭격기같은 대형기체에 탑재해서 목표까지 접근한 다음에 발사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게다가 상당한 고속이라서 제대로 조종하기 힘들다는 점도 있다. 당장 오카의 운용부대였던 제 721 해군항공대의 지휘관이자 베테랑 파일럿인 노나카 고로(野中五郞) 소좌는 작전에 나가기 전까지도 전혀 완벽히 다루질 못했다. 그리고 작전에 나갔지만 미 함재기의 카운터 공격으로 분리도 못하고 전멸당했다.
위의 사진에서 보듯이 오카는 기본적으로 폭격기의 폭탄창을 개방한 동체 하부에 장비하기 때문에 은닉성은 거의 기대할 수 없었으므로 오카를 장비한 폭격기는 대놓고 자기가 최우선 타겟이라고 광고하는 꼴이었다. 이걸 주로 달고 다닌 폭격기는 1식 육상공격기인데, 이 정도 되는 기체가 이걸 달고 다니는 건 그냥 '''내가 가장 중요한 표적이니 먼저 격추시키라'''고 광고하는 격이었다. 덕분에 제공권이 박탈된 상황에서 한번 출격한 모기(母機)들이 발사하기도 전에 격추당하는 일이 많아 다시 살아서 기지로 돌아가는 경우가 적어 추가공격이 힘들어지는 경우가 많았다. 오카를 운반하는 모기의 대원들이 1초라도 빨리 오카를 날려버리고 복귀하고 싶어하는 심리 때문에 조기 발사해버리는 일도 적지 않았다.
그리고 사정거리까지 모기가 접근해 무사히 발사해도 그 다음도 문제였다.
- 오카의 아담한 날개로는 오랜 활공이 불가능했다. 엔진 정지 및 활공 돌입 후 10여 초 안에 적함과 충돌하지 못하면 그냥 바다로 풍덩.
- 역시나 아담한 날개 때문에 조향성이 매우 나빠 기수 조정에 실패해도 바다로 풍덩.
- 연료 부족. 모기가 사정거리 안으로 들어가서 쏴야 하는데 거센 공격에 견디지 못하거나 심한 심적 압박감에 조기에 발사해버렸고, 이러면 역시나 가다가 연료가 떨어져서 그대로 바다로 풍덩. 좀 일찍 날려서 연료가 부족해도 활강해서 닿으면 되니까 라는 생각도 만연했다고 한다.
- 활공에 돌입하기도 전에 엔진이 폭발하거나 고장나 그냥 바다로 풍덩.
- 활공에 돌입해도 인간의 원초적인 공포심 덕분에 제대로 격돌하지 못하고 버벅대다 역시나 풍덩.
- 날아가는 도중에 조종사가 대공포에 피격되어 조종 불능 상태에 빠져 빗나가면서 풍덩.
제트엔진을 쓴 후속모델도 개발중이었으나 완성되지 못하고 종전을 맞이하였다. 여기에 쓰인 제트엔진은 써모제트(Thermo-Jet)엔진이라는 일종의 간이형 엔진으로, 별도의 피스톤 엔진으로 압축기를 돌려 공기를 압축한 다음 이를 원통형 연소실(요즈음 제트 전투기의 애프터버너를 생각하면 쉬울 듯)로 보내서 연료와 함께 연소시키는 개념. 이미 1910년대에 코안다[12] 같은 사람이 제작했던 물건이다.
그외에 진짜 터보제트엔진을 사용한 버전(모델 33)도 계획이 있었다고 한다. 참고로 여기서 사용하기로 한 엔진은 J9Y 깃카에 사용하는 엔진과 동일한 물건이다. 날개접기를 가능하게하고 캐터펄트 사출방식을 이용해 잠수함에서 발사하는 방식부터(모델 43A) 지대함 유인유도미사일의 형태(모델 43B)까지 각종 형식이 계획되어 있었다.
6. 전시
실제로 보면 별 것 없다. 딱 순항 미사일에 콕핏 달아놓은 모양새다. 미국이나 영국의 밀덕 대상 박물관을 구경하면서 겸사겸사 구경하는 정도라면 모를까 이거 하나만 보러 갈 필요까지는 없다.
현재 남은 기체는 다음과 같다.
'''11형'''
- 일본 사이타마현 이루마 항공자위대 기지 - 군사 기지라 일반인 출입은 불가.
- 일본 야마나시현 나루자와 카와구치코 자동차/항공기 박물관 - 상당히 외진 장소에 있고 8월에만 문을 여는 곳이라 해외에 사는 입장에서는 가 보는 게 불가능에 가깝다.
- 인도 뉴델리 인도 공군 박물관
- 영국 서머셋 해군 항공대 박물관
- 영국 런던 제국 전쟁 박물관
- 영국 콘스포드 공군 박물관
- 영국 맨체스터 과학관
- 미국 버지니아주 해병대 박물관
- 미국 캘리포니아주 치노 비행기 박물관
- 미국 우드바 헤이지 센터
- 미국 아리조나주 투싼 피마 항공 박물관
- 미국 오하이오주 데이톤 국립 미 공군 박물관
- 미국 워싱턴 DC 국립 해군 박물관
7. 여담
- 오카가 등장하는 애니메이션을 고르자면 마츠모토 레이지의 전쟁 OVA 시리즈 더 콕피트의 하나 음속뇌격대(音速雷擊隊). 음속 돌파를 꿈꾸던 항공설계 기술자인 주인공이 오카를 "개량"하여 이를 몰고 표적에 돌진하는 순간 인류사상 최초로 음속을 돌파하는 기록을 수립했다며 묘한 여운을 남긴다. 게다가 그 공격으로 에식스급 항공모함으로 보이는 함정을 파괴한다.[13] 뭐, 정신나간 탄두를 가진 오카가 함재기를 막 띄워서 장비가 가득한 격납고 등에 제대로 박힌다면야 그럴만 하지만..[14] 자살에 가까운 전략을 대일본제국 군사기술 역량의 우월성으로 승화하려 했다면 그 제작 의도는 그냥 봐넘겨 주기가 어렵겠다. 닝겐 미사일의 발사 및 음속돌파장면
- 물론, 그 시절 기술론 탄두를 1,200kg까지 달은 오카가 죽었다 깨도 음속돌파를 할 수는 없다.
2차대전 당시 급강하 중 실제로 음속돌파를 했다고 주장한 경우는 여럿 있으나 공식적으로 인정받은 기록은 없다. 심지어 P-47 썬더볼트 같은 프롭기가 음속을 돌파했다는 소문도 있지만... 급강하 중이라 하더라도 프롭기의 경우에는 음속에 가까워지면 공기 저항으로 인해 프로펠러가 추진력을 만들어내는 것이 아니라 거대한 항력 덩어리로 작용해서 음속 돌파가 어렵다. 그리고 일본기는 기종 막론하고 아예 이런 주장조차 나오지 않았다. 속도가 너무 딸리니까 애초에 유럽제 프롭기들도 원리상 음속돌파가 불가능하다시피 한 판에...[15] 양산기 중 최초로 음속을 돌파한 기체는 1950년대 이후에나 등장하고 급강하 도중 돌파한 걸 고려하더라도 마찬가지다. 오카의 급강하 시 속도는 1040km/h 지만, 오카의 좁디좁은 주익과 조종면으로는 로켓의 출력까지 떠안고 급강하해버렸을 때 기수를 들기조차 벅차기 때문에, 적함 바로 위에서 떨궈 내리꽂는 상황이 아닌 이상 의미 없는 이론상 최고속력에 불과하다. 그 속도에 도달하기도 전에 무의미하게 해수면에 박아버릴 뿐, 그 속도를 살려 목표를 타격하는 게 불가능하기 때문. 따라서 실질적인 강하속도는 804 km/h이다. 선술한 예외상황 역시 최대사정 밖에서 모기 째로 요격당하는 판국에 적함 바로 위까지 접근할 수 있을 리가 없으니...
- 당시 오카를 설계했던 미키 타다나오는 종전 후 국철의 군기술자 모집에 응하여 (당시 육해군의 기술자 1000명이 모여들었다) GHQ가 해산명령을 내리기 전까지 국철에서 철도차량연구를 했고 강제해산명령 이후 몇 년 후에야 국철에 복귀, 일본고속철도의 시작인 신칸센 0계 전동차의 동체설계를 맡는다. 이후 신칸센 0계의 개발이 완료되고 얼마 지나지 않아 국철에서 퇴사한다. 대전 이후 상부의 명령으로 오카의 동체설계를 했던 것에 계속 괴로워했다고 한다.
- 이 오카 때문에 정말로 사람 목숨을 구한(!) 사례가 있다. 유명한 시나노는 그 최초이자 마지막 항해 때 오카 50기를 수송하고 있었다. 이 때 오카들은 연료와 탄두를 장착하지 않은 상태였다. 이 때문에 시나노가 격침된 뒤, 둥둥 떠다니는 오카를 붙잡고 목숨을 구한 승무원들이 여럿 있었다고 한다.[16] 여담으로 이렇게 살아남은 승무원들이 나중에 오카 개발자와 만나서 덕분에 살았다며 오카 개발에 대해 감사를 표했고 그때 개발자의 표정이 복잡해졌다고 한다.
- 오카가 등장하는 영화도 있다. 사쿠라바나 ~오카최후의 특공~(サクラ花~桜花最期の特攻~) 이라는 영화가 2015년 가을 일본 전국에서 상영되었다.
[image]
- 2009년 가을부터 일본의 '쉽스'라는 회사에서 가이텐과 오카, 카미카제를 본딴 큐피 휴대폰 고리를 일본 자위대 기지에서 판매하는 초유의 사고를 터트려 각계의 비판이 일자 결국 2010년 1월에 전량 회수하였다. 기사링크 하지만 제품이 전량회수되면서 품절이 되자 일본의 경매사이트에서는 최고 1만 2000엔에 경매가가 치솟는 등 이상과열 현상이 빚어졌다고 한다.
- Il-2에서도 등장. 조종 불가 기체. 물론 울트라팩을 깔면 조종 가능하다. 문제는 위로 올라가는 건 애시당초 불가능하다! 퀵 미션 빌더로 불러 올 수 있는데, 연료가 떨어지지 않는 이상 떨어지지 않으며, 기동성이 좋고 피탄면적도 작아 잡기가 무척 힘들다. 다만 직접몰아보면 로켓엔진 항공기 치고 생각보다 가속력과 최고속도가 빠르지는않다. 마침 이것과 유사하게 생긴 Bl-1 이라는 소련의 로켓엔진 성층권요격기가 구현되어 있는데[17] 확실히 차이가 나며, 훨씬 둔중해보이는 Me 163코멧 보다도 느리다. 옛날에 이 기체에 AI들을 퀵미션빌더에서 태워서 비행을 시켜보면 정처없이 하늘을 떠돌아다니다, 연료가 떨어지면 동체착륙을 시도해서 지상에 어떻게든 내린 뒤 기체에서 탈출... 했었다. 근데 언제부턴가 AI지능이 업데이트되며 지상에 적 오브젝트가 있다면 알아서 자살공격을 하기 시작했다.[18] 물론 풀 미션빌더에서 직접 목표물을 설정해주면 했었다.
- 비행 슈팅 온라인 게임 히어로즈 인 더 스카이에서 구현되었다. 캐시샵에서 살 수 있는 아바타.[19] 전투기 전용 아바타이며, 게임의 특성상 자폭은 불가능하다.
- 스기이 히카루의 라이트노벨 《꽃피는 에리얼포스》에도 여기서 유래한 것이 틀림없는 동명의 자살특공병기가 나온다. 위 사진이 바로 작중에서 등장하는 자살특공병기의 모습이다. 여기에서의 오우카는 설정상 살아있는 특공병기이다. 카미카제 미화 뿐만 아니라 천황 및 야스쿠니 신사 찬양, 혐한 요소까지 등장하는 극우 미디어물의 극치를 보여주는 소설. 자세한 것은 문서 참고.
- 게임 블레이징 엔젤스 2에서 이걸 잠수함에 잔뜩 실어와 샌프란시스코 폭격용으로 쓴다. 게임 자체가 제2차 세계 대전 무대의 픽션이기 때문에 뭐가 나와도 이상하진 않지만 주인공을 향해서 날아오는 비행기를 보면 그야말로 충공깽. 속도가 워낙 빨라서 격추하는 것 보다 좌우로 크게 피하는 쪽이 좋다. 다행히 선회력이 그리 좋은 편은 아니라 피하기는 어렵지 않은 편. 여기서 나온 오카는 오카-젯이기 때문에 위에 말한 오카의 후속기가 등장한 듯하다.
- 배틀스테이션 시리즈에도 등장. 카이텐과 비슷하게 운용할 수 있다. 원래는 엔진 점화 후에 정지한 다음 활공이지만, 여기서는 애프터버너 마냥 투하 후에 시속 150~200km로 활공하다가 목표가 보이면 애프터버너를 점화해서 들이 박는다. 못 박으면 그대로 활공을 지속하다가 고도가 점점 떨어지면서 추락한다. 당연하게도 버너 사용 후에 선회 따위는 기대하지 말아야 한다. 문제는 대공포에 두어대만 맞아도 요단강이 보이는 물장갑 G4M과 대공포가 오카를 격추시키는 게 가능하다는 점이 환상적인 시너지를 이루면서 운용이 정말정말정말 힘들다. 그리고 대다수가 미군 소속인 연합군 함정들은 대부분 뛰어난 대공포를 장비하고 있다. 무엇보다도 대공 전용인 애틀란타급 구축함이라도 만나면...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G4M이 무사히 오카의 사거리(적함을 명중 할 때 까지 엔진이 점화하는 정도)까지 접근하는데 성공하면 시속 800km에 가까운 속력과 작은 크기 및 무지막지한 파괴력이 맞물려 적함에 유의미한 피해를 줄 수 있다. 또한 2회차 일본군 2번째 미션인 폭격기로 함선을 잡는 미션에서 G4M이 오카를 장착하면 미션이 정말정말정말 쉬워진다. 당장 영국 해군이 운용하고 있는 게 덩치가 큰 프린스 오브 웨일스와 리나운 외엔 4척의 플레쳐급 구축함인데, 대공 방어 수준이 어려움으로 설정괸 AI 조차도 3대의 오카가 있으면 1대라도 박을 수 있는 수준이다. 그러나 플레이어는 오카와 함께 폭발하는 프린스 오브 웨일스와 리나운을 보면서 의외로 너무 쉬운 진행과 더불어서 허탈감이 들기에 어지간해서는 일반 폭격 사양으로 가는 것을 추천한다.
- 레드얼럿3에서도 유사한 것이 등장한다. 욱일제국군의 "마지막 편대"라는 특수기술로, 약한 기관총 포격을 대동하며 자폭공격을 하는 소형 드론 비행기 무리를 목표지에 유도한다.
- Warhammer 40,000 스페이스 마린의 헌터/스토커의 미사일에는 서비터 뇌가 들어간다. 머신 스피릿도 이와 비슷하지 않나 싶겠지만, 분명 그 설정에선 서비터 뇌와 머신 스피릿을 별개로 취급한다. 더불어 오크 쪽에서도 이와 같은 병기를 운영하는데, 이놈들은 미사일을 그레친이 조종하게 조종석까지 만들어 태워 발사한다. 여기서 더 나아가, 쇼크 어택 건이나 그롯 포라는 그레친 자체를 탄체로 써 버리는 함포 무장까지 존재한다. 이러한 무장은 이전작인 Warhammer에도 둠 다이버 캐터펄트라는 작동원리나 용도가 거의 같은 공성병기로 등장한다.
- Kerbal Space Program의 NAS 모드에 있다. 게임 내 이름은 Yokosuka MXY7 Ohka. 날개에 카미카제(神風)라고 적혀 있으며, 설명에는 단거리 자살비행기라 적혀 있다.
- 영화 퍼스트 어벤저에도 비슷무리한게 나온다. 작중에 등장하는 추축군은 일본군이 아니라 나치군(정확히는 하이드라)이지만. 작중에 등장한 적기인 '발키리'에서 프로펠러에 달린 뭉툭한 자폭기가 여러대가 탑재되어있다.하지만 그건 프로펠러가 달려있고 자력으로 날아다닐수 있는 비행기이다.
- 중국 게임 전함소녀에서 시나노(전함소녀)의 대사 중에 생명을 빼앗는 물건이 벚꽃의 꽃잎처럼 바다 위에 떠, 사람들을 구하는 것으로 변했다."라는 게 있는 데, 이건 시나노가 미군 잠수함 아처피쉬에게 격침됐을 때 승무원들이 물에 둥둥 뜬 오카를 붙잡고 살아남은 것을 고증한 것이다.
- 1994년 Origin Systems, Inc에서 제작하고 EA에서 발매했던 Pacific Strike라는 2차대전 공중전 게임에 등장한다. 컷신으로 모기에서 오카가 발사되는 장면이 나오며, 미군 전투기로 쫓아가서 항모를 지키기 위해 격추해야 한다. 이 게임에서 오카는 저공비행으로 접근하는게 아니라 고공으로 수평비행을 하다가 항모 바로 위에서 수직으로 내리꽂는다.
- 하츠 오브 아이언 4라는 2차대전 대전략 게임에선 일본제국이 사용할 수 있는데 기체 신뢰도를 100% 이상으로 개량하면 특공에 성공한 조종사와 기체가 살아서 복귀하는 경우가 발생하여 이걸로 오카 에이스'를 양성할 수도 있다(...)
- 대형 항공기에 유인 로켓을 붙여 발사한다는 개념 자체는 전후에도 NASA나 미국 공군에서 초음속 비행체 실험용으로 많이 행했으며, 현대에도 버진 갤럭틱 같은 항공우주 업체에서 테스트 되고 있다. 물론 버진 갤럭틱의 로켓은 바다에 꼴아박는 용도는 아니고(...) 정상적으로 우주궤도를 향해 발사된다.
[1] '''탄두''' 무게가 '''기체''' 무게의 '''3배 가까이 된다.'''[2] 미국 아이오와급 전함의 주포에 쓰이는 16인치 초중량탄 무게가 1,225kg이다. 그러나 초중량탄은 기본적으로 철갑탄이라 상당부분이 폭약이 아닌 점을 고려하면 오카는 상당히 많은 양의 폭약을 장비한 셈이다.[3] 주로 1식(一式)육상공격기가 담당했다.[4] 탄두 무게와 위치 대비 날개 면적으로 보면 수평 비행이나 완만한 글라이딩은 불가능했을 것이다. 기수를 내리는 모멘트가 워낙 커서 오카의 작은 날개로는 감당이 안됐을 것이다. 오카와 비슷한 날개 면적을 갖춘 순항 미사일이나 2차 대전 자폭 무인기들의 경우 탄두 중량이 500kg을 크게 넘지 않는다.[5] 그나마 통상적으로는 LRASM처럼 400kg급이다.[6] 다만 2차 세계대전 이후의 폭약 개선으로 같은 중량이라면 전후의 탄두가 위력이 더 세므로 위력의 차이는 탄두 무게 차이보단 적은 편이다.[7] 그래서 서방측은 상대적으로 위력은 약해도 공함잠 공유 가능하므로 운용효율이 높은 하푼 정도 미사일로 도배되었고 소련은 미해군 항모전단을 노린 대형 대함미사일을 운용한 것이다.[8] 그 유명한 V1 로켓의 유인버전이다. 운용 방식은 본문에 있는 대로 사람이 탄 상태에서 발사한 다음 비행 도중에 사람은 탈출하는 구조.[9] 후술하겠지만 오카를 설계한 사람도 사실 강요당해서 만들었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잘못이라 생각하고 매우 괴로워했다고 한다.[10] 선체 옆면에 충돌해서 뚫고 들어가는 것까지는 성공했는데 기체가 함 내부 구조물에 걸려서 덜컥 정지했고, 그 바람에 가장 무거웠던 탄두는 운동에너지 때문에 기체에서 떨어져 나가 반대쪽 선체 벽을 뚫고 나가서 바다로 떨어졌다.[11] 외가 친척에게 양자로 들어갔다.[12] 유체역학 배우면 이름 들어봤을 코안다 효과의 그 코안다이다.[13] 실제로 에식스급들은 카미카제를 당한 적은 많으나 단 한척도 격침되지 않았다.[14] 작중에선 장갑부에 맞는다[15] 다만 오카는 일단은 프로펠러로 추진하는 게 아니라 로켓모터라 '원리상'으로 불가능하지는 않다. 물론 당시 기술 수준, 특히 일본의 기술 수준을 생각하면 실제로 넘었을 가능성은 없다고 봐야한다. 급강하로나마 음속을 돌파한 건 1950년대는 가야 한다.[16] 탄두와 연료가 없는 오카는 440kg밖에 안 나가기 때문에 작은 통통배 느낌으로 생각하면 쉬울지도 모른다.[17] 그리고 잘보면 울트라팩 같은 모드들은 이 항공기의 콕핏 그래픽을 그대로 활용해서 오카를 플레이어블 기체로 만든것임을 알수있다.[18] 참고로 연합군조종사들도... 국적가리지않고 한다.[19] 기체의 성능은 그대로 두고 스킨만 바꾸는 아이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