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성씨)

 

1.1. 개요
1.2. 실존 인물
1.3. 가상 인물
2. 중국과 베트남의 성씨
2.1. 중국계 왕씨 인물


1. 한국의 성씨




1.1. 개요


고려 왕조 당시 번성하였던 개성 왕씨가 대표적이다. 이 탓에 어떤 사람들은 개성 왕씨가 한국의 유일한 왕씨인 것으로 알기도 하지만, 본관이 다른 왕씨도 분명히 존재한다. 다만 실제로 한국인을 시조로 하며 한국 땅에서 유래된 토종 왕씨만을 말하는 것이라면 개성(옛 송악)을 본관으로 하는 개성 왕씨가 유일하다. 이들은 고려 왕조의 왕족이기도 했다.
고려가 원 간섭기에 부마국이었던 역사로 몽골 제국 칭기즈 칸의 가문이자 황실가였던 보르지긴 가문의 피도 흐르는 거 아니냐는 사람도 있는데, 개성 왕씨 중에서도 시중공(侍中公)파[1] 정도를 제외하면 모두 원종 이전 왕들의 후손이라 그런 경우는 거의 없다.
전 왕조의 왕족이라는 점 때문에 태조 3년에 삼척, 강화, 거제에서 공양군 왕요와 폐세자 왕석, 왕요의 삼촌들을 포함한 유력 왕씨 135명이 제거되었고 한양으로 숨어든 몇몇 서자들도 제거되었다. 직접적으로 해를 입지 않은 방계 왕씨들은 외가의 성을 따르도록 했고, 공을 세워 사성받은 경우에는 원래 성으로 돌아가도록 했다.[2] 왕씨들에 대한 경계는 20여년이 흘러 왕조의 기반에 자신감이 붙은 태종 13년 공주에 거주하던 순흥군 왕승의 손자 왕거을오미의 무죄방면을 기점으로 풀리기 시작하여 세종과 문종대를 거치며 다시 왕씨 후손을 찾고 제사를 정비하게 했고 쿠데타로 집권해 정당성 강화에 열을 올리던 세조대에 고려왕실의 제사를 받드는 연천 숭의전 부사는 2품에 준하는 대우를 받고 노비와 혼인지원을 받아 한결 융숭해졌다. 그리하여 15세기 중반부턴 지방 사족으로 조선 왕조의 통치안에 완전히 자리잡게 된다.
왕씨보다 적은 왕족으론 발해 왕족인 밀양 씨, 협계 & 영순 & 남원 씨와 고구려 왕족인 횡성 씨, 백제 왕족인 부여 씨, 의령 여(余)씨가 있다.[3][4][5][6]
대한민국의 개성 왕씨는 28,000명 정도 되는 희성이나 의령 옥씨 단일본으로 내려오는 옥씨는 등과록전편(登科錄前編)과 고려문과방목(高麗文科榜目)에 동일인이 성만 바꾼채 등장해 왕씨에서 개성했음이 거의 확실하니 이들만 더해도 5만으로 단숨에 2배 가까이 불어나며 1798년 편찬된 개성 왕씨 족보에 이씨, 유씨 등 외가 성으로 개성한 왕족들이 다수 발견되는 점, 공주에 정착한 순흥군 왕승의 후손 왕거을오미가 외가성인 이씨로 살고 있었던 점이나 거을오미의 배다른 형제 왕미의 아들 왕우지(왕순례)가 제씨 성을 쓰고 있었던 점, 공양왕의 동생으로 왕씨 제거에서 비껴갔던 정양군 왕우의 두 아들이 외가성을 따라 노씨로 잠깐 개성했었던 사례까지 감안하면 우리가 모를뿐이지 왕씨에서 갈라져나간 후손들은 충분히 많다.
은근히 인터넷 소설에서 등장인물의 성씨로 자주 쓰이는 성씨다. 일단 아무래도 이랑 한자까지 같다 보니.

1.2. 실존 인물



1.3. 가상 인물




2. 중국과 베트남의 성씨


중국에서 가장 많은 성씨로. 통계 지역에 따라 이씨와 번갈아 1, 2위를 다툰다.[10] 이는 중국이 광대하고 이씨, 왕씨 숫자가 9000만명대로 비슷하기 때문에 지역에 따라 이씨, 왕씨 순위가 뒤바뀌고 전국통계는 빈민촌이나 불법체류자들까지 포함하면 절대 정확하게 추계할 수가 없다. 여하튼 오래 전부터 왕씨가 대세를 이루었기에, 중국인을 상징하는 왕서방이라는 캐릭터가 있다. 자세한 건 해당 문서 참조. 그 외, 인터넷 유행어로 '이웃집 왕씨'가 있는데 아내의 불륜 상대라는 의미를 가진다.
광둥어로는 웡(Wong)으로 많이 쓰며, 베트남에서도 브엉(Vương)씨라 하여 일부 존재한다. 대만에서는 왕 혹은 둘다 쓰인다. 참고로 옹은 왕의 민남어식 표현.

2.1. 중국계 왕씨 인물



[1] 충정왕의 서자 왕제(王濟)로부터 파생되었다고 하는데 ,이 부분은 논란의 여지가 있다.[2] 그래서 약목 류씨처럼 개성 왕씨의 후손임을 자처하는 문중도 있다.[3] 다만 횡성 고씨는 중국의 요양 고씨와 다르게 제주(도) 고씨의 방계가 아닌가 하는 의심이 있고, 부여 서씨 같은 경우 당나라에서 백제 왕손인 부여융이 서씨 성을 받았다는 것에 근거를 두는데 정작 중국에는 그런 기록이 없다.[4] 횡성 고씨의 경우는 과거 제주도 계통 고씨들 중 횡성 고씨 분파가 실제 별도로 존재했었고, 이 두 횡성 고씨들의 족보가 별도로 있었기에(그리고 제주도 계통 횡성 고씨의 인구가 훨씬 더 많았기에), 제주도 계통 고씨들이 모두 제주 고씨로 합본을 한 이후에도 과거 제주도 계통 횡성 고씨의 존재를 기억하고 있던 일부에서 혼동을 하는 케이스이다. 물론 그것이 현존하는 횡성 고씨가 고구려 왕족 후손임을 확증한다는 얘기는 아니겠지만, 이러한 오해에 따른 의심은 이들에게 많이 억울할 것이다.[5] 백제가 망한 후, 부여씨들이 부여의 여(餘)를 살짝 바꾼 서(徐)로 성씨를 바꿔서 살았다는 설도 있다. 개성 왕씨도 왕(王)을 살짝 바꾼 전(全), 전(田), 옥(玉)씨 등으로 바꿔 살았다.[6] 그러나 부여 서씨 같은 경우 집성촌이 충청남도 부여군이 아니라 평안남도 개천군(개천시)다. 그리고 태씨들이 남한에 사는 쪽과 북한에 사는 쪽에 비교하면 북한에 사는 쪽에 몰려있다던가, 진주 강씨의 집성촌이 서울 관악구였던 등, 본관과 집성촌이 항상 일치하는건 아니긴 하다만.[7] 한국판 이름[8] 왕뺀돌의 동생.[9] 고려 4대 왕 광종(왕소王昭) 의 인계자. 이름이 같다.[10] 3위는 장씨 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