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청(행정)

 


市廳 / City Hall[1], City Office[2]
1. 개요
2. 역할
3. 대한민국의 시청 소재지
3.1. 광역자치단체
3.2. 기초자치단체


1. 개요


[image]
위 사진은 서울특별시청.
대한민국에서 의 행정을 관할하는 관청.
다만 일반시(도농복합시 포함)나 특정시의 시청은 기초자치단체의 행정을 맡아보는 곳이고, 특별시, 광역시, 특별자치시의 시청은 광역자치단체의 행정을 맡아 보는 곳으로서 후자가 더 큰 역할을 한다.
현재는 시청들이 정치적 논리로 인한 괴상한 입지[3]나, 과도한 호화 청사로 인한 문제[4]가 자주 발생하여 신청사 건립을 잘 허용해주지 않는 추세다.
일본에서는 '시청'과 같은 시초(市庁, しちょう)라는 표현은 쓰지 않고 시야쿠쇼(市役所, しやくしょ)라고 하며[5], 영어로 번역할 때는 City Hall뿐만 아니라 City Office도 같이 쓰는 편이다.

2. 역할


  • 시장이 근무하며 다양한 시정 업무를 맡아 보는 시 공무원들이 근무하는 곳으로, 대부분의 시정 결정과 논의가 이곳에서 이루어진다. 그런 특성상 당연하게도 모든 시정 관련 사업의 발주처가 된다.
  • 다양한 업무를 맡아 보아야 하고 전반적인 시정을 관리해야 하므로 자연스럽게 도시의 중심부에 위치하게 된다.[6] 그래서 시청역(서울), 시청역(부산), 시청역(대전), ,[7] [8] 등 같은 이름의 역만 전국에 5개다.[9]

3. 대한민국의 시청 소재지



3.1. 광역자치단체


※ 별관과 분청사는 주소지가 다른 경우만 기재한다.

3.2. 기초자치단체


※ 별관과 분청사는 주소지가 다른 경우만 기재한다.
  • 제주특별자치도[10]


[1] 자치권을 가진 자치시청[2] 자치권이 없는 행정시청. 타이완의 현할시들은 City Office이다.[3] 대한민국에서 대표적인 예가 시흥시사천시가 있다.[4] 대한민국에서 대표적인 예가 용인시성남시가 있다.[5] 유일하게 아오모리현 하치노헤시가 市役所가 아닌 한국처럼 市庁이라고 쓴다.[6] 이 중심부는 지리적 중심부일수도 있고 인구, 기능이 밀집된 곳일 수도 있다.[7] 기존 대구시청(+북부청사 포함)이 2025년에 이 곳으로 이전 완료하게 되면 기존 감삼역에서 시청역으로 명칭이 바뀔 예정이다.[8] 광주 지하철 2호선 역 중 하나이나 아직 미개통.[9] 참고로 수도권에는 서울 지하철 시청역 외에 인천시청역, 수원시청역, 의정부시청역, 부천시청역, 시청용인대역(용인경전철)이 존재한다.[10] 전국에서 둘 밖에 없는 행정시들로 자치권이 없으며 도청의 위임 사무만 담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