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투

 

1. 개요
2. 선발 투수의 완투
3. 완투와 관련된 기록
4. 완봉
5. 완투 순위


1. 개요


미국에서는 Completed Game으로 표기.
선발투수가 처음부터 경기가 종료할 때까지 모든 투구를 하면 완투라고 칭한다. 그 때문에 5회에 콜드게임으로 끝났어도, 연장이 진행돼서 14회까지 갔어도 선발투수가 끝까지 던졌으면 완투로 기록된다. 하지만, 일단 구원 투수가 올라갔으면, 그 직후 경기가 진행되지 않고 콜드게임으로 종료됐어도 완투로 기록되지 않는다.
완투는 승패와는 무관하다. 그래서 완투승뿐만 아니라 완투패도 존재하며, 한국과 같은 경우는 완투 무승부[1]도 존재한다.

2. 선발 투수의 완투


초창기 야구에서 선발투수는 '''"닥치고 완투"'''가 기본이었지만, 투수 보직이 점점 분업화되고 타자의 기량이 점점 상향 평준화되면서 '''"가급적 완투를 하는 것이 좋다."'''로 바뀌어갔고, 선발투수의 건강, 그리고 야구의 상식에 의거한[2] 투구수 관리까지 하는 현대의 야구에서는 '''"6 ~ 7회까지만 막아내면 이익이다"'''로 바뀌어서 완투는 어쩌다 한 번씩 상황이 받쳐줄 때만 발생하는 드문 이벤트가 되었다. 실제로 2006년 이후 KBO에서는 한 경기도 완투한 투수가 없는 팀이 한두 팀 정도는 꼭 있다. 아주 드물게 전날 투수를 모두 소진해 버려서 신나게 쳐맞든 말든 그냥 내버려둬서 완투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런 이닝 이터의 면모를 가진 선수들은 보통 팀의 에이스 자리를 맡으며, 불펜 소모를 줄이는 역할도 하게 된다. 외에도 어쩌다 한두 번 운빨로 완투를 하는 투수들도 있지만, 꾸준하게 완투 경기를 한다는 것은 그만큼 체력, 타자를 농락하는 두뇌, 투구수를 줄이는 경제적 투구 등이 뒷받침된다는 의미이므로 곧 그 투수의 실력을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도 있다. 단적으로 일본의 시즌 최고 투수에게 수여하는 사와무라상의 수상 조건 중 하나가 '''10완투'''이다.
통산 1만패에 빛나는 모 메이저리그 팀의 경우 특정 에이스 세 명만 나오면 중간계투 따위 없는, 다시 말해 '''불펜 노는 날'''이 되어버린다. 더욱 무서운 건 그 세 명이 평균 투구수가 100~110구 정도이며 그렇게 던져도 구위나 제구력이 떨어지는 일이 없다는 것이다. 이들은 그라운드볼을 엄청나게 뽑아내면서도 9이닝당 많게는 8개 꼴로 삼진을 솎아내면서 9이닝당 볼넷이 1~2개밖에 안된다. 답이 없다.
하지만 2010년대 후반부터는 MLB에서도 완투를 좀처럼 보기 힘들어졌다. 완투가 한 번도 없는 팀도 그리 드물지 않을 정도.
그나마 완투 문화가 살아있는 곳은 NPB. 6선발 체제가 기본인 덕에 선발 투수가 100구 이상을 던지며 긴 이닝을 맡는 것이 미덕으로 통하며 아직도 에이스급의 선수들이 4~5회 남짓한 완투를 기록하고 있다.
프로와는 달리 선수층이 얇은 아마추어 경기에서는 특정 선수 한 명이 독보적으로 잘 하는 팀이 많기 때문에 여전히 자주 찾아볼 수 있다. 이들은 대부분 혹사의 대상이 되며, 이로 인해 아마추어에서는 완투+4번타자까지 북치고 장구치고 하다가 정작 프로에 온 후로는 몸이 망가진 상태라 별 활약을 보여주지 못하는 선수들도 많다. 한국은 물론 일본에서도 이 문제로 골머리를 앓고 있고, 미국도 유망주 풀이 워낙 넓기 때문에 눈에 잘 안 띌 뿐 아마추어 시절의 혹사로 선수생명이 일찍 끊어지는 이들이 꽤 된다.

3. 완투와 관련된 기록



3.1. 메이저 리그


MLB 양대리그의 시즌별 완투 1위 목록. 80년대를 기점으로 20-30 완투가 점점 없어지다가 2000년부터 10완투 이상은 2008년의 CC 사바시아[3]와 2011년의 제임스 실즈밖에 없다. 그 이전의 기록을 보면 얼마나 지독하게 투수들이 갈려져 나갔는지 볼 수 있다. 워렌 스판과 같은 소수의 선천적 고무팔 투수를 제외하고 시즌별 완투 기록을 세운 대부분의 투수들이 오래 버티질 못했다. 그렇다고 그 대가로 지금의 MLB 선수들처럼 평생 먹고 살 수 있는 돈을 벌은 것도 아니다. 아프면 그냥 진통제 먹고 뛰던, 낙후된 인권과 스포츠 과학이 빚어낸 잊혀진 비극이라고 할 수 있다.
오로지 사이 영만이 '''700 완투''' 이상을 기록했는데, 이건 데드볼 시대 당시에도 정말 믿기지 않는 기록이어서 그의 엄청난 체력이 자주 회자됐다.

3.2. KBO 리그


KBO 리그에서는 완투는 아닌데 완봉인 경기도 두 경기가 있었다. 선발 투수가 한 타자를 상대하고 허리를 삐끗해 교체되어 올라온 선수가 나머지 27명의 타자를 전부 잡아 승리하기도. 공식적으로는 완투가 아니라 합작 완봉승으로 기록하고, 노히트 노런항목에도 나오지만 이런 식으로 합작 노히트 게임이 나온 적도 있다.
KBO 리그에서 가장 많은 완투를 한 선수는 전 롯데 자이언츠 선수인 윤학길이다. 무려 100완투를 했으며 통산 117승 중 75승이 완투승이다. 2위는 최동원의 80완투.
참고로 오영일이라는 전 MBC 청룡 소속 투수는 1984년 5월 1일 전주종합운동장 야구장에서 열린 MBC 청룡 VS 해태 타이거즈 경기에서 무려 9실점을 하고도 완투승을 기록해 역대 KBO 최다 실점 완투승을 기록했다. 공동 2위 기록인 8실점 완투승도 이 선수가 기록했다.
완투경기는 경기의 결과 및 투구내용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 완투승: 선발 투수가 끝까지 던지고 이겼다. 위에 언급된 오영일의 사례처럼 몇 점을 내주더라도 선발로 등판해서 경기 끝날 때까지 마운드를 지켜서 이겨내면 완투승 기록이 남는다.
  • 완투패: 끝까지 던졌는데 점수를 내주고 졌다. 팀이 선공인 경우 8이닝만 던지고도 패전을 기록할 수 있다.
  • 완봉승: 점수를 내주지 않고 이겼다. 단, 이는 구원 투수가 기록할 수도 있긴 하다.[5]
    • 완봉: 투수가 점수를 내주지 않고 1회의 첫 아웃부터 마지막 아웃까지 경기를 마무리한 경우이며, 강우콜드에 의한 '완봉 무승부'는 비교적 자주 발생한다.[4]
    • 완투완봉: 선발 투수가 완투와 동시에 완봉을 기록한 경우
    • 완투완봉승: 선발 투수가 완투와 동시에 완봉을 기록하고, '승리'도 기록한 경우
  • 노히트 노런: 안타를 맞지 않고 점수도 내주지 않고 이겼다. 볼넷, 몸에 맞는 공, 야수의 실책 등 안타가 아닌 방법의 출루는 허용할 수도 있다. 메이저리그에서는 이것을 공식 기록으로 넣지 않고 이것의 하위 개념인 노히터를 넣는다. 바로 아래 참조.
  • 노히터: 9이닝 이상 진행된 경기에서 무안타로 틀어 막고 경기가 종료되었다. 승패는 무관하며 완투가 아니어도 가능하다.[6] 타자가 1루에 살아나가거나 점수를 내주긴 했지만, 그 방법이 안타가 아니면 된다. 다만, 특별히 언급이 없다면 노히터는 승리한 경우를 의미한다.
    • 노히터 패전: 안타를 하나도 안 맞았는데 다른 방법으로 실점을 허용하고 졌다. 그런데 실점이 노히터 경기에서 나오고, 그 와중이 자신의 팀은 점수를 못내고 있다면....켄 존슨의 노히터 패전. 상대팀 입장에서는 무안타 승리 를 기록하게 된다.
    • 노히터 무승부: 안타를 하나도 안 맞고 무승부로 경기가 종료되었다. 참고로 MLB 에서는 원칙적으로 무승부가 없지만, 시범경기에서 노히터 무승부가 나왔다. 관련기사
  • 퍼펙트 게임: 단 한 명의 상대 선수도 1루로 보내지 않고 27번의 공방으로만 승리하는 경우. MLB에서는 완투가 아니어도 성립되긴 하는데 역대 퍼펙트 게임 중 완투가 아닌 사례가 없었다. 일본프로야구에서는 일본시리즈 역사상 가장 논란이 될 법한 경기인 야마이 다이스케-이와세 히토키 합작 퍼펙트게임이 있긴 하지만 일본에선 합작 기록을 인정하지 않기에 비공식이다. KBO 리그에서는 2020년 현재까 퍼펙트 게임 사례가 없다. 다만 이용훈이 2011년 KBO 퓨처스리그에서 기록을 세운 바 있다.

3.3. 일본프로야구


단일 시즌 최다 완투 기록은 1947년 벳쇼 타케히코(당시 등록명은 벳쇼 아키라)가 기록한 47완투(등판 55회)이며, 2017 시즌 종료 후를 기준으로 현역 선수 중에서는 마쓰자카 다이스케가 72완투로 1위를 차지하고 있다. 21세기 단일 시즌 최다 완투 기록 역시 2005년 마쓰자카 다이스케의 15완투이다. 2위는 2011년 다나카 마사히로의 14완투.
해가 지날수록 조금씩 줄어들고는 있지만 여전히 메이저 리그나 KBO 리그에 비하면 확실히 완투가 많은 편이다. 엔트리도 28인으로 메이저리그나 KBO 리그에 비해 넉넉해서 6선발 로테이션을 돌리는 팀들이 많고 에이스급 투수들은 한계투구수도 120개 정도로 설정될 정도로 완투를 염두에 둔 운용을 한다. 2017시즌 최다 완투는 노리모토 다카히로로 8완투를 기록했고, 5번 이상 완투를 한 투수가 양 리그 합쳐 5명이나 된다. 반면 같은 해 KBO리그의 개인 최다 완투 횟수는 겨우 2회였고, 리그 전체의 완투를 다 합쳐도 겨우 24번밖에 없었다.
일본프로야구 통산 완투 1위에 빛나는 가네다 마사이치는 1951년부터 1964년까지 1959년 단 한 해를 제외하고 빠짐없이 20완투 이상을 기록한 바 있다.

4. 완봉


한 명의 투수가 야수의 수비실책으로 인한 비자책 실점을 포함하여 단 한 점도 내주지 않고 경기를 끝내는 경우에 해당된다. 투수가 완전무결하게 자신의 임무를 완수했다는 증거. 선발 투수만 완봉승을 이룰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선발 투수가 완봉했을 경우 완투승(완투완봉승)이라 한다. 물론 이는 완봉승에 포함된다. 그 위의 레벨로 점수와 안타를 하나도 내주지 않고 이기는 것을 말하는 노히트 노런,[7] 볼넷과 에러로 인한 출루를 포함하여 단 한 명의 타자에게도 출루를 허용하지 않고 경기를 끝내는 것을 말하는 퍼펙트 게임이 있다. 이들 또한 완봉승에 포함된다.
개인기록으로서 일반적인 완봉승의 의미는 Complete Game Shutout, 완투완봉이 된다. 즉 선발 투수가 '''완투한 경기에서 완봉까지 했을때 승리투수요건이 갖춰지면''' 완봉승이 되는 것이다. 한국 프로야구에서는 선발 투수 뿐만 아니라 1회 노아웃 무실점 상태에서 등판하여 점수를 내 주지 않고 경기 끝까지 던지면서 승리 투수가 되어도 완봉승을 기록한다. 다만 이 경우는 완투승은 아니다. 완봉승은 그냥 Shutout으로 완투완봉승과는 다르다.
한국야구위원회 경기규칙
10.19(f) 완투하거나 또는 제1회(回)에 노아우트 무실점 때에 교대하여 무실점의 상태로 경기를 종료한 투수에게 셧아웃(Shut Out·완봉승리)을 기록한다. 투수가 2명이상 교대하여, 셧아웃을 하였을 때에는 리그의 공식 투수성적에 그 내용의 설명을 붙인다.
가령 선발 투수가 무실점 호투를 하고 팀이 점수를 앞선 상태에서 5회를 넘겼는데 강우로 콜드게임이 선언이 된다면 그 선발투수는 비록 9이닝을 다 못 던졌어도 완봉승으로 기록된다. 실제로 박찬호가 강우콜드로 완봉승을 거둔 적이 있었다. 한편 진필중의 경우 1회 노아웃 주자 1루 상태에서 구원 등판하여 9이닝 동안 무실점으로 호투하여 팀이 승리를 거둬 완봉승이 기록되었다. '''전자와 후자는 박찬호의 경우 완투완봉이지만 진필중의 경우는 그냥 완봉승이라는 차이가 있다'''. 2010년 9월 9일 롯데 자이언츠장원준도 7이닝 완봉승을 거두었다.
만약 선발 투수가 9이닝 동안 무실점 호투를 했는데도 팀의 타선이 병맛이라 0:0 상태로 연장전에 접어들고 연장전에서 결국 마운드에서 내려왔다면 완봉으로 기록되지 않는다. 즉, 6회 강우콜드게임이든 12회 연장전이든 간에 그 투수가 경기 끝날 때까지 던져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야구에서 완봉승은 있어도 완봉패는 없다. 경기 끝날 때까지 실점을 하지 않았는데 팀이 진다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 다만 완투패는 있으며, 우리가 흔히 완봉패라고 하는 것은 투수가 '''무자책점''' 완투패를 한 경우이다. 참고로 상대팀 투수에게 완봉승을 허용하면 패한 팀은 영봉패를 당했다고 표현한다.
완봉승으로 유명한 인물로는 월터 존슨이 있다. 그는 '''110완봉승'''(!!), 유일무이한 세 자릿수 완봉승을 기록하여 넘사벽으로 1위를 차지하고 있다. 2위는 피트 알렉산더의 90완봉승이다. 알렉산더는 역대 최다 기록인 시즌 16완봉승과 시즌 12완봉승의 기록을 가지고 있는데 시즌 10완봉 이상을 두 번 한 유일한 선수이다. 월터 존슨의 시즌 커리어하이는 11완봉. 물론 두 사람의 각각 소속팀 전력 차이도 있거니와, 완봉의 꽃이라 불리우는 1 : 0 완봉승의 경우에는 월터가 38완봉, 피트 알렉산더는 19완봉을 기록했다.
한국 프로야구에서 한 시즌 최다 완봉승 기록은 1986년의 선동열과 1995년의 김상진(OB)이 기록한 8완봉승이며, 개인통산 최다 완봉승은 선동열이 기록한 29완봉승이다. 선동열 본인이 이 기록을 깰 유력한 후보로 정민철을 꼽았으나 정민철은 일본에 진출했으나 실패하였고 국내 복귀한 뒤에는 팔꿈치 부상을 당해 그 이후로 급격하게 구위가 감소되어 지지부진하다가 20완봉승으로 커리어를 마감했다.
21세기에 들면서 한국프로야구에서는 갈수록 투수 분업화가 이루어짐에 때라 시즌 완봉승 횟수도 점차 줄어들고 있다. 이 때문에 2009년 송승준이 기록한 3경기 연속 완봉승이 더욱 값어치 있게 보이는 것이다. 그런데 문제는 송승준은 그 다음 3경기를 연속으로 떡실신당했다는 거지만….
비공식 용어로 '''영봉승''' 이라는 표현도 있다. 2명 이상의 투수가 합작하여, 팀의 완봉승리를 이끈 경우 이 표현을 사용한다. 하지만 이 표현은 틀린 표현이고, 이 경우에도 완봉이다. 개인 기록과 구분해서 '''팀 완봉'''이라고 표현한다.# 참고로 KBO의 기록지에 따르면 시즌 최다 완봉승(팀 완봉승 포함)을 거둔 팀은 1996년 쌍방울 레이더스로 19회이다. 참고로 당시 페넌트레이스는 126경기에 약간의 투고타저가 있었지만 경기의 1/10 이상을 완봉승(팀 완봉승 포함)을 거두었다는 점과 저번 해 꼴지 팀이였던 쌍방울 레이더스가 해당 기록을 거둔 것을 감안한다면 이는 매우 대단한 기록이다.
'''그리고 이 문서의 제목은 엄밀히 말하면 '완봉승'이 아니라 '완봉'이 맞다. 왜냐하면 shutout의 요건에 '승리'는 포함되지 않기 때문이다.''' 위에 인용된 경기규칙 내용에도 승이 필요하다는 얘기는 어디에도 없다. 실제로 KBO에는 통산 0승이지만 완봉 경력이 있는 선수가 존재한다. LG와 한화에서 뛰었던 투수 김회권[8]은 2006년 7월 6일, 스코어 0:0 5회 강우콜드로 끝난 한화와의 경기에서 5이닝 무실점으로 완봉을 기록했다. 김회권의 통산 성적은 14경기 0승 4패 1완투 1완봉. 김회권의 통산 기록 덧붙여 이 날 한화의 선발투수였던 안영명 역시 5이닝을 무실점으로 막으며, 양 팀 선발투수가 모두 완봉을 기록하는 진풍경을 연출했다.

5. 완투 순위


  • MLB 완투 순위 (굵은 글자는 현역)
순위
선수명
완투 수
1
사이 영
749
2
퍼드 갤빈
646
3
팀 키프
554
4
키드 니콜스
532
5
월터 존슨
531
6
바비 매튜스
525
미키 웰치
8
올드 호스 레드번
488
9
존 클락슨
485
10
토니 뮬렌
468
11
짐 맥코믹
466
11
거스 웨이힝
449
13
피트 알렉산더
436
14
크리스티 매튜슨
435
15
잭 포웰
422
16
에디 플랭크
410
17
윌 화이트
394
18
아모스 루시
393
19
빅 윌리스
388
20
토미 본드
386
  • MLB 현역완투 순위 (굵은 글자는 현역)
순위
선수명
완투 수
1
바톨로 콜론
38
CC 사바시아
3
펠릭스 에르난데스
25
클레이튼 커쇼
5
저스틴 벌랜더
24
6
제임스 쉴즈
23
7
애덤 웨인라이트
22
8
어빈 산타나
21
9
자니 쿠에토
17
데이비드 프라이스
코리 클루버
콜 해멀스
  • KBO 완투 순위 (굵은 글자는 현역)
순위
선수명
완투 수
1
윤학길
100
2
최동원
81
3
장호연
79
4
선동열
68[9]
5
김시진
67
6
이강철
65
7
송진우
64
조계현
장명부
10
이상군
62
  • NPB 완투 순위 (굵은 글자는 현역)
순위
선수명
완투 수
1
가네다 마사이치
365
2
빅토르 스타르핀
350
3
스즈키 게이시
340
4
벳쇼 다케히코
335
5
고야마 마사아키
290
6
야마다 히사시
283
7
와카바야시 다다시
263
8
요네다 데쓰야
262
9
노구치 지로
259
10
히가시오 오사무
247
11
후지모토 히데오
227
12
하세가와 료헤이
213
13
사나다 주조
211
14
가지모토 타카오
202
15
무라야마 미노루
192
16
나카오 히로시
184
16
무라타 쵸지
184
18
이나오 가즈히사
179
19
호리우치 츠네오
178
20
가와사키 도쿠지
172
[1] 별로 큰 의미가 있는 건 아니지만, 우천에 의한 완투 무승부는 흔하다.[2] 100구 이상 던진 투수가 체력 소모때문에 안타를 맞을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은 상식을 넘어 통계적으로도 증명이 되었다.[3] 시즌 중반에 트레이드되어 기록이 쪼개졌다. 클리블랜드에서 3번, 밀워키에서 7번 완투했다.[4] 투수 개인 기록에 대한 설명이며, 팀 기록의 경우엔 등판한 투수의 숫자와 관계없이 무실점일 경우 완봉으로 기록된다.[5] 투수 1명이 기록하면 완봉승이라고 표현하고 2명 이상의 투수들이 돌아가면서 상대 타선에 점수를 내주지 않고 이기면 '영봉승' 내지는 '팀 완봉승'이라는 표현을 쓴다.[6] MLB에서 역대 최다투수 노히트는 2003년 휴스턴 애스트로스가 양키스타디움에서 기록한 6명 합작 기록.[7] 정확히는 노히터+완투+완봉. 노히터 그 자체는 한 명의 투수일 필요도 없고, 이길 필요도 없고, 무엇보다도 실점해도 된다.[8] 그 뒤 평소 친하게 지내던 후배선수인 '''노진용''', 이승우와 같이 싸이에 뻘글을 싸지르던 김유선을 실드 쳐주다가, 그 시즌 끝나고 방출되었다. 김회권이 잘했다는 건 아니지만, 특히 노진용이 크게 한건 하는 덕분에 징계를 먹었을지도 모른다.[9] NPB 0완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