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청(행정)
市廳 / City Hall[1] , City Office[2]
- 현행 로마자 표기법: sicheong
- 매큔-라이샤워 표기법: sich'ŏng
1. 개요
[image]
위 사진은 서울특별시청.
대한민국에서 시의 행정을 관할하는 관청.
다만 일반시(도농복합시 포함)나 특정시의 시청은 기초자치단체의 행정을 맡아보는 곳이고, 특별시, 광역시, 특별자치시의 시청은 광역자치단체의 행정을 맡아 보는 곳으로서 후자가 더 큰 역할을 한다.
현재는 시청들이 정치적 논리로 인한 괴상한 입지[3] 나, 과도한 호화 청사로 인한 문제[4] 가 자주 발생하여 신청사 건립을 잘 허용해주지 않는 추세다.
일본에서는 '시청'과 같은 시초(市庁, しちょう)라는 표현은 쓰지 않고 시야쿠쇼(市役所, しやくしょ)라고 하며[5] , 영어로 번역할 때는 City Hall뿐만 아니라 City Office도 같이 쓰는 편이다.
2. 역할
- 시장이 근무하며 다양한 시정 업무를 맡아 보는 시 공무원들이 근무하는 곳으로, 대부분의 시정 결정과 논의가 이곳에서 이루어진다. 그런 특성상 당연하게도 모든 시정 관련 사업의 발주처가 된다.
- 다양한 업무를 맡아 보아야 하고 전반적인 시정을 관리해야 하므로 자연스럽게 도시의 중심부에 위치하게 된다.[6] 그래서 시청역(서울), 시청역(부산), 시청역(대전), ,[7] [8] 등 같은 이름의 역만 전국에 5개다.[9]
3. 대한민국의 시청 소재지
3.1. 광역자치단체
※ 별관과 분청사는 주소지가 다른 경우만 기재한다.
- 서울특별시청 -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110 (명동)
- 부산광역시청 - 부산광역시 연제구 중앙대로 1001 (연산동)
- 대구광역시청 - 대구광역시 중구 공평로 88 (동인동)
- 인천광역시청 - 인천광역시 남동구 정각로 29 (구월동)
- 광주광역시청 - 광주광역시 서구 내방로 111 (치평동)
- 대전광역시청 - 대전광역시 서구 둔산로 100 (둔산동)
- 울산광역시청 - 울산광역시 남구 중앙로 201 (신정동)
- 세종특별자치시청 - 세종특별자치시 한누리대로 2130 (보람동)
3.2. 기초자치단체
※ 별관과 분청사는 주소지가 다른 경우만 기재한다.
- 경기도
- 고양시청 - 고양시 덕양구 고양시청로 10
- 과천시청 - 과천시 관문로 69
- 광명시청 - 광명시 시청로 20
- 광주시청 - 광주시 행정타운로 50
- 구리시청 - 구리시 아차산로 439
- 구리시청 별관 - 구리시 아차산로 435
- 군포시청 - 군포시 청백리길 6
- 김포시청 - 김포시 사우중로 1
- 남양주시청 - 남양주시 경춘로 1037
- 남양주시청 제2청사 - 남양주시 경춘로 522
- 동두천시청 - 동두천시 방죽로 23
- 부천시청 - 부천시 길주로 210
- 성남시청 - 성남시 중원구 성남대로 997
- 수원시청 - 수원시 팔달구 효원로 241
- 시흥시청 - 시흥시 시청로 20
- 안산시청 - 안산시 단원구 화랑로 387
- 안성시청 - 안성시 시청길 25
- 안양시청 - 안양시 동안구 시민대로 235
- 양주시청 - 양주시 부흥로 1533
- 여주시청 - 여주시 세종로 1
- 여주시청 별관 - 여주시 세종로 10
- 오산시청 - 오산시 성호대로 141
- 용인시청 - 용인시 처인구 중부대로 1199
- 의왕시청 - 의왕시 시청로 11
- 의정부시청 - 의정부시 시민로 1
- 의정부시청 별관 - 의정부시 의정로46번길 25
- 이천시청 - 이천시 부악로 40
- 파주시청 - 파주시 시청로 50
- 파주시청 별관 - 파주시 시청로 51
- 평택시청 - 평택시 경기대로 245
- 평택시청 별관 - 평택시 평택5로 78
- 포천시청 - 포천시 중앙로 87
- 하남시청 - 하남시 대청로 10
- 하남시청 별관 - 하남시 대청로21번길 32
- 화성시청 - 화성시 시청로 159
- 경상남도
[1] 자치권을 가진 자치시청[2] 자치권이 없는 행정시청. 타이완의 현할시들은 City Office이다.[3] 대한민국에서 대표적인 예가 시흥시와 사천시가 있다.[4] 대한민국에서 대표적인 예가 용인시와 성남시가 있다.[5] 유일하게 아오모리현 하치노헤시가 市役所가 아닌 한국처럼 市庁이라고 쓴다.[6] 이 중심부는 지리적 중심부일수도 있고 인구, 기능이 밀집된 곳일 수도 있다.[7] 기존 대구시청(+북부청사 포함)이 2025년에 이 곳으로 이전 완료하게 되면 기존 감삼역에서 시청역으로 명칭이 바뀔 예정이다.[8] 광주 지하철 2호선 역 중 하나이나 아직 미개통.[9] 참고로 수도권에는 서울 지하철 시청역 외에 인천시청역, 수원시청역, 의정부시청역, 부천시청역, 시청용인대역(용인경전철)이 존재한다.[10] 전국에서 둘 밖에 없는 행정시들로 자치권이 없으며 도청의 위임 사무만 담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