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닝그라운드/유닛 목록/지구 집정 연합
1.1. 건물 (Building)
1.1.1. 이동식 대사관 (Ambassador MCV)
1.1.2. 동력 생성기 (Power Generator)
1.1.3. 연료 보급 공장 (Refueling Foundry)
1.1.4. 궤도 폭격 시설 (Orbital Strike Center)
1.1.5. 기술 연구소 (Tech Assembler)
1.1.6. 펄스 타격기 (Pulse Assaulter)
1.1.7. 전술 연구소 (Battle Lab)
1.1.8. 병기 공장 (Armor Factory)
1.1.9. 우주 플랫폼 (Space Platform)
1.1.10. 지휘소 (Conduct Base)
1.1.11. 과학 시설 (Science Facility)
1.1.12. 우주 통신국 (Space Com-Bureau)
1.1.13. 작전소 (Strategy Center)
1.1.14. 요르문간드 거포 (The Jormungandr Artillery)
1.2. 유닛 (Unit)
1.2.1. 일반 유닛 (Common units)
1.2.1.1. 개척자 (Pioneer)
1.2.1.3. 크로노 강화전투병 (Chrono Battlesuit)
1.2.1.4. 심문관 (Inquisitor)
1.2.1.5. 투사 (Crusader)
1.2.1.6. 스카이훅 수송기 (Skyhook Lifter)
1.2.1.7. 이고르 (Igor)
1.2.1.8. 첩보용 드론 (Spy Drone)
1.2.1.9. 테러용 드론 (Terror Drone)
1.2.1.10. 스피어백 (Spearback)
1.2.1.11. 레비아탄 (Leviathan)
1.2.1.12. 팔콘 (Falcon)
1.2.1.13. 수호자 (Vindicator)
1.2.1.14. 하늘 방주 (Airbone Ark)
1.2.2. 실험급 유닛 (EXP units)
1. 지구 집정 연합 (UED)
여러모로 커맨드 앤 컨커에서 따온 유닛들이 많으며, 종족전쟁 이후 남은 잔당이라는 설정을 반영한듯 유닛들의 기계화가 높은 편이다. 다만 일부 유저들 사이에선 '''테란 코스프레(...)하는 프로토스'''라는 소리를 들을 정도로 1편의 프로토스의 특징이 강하게 남아있다. 이는 원래 버닝그라운드에서 제3의 종족은 프로토스로 설정하려던 흔적이기 때문.
2.0 패치 이후 많은 건물과 유닛들의 모델링이 바뀌었다.
1.1. 건물 (Building)
1.1.1. 이동식 대사관 (Ambassador MCV)
[image] [image]
UED의 기본 건물로 자치령의 사령부, 켈모리안의 강철의 요새에 대응한다. 유저 자작 모델을 사용한다.
독특하게도 '짐꾸리기'를 사용할 수 있는데, 이 능력을 사용하면 해당 건물이 지상 주행 유닛으로 변하며 이때 초상화도 변한다. 타 세력 건물의 이륙 기능과 달리 지상에서 움직이며 속도가 조금 더 빠르다.
짐꾸리기 모드의 초상화는 지금은 사라진 스1 모드 사이트인 'Samods'의 회원이 만든 커스텀 초상화를 사용한다.
1.1.2. 동력 생성기 (Power Generator)
프로토스의 수정탑을 계승하는 건물. 스1의 특수 건물인 동력 생성기를 스2의 스타일로 모델링했다.
가격이 175로 비싸졌지만 대신 보급 제공이 18로 증가했다.
1.1.3. 연료 보급 공장 (Refueling Foundry)
[image]
초기 모델.
프로토스의 융화소를 계승하는 건물. 유저 자작 모델을 사용한다.
1.1.4. 궤도 폭격 시설 (Orbital Strike Center)
[image]
초기 모델은 군단의 심장에 등장하는 함포탑을 사용했으나 2.0 패치에서 유저 자작 모델로 바뀌었다.
기본적인 보병 유닛을 뽑을 수 있는 건물. 프로토스의 관문을 계승하는 건물이다. 전술 연구소에서 궤도 폭격 업그레이드를 하면 스2의 차원관문처럼 유닛을 즉시 뽑을 수 있다. 물론 동력장 범위 내에서만이다. 소환 시 스2의 지게로봇처럼 하늘에서 유닛이 투하된다.
현재 꽤나 심각한 버그가 있는데, '유즈맵 설정'으로 플레이할 시 '''궤도 폭격 연구가 이미 완료된 상태로 나온다.'''
1.1.5. 기술 연구소 (Tech Assembler)
프로토스의 제련소를 계승하는 건물. 유저 자작 모델을 사용하며 지상 유닛들의 공격력, 방어력, 보호막 방어력을 업그레이드 할 수 있다.
1.1.6. 펄스 타격기 (Pulse Assaulter)
프로토스의 광자포를 계승하는 건물. 특이하게도 스2의 보급고처럼 건물 내리기 기능이 있다.
1.1.7. 전술 연구소 (Battle Lab)
[image]
초기 모델은 자유의 날개의 생태관 기지를 사용했으나 2.0 패치에서 유저 자작 모델로 바뀌었다.
프로토스의 인공 제어소를 계승하는 건물이다. 공중 유닛들의 추가 업그레이드를 할 수 있다.
1.1.8. 병기 공장 (Armor Factory)
[image]
초기 모델은 군단의 심장의 발레리안 우주 정거장을 사용했으나 2.0 패치에서 유저 자작 모델로 바뀌었다.
프로토스의 로봇공학 시설을 계승했으며, UED의 기계 유닛을 제작할 수 있다.
1.1.9. 우주 플랫폼 (Space Platform)
[image]
초기 모델은 군단의 심장의 용병 우주 정거장을 사용했으나 2.0 패치에서 유저 자작 모델로 바뀌었다.
프로토스의 우주관문을 계승했으며, UED의 공중 유닛을 제작할 수 있다.
1.1.10. 지휘소 (Conduct Base)
스2 프로토스의 황혼 의회를 계승하는 건물. 유저 자작 모델을 사용한다.
1.1.11. 과학 시설 (Science Facility)
프로토스의 로봇공학 지원소를 계승하는 건물.[12] 스2의 미사용 데이터인 과학 시설의 모델을 사용했다. 실험급 건물인 요르문간드 거포와 유닛인 이그니스, 아라크네는 여기서 할 수 있는 티어 4 연구를 통해 해금할 수 있다.
1.1.12. 우주 통신국 (Space Com-Bureau)
프로토스의 함대 신호소를 계승하는 건물. 유저 자작 모델을 사용한다.
원래대로라면 프로토스의 중재소 포지션에 해당하는 연구들도 여기서 할 수 있기 때문에 3세력을 통틀어서 가장 많은 연구 종류를 보유하고 있는 건물이다.
1.1.13. 작전소 (Strategy Center)
프로토스의 기사단 기록보관소를 계승하는 건물. 유저 자작 모델을 사용한다.
연구라곤 하나밖에 할 수 없지만, 지상 유닛 업그레이드 및 실험급 테크를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건물이다.
1.1.14. 요르문간드 거포 (The Jormungandr Artillery)
공격이 가능한 실험급 건물. 유저 자작 모델을 사용한다.
처음에는 켈모리안 종족의 건물로 기획되었으나, 나중에 UED 종족의 건물로 계획이 바뀌었다. '''사거리 무한에 시야가 비춰지지 않은 곳도 공격이 가능하다.''' 다만 패키지 시스템으로 4분에 한 발씩만 사용 가능하며, 스플래시 범위가 좁아 단발씩 쏘는 건 의미가 없고 패키지를 아껴놓고 한꺼번에 쏟아붓는 식의 플레이를 권장한다.
여담으로 포격 후 착탄에도 시간차가 있고 재사격에도 딜레이가 조금 있으므로 그걸 고려하면서 쏴야 한다.
1.2. 유닛 (Unit)
1.2.1. 일반 유닛 (Common units)
1.2.1.1. 개척자 (Pioneer)
[image]
초기에 쓰였던 유저 자작 모델.
[image]
현재 모델.
UED의 일꾼 유닛. 건물을 건설할 때는 다른 세력의 건설로봇들과 달리 프로토스처럼 특이한 신호기를 붙여서 '''텔레포트'''시킨다.
1.05 버전 기준으로 건물 건설 시에 보이는 신호기의 모양이 바뀌었다.
2.0 버전에서 탐사정 비슷한 형태의 유저 자작 모델로 변경되었다.제작자의 sc2mapster 페이지
1.2.1.2. 영귀[23] (Night Shade)
[image]
프로토스의 광전사 포지션인 유닛. 유저 자작 모델을 사용한다. 광전사랑 달리 공격 횟수는 한 번이지만, 대신 공격력이 4 높아졌다. 업그레이드는 스2의 광전사 업그레이드와 동일하며, 업그레이드 시 돌진 능력이 생기는데 이동 속도도 함께 빨라진다. 돌진 쿨타임은 에너지로 구현되었다.
참고로 속성이 기계와 생체가 함께 붙어 있어서 인공지능 켈모리안과 뜨면 수도 없이 밀려오는 혼령이 영귀를 '''모조리 결박'''시켜버리기 때문에 도저히 써먹을 수가 없다. 게다가 생체 판정 때문에 방사능 오염에도 걸린다. 이렇게 된 이유는 자동 돌진 기능이 스1에서 강력하게 작용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공격 사운드는 커맨드 앤 컨커 레드얼럿 3의 유닛 쇼군의 공격음이며, 대사 음성과 초상화는 스2 A.R.E.S.의 것을 사용했다. 초상화는 수정이 가해진 것인지 원본보다 다소 역동적이다.
여담으로 스2 유즈맵 데저트 스트라이크 3의 유닛 슬레이어가 영귀의 모델링을 사용한다.
파일 사진
1.2.1.3. 크로노 강화전투병 (Chrono Battlesuit)
스2의 추적자 포지션에 있는 유닛. 유저 자작 모델을 사용한다. 공격 속도가 생각보다 꽤 느리므로 용기병처럼 쓰기는 어렵다. 추적자와 동일하게 점멸을 사용할 수 있지만 스2와 달리 점멸 사거리가 닿지 않으면 점멸이 불가능한 경우가 있다. 다행히도 스1의 용기병과는 다르게 크기도 작아져서[30] 잘 뭉치고 길도 잘 찾는 편이므로 화력 밀집도도 좋다.
여담으로 몇 번의 패치가 있었는데, 원래의 보호막과 생명력은 100/100이었으나 너프 후 80/80으로 바뀌었다.
1.2.1.4. 심문관 (Inquisitor)
[image]
수호 방패 및 역장 시연.
[image]
호저 미사일 시연.
파수기의 포지션을 한 유닛. 유저 자작 모델을 사용한다. 파수기의 수호 방패처럼 넓은 원형 불꽃을 만들어 불꽃 안에 있는 아군 유닛이 받는 피해가 줄어들고 역장으로 적의 진격을 막을 수 있다. 파수기와는 조금 다르게 권총 dps가 은근히 아프니 아예 무시할 수는 없다. [36]
또한 두 번째 사진처럼 에너지 75짜리 호저 미사일로 어쩡쩡한 수로 오는 메카닉들을 지워버릴 수가 있다. 단, 미사일이 한 발씩 여러 발로 때리는 거라 그 사이에 죽으면 의미가 없다. 특이하게 사정거리 내에선 한 손에 든 권총으로 공격하고 근접시 다른 손에 있는 칼로 공격한다. 데미지 차이는 없다.
여담으로 한손엔 권총, 다른 손엔 칼을 들고 있다는 점과 이름을 보아 모티브는 Warhammer 40,000의 이단심문관으로 추정되고, 한 손의 권총 모양이 스2 HERC의 레일건과 비슷한 것으로 보아 실제 모델링은 HERC를 참조한 것으로 보인다.
1.2.1.5. 투사 (Crusader)
[image]
2.0 패치로 방해 공작원을 대체하는 UED의 암흑 기사 포지션의 유닛. 유저 자작 모델을 사용한다. 공격하면 은폐가 풀리는 점은 동일하지만, 은폐 중에 빠른 속도로 보호막이 회복되는 특수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다른 패시브 능력인 테라진 과부하 또한 뛰어난 성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각종 건물을 많이 지어야 하는 암흑 기사와 달리 초반에 생산할 수 있게 테크트리가 수정되어서 적진에 사보타주하기가 더욱 쉬워졌다. 때문에 이 유닛으로 초반에 적진에 가서 뒤흔드는 전략이 거의 UED의 국민 빌드가 되었다. UED가 적일 시 게임 초반에 감지탑이나 탐지 유닛을 마련하지 못한다면 꽤나 고생할 것이다.
초상화는 바이저를 쓴 악령의 것을 사용하며, 음성은 C&C 4에 나오는 '울프'의 것을 사용한다.#
1.2.1.6. 스카이훅 수송기 (Skyhook Lifter)
스2의 차원 분광기의 역할을 하는 유닛. 유저 자작 모델을 사용한다. 차원 분광기처럼 변신해서 동력을 공급할 수도 있고, 지상 유닛의 궤도 투하를 할 수도 있다.
제작자의 sc2mapster 페이지
1.2.1.7. 이고르 (Igor)
[image]
[image] [image]
방어 모드 시연.
UED의 대형 공성 유닛. 유저 자작 모델을 사용한다. 공격의 위력을 반감시켜주는 방패를 전방에 전개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이 상태에선 공격이 불가능하다.
유닛 모델링 모티브는 메탈레이지에 등장한 강습형 기체인 '듀얼'. 초상화는 스1의 건설로봇을 스2 스타일로 만든 것을 사용하며#[43] .유닛의 음성은 C&C 3에 나오는 '타이탄'의 것을 사용한다.#
1.2.1.8. 첩보용 드론 (Spy Drone)
1, 2편의 관측선을 모티브로 한 유닛. 모델링은 사이버락 아눕아락 스킨의 풍뎅이 숙주이다. 버닝그라운드에서 유일하게 영구 은폐가 가능한 유닛.
1.2.1.9. 테러용 드론 (Terror Drone)
커맨드 앤 컨커 레드얼럿 시리즈에 등장하는 테러 드론에서 모티브를 따온 자폭 유닛. 초상화나 모델링은 땅거미 지뢰의 것을 사용하였다.
스1의 감염된 테란을 대체하는 유닛이며, 2.0 패치 이후 공격 타입이 폭발형으로 바뀌었고 데미지가 조금 올랐다.
1.2.1.10. 스피어백 (Spearback)
[image]
UED의 대형 기계 유닛. 유저 자작 모델을 사용한다. 일시적으로 이동 속도를 올려주는 '코어 돌격'[55] 이라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초상화는 스1의 에드먼드 듀크를 스2 스타일로 만든 것을 사용하며# , 음성은 C&C 2에 나오는 '프리즘 탱크'의 것을 사용한다.
1.2.1.11. 레비아탄 (Leviathan)
[image]
AH-64와 커맨드 앤 컨커 시리즈에 등장한 트윈블레이드를 모티브로 한 듯한 UED의 공대지 공중 유닛. 유저 자작 모델을 사용한다.
켈모리안의 그리폰이나 자치령의 그늘날개와 달리 은폐를 할 수는 없지만, 스2의 불사조처럼 무빙 샷을 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하지만 공중은 공격이 불가능하다. 그래서 투사처럼 주로 일꾼 테러나 초반 견제용으로 많이 쓰인다. 기본적인 공격은 기관포지만, 미사일을 발사하기도 한다.
초상화는 오래된 스1 모드인 'Huncraft'에 나오는 팬텀(Phantom)의 것을 사용한다.
1.2.1.12. 팔콘 (Falcon)
[image] [image]
UED의 제공전투기. 유저 자작 모델을 사용한다.
100의 에너지를 소모하고 적의 공격을 피할 수 있는 '조명탄'이라는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단 일반형 공격은 그대로 피해를 받는다.
초상화는 스1 망령의 초상화에 스카우터를 씌우는 등 개조한 것을 사용한다.
1.2.1.13. 수호자 (Vindicator)
스1의 중재자를 모티브로 한 유닛. 공격은 할 수 없지만 중재자처럼 다른 유닛들을 순간이동시킬 수 있는 '소환'이 가능하며, 지상 유닛에게 사용할 수 있는 정지장인 '철의 장막'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타 세력의 공중 마법 유닛들처럼 수리 기술로 보호막을 회복시킬 수 있다.
[image]
그래픽으로는 스2의 미사용 데이터인 허리케인급 전투순양함의 모델을 사용한다. 초상화는 지금은 사라진 스1 모드 사이트인 'Samods'의 회원이 만든 커스텀 초상화를 사용하며, 음성은 오래된 스1 모드인 '스타 트렉 : 영토 전쟁'의 것을 사용한다.#
1.2.1.14. 하늘 방주 (Airbone Ark)
[image]
제작자의 sc2mapster 페이지
우주모함처럼 해방자(Liberator)라는 이름의 요격기들을 출격시켜 공격하는 UED의 대형 공중 유닛. 관련 연구도 해방자의 숫자를 늘리는 것으로 동일하다.
여담으로 해방자의 무기 이름은 수아레즈의 이빨(...)이다.
본래 버전인 1.0 당시엔 원작에선 군단의 심장과 협동전 미션 코랄의 균열에 등장하는 켈모리안 조합의 해적 주력함(Pirate Capital Ship)이 사용되었으나 설정 오류 문제[74] 도 있었고, 당시에 사용할 모델링이 부족해 떔빵 용도로서 쓴 것이었기 때문에 새 모델링이 만들어지자 바로 대체되었다.
초상화는 스1의 제라드 듀갈을 스2 스타일로 만든 것을 사용하며#, 음성은 C&C 4에 나오는 '샐러맨더'의 것을 사용한다.#
1.2.2. 실험급 유닛 (EXP units)
1.2.2.1. 이그니스 기병 (The Centaur of Ignis)
[image] [image]
컨셉 아트에서 알 수 있듯 초기에는 이름이 "The IGNIS" UED Siege Walker였다.
UED의 실험급 유닛이며, 설정상 코프룰루의 골리앗에 영감을 받아 제작된 대형 병기이다. 제작진이 그래픽과 모델링을 직접 만들었다.
뒤에 달린 터렛으로 이동 중 공격이 가능하고, 전방에 달린 레일건으로도 이동 중 정면에 있는 유닛에게 공격이 가능하다. 다만 특수 능력이 없고 대공 공격이 불가능해서 공대지 유닛들에게 상당히 약해진다. 모든 실험급 유닛 중 가장 높은 체력을 보유했으나, 이동 속도는 그야말로 극악.(...) 또한 소환 도중 이그니스가 공격받으면 '''기지가 공격받고 있습니다'''로 나오는데, 이는 다른 실험급 유닛들과 달리 개척자가 건물을 만들듯이 설치해서 생산하기 때문.
여담으로 모티브는 커맨드 앤 컨커 시리즈에 나오는 매머드 Mk.2이다. 여러모로 제작진의 C&C 덕심(...)을 느낄 수 있는 부분. 모델링상 오딘과 동급의 덩치임에도 불구하고 이동 시 화면 진동이 발생하지 않고 소리도 작다. 또한 초상화를 유심히 보면 어디선가 본 것 같은 느낌을 받을 수 있는데, 다름 아닌 스1 오리지널의 인트로 영상에서 나왔던 그 탐사대원이다.
1.2.2.2. 아라크네 (Arachne)
[image] [image]
UED의 실험급 유닛. 2.0 패치로 추가되었다. 특수 능력인 '도약'과 '지진파'가 있으며 도약으로 적이 있는 곳에 착지한 후 지진파를 써서 적에게 큰 데미지를 입힐 수 있다. 도약 자체도 적이 있는 곳에 착지하면 큰 데미지를 주며 두 기술 모두 아군에게도 피해를 준다. 어느 의미론 이그니스 기병과는 차원이 다른 기동력을 보유한 유닛인 셈. 또한 이동하면서 소형 유닛들을 '''밟으며''' 데미지를 줄 수 있다. 단점이라면 역시 공중 공격을 못하고 공속도 매우 느리다.
이그니스 기병과 마찬가지로 유저 자작 모델을 사용한다. 초상화는 외국 RTS 게임인 'Priority: Survive'의 것을 사용한다.
[1] 나이트셰이드가 그림자 생명체라는 점에서 그림자 영(影), 귀신 귀(鬼)로 의역.[2] 짐꾸리기 모드일 시 초상화.[3] 전술 연구소에서 연구 이후. 광물 100 / 베스핀 가스 100이 소모된다.[4] 레벨 2부터는 작전소 필요.[5] 개척자 제외.[6] 레벨 2부터는 작전소 필요.[7] 레벨 2부터는 전술 연구소 필요.[8] 지상 및 공중 모두 공격 가능.[9] 레벨 2부터는 우주 통신국 필요.[10] 레벨 2부터는 우주 통신국 필요.[11] 작전소 필요.[12] 사운드도 동일하다.[13] 티어 4 연구가 완료인 상태여야 한다.[14] 요르문간드 거포는 한 번에 하나만 동력장 범위 내에 건설할 수 있다.[15] 지상 공격만 가능.[16] 지상 장갑 업그레이드마다 +1 → 최대 3[17] 영웅 유닛은 한 번에 하나만 소환할 수 있다.[18] 과학 시설에서 '티어 4' 연구 이후. 광물 200 / 베스핀 가스 200이 소모된다.[19] 소환 비용으로 광물 850 / 베스핀 가스 850이 소모된다.[20] 영웅 유닛은 한 번에 하나만 소환할 수 있다.[21] 과학 시설에서 '티어 4' 연구 이후. 광물 200 / 베스핀 가스 200이 소모된다.[22] 소환 비용으로 광물 750 / 베스핀 가스 750이 소모된다.[23] 나이트셰이드가 그림자 생명체라는 점에서 그림자 영(影), 귀신 귀(鬼)로 의역.[24] 지상 장갑 업그레이드마다 +1 → 최대 4[25] 지상 무기 업그레이드마다 +2 → 최대 26[26] 지휘소에서 연구 이후. 광물 150 / 베스핀 가스 150이 소모된다.[27] 지상 장갑 업그레이드마다 +1 → 최대 4[28] 지상 무기 업그레이드마다 +3 → 최대 21[29] 지휘소에서 연구 이후. 광물 150 / 베스핀 가스 150이 소모된다.[30] 수송 칸도 2칸만 먹는다.[31] 지상 장갑 업그레이드마다 +1 → 최대 3[32] 지상 무기 업그레이드마다 +1 → 최대 13[33] 작전소에서 연구 이후. 광물 200 / 베스핀 가스 200이 소모된다.[34] 전술 연구소에서 연구 이후. 광물 200 / 베스핀 가스 200이 소모된다.[35] 전술 연구소에서 연구 이후. 광물 150 / 베스핀 가스 150이 소모된다.[36] 1.05 버전 기준으로 이젠 뽑는다.[37] 지상 장갑 업그레이드마다 +1 → 최대 4[38] 지상 무기 업그레이드마다 +3 → 최대 49[39] 공중 장갑 업그레이드마다 +1 → 최대 4[40] 과학 시설에서 연구 이후. 광물 200 / 베스핀 가스 200이 소모된다.[41] 지상 장갑 업그레이드마다 +1 → 최대 5[42] 지상 무기 업그레이드마다 +3 → 최대 39[43] 버닝그라운드에서 사용하는 것과는 모델이 조금 다르다. 아마도 링크의 버전보다 더 초기 모델을 사용하는 듯.[44] 공중 장갑 업그레이드마다 +1 → 최대 3[45] 과학 시설에서 연구 이후. 광물 150 / 베스핀 가스 150이 소모된다.[46] 지상 장갑 업그레이드마다 +1 → 최대 3[47] 지상 무기 업그레이드마다 +15 → 최대 150[48] 과학 시설에서 연구 이후. 광물 150 / 베스핀 가스 150이 소모된다.[49] 지상 장갑 업그레이드마다 +1 → 최대 5[50] 지상 한정.[51] 지상 무기 업그레이드마다 +2 → 최대 30[52] 지상 무기 업그레이드마다 +2 → 최대 24[53] 과학 시설에서 연구 이후. 광물 200 / 베스핀 가스 200이 소모된다.[54] 과학 시설에서 연구 이후. 광물 150 / 베스핀 가스 150이 소모된다.[55] 이동 속도가 매우 빨라지는데, 입구가 좁으면 자기 혼자 이상한 데로 돌격한다.(...)[56] 공중 장갑 업그레이드마다 +1 → 최대 4[57] 공중 무기 업그레이드마다 +1 → 최대 10[58] 공중 무기 업그레이드마다 +4 → 최대 28[59] 우주 통신국에서 연구 이후. 광물 200 / 베스핀 가스 200이 소모된다.[60] 우주 통신국에서 연구 이후. 광물 100 / 베스핀 가스 100이 소모된다.[61] 공중 장갑 업그레이드마다 +1 → 최대 4[62] 공중 무기 업그레이드마다 +1 → 최대 17[63] 우주 통신국에서 연구 이후. 광물 150 / 베스핀 가스 150이 소모된다.[64] 우주 통신국에서 연구 이후. 광물 100 / 베스핀 가스 100이 소모된다.[65] 공중 장갑 업그레이드마다 +1 → 최대 4[66] 우주 통신국에서 연구 이후. 광물 150 / 베스핀 가스 150이 소모된다.[67] 우주 통신국에서 연구 이후. 광물 200 / 베스핀 가스 200이 소모된다.[68] 우주 통신국에서 연구 이후. 광물 150 / 베스핀 가스 150이 소모된다.[69] 공중 장갑 업그레이드마다 +1 → 최대 7[70] 공중 무기 업그레이드마다 +1 → 최대 12[71] 소환 비용으로 광물 35가 소모된다.[72] 기본 최대 수용량 4기. 업그레이드 시 8기.[73] 우주 통신국에서 연구 이후. 광물 100 / 베스핀 가스 100이 소모된다.[74] 용병 전쟁이라는 모드의 컨셉상 켈모리안의 전투순양함이 UED에 등장하는 점은 많이 어색하다고 볼 수 있었다.[75] 건물이 아닌 개척자가 동력장 범위 내에서 소환하는 방식이다.[76] 티어 4 연구가 완료인 상태여야 한다.[77] 영웅 유닛은 한 번에 하나만 생산할 수 있다.[78] 레일건 한정.[79] 지상 무기 업그레이드마다 +25 → 최대 200[80] 지상 무기 업그레이드마다 +3 → 최대 39[81] 거대 장갑(Massive Plating)이라는 특수한 장갑 형태이기 때문에 저그처럼 자가 회복이 가능하다. 대신 수리는 불가능.[82] 건물이 아닌 개척자가 동력장 범위 내에서 소환하는 방식이다.[83] 티어 4 연구가 완료인 상태여야 한다.[84] 영웅 유닛은 한 번에 하나만 생산할 수 있다.[85] 지상 무기 업그레이드마다 +20 → 최대 300[86] 거대 장갑(Massive Plating)이라는 특수한 장갑 형태이기 때문에 저그처럼 자가 회복이 가능하다. 대신 수리는 불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