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성, 분노
2. 1자 한자어
2.1. 성님(<), ''의 방언
2.3. (), 건축
2.4. 성()
2.5. 성-(), 거룩하다
2.6. -성(),
2.7. -(), 정부조직
2.8. -(), 행정구역
2.9. -성(性), 접사
3. 한자
4. 인명
5. 작품
6. 국가
6.1. 성나라(), 중국 쓰촨성의 국가
6.2. 성나라(郕),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국가


1. 순우리말 '성'



1.1. 성, 분노


분노, 를 뜻하는 순우리말이다. 합성어로 '성나다'가 있다.
분하고, 짜증나고, 화가날 때 생기는 감정이다. 이게 인간에게 적당하게 생기면 어느 정도 가라앉칠 수 있지만 버틸 수가 없을 정도로 극에 달해 차오르면 얼굴이 빨간풍선처럼 새빨게지고, 표정이 굉장히 사나워지며 자칫하면 이성을 잃어버릴 수도 있다.
만화에서는 등장인물이 성에 가득차면 얼굴이 빨개지거나 머리에 연기가 화산마냥 뿜어 나오는 식으로 표현된다.
스트레스, 어그로 등과도 연관 있다.

2. 1자 한자어



2.1. 성님(<), ''의 방언


''의 남부 지방 발음. 여기에 '-'을 붙이면 '성님'이 된다.

2.2. (), 성씨



일반 이름 이외에 자신의 혈통을 나타내는 이름을 말한다. 동아시아는 이름 앞에 쓰고, 유럽이나 아메리카에서는 뒤에 쓴다.[1]
오늘날에는 '성씨'라고 묶어부르지만 동아시아 전통 개념에서 성과 씨는 다소 다른 개념이었다.

2.3. (), 건축




2.4. 성()



2.4.1. 성별



/ sex
원래는 '본성'을 의미했지만, 현대 한국어에서는 단일어로 쓰이는 경우 "남녀 또는 암수의 구별", 즉 성별을 의미하게 되었다. 여담으로 영어 'sex'는 성관계를 의미하기도 한다.
'섹슈얼리티'(sexuality)가 '성'으로 번역되기도 한다. 섹슈얼리티는 성별(섹스와 젠더)뿐만 아니라, 성에 대한 태도, 사고, 감정, 가치관 등을 모두 포괄한 개념이다.
성별'은 보통 생물학적인 성별을 말하지만, 사회학적인 성별을 따로 '젠더'로 구분하기도 한다.

2.4.2. 문법적 성



명사의 변화 형태에 따라 구별되는 집단을 가리킨다. 남성/여성/중성의 3성이 일반적이며, 인도유럽어족이나 셈어파 언어에서 나타나는 것이 대표적인 문법적 성의 사례이다. 한국어에는 없는 개념이다.
이러한 성은 언어학에서의 문법적인 개념일 뿐이다. 성별, 성관계, 섹슈얼리티와 같은 자연적 성질과는 관계가 없다. 그래서 성이라는 용어 대신 '명사 분류'라는 용어를 쓰기도 한다.

2.5. 성-(), 거룩하다


'''언어별 명칭'''
라틴어
Sanctus
이탈리아어
San
영어
Saint, Holy
독일어
Sankt
본래 동아시아에서 불교유교적 의미의 성인(성인군자)을 의마하던 어근이었다. 예를 들면 신라법흥왕은 당대 기록에서 '''성법흥태왕'''으로도 등장한다. 그러다 20세기 이후에는 주로 기독교의 Sanctus에 해당하는 어근으로 차용해서 쓴다. 기독교 도입 이전 불교적 의미로 쓸 때랑 의미도 비슷하고, 발음도 유럽 언어에 따라 다르지만 비슷한 편인데 우연의 일치다.
성인(기독교에서 시성된 이), 성경, 성부, 성자, 성령 등의 어휘를 구성한다. 영어에서의 HolySaint보다 강한 의미이며, 창조주나 교회(건물이 아닌, 범국가적 공동체의 의미에서) 등에 사용된다. 본래 라틴어로는 둘 다 Sanctus(어근: Sanc)인데 영어에서 갈라진 것이다. 하지만 한자어로 번역하면서 다시 동일해졌다.
일본 학원물에서는 높은 빈도로 학원 이름에 들어가는 이름이기도 하다. 聖이라고 쓰고 セイント(세인트)라고 읽는 A라고 쓰고 B라고 읽는다 식 표기도 있다. 대개는 고상한 종교 단체에서 운영하는 고위층들의 특별한 학교 같은 분위기를 묘사하기 위함이다.

2.6. -성(),



화성, 금성, 목성 등 밤하늘에 보이는 빛나는 천체 중에서 성운같은 퍼지는 형태를 한 것들을 제외한 모든 천체들을 부르는 말이다.
모바일 게임에서 4성, 5성, 6성 이런 표현을 쓰는 것도 바로 이 성이다.

2.7. -(), 정부조직



과거 중국 당나라에서 유래해 오늘날에는 북한, 일본에서 사용하는 정부부처 이름이다.

2.8. -(), 행정구역



중국베트남에서의 제1급 행정구역으로서, 대한민국의 도(道)에 해당한다. 위의 정부조직 '-성'을 원나라 시기 행정구역 부서로도 쓴 것이 기원으로 보인다.

2.9. -성(性), 접사


'성질'의 뜻을 더하는 접사이다.
  • 예: 산성, 염기성, 중성, 역사성 등
앞이 한 음절이면 경음화가 일어나지 않고(예: 산성, 양성, 음성, 본성 등) 앞이 두 음절 이상이면 /썽/으로 발음된다(예: 염기성, 자의성, 역사성, 인간성 등).[2]

3. 한자


교육용 한자 1800자 중 '성'으로 읽는 글자는 다음 10자이다.
  •  (성 성)
  • (성 성)
  •  (성품 성)
  •  (이룰 성)
  • (별 성)
  •  (담을 성)
  •  (살필 성)
  •  (성스러울 성)
  •  (소리 성)
  •  (정성 성)

4. 인명



4.1. 성씨(), 한국의 성씨



한국의 성씨 중 하나로서, 본관은 창녕 성씨와 강릉 성씨로 대표된다.

5. 작품



5.1. (), 프란츠 카프카의 소설



프란츠 카프카의 장편 3부작 중 하나로, 다른 두 소설인 심판, 아메리카 등과 마찬가지로 미완성으로 남아있다. 마르셀 프루스트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제임스 조이스율리시즈와 함께 20세기의 대표작으로 꼽히며, 이 책 모두는 상당히 난해한 책으로 꼽힌다.

6. 국가



6.1. 성나라(), 중국 쓰촨성의 국가



성(成)나라는 전/후한 교체기의 중국 쓰촨성에서 공손술이 건국한 국가이다. 이후 오호십육국시대에 티베트계 저족이 세운 나라 성한의 초창기 국명으로도 사용되었다.

6.2. 성나라(郕),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국가



성(郕)나라는 중국 서주 시대부터 춘추전국시대에 걸쳐 존재했던 약소국이다.

[1] 유럽 국가이지만 앞에 성을 쓰는 헝가리 같은 예외도 있다.[2] 참고로 왠지 모르게 접사 '-()은 경음화가 반대로 일어난다. 앞이 한 음절이면 /쩍/으로 발음되고(예: 미적, 사적, 공적, 단적 등) 앞이 두 음절 이상이면 경음화가 일어나지 않는다(예: 상대적, 인간적, 문화적, 일반적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