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청역
市廳驛 / City Hall Station
1. 개요
도시철도나 철도역에서 역 주변에 위치한 관공서인 시청에서 역명을 따와서 이름을 지은 역. 유사품(?)으로 시청'''앞'''역이 있는데, 그쪽은 '''시청앞역''' 문서로. 일반 철도는 여러 개의 시를 지날 수도 있기에 아무 것도 붙지 않은 '시청역'은 주로 도시철도에서 많이 나타난다.
타이완의 가오슝은 시청역이 아니라 자매품(?)인 시'''의회'''역이 있다. 정작 가오슝 첩운 귤선의 시의회역에는 '''시의회가 없다'''(...).
2. 대한민국
대한민국에는 현재 총 10개의 시청역이 있다.[1] 또 대구광역시[2] 와 광주광역시[3] 를 제외하면 각 권역에 한개씩은 존재한다.
교대역, 박물관역, 공항역 등 다른 보통명사 역명들이 각 지역의 로마자 표기를 반영해서 쓰는 반면, 시청역은 (시청·용인대역을 제외하면) 지역명도 생략하고 'City Hall Station'이라고 표기한다.[4] 한글 역명에 지역명을 병기하는 역은 로마자 표기도 지역명을 반영한다.
2.1. 일반철도
2.2. 광역철도 및 도시철도
2.2.1. 수도권 전철
2.2.1.1. 서울 지하철
- 서울 지하철 1호선의 132번, 서울 지하철 2호선 201번의 시청역(서울)
- 서울 지하철 7호선의 755번 부천시청역
- [미개통]
2.2.1.2. 인천 도시철도
-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의 I124번, 인천 도시철도 2호선의 I221번 인천시청역
2.2.1.3. 기타 노선
2.2.2. 부산 도시철도
2.2.3. 대전 도시철도
- 대전 도시철도 1호선의 111번 시청역(대전)
2.2.4. 대구 도시철도
2.2.5. 광주 도시철도
3. 미국
4. 중국
5. 대만
6. 독일
독일어의 (U-/S-)Bahnhof Rathaus. 시청'''남'''역 같은 군더더기들(...)은 제외했다.
7. 오스트레일리아
8. 일본
- 나고야 시영 지하철의 시야쿠쇼역
- 야마가타 철도의 난요시야쿠쇼역
- 일본은 이 둘을 제외한 나머지 시청역들이 시청앞역이라는 군더더기를 달고 있다. 또한 도쿄도에는 도초마에역이 있다. '도청앞역'이라는 뜻이다.
9. 말레이시아
[1] 미개통 시청역 제외[2] 대구에는 2025년에 두류동으로 시청이 이전해옴과 동시에 감삼역이 시청역으로 역명이 바뀔 가능성이 있다.[3] 2024년 개통 예정[4] 시청역(서울), 시청역(부산), 시청역(대전), 시청역(광주).[미개통] A B C D [5] 원래 역명은 연제역이었는데 부산광역시청이 중구 남포동에서 이 곳으로 이전하면서 시청역으로 이름이 바뀌었다.[6] 원래 역명은 감삼역인데, 대구광역시청이 중구 동인동에서 2025년에 이곳으로 이전하게 되면 시청역으로 이름이 바뀔 가능성이 있다.[7] 베를린 시청 건물의 애칭이 '붉은 시청사'라서 이런 이름이 붙었다. 이 역이 속해있는 알렉산더플라츠역~브란덴부르거 토어역 구간은 아직 공사중이며 이 구간이 완공되면 베를린 중앙역에서 박물관 섬, 알렉산더 광장 등 주요 명소를 이어줄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