南
[clearfix]
1. 개요
남녘 남
남쪽 방위를 나타내는 한자.
2. 상세정보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은 다음과 같다.
유니코드에는 U+5357에 배당되어 있고, 주음부호로는 ㄋㄢˊ로 입력하며, 창힐수입법으로는 十月廿十(JBTJ)로 입력한다. 한자검정시험에서는 읽기 8급, 쓰기 6급 II로 분류되어 있다.
北을 제외한 방위를 나타내는 한자들은 전부 유래가 불분명하지만 유독 南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는데, 어느 정도냐면 육서의 여섯가지 제자원리 중 어떤 것에 해당하는 지도 모른다. 덕분에 南의 자원(字原)에 대하여 매우 많은 가설들이 나왔는데, 대표적으로 윗부분의 十자와 冂가 합쳐진 부분이 초목이 무성하다는 뜻을 나타내는 한자(초목무성할 발)가 변형된 것이고 그 밑에 있는 羊 비슷한 형상은 약간 심하다라는 뜻을 가진 한자(약간심할 임)이니, 이는 남쪽으로 갈수록 풀이 무성해지는 정도가 심해짐을 나타내어 남쪽의 따뜻한 기후를 상징한다는 가설이 있다. 만약 이게 사실이라면 南은 회의자에 속하는 셈이다.
악기를 본딴 상형자라는 설이 있다. 남南이라는 악기는 다른악기와 연주할때 남쪽에 위치했기 때문에 남쪽을 뜻하게 되었다는 설.
비슷한 악기 유래설로 묘족이 관계된 가설이 있다. 남南은 묘족이 뫼마루에 묻었다가 제사에 꺼내서 쓰던 큰 쇠북을 본뜬 글씨로 묘족자체를 칭하는 말로 쓰이게 되었다. 이들이 상나라의 남쪽에 살고 있어서 남쪽이란 뜻을 가지게 되었다는 설이다.
그러나 가설은 가설일 뿐, 南의 형성을 뒷받침해줄 만한 기록이 어디에도 남아있지 않은 관계로 기원을 알 수 없다.
또 다른 가설로는 상형의 원리로 만들어진 것이라는 설이 있는데, 집안에 있는 화초의 모습을 본뜬 것이라고 한다. 十자와 冂가 합쳐진 부분은 집을 의미하고, 그 안의 羊 비슷하게 생긴 게 화초를 의미한다는데, 역시 남녘의 따뜻한 기후성질을 나타낸 것이라는 해석이다.
獻(드릴 헌)의 신자체는 변이 南으로 바뀐 献가 되었다.
3. 사용례
- 나무아미타불 (南無阿彌陀佛)
- 남단(南端)
- 남대문 (南大門)
- 남도(南道)
- 남동(南東)
- 남동풍(南東風)
- 남만(南蠻)
- 남문 (南門)
- 남반구 (南半球)
- 남부 (南部)
- 남북(南北)
- 남중 고도 (南中高度)
- 남측(南側)
- 남침 (南侵)
- 남파(南派)
- 남풍(南風)
- 남하(南下)
- 남해 (南海)
- 남향 (南向)
- 남회귀선 (南回歸線)
- 대남 (對南)
- 대남방송 (對南放送)
- 동서남북 (東西南北)
- 월남 (越南)
- 이남 (以南)
- 지남철 (指南鐵)
- 회남자(淮南子)
3.1. 고사성어
- 남가일몽 (南柯一夢)
- 백골남행 (白骨南行)
3.2. 인명
南은 한국인과 일본인의 이름으로 자주 쓰이는 한자이며 특히 일본에서는 성씨에 많이 쓰이는 글자이다.
- 남(南)씨, 남궁(南宮)씨 한국인 전원. - 남상미(南相美), 남희석(南熙碩), 남궁민(南宮珉), 남궁석(南宮晳), 남궁억(南宮憶) 등등
- 구흥남 (具興南)
- 김남주 (金南珠)
- 김수남 (金洙南)
- 김주남 (金周南)
- 나구모 주이치 (南雲 忠一)
- 난부 요이치로 (南部 陽一郎) -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 난부 하루마사 (南部晴政)
- 난조 요시노 (南條愛乃)
- 난포 카즈에 (南浦 数絵)
- 남양갈 (南陽葛)
- 남진 (南珍) - 본명은 김남진(金湳鎭)이다.
- 노기남 (盧基南)
- RM - 본명 김남준(金南俊)
- 묘이 미나 (名井 南)
- 미나미노 요코 (南野陽子)
- 미나미 아키나 (南明奈)
- 미나미 오미 (南 央美)
- 미나미 요시야 (南佳也) - 본명은 아님.
- 미나미 지로 (南 次郎)
- 미나미 카나 (南夏奈)
- 박남춘 (朴南春)
- 백남기 (白南基)
- 백남준 (白南準)
- 송대남 (宋大南)
- 이남규 (李南圭)
- 이종남 (李鍾南) - 1번과 2번 항목은 한자표기가 둘다 李鍾南이다.
- 조남조 (趙南照)
- 조남철 (趙南哲)
- 최규남 (崔奎南)
- 한남군 (漢南君)
- 허남식 (許南植)
- 허남훈 (許南薰)
3.3. 지명
방위를 나타내는 한자이니 지명으로도 엄청나게 많이 쓰인다. 다 적다간 끝이 없을 지경.
- 강남 (江南)
- 경상남도 (慶尙南道)
- 금남면 (錦南面)
- 난징 (南京)
- 남구 (南區)
- 남극 (南極)
- 남극권(南極圈), 남극주(南極洲), 남극지방(南極地方)
- 남미 (南美)
- 남원시 (南原市)
- 남천동 (南川洞)
- 남포동 (南浦洞)
- 남한 (南韓)
- 동남아 (東南亞)
- 미나미알프스시(南アルプス市)
- 미남 (美南)
- 베트남 (越南)
- 산남동 (山南洞)
- 상남동 (上南洞)
- 성남시 (城南市)
- 슈난시 (周南市)
- 영남 (嶺南)
- 운난시 (雲南市)
- 윈난성 (雲南省)
- 전라남도 (全羅南道)
- 충청남도 (忠淸南道)
- 타이난시 (台南)
- 평안남도 (平安南道)
- 하남시 (河南市)
- 한남동 (漢南洞)
- 함경남도 (咸鏡南道)
- 호남 (湖南)
4. 여담
南은 좌우 대칭의 모양인데, 흥미롭게도 일본어 훈독도 みなみ로 왼쪽부터 읽으나 오른쪽부터 읽으나 똑같은 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