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96 블랙 미스트

 


1. 소개
2. OCG
3. 작중 행적
4. 기타
6. 사용 카드
6.1. 애니메이션
6.1.1. 유마의 덱
6.1.1.1. OCG화 된 카드
6.1.1.2. OCG화 되지 않은 카드
6.1.2. 자신의 덱
6.1.2.1. OCG화 된 카드
6.1.2.2. OCG화 되지 않은 카드
6.2. 게임
6.2.1. 격돌! 듀얼 카니발
6.2.1.1. 인저스티스 ★5
6.2.1.2. 인저스티스 ★7
6.2.2.1. 소악마를 동정하는 노래(레벨 3, 초심자 덱)
6.2.2.2. 악마를 동정하는 노래(레벨 5, 중급자 덱)
6.2.2.3. 대악마를 동정하는 노래(레벨 7, 상급자 덱)
7. 관련 문서


1. 소개


[image]
[image]
첫 등장 때(듀얼 당시)의 형태와
아스트랄을 흡수한 다음부터 등장한 정령의 형태.[1]
엑시즈 몬스터 카드의 형태.[2]
한글판 명칭
'''No.96 블랙 미스트'''
일어판 명칭
'''No.(ナンバーズ96 ブラック・ミスト'''
영어판 명칭
'''Number 96: Dark Mist'''
엑시즈/효과 몬스터
랭크
속성
종족
공격력
수비력
2
어둠
악마족
100
1000
어둠 속성 레벨 2 몬스터 × 3
이 카드는 "No."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 이외와의 전투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이 카드가 상대 몬스터와 전투를 실행할 경우, 이 카드의 엑시즈 소재를 1개 제거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상대 몬스터의 공격력을 절반으로 하고, 이 카드의 공격력은 그 수치만큼 올린다.
'''등장하라, 나의 분신! No.96! 칠흑의 어둠에서 온 사자, 블랙 미스트!'''
[image]
변형 전 형태

'''나와 하나가 되어라!!!''' - 게임 '격돌! 듀얼 카니발' 제알 루트에서 아스트랄에게

'''아스트랄, 네가 빛이라면 나는 어둠.''' - 애니메이션 89화에서

'''내가 약속했었지. 언젠가 네 몸을 맛있게 먹어주겠다고.''' - 애니메이션 101화에서

유희왕 ZEXAL의 등장인물이자 엑시즈 몬스터. 성우는 아스트랄과 동일한 이리노 미유 / 정재헌.
아스트랄은 정령의 형태를 'No.96', 몬스터의 형태를 '블랙 미스트'라고 구별해서 부른다. 정령의 형태일 때에는 아스트랄과 매우 비슷하지만 얼굴에 아스트랄에게는 없는 붉은 문양이 있으며 몸이 검은색이다. 또 아지랑이 같은 기운을 발하는 아스트랄에 비해 블랙 미스트는 안개 같아 보이는 기운을 뿜는다. 그리고 송곳니 속성도 있다. 단 온몸에 새겨진 녹색 문양과 파란 보석, 왼쪽(시청자 기준으로 오른쪽) 금안은 서로 완전히 동일하다. 또 111화에서 흥분했을 때에는 세로동공이 되기도 했다.
공격명은 '''블랙 미라지 윕(Black Mirage Whip)'''.
효과명은 '''섀도 게인(Shadow Gain)'''.
엑시즈 몬스터로 소환될 때에는 꿈틀거리는 검은 액체 방울에서 사지와 머리가 나온다. 그런데 이때 오른손, 왼발, 그리고 머리 순서로 전개되는 것이 8화에서 아스트랄이 탄생하는 장면과 똑같고 각각 '아스트랄 세계에서 온 사자', '칠흑의 어둠에서 온 사자' 라는 이름을 달고 있는 것도 매우 비슷하다. 또한 효과를 쓸 때 몸 안쪽이 보라색으로 빛나는 것이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이 효과를 쓸 때 몸 안쪽이 푸른색으로 빛나는 것과도 매우 비슷하다. 아스트랄이 포톤 드래곤의 빛이 아스트랄 세계의 빛과 같다는 말을 했고 하는 행동으로 보아도 블랙 미스트는 아스트랄 세계의 어둠으로 확정된 것이나 마찬가지. 실제로 아스트랄과 블랙 미스트의 이명을 같이 놓고 보면 '아스트랄 세계'와 칠흑의 어둠이 대응하고 있다.
최초로 애니에서 등장한 랭크 2 엑시즈 몬스터이자 넘버즈. 또한 최초로 소재에 조건이 걸린 넘버즈이기도 했는데 이 제약은 OCG화 되면서 없어졌다. 오리지널 넘버즈 중 유일한 듀얼리스트 자리를 유지하고 있는 중. 그리고 5기 엔딩에서는 오버 헌드레드 넘버즈들을 제치고 넘버즈 중 가장 마지막에 나왔다. 6기 엔딩에서도 엘리파스, 유적의 가디언 둘과 함께 등장.
성우는 아스트랄과 동일한 이리노 미유인데, 차분하고 조용히 연기하는 아스트랄과 달리 감정기복이 격렬하고, 말투가 능글맞고, 빈정거리는 음색이 일품. 자주 웃기도 하지만 험악한 편이기도 하다. 덕분에 눈치채기 어려울 수도 있다. 하지만 101화의 유적에서 공포와 비슷한 기운을 느낀 벡터에게 "왜 그러지?" 하고 물어볼 때에는 평소의 블랙 미스트답지 않게 차분한 목소리라서 아스트랄과 같은 성우라는 것을 확실히 알 수 있다. 참고로 이리노 미유는 악역 연기를 굉장히 좋아하는 편이라 아스트랄보단 블랙 미스트 쪽 연기를 더 즐겁게 하고 있으며 애니메이션에서 악역을 맡은 건 블랙 미스트 역이 최초다.[3]

2. OCG


[image]
한글판 명칭
'''No.96 블랙 미스트'''
일어판 명칭
'''No.(ナンバーズ96 ブラック・ミスト'''
영어판 명칭
'''Number 96: Dark Mist'''
엑시즈/효과 몬스터
랭크
속성
종족
공격력
수비력
2
어둠
악마족
100
1000
레벨 2 몬스터 × 3
이 카드가 상대 몬스터와 전투를 실행할 공격 선언시에 1번, 이 카드의 엑시즈 소재를 1개 제거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상대 몬스터의 공격력을 절반으로 하고, 이 카드의 공격력은 그 수치만큼 올린다.

원작과는 달리 속성 제한이 없어졌다. 어지간한 몬스터는 반드시 전투로 이길 수 있어서 나름대로 강력한 카드. 텍스트엔 '공격 선언시에'라고 쓰여 있는데, 상대 몬스터의 공격 선언시에도 발동할 수 있는 효과다.[4] 또한 올라간 공격력은 언제까지라는 언급이 없으므로 계속 유지된다.
진화하는 인류와는 호궁합을 이룬다. 이로써 레벨 2 3마리를 뽑을 수 있는 창조의 대행자 비너스트라이 저주받은 하인 존, 히어로 키즈의 가치가 올라갔다.
그러나 실질적으로는 비너스를 제외한 나머지 카드는 사용에 다소 무리가 있다. 하인 존의 경우 저레벨 일반 몬스터로 도배된 범골 엑조디아 덱이나 방해꾼 덱이 아닌 이상 투입에 상당한 제약이 있으며, 키즈는 강력한 효과이긴 해도 덱에서만 소환이 가능한 만큼 메인 덱에 3장씩이나 투입할 만큼 효율이 좋지는 않기 때문이다. 리로드, 지옥의 폭주소환 등을 이용할 경우 보완이 가능하긴 하나 근본적으로 패가 말린다는 단점은 그대로 남는다. 실질적으로 블랙 미스트 전용 덱이라도 만들지 않는 이상 굴리기는 어렵다는 이야기.
언데드 덱에서도 페인페인터의 효과로 소환할 수 있지만 상대의 공격력 높은 몬스터를 제거할 이유라면 몰라도 굳이 모든 언데드족 몬스터에게 파괴 내성을 주는 언데드 스컬 데몬을 무시하고 소환할 이유는 없다.
의외로 현 상황에서는 좀비 캐리어, 볼트 고슴도치를 이용하는 싱크로 덱이 사실상 이 카드를 투입하기에는 가장 적합한 덱이 될 수 있다. 싱크론 소환과의 연계에도 문제가 없거니와 싱크로 덱 특성상 묘지 자원이 많이 쌓이고, 무엇보다 묘지에 캐리어 1장, 고슴도치 2장만 있다면 일반 소환권도 사용하지 않고 '''패 1장으로 바로 블랙 미스트가 뛰쳐나오기 때문'''.[5] 또한 좀비 캐리어와 볼트 고슴도치는 '''엑시즈 소재로써 묘지로 보내지면 제외되지 않기에''' 블랙 미스트가 파괴되던 강제 탈출 장치를 처먹던 해서 없어져도 패 1장으로 바로 다시 뛰쳐나오기에 상대 입장에서는 그야말로 육두문자 튀어나올 기세로 계속 우려먹을 수 있다. 그야말로 인피니티 블랙 미스트 그 자체. 다만 좀비 캐리어 특성상 드로우 봉쇄가 되는 거나 마찬가지이므로 무분별한 남발은 주의해야 하고, 싱크로 덱 특성상 엑스트라 덱 공간 조절에 유념할 필요가 있다.
섀도우 스펙터즈에서 마리스보라스가 OCG화되어 소환이 좀 더 쉬워졌으며, 마무리용으로 쓰기 좀 애매했던 이 카드를 같이 발매된 CNo.96 블랙 스톰으로 진화시켜 강력한 피니셔로도 쓸 수 있게 되었다. 이를 이용한 '''블랙 미스트 덱'''도 나왔는데 마리스보라스 시리즈와 재빠른 날다람쥐, 자이언트 바이러스등의 몬스터를 이용해 최대한 빨리 블랙 미스트를 소환하여 상대를 농락하다가 적절한 타이밍에 스톰으로 바꿔서 마무리를 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투입 카드는 전술한 마리스보라스와 전개용 몬스터들, 실드 윙 등의 벽으로 써먹기 좋은 레벨 2의 몬스터들, 블랙 미스트를 보호해 줄 각종 마법, 함정 카드 등이다. 당연히 블랙 스톰을 소환할 RUM도 빼먹으면 안 된다. 이 외에 쿠로클로크로우도 투입하면 좋은 카드. 엑스트라 덱에는 당연히 블랙 미스트와 스톰이 들어가고 No.65 재단마인 저지 버스터 등도 넣어 주면 좋다. 작정하고 덱을 맞추면 블랙 미스트가 나오는 속도가 굉장히 빨라서 상대에게 충격과 공포를 선사할 수 있다.
또한 방해꾼처럼 레벨/랭크 2를 주축으로 쓰는 덱에 한 장 정도는 들어가기도 한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국가'''
'''기타사항'''
오더 오브 카오스
ORCS-KR043
울트라 레어
얼티밋 레어
한국
한국 최초수록
ORDER OF CHAOS
ORCS-JP043
울트라 레어
얼티밋 레어
일본
세계 최초수록
Order of Chaos
ORCS-EN043
울트라 레어
얼티밋 레어
미국
미국 최초수록
Star Pack 2013
SP13-EN031
노멀
스타포일 레어
미국

Genesis Impact
GEIM-EN052
레어
미국


3. 작중 행적


No.96 블랙 미스트/작중 행적

4. 기타


[image]
애니메이션 설정화
넘버인 96은 일본어 말장난으로 읽으면 9(く)6(ろ)=くろ=쿠로=검은색이 되며 9와 6의 모양이 대칭되기 때문에[6] 블랙 미스트가 아스트랄과 대칭점에 있다는 의미도 있는 듯하다.
동인계(특히 여성향)에서는 블랙 미스트와 아스트랄의 커플링(!) 혹은 아스트랄과 비슷한 정령 형태의 블랙 미스트를 '''미스트랄'''이라 부른다. 참으로 절묘한 별명.
아스트랄은 블랙 미스트 없이 설명할 수 있는 부분이 있긴 하지만 블랙 미스트는 아스트랄이 없으면 도저히 설명할 수 없는 캐릭터. 당장 이 문서에 아스트랄이란 말이 몇 번이나 나왔는지만 세어 봐도 견적이 나온다.
아스트랄과 괜히 닮은 게 아닌지 '''"승리의 방정식이 됐다."'''라는 아스트랄의 대사와 비슷하게 '''"모두 계산대로군."'''이라는 말을 한 적이 있다.
카오스화한 블랙 미스트가 있던 공간이랑 돈 사우전드낫슈를 붙잡아 둔 공간이 똑같다. 낫슈가 바리안 세계로 가다가 해당 공간에 진입했고, 블랙 미스트도 해당 공간에서 다른 세계예 영향을 미쳤던 걸 고려하면 정황상 각 세계 사이의 틈에 해당하는 공간으로 보인다.

5. 비디오 게임



5.1. 유희왕 ZEXAL 격돌! 듀얼 카니발!


'''악, 증오, 분노! 그게 내 힘의 근원!'''

'''자. 나를 해방해라. 그리고 하나가 되어라.'''

'''무서워할 필요는 없어. 나는 너, 그리고 너는... (목소리가 부드러워지면서) 나니까 말이야.'''

'''처음 시작부터 아스트랄을 이기고''' 아스트랄인 척(?!) 하는 게 블랙 미스트 루트의 스토리. 여러 듀얼리스트들을 이기고 WDC에 출전하는데, 결승전 때까지도 눈치 못 채고 있던 유마를 얼마나 바보인 거냐고 비웃으며 본모습을 드러낸다. 이 때 텍스트로나마 아스트랄의 모습으로 "후후후... 흐하하하하하하하!!!" 라고 웃는 걸 볼 수 있다(...) 그 후에는 다시 원래의 모습으로 돌아간다. 그런데 이 때 아스트랄이 부활하여 결승전은 아스트랄을 상대로 치르게 된다.
결국은 다시 봉인되지만, 아스트랄은 자신의 안에 이전과는 다른 이상한 기분을 느낀다. 몸의 절반 가량이 검은색으로 물들어 있고 뒤에는 블랙 미스트가 있는 장면이 엔딩 컷.
여담으로 듀얼 카니발은 각 캐릭터 루트를 깨고 나면 게임 내에서 프로텍터와 플레이매트를 주는데, 블랙 미스트는 프로텍터가 정령 버전과 몬스터 버전 둘 다 있다. 초반에 그냥 제공하는 건 몬스터 버전, 본인 루트 보상으로 주는 건 정령 버전. 플레이매트도 정령 버전이다.

5.2. 유희왕 태그 포스 스페셜


여기에도 참전한다. 근데 아스트랄과 같이 성우가 없는 엑스트라 캐릭터. 안습. 그래도 유마 스토리를 진행하다 보면 아스트랄과 태그를 맺고(?!) 듀얼을 하는 등 나름 출연은 있다.

6. 사용 카드



6.1. 애니메이션



6.1.1. 유마의 덱


처음에 유마를 조종할 때 쓴 덱

6.1.1.1. OCG화 된 카드


6.1.1.2. OCG화 되지 않은 카드

  • 함정 카드
한글판 명칭
'''오버레이 배니시'''
일어판 명칭
'''オーバーレイ・バニッシュ'''
영어판 명칭
'''Overlay Banish'''
카운터 함정
자신의 턴의 배틀페이즈 중에만 발동할 수가 있다. 상대 필드 위에 존재하는 몬스터 엑시즈 1체의 엑시즈 소재를 사용하는 몬스터 효과를 무효로 한다.

6.1.2. 자신의 덱



6.1.2.1. OCG화 된 카드


6.1.2.2. OCG화 되지 않은 카드

한글판 명칭
'''스몰 스토퍼'''
일어판 명칭
'''スモール・ストッパー'''
영어판 명칭
'''Small Stopper'''
지속 함정
필드 위의 공격력 1000 이하의 몬스터는 공격할 수 없다. 공격 표시 몬스터가 공격하지 않았을 때, 턴 종료시 (그 몬스터의 컨트롤러에게) 1000포인트 데미지를 준다.
한글판 명칭
'''카오스 리턴'''
일어판 명칭
'''カオス・リターン'''
영어판 명칭
'''Chaos Return'''
일반 함정
상대 몬스터가 공격 선언을 했을 때 발동할 수 있다. 그 공격을 무효로 하고 자신은 묘지에서 마법 카드를 발동할 수 있다. 그 후, 공격해 온 상대 몬스터는 다시 공격을 실행해야 한다.
102화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한 카드.
한글판 명칭
'''카오스 얼라이언스'''
일어판 명칭
'''カオス・アライアンス'''
영어판 명칭
'''Chaos Alliance'''
일반 함정
자신 필드 위의 모든 카오스 (넘버즈) 몬스터의 공격력을 가장 공격력이 높은 카오스 (넘버즈) 몬스터의 공격력과 같게 한다.
블랙 미스트가 이 카드를 사용했을 때 가장 공격력이 높았던 것은 전 턴에 가가가 가드너의 공격력을 흡수해 2500이 된 블랙 스톰.
한글판 명칭
'''카오스 크로스'''
일어판 명칭
'''カオス・クロス'''
영어판 명칭
'''Chaos Bringer'''
일반 함정
상대가 카오스 엑시즈 몬스터를 특수 소환했을 때 그 엑시즈 소재를 전부 묘지에 보낸다. 그리고 덱에서 필드 마법 1장을 선택해 패에 추가한다. 이 턴 C(카오스)라 이름붙은 몬스터는 공격할 수 없다.

6.2. 게임



6.2.1. 격돌! 듀얼 카니발


덱 이름은 인저스티스(Injustice). 뜻은 악덕, 악의. 마리스보라스와 상통하는 이름이다. 레벨은 각각 5와 7. 마침 본인이 사용하기도 했으므로 레벨을 막론하고 마리스보라스 3종 세트를 각각 3장씩 풀투입하고 있다. 분신인 블랙 미스트 카드도 당연히 있다. 블랙 미스트의 효과가 전투에 무적이므로 금지된 성창 등으로 내성을 부여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레벨 5 버전에서는 다양한 레벨 2, 어둠 속성, 악마족 몬스터들을 사용한다. 레벨 7 버전에서는 이를 조금 더 정비하고 비너스와 구체를 추가했는데, 그 덕분에 수틀리면 '''개벽'''이 튀어나온다(...)

6.2.1.1. 인저스티스 ★5


6.2.1.2. 인저스티스 ★7


6.2.2. 태그포스 스페셜


여기서도 출연을 하기는 하는데, 성우는 없다. 새우보살 인연도 3000 이벤트 및 샤크의 인연도 3000 이벤트에서 적 듀얼리스트로 등장한다. 새우보살의 경우에는 아스트랄을 되찾는 걸 방해하기 위해 아스트랄과 태그를 맺어 상대해 오며 , 샤크의 경우에는 칠황의 뒤통수를 치는 벡터의 쫄병으로 같이 태그 듀얼 상대를 해 온다. 그 외의 캐릭터 3명을 파트너로 하고 있을 때는 마을에서 잘만 나온다.
태그포스 스페셜에서는 자신이 난이도를 어떻게 정하느냐에 따라서 쓰는 덱의 구성이 달라지며, 각각 3레벨, 5레벨, 7레벨로 달라진다. 덱 레벨이 달라져도 기본적으로는 마리스보라스덱을 쓴다. 마리스보라스덱이 파워가 약해서인지 금지 카드를 넣은 덱이라고 해도 7레벨 수준이다. 덱 이름의 경우에는 1998년 제작된 아메리카 영화[7] 혹은 1968년 발매된 롤링 스톤즈의 노래인 Sympathy For The Devil의 번역 이름을 패러디한 것으로 보인다.

6.2.2.1. 소악마를 동정하는 노래(레벨 3, 초심자 덱)


6.2.2.2. 악마를 동정하는 노래(레벨 5, 중급자 덱)


6.2.2.3. 대악마를 동정하는 노래(레벨 7, 상급자 덱)



7. 관련 문서


[1] 이 이후에는 아스트랄을 흡수 및 지배하지 않은 상태로도 계속 이런 모습을 하고 있다.[2] 왼쪽에 있는 정령 블랙 미스트의 분신.[3] 단, ZEXAL이 방영하기 전에 게임 킹덤 하츠 Birth by Sleep에서 바니타스 역, 가면라이더 오즈에서 로스트 앙크의 괴인체를 맡은 경력이 있다.[4] 애니판에서 테츠오도 No.96과의 첫 듀얼에서 블랙 미스트의 효과를 제대로 몰라 블랙 미스트가 공격할 때만 유효한거라고 생각해서 자신의 몬스터의 공격력을 올리고 공격했는데 그런 테츠오를 블랙 미스트의 무서움을 모른다고 비웃고 효과를 발동했다. 그 몬스터가 No.39 희망황 호프라서 공격을 무효할 수 있었지 하마터면 몬스터를 잃고 파괴당할 뻔 했다.[5] 패 1장 되돌리고 캐리어 소환 → 볼트 고슴도치 2체 특수소환 → 오버레이[6] 숫자 96을 빙글빙글 회전시키며 96은 회전시켜도 같은 모양이라는 점을 강조한 연출이 나온 적이 있다.[7] 원 제목은 Fallen. 한국에서는 다크 엔젤이라는 이름으로 개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