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성씨)

 


1. 髙
1.1. 제주 고씨
1.1.1. 성주공파/전서공파/영곡공파
1.1.2. 장흥백파 (장흥/장택 고씨)
1.1.3. 양경공파 (개성 고씨)
2. 高
2.1. 횡성 고씨
3. 顧
4. 로마자 표기
5. 실존 인물
5.1. 고씨를 예명으로 쓰는 인물
6. 가상 인물


1. 髙


한국의 성씨 중 하나. 한국에는 2015년 인구총조사에 471,396명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중국에는 약 1,450만 명이 있고 Gāo(가오)라고 부른다.(예로 삼국지 고순이 있다.)[1] 다만 한자만 같을뿐 한국의 고씨와 직접적인 연관은 없다.
학교에서 만약 가나다순으로 반 번호를 정할 경우, 같은 반에 가씨, 경씨강씨가 없다면 1번이 될 확률이 매우 높은 성씨다. 가, 경씨는 희귀한 편인 성씨이므로 대부분의 경우에는 1번이 되거나 강씨에 밀려 2번이 되는 성씨. 특히 다른 지역보다는 전라도경상남도에 비교적 많은 편이다. 고려시대부터 근대까지 제주에서 건너가 정착한 경우가 많기 때문. 고씨의 본관인 제주도는 말할 것도 없이 매우 많다. 예를 들어 한 교실에 30명의 학생이 있다면 이 중 3~6명은 고씨일 정도... 북쪽으로 올라가 충청도쯤 가면 상대적으로 적어지는 편이지만[2] 인구조사 결과를 보면 알 수 있듯 그다지 희성은 아니라서 충청이든 강원도든 어디서도 비교적 흔하게 볼 수 있는 성씨.
주인공이나 조역으로도 심심찮게 볼 수 있는 성씨이다. 대표 고씨 캐릭터로는 '''고길동'''과 고뭉치, 고은비, 고은애[3], 타짜에 등장하는 고광렬 등이 있다.

1.1. 제주 고씨


[image]
제주 고씨의 종문
'''탐라왕족성씨.''' 한국에 거주하는 고씨는 제주 고씨가 흔하며 시조는 '''고을나왕'''[4]. 고씨는 양씨, 부씨와 함께 탐라의 지배씨족으로서 이들 세 성의 시조 탄생에 대한 삼성혈 전설이 널리 알려져 탐라국국성이라고도 한다. 제주도에는 본래 사람이 없었는데 삼신인(양을나(良乙那), 고을나(高乙那), 부을나(夫乙那))이 한라산 북쪽 기슭 모흥혈에서 솟아 나왔다고 한다. 이들 삼신은 짐승을 사냥해서 살았는데 어느 날 동쪽에서 상자 하나가 바다로 떠내려 와서 열어 보니 그 속에는 미녀 세 명과 곡식의 씨앗, 망아지, 송아지가 들어 있었다. 삼신이 미녀 세 명을 각각 배필로 맞아 목축과 농사를 지어 살았다고 한다. 그중 고을나가 제주 고씨(濟州高氏)의 시조가 되었으며 본관을 제주로 하였다.[5]
고씨는 시조에서 45세손 자견왕까지 탐라 군주로 세습해 오다가 46세손인 말로가 고려에 입조하여 그가 곧 모든 탐라계 고씨의 중시조가 되었다. 고말로의 증손자 고공익, 고말로의 증손자 고영신(개성), 고말로의 10세손 고중연(장흥), 고말로의 후손 고종필(연안), 고말로의 16세손 고응섭(안동)을 중시조로 하는 등 15개의 본관으로 나뉘었는데, 고말로의 직계손만이 제주도에 남아 성주(탐라의 지배자) 자리를 세습하고 나머지 후손은 고려에서 벼슬을 하여 고려의 각지에 정착해서 새 본관의 중시조가 되었기 때문에 이렇게 본관이 다양하게 늘어났던 것이다. 최근에는 각 본관의 고씨들이 서로 같은 혈손이라며 다시 합본하여 고을나를 시조로 하고 본관을 제주로 하여 '제주 고씨 중앙종문회'를 만들었다. 예를 들어, 장흥을 본관으로 하는 장흥 고씨는 이제는 제주 고씨 장흥백파로 명명하고 있다. 이런 역사는 제주 고씨의 각 파의 인구분포에도 반영되었다. 제주도에 사는 고씨의 대부분은 조선시대까지 섬에 남은 자들의 후손인 성주공파, 전서공파, 영곡공파이다. 반면에 육지에 사는 고씨 중에서는 중시조가 고려나 조선에서 벼슬을 받은 경우인 장흥백파, 양경공파, 영곡공파의 비율이 높다.
탐라계 고씨는 국내에 2015년 기준으로 461,373명이 살고 있으며, 특히 제주도에서는 김씨와 이씨에 이어서 세 번째로 많은 성이다. 단, 이 중 본관이 제주로 등록된 고씨는 67%뿐이며 25%는 본관이 제주로 등록되지 않은 제주 고씨 장흥백파이고 나머지 8%도 다양한 본관으로 등록된 제주 고씨이다. 국가에서 집계한 제주 고씨 중에서는 영곡공파가 20%로 가장 많은 수이며 탐라계 고씨 전체에서는 13%를 차지한다.
제주 고씨 종친회에서는 성씨를 라고 표기하기로 합의하였다. 하지만 위 한자는 인명용 한자가 아니라서 젊은 고씨들은 대개 를 사용한다. 그래서인지 주민등록등본 등을 자세히 살펴보면 때때로 아버지와 자녀가 쓰는 한자가 서로 다른 경우가 있다.
항렬상 이름으로는 장흥백파의 돌림자인 '고재○'[6], '고○석'[7], '고영○[8]', '고○현'[9]이 가장 제일 많이 보인다. 대동 항렬자(파 상관없이 지을 수 있는 항렬자)가 있되 각 파마다 돌림자가 다르다.
일각에서는 '''제주 고씨가 고구려 왕족의 방계'''라는 이야기도 나온다. 신용하 서울대 명예교수는 탐라국이 고조선 문명권을 구성했던 고구려족·양맥족·부여족의 대이동 과정에서 건국된 뒤 섬 안의 다른 지역 마을공동체를 포섭하면서 전체 제주도로 확대 발전했다는 학설을 발표하면서 몇 가지 증거(?)를 제시했다. 그 근거로는 우선 시조들의 이름인 '을나'라는 호칭은 부여·양맥·고구려 등 북방에서 이동해온 예·맥족 호칭인 점, '일본서기'에 탐라국 왕자 고씨가 일본에 사절로 갔을 때 고구려족임을 뜻하는 '구마(久麻)'로 표기한 점, 그리고 '신당서' 등 중국 측 고문헌이 탐라국 국왕의 성을 부여·고구려 왕족의 성명 중 하나인 '유리(儒李)'라고 기록한 점과 용담동 석곽무덤에서 나온 철제 장검 2점이 만주 길림성과 대동강 이북 서북한 지역에서만 발견되고 한반도 남부·남해안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점 및 제주도 내 여러 수혈주거지가 만주 등 북방족의 수혈주거양식과 동일한 점, 그리고 동굴 숭배사상의 동일성 등을 제시했다.# 그러나 아직 뚜렷한 증거가 없기에 섣불리 단정을 짓는 것은 무리다.

1.1.1. 성주공파/전서공파/영곡공파


성주공파, 전서공파, 영곡공파는 각각 중시조 고말로의 10세손 고인단, 13세손 고신걸, 15세손 고득종을 파조로 두고있다. 그러나 혈연관계로 보았을때 이들은 모두 중시조 13세손이자 16대 성주였던 고신걸의 후손이다. 당시에 이 집안은 다른 친척들이 일찍이 고려로 이주하는 동안 성주 자리를 세습하며 계속 제주도에 남아있었다.
족보상으로는 성주공파가 초대 성주 고말로의 직계이지만 이름과는 달리 성주공파의 고말로 15세손 고득남은 마지막 성주인 14세손 고봉례의 직계가 아니다. 족보상으로 고득남은 15대 성주 고명걸의 직계인데, 당시 시대는 원나라가 망하던 여말선초의 대혼란기였으며 심지어 제주도에서 목호의 난이 일어나 성주까지 죽이겠다고 날뛰자 고명걸은 성주 자리를 사촌동생 고신걸에게 넘기고 숲속에 은거하였다. (....) 그 후 고신걸은 성주 자리를 자신의 셋째 아들인 고봉례에게 물려주었으며 심지어 고명걸의 아들은 후손을 남기지 못했기 때문에 고말로의 직계의 대가 끊긴 셈이 되었다. 그래서 고신걸의 손자인 고득남을 고명걸의 손자로 입양시켜서 대를 잇게 하였고 그 후손이 성주공파인 것이다. 다만 이러한 고득남의 출계 처리는 고득남의 세대나 그보다 훨씬 후대에에서야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높다. 고씨의 계보를 최초로 문서화한 '성주고씨가전'이나 '장흥고씨가전'은 고득남과 같은 세대인 고득종이 관여해서 작성되었으며, 그 이전까지 고씨 집안은 '가문의 계보'라는 유교적인 개념을 접하지 못한 듯하다. 애초에 조상을 공경하기 위해 매장하여 봉분을 만드는 유교식 장법을 제주도에 최초로 도입한 것도 고득종이었고 당시의 다른 탐라인들은 고유한 문화를 지니고 있었다.
고득남 이외의 나머지 고신걸의 손자들은 전서공파로 분파되었다. 이전세대까지 탐라의 성주는 탐라를 다스리면서도 고려나 조선의 수도에서 자주 지내면서 본토의 권력층과 교류해왔는데, 당시에 마지막 성주 고봉례가 성주직을 조정에 반납하고 탐라가 조선의 통치체제에 편입되면서 고신걸의 손자 세대는 더이상 지방 토호로서는 중앙 정계와 연이 닿지 못하게 되었다. 그런 이유로 성주공파와 전서공파는 제주도의 토호계층으로서의 정체성을 가지게 된다. 그러나 예외적으로 고신걸의 손자 고득종은 다시 전서공파에서 갈라져나와 영곡공파의 파조가 된다. 고득종은 유교문화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고 문과에 급제해서 중앙 정계에서 활발한 활동을 하였기 때문에 제주도와 서울을 오가면서 지내는 이질적인 성향을 띠었기 때문이다. 게다가 네 명의 아들이 모두 과거에 급제하는 자식농사 대박을 터트리면서 본격적으로 서울에 기반을 둔 영곡공파의 정체성이 형성되었다.
현대에는 제주도에서 성주공파와 전서공파가 많은 인구를 가지고 있으며, 영곡공파는 제주도를 중심으로 전국에 고루 분포하고 있다.

1.1.2. 장흥백파 (장흥/장택 고씨)


제주 고씨에서 가장 메이저한 파인 장흥백파는 제주 고씨 1세조 고말로(高末老)의 10세손 고중연을 시조로 하는데, 고려 말 홍건적의 제2차 침입 때 고려 공민왕을 호종하여 호종공신으로 책봉되면서 장흥백(長興伯)에 봉해진 데 그 기원이 있다. 장흥 고씨, 장택 고씨, 창평 고씨로 본관을 써왔으며 현대에 제주 고씨 장흥백파로 합본되었으나 2015년까지도 장흥/장택 본관을 사용하는 인구가 탐라계 고씨의 25%를 차지하고 있다. 유명한 장흥백파 출신으로는 임진왜란 당시 의병장 고경명이 있다.

1.1.3. 양경공파 (개성 고씨)


양경공파는 중시조 고말로의 증손 고영신을 시조로 하는 개성 고씨가 제주 고씨로 합본한 파이다. 아직 개성 본관을 유지하는 인구는 2015년 기준으로 탐라계 고씨의 4%를 차지한다. 양경공파는 조선시대에 학자와 문신을 많이 배출하였다. 판도판서(版圖判書) 고영(高瑛)의 아들인 고사경(高士褧)은 고려 말에 상서(尙書), 조선 초기에 보문각직제학을 지내고, 김지(金祗) 등과 함께 《대명률직해(大明律直解)》를 이두(吏讀)로 편찬하였다.
이밖에 각 조(曹)의 참의를 두루 지내고 충청도 · 강원도 관찰사로 있으면서 선정을 베푼 고약해(高若海), 울산 판관을 지내고 <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의 작가로 알려진 고상안(高尙顔), 영조 때 창녕현감(昌寧縣監)으로 선정을 베풀어 ‘고창녕’이란 별명을 듣고 성리학(性理學)에도 조예가 깊은 고유(高裕), 2품의 벼슬을 지내고 조선 중기의 대표적 시인으로 서민시집 《소대풍요(昭代風謠)》를 엮어낸 고시언(高時彦) 등이 빼어났다.

2. 高



2.1. 횡성 고씨


역사적 관점으로 볼떈 부여의 성씨는 해씨지만, 고구려를 건국하면서 시조왕 추모도 성씨를 고씨로 고쳤다. 그러므로 해씨와 고씨의 자손은 동질적인 부여 계통의 후손일 가능성이 높다. 남북조시대 북방 지역에 있는 북연혜의제는 기록상 고구려계 고씨였으며, 북제 또한 황성이 고씨였다. 이는 발해 고씨로 한족설과 고구려설이 있다. 발해 고씨는 고구려의 왕성인 계루부 고씨와는 연원이 다르다고 주장하기도 하며, 같다는 주장도 존재한다. 발해 고씨 중 고구려에서도 살았던 사람들이 꽤 많았던 모양. 당시에는 오호십육국시대와 남북조시대의 혼란통에 고구려에서 선비족으로 넘어가는 유민도 있었으며, 선비에서 고구려로 유입되었던 유민들이 많았다. 북연의 사례만 해도 고운모용운이 되기도 하였다.
부계 혈통을 추적할 수 있는 Y염색체 하플로그룹에 대한 조사에 의하면 중국 고씨에게서 한국인에서 자주 발견되는 Y염색체 하플로그룹이 다른 중국인과 유달리 높은 비율로 검출된다는 말이 있는데 정확한 사실은 불명.
제주 고씨와는 연관이 없고 보장왕의 아들 고인승(仁承)을 중시조로 하는 계루부 고씨의 후손이다.[10] 이쪽은 2015년 인구주택총조사 기준으로 9,996명으로 조사되었고 본관에 걸맞게 횡성을 비롯한 강원 서남부 인근에 많이 분포한다.[11] 하지만 여기에 의하면 4만여 명으로 강원도 지역은 물론 전국에 흩어져 산다고 한다.
제주 고씨가 스스로 '''髙'''를 쓰기로 정한데 반해 이쪽은 '''高'''를 그대로 써서 서로 간 구별을 염두했으나, 횡성 고씨 자체가 잘 알려지지 않아서 보통 혼용되는 추세이다.
제주 고씨에 비하면 몹시 마이너한 축에 속하다 보니 존재 자체를 거의 모르다시피 해서 남해안 지역에 기거하는 소수의 횡성 고씨에게는 제주 고씨 종친회에서 일괄 연락이 오는 경우도 있다. 족보 등록하라는 내용인데 이런 웃지 못할 일이 벌어지는 이유는 고을나를 시조로 삼는 제주 고씨의 방계이자 고을나의 11세손 고인비를 시조로 삼던 제주도 출신 횡성 고씨가 실제로 존재했었기 때문이다. 이들 제주출신 횡성 고씨들은 다른 제주출신 고씨들과 함께 1988년 모두 제주 고씨로 합본하여 제주 고씨 화전군파로 분류되며, 이 이후 더 이상 고을나를 시조로 하는 횡성 고씨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런 이유로 이따금 이들 제주 고씨 화전군파가 횡성 고씨이었던 사실만 아는 사람들이 고인승을 시조로 모시는 현존하는 횡성 고씨들을 제주 고씨의 방계로 여기며 고구려 왕족이라는 주장을 사기극이라 여기는 일이 발생하곤 한다.[12]
중국에는 장수왕을 선조로 하며 랴오닝성랴오양시(옛 고구려 요동성)를 본관으로 한 '''요양 고씨'''(遼陽 高氏)가 있으며 약 2천여 명이 집성촌과 족보를 지키며 산다고 한다. 방송 역사스페셜에서 소개된 적이 있다. 일본에는 고구려 왕족인 약광(若光)을 선조로 하는 코마(高麗)씨가 코마신사(高麗神社)를 중심으로 하여 현대까지 성씨를 이어오고 있다.

3. 顧


국내에 33명밖에 존재하지 않는 희성이다. 2015년 조사 때 집계되었다.
중국에서는 가끔 보이는 성씨로, 삼국시대의 인물 고옹(顧雍), 명나라 말기의 사상가 顧炎武(고염무), 홍콩 대중음악 작사 및 작곡가 顧嘉煇(고가휘)가 있다.

4. 로마자 표기


가장 일반적인 로마자 표기는 Ko이다. 2011년 외교부 여권 통계에 따르면 Ko가 약 60%, Go가 약 18%, Koh가 약 17%, Goh가 약 3%, Kho 등 기타 표기는 1% 미만이다.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에 따르면 Ko, 현행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에 따르면 '''Go'''로 써야 맞지만 여권 제작시불용되는 경우가 많고, 가다라는 뜻의 go 와 같아 Ko로 많이 사용되고있다.

5. 실존 인물


  • 고을나 - 제주 고씨의 시조
  • 고가은 - 가수
  • 고강준 - 축구선수
  • 고건[13] - 前 국무총리
  • 고경명 - 조선 임진왜란기의 의병장
  • 고경주 - 한국계 미국인 前 대학교수, 前 미국 보건행정관료
  • 고경민 - 축구선수
  • 고경실 - 정치인
  • 고경철 - 前 씨름선수
  • 고경표 - 배우
  • 고광민 - 축구선수
  • 고광순[14] - 독립운동가. 건국훈장 독립장 수훈자
  • 고광표[15] - 호는 우봉, 일제때 창평상회 설립 후 대창석유 겸 대창운수 설립자
  • 고구인 - 성우
  • 고귀남 - 정치인
  • 고규필 - 배우
  • 고근태 - 프로 바둑기사
  • 고기영 - 검사, 법무부차관
  • 고기현 - 前 쇼트트랙 선수
  • 고길호 - 정치인
  • 고나은[16] - 배우
  • 고나희 - 아역 배우
  • 고낙춘 - 前 펜싱선수[17]
  • 고남석 - 정치인.
  • 고담룡 - 독립운동가, 정치인
  • 고대영 - 前 KBS 사장
  • 고동빈 - 프로게이머
  • 고동진 - 삼성전자 IM부문장 겸 무선사업부 사장
  • 고동진 - 前 야구선수
  • 고두심 - 배우
  • 고두옥 - 배우. 본명 고현민
  • 고두환 - 독립운동가. 건국훈장 독립장 수훈자
  • 고무열 - 축구선수
  • 고명득[18] - 가수
  • 고명석 - 축구선수
  • 고명성 - 야구선수
  • 고명승 - 군인, 정치인
  • 고명진 - 기자
  • 고명진 - 축구선수
  • 고명현 - 정치인
  • 고명환 - 개그맨. 배우
  • 고무열 - 축구선수
  • 고미영 - 산악인
  • 고민구 - 축구선수
  • 고민정 - 前 KBS 아나운서, 청와대 대변인
  • 고민수 - 아이돌 업텐션의 멤버. 예명 고결
  • 고민성 - 축구선수
  • 고민시 - 배우
  • 고민지 - 배구선수
  • 고민혁 - 축구선수
  • 고백진 - 축구선수
  • 고병간
  • 고병규 - 前 만화가
  • 고병완 - 배우
  • 고병욱 - 청각장애 2급의 사이클선수, 스피드 스케이팅선수
  • 고병우[A] - 前 통신부 장관
  • 고병일 - 축구선수
  • 고병재 - 프로게이머
  • 고병현[A] - 前 국회의원
  • 고보결[19] - 배우
  • 고보경 - 리디아 고. 한국계 뉴질랜드인 골프선수. 올림픽 메달리스트
  • 고산 - 기업인, 前 우주인 후보
  • 고상돈 - 산악인. 한국 최초 에베레스트 산 등정
  • 고상문 - 북한에 의해 납치된 납북자
  • 고상지 - 반도네오니스트, 작곡가
  • 고석만[20][21] - 前 PD, 前 EBS 사장
  • 고석용 - 정치인
  • 고석준 - 개그맨
  • 고성국 - 정치평론가
  • 고성민 - 언론인
  • 고성현 - 前 배드민턴 국가대표
  • 고성현 - 성악가
  • 고성우 - 야구선수
  • 고성희 - 배우
  • 고성일 - 성우
  • 고세원 - 배우
  • 고소미 - 전 탁구선수
  • 고소영 - 배우
  • 고소현 - 모델
  • 고소현 - 바이올리니스트
  • 고수 - 배우
  • 고수정 - 배우
  • 고수진 - 前 프로게이머
  • 고수희 - 배우
  • 고슬기 - 축구선수
  • 고승덕 - 법조인, 정치인
  • 고승민 - 야구선수
  • 고승범 - 축구선수
  • 고승재 - 기업인
  • 고승우 - 변호사. 미운 우리 새끼, 러브캐처 출연
  • 고승원 - 야구선수
  • 고시경 - 일제강점기 시기의 조직폭력배. 속칭 구마적
  • 고신원 - 아이돌 펜타곤(아이돌)의 멤버. 예명 신원
  • 고아라[B] - 배우
  • 고아라 - 걸그룹 페이버릿의 멤버. 예명 아라
  • 고아성 - 배우
  • 고연호[22] - 정치인
  • 고영구 - 前 정치인. 변호사. 국정원장
  • 고영권 - 제주특별자치도 정무부지사, 변호사
  • 고영근[C] - 조선 말기의 관료. 항일운동가
  • 고영민[C] - 야구코치, 前 야구선수
  • 고영배 - 가수
  • 고영신[C] - 언론인, 한양대학교 특임교수
  • 고영열 - 국악인
  • 고영완[C] - 前 정치인, 독립운동가
  • 고영욱[C] - 前 연예인
  • 고영인[C] - 前 광역의원
  • 고영주[C] - 법조인
  • 고영태[C] - 前 펜싱선수, 前 사업가
  • 고영표[C] - 야구선수
  • 고영환 - 탈북자. 국가정보원 국가안보전략연구원 부원장. 前 외교관
  • 고영희 - 대한제국의 관료. 경술국적정미칠적 중 한 명
  • 고예림 - 배구선수
  • 고요셉 - 작가. 예명 이지성
  • 고요한 - 축구선수
  • 고용진 - 국회의원
  • 고용희[23][24] - 김정일의 후처, 김정은의 어머니
  • 고우림 - 성악가
  • 고우석 - 야구선수
  • 고우석[B] - 前 야구선수
  • 고우림 - 2007년생 아역 배우
  • 고우영 - 만화가, 영화감독
  • 고웅주[25] - 독립운동가
  • 고원부 - 前 야구선수
  • 고원준 - 야구선수
  • 고원훈 - 관료, 기업인
  • 고원희 - 배우
  • 고유경 - 가수
  • 고유민 - 배구선수
  • 고유빈 - 가수
  • 고유진 - 가수
  • 고윤정 - 배우
  • 고윤하 - 가수. 예명 윤하
  • 고윤환 - 정치인
  • 고윤환 - 배우. 예명 려운
  • 고은[26] - 시인
  • 고은 - 前 SM Rookies
  • 고은령 - 스튜디오뮤지컬 대표, 前 아나운서
  • 고은민 - 배우
  • 고은비 - 前 레이디스 코드의 멤버. 예명 은비
  • 고은성 - 뮤지컬 배우
  • 고은실 - 가수
  • 고은영 - 정치인
  • 고은정 - 성우
  • 고의정 - 배구선수
  • 고인규 - 게임해설가, 前 프로게이머
  • 고인범 - 배우
  • 고일석[B] - 호는 월강, 학교법인 월강학원(창평고등학교) 설립자 겸 무등양말 창업주
  • 고장혁[C] - 야구선수
  • 고장환 - 개그맨, 가수
  • 고재균 - 성우
  • 고재근 - 가수
  • 고재득[D] - 정치인.
  • 고재봉[D] - 前 서울특별시장
  • 고재열 - 언론인, 기자.
  • 고재욱[D] - 前 축구선수, 前 축구감독
  • 고재유[D] - 정치인
  • 고재일[D] - 대창운수 겸 JNJ골프리조트 회장
  • 고재일[D] - 군인
  • 고재청[D] - 前 정치인
  • 고재필[D] - 정치인
  • 고재현 - 축구선수
  • 고재형 - 가수
  • 고재호 - 법조인
  • 고제규 - 언론인, 기자
  • 고정기 - 가수. 예명 정기고
  • 고정욱 - 소설가
  • 고정운 - 축구감독, 前 축구선수
  • 고정일 - 소설가
  • 고정현 - 래퍼
  • 고정호 - 개그맨
  • 고정완 - 프로게이머
  • 고정훈 - 前 군인, 정치인.
  • 고정희 - 걸그룹 페이버릿의 멤버. 예명 정희.
  • 고조흥 - 법조인. 정치인.
  • 고종수 - 축구감독, 前 축구선수.
  • 고종석[B] - 前 기자, 前 소설가, 前 에세이스트, 前 언어학자.
  • 고종욱 - 야구선수
  • 고종훈 - 한국사 강사
  • 고주원[C] - 배우
  • 고준용 - 배구선수
  • 고준희 - 축구선수
  • 고지용 - 가수
  • 고지행[27] - 前 야구선수
  • 고지후 - 가수[28]
  • 고진부 - 정치인
  • 고진영 - 프로 골프선수
  • 고진화 - 정치인
  • 고차원 - 축구선수
  • 고창권 - 의사, 정치인
  • 고창석 - 배우
  • 고창성 - 야구선수
  • 고창현 - 축구선수
  • 고태규 - 축구선수
  • 고태원 - 축구선수
  • 고태원 - 크리에이터
  • 고태진 - 배우
  • 고태훈 - 크리에이터. 위의 크리에이터 고태원의 남동생
  • 고퇴경 - 크리에이터
  • 고필헌 - 前 웹툰 만화가.
  • 고행석[B] - 만화가
  • 고현민 - 배우
  • 고현서 - 걸그룹 그레이시의 멤버. 예명 현서
  • 고현수 - 前 육군 중장
  • 고현정[29] - 배우
  • 고형곤[30] - 철학자
  • 고형권 - 정치인. 문재인정부 기획재정부 1차관
  • 고형욱 - 넥센 히어로즈 단장, 前 야구선수
  • 고혜성[C] - 개그맨
  • 고혜윤 - KBS진주방송국 아나운서
  • 고호경 - 배우, 가수
  • 고호정 - 가수
  • 고효준 - 야구선수
  • 고훈정 - 뮤지컬 배우
  • 고흥길 - 언론인. 정치인
  • 고흥문 - 정치인
  • 고희동 - 동양화가, 서양화가
  • 고희범 - 정치인
  • 고희선 - 정치인
  • 고희진 - 前 배구선수

5.1. 고씨를 예명으로 쓰는 인물


  • 고윤 - 배우[31]
  • 고은아 - 배우[32]
  • 고준 - 배우[33]
  • 고준희 - 배우[34]

6. 가상 인물



[1] 현대인 중에는 가오궈후이(고국휘), 바이인 연쇄살인 사건의 범인 가오청융(고승용), 작가 가오싱젠(고행건), 프로게이머 가오전닝(고진녕) 등이 있다.[2] 충남 남부지역에서는 꽤 흔한 성씨다. 고씨들이 오래전부터 해당지역에 거주했다.[3] 달려라 하니에 등장하는 홍두깨 선생의 정혼자[4] 어디에서는 '고을라'라고 쓰기도 한다.[5] 이러한 내력 때문에 제주 고씨와 양씨, 부씨는 일가로 보고 서로 통혼을 하지 않는다고 한다. 김해 김씨와 허씨 비슷한 경우. 물론 동성동본 금혼제도도 없어지고 사회적으로도 그리 터부시되지 않게 된 21세기에 와서는 옛날 이야기다,[6] 파조 22세손[7] 파조 23세손[8] 파조 24세손[9] 파조 28세손[10] 안승(安勝)과는 다르다.[11] 거주인구는 경기도(2,500명), -횡성이 있는- 강원도(2,015명), 서울(1,661명), 경상북도(822명), 충청북도(675명), 인천(553명), 울산(364명), 대구(362명), 부산(314명), 충청남도(220명), 경상남도(200명), 대전(158명), 전라남도(42명), 전라북도(35명), 광주(33명), 제주도(24명), 세종(18명) 순이다. 인구가 집중된 수도권을 제외하면 횡성이 위치한 강원도와 그 강원도 서남부 인근지역에 많이 분포함을 알 수 있다.[12] 사실 강원도 횡성군의 초기 명칭이 고구려에 의해 지어진 이름인 횡천현(橫川縣)이라는 것을 생각해보면 상당히 억울한 일이다.[13] 문충공파 33세손 '석(錫)○' 항렬.[14] 장흥백파 21세손 '광(光)○' 항렬.[15] 장흥백파 21세손 '광(光)○' 항렬.[16] 개명 전 이름은 고우리. [17] 문충공파 35세손 '낙(樂)○' 항렬.[18] 가명 고운봉[A] A B 문충공파 31세손 '병(炳)○' 항렬.[19] 본명은 고우리[20] 문충공파 33세손 '석(錫)○' 항렬.[21] 공화국 시리즈를 만들고 연출한 것으로 알려져있다.[B] A B C D E 장흥백파 23세손 '○석(錫)' 항렬.[22] 장흥백파.[C] A B C D E F G H I J K L 장흥백파 24세손 '영(永)○' 항렬. 개명 전 고영민.[23] 영곡공파 32세손.[24] 개명 전 본명은 고희훈(高姬勳).[25] 장흥백파 21세손 '○주(柱)' 항렬[26] 문충공파. 본명은 고은태이다.[D] A B C D E F G H 장흥백파 22세손 '재(在)○' 항렬.[27] 재일 한국인, 일본명 다카야마 도모유키(高山智行)[28] 장흥백파 25세손 '병(秉)○' 항렬.[29] 장흥백파 25세손 '병(秉)○' 항렬.[30] 문충공파 32세손 '○곤(坤)' 항렬.[31] 본명은 김종민.[32] 본명은 방효진. 1946년생인 동명의 배우와는 다른 인물.[33] 본명은 김준호.[34] 본명은 김은주.[35] 유저들이 붙여준 애칭이 '고선생'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