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수

 


1. 개요
2. 어형
3. 역사
4. 권한과 위상
5. 특징
6. 나무위키에 등재된 전/현직 군수
7. 관련 항목


1. 개요



조선, 대한제국,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인 군(郡)의 행정을 총괄하는 자리이다.

2. 어형


군수의 '수'는 우두머리를 뜻하는 首가 아니라 지킬 수(守) 자로, 군수는 '군을 지키는 사람'이란 의미이다.
영어로 번역할 때는 마다 제각각인데, 군정기에는 의역하여 Keeper라고 불렀고, 현재는 Mayor라 하는 군이 있는가 하면, Governor of county라 하는 군이 있기도 하다. 전자는 기초자치단체장을 뜻하는 단어이며 후자는 '군의 통치자'라는 의미. 이런 공식적인 명칭은 행정자치부에서 2018년 말에 정부지침으로 표준화하여 발표했지만, 인식 부족 등을 이유로 아직도 완전히 통일되지 않고 있다.

3. 역사


신라에서 전국 각 군의 장관은 초기엔 태수(太守)라고 불렀는데 이 때도 태수의 다른 이름으로 군수라는 명칭이 쓰였다. 고려 ~ 조선 초기까지는 지군사(知郡事)라는 말을 썼지만 이 때도 다른 명칭으로 군수라고 부른 기록도 존재한다.
그러다 세조 12년(1466년) 공식적으로 군수라는 단어로 바꾼 것이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수백 년, 길게 잡으면 천 년도 넘은 관직 명칭을 아직도 현재의 직책 이름으로 쓰고 있는 한국에선 극히 드문 사례다. 조신시대의 관직명 중 대한민국 시기까지 살아남은 다른 직책명인 '부윤'은 1949년 부를 시로 개칭하면서 '시장'으로 바뀌었다. 한편 북한은 아예 행정체계가 달라서 지방행정기관 자체는 장이 따로 없고 지방 당 조직이 행정조직을 직접 관할하는 형태이므로 사실상 책임비서, 당비서들이 남한의 각종 지자체장과 같은 입지의 직책이다. 남북회담이 처음 열려서 북측 인사들이 남한에 방문했을 때, 남한 사람들을 소개받다 'XX군수'라는 직책을 듣고 "력사책에서나 봤던 관직 명칭을 남조선에선 아직도 쓰고 있냐."하며 신기해했다는 일화가 있다. 전근대부터 쓰던 직책명을 계속 사용하는 일은 세계적으로도 종종 있는데 당장 바로 옆 일본만 해도 총리와 각 부 장관급 직책들을 대신(大臣)이라고 부른다.

4. 권한과 위상


지방자치제 이전에는 임명직이었다. 광복 이후에는 은 자치단체격이 없었으며[1] 1960~1970년대에는 군이 기초자치단체격을 가졌으나 지방자치제를 시행하지 않았다. 지방자치제가 시행된 1990년대 이후에는 기초자치단체장에 해당되며 대한민국 지방선거에서 선출되는 선출직 공무원이다.
일반적으로 관선 시절에는 4급으로 보했다. 민선 시대에는 선출된 정무직 공무원으로 보하고 있어 직급을 따지기 어렵다. 다만 부군수보다 한 직급 높다고 보며 대부분의 군, 정확히는 인구 10만 명 미만인 군에서는 군청의 차석인 부군수가 4급이므로 군수는 3급에 상당한다고 볼 수 있다. 인구 규모가 동일하다면 시청의 시장 및 부시장도 이와 같다.[2] 군수는 1~2급 상당의 공무원보다는 그 계급을 아래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그 지역을 대표하는 사람이기 때문에 그 위상은 모자라지 않다

5. 특징


보통 군의 인구가 시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고 인구이동이 적어 인물론이 잘 먹히는 편이다. 인물론이 잘 먹히는지라 광역자치단체장이나 대도시 기초단체장에서 희귀한 무소속 당선자가 많은 편이다. 그리고 단체장의 3선 연임 제한만 있는 만큼 3선 연임 후 한 타임 쉬고 다시 출마하거나 재선까지만 하고 다다음 지방선거에 다시 군수직에 출마하거나 하여 4선, 5선을 달성한 군수들도 있다.
여담으로 1995년 지방자치제 시행 이후 여성이 군수직에 당선된 사례는 거의 없다. 2004년 재보궐선거에서 이영남이 전남 화순군수로 당선되어 2006년까지 재직한 것이 몇 안 되는 예이다.

6. 나무위키에 등재된 전/현직 군수



7. 관련 항목



[1] 5.16 군사정변으로 지방자치제가 동결되기 전까지는 시와 읍면이 자치단체였다.[2] 참고로 인구 10만 명 이상 50만 명 미만인 군수 또는 시장은 2급 상당, 부군수 또는 부시장은 3급 상당으로 인구 10만 명 미만인 지자체보다 의전 대우가 한 급씩 위다. 덧붙여 인구가 50만 명 이상인 지자체의 시장과 부시장은 다시 이보다 한 급씩 위다. 인구 50만 이상의 군은 없으므로 군수는 대략 2~3급 상당으로 볼 수 있다.[3] 기초단체장인 군수, 시장부터 광역단체장까지 모두 역임한 보기 드문 사례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