白
[clearfix]
1. 개요
유니코드 상에서는 U+767D에 배정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HA(竹日)로 입력한다. 한자검정시험에서는 8급으로 분류되어 있다. 희다, 깨끗하다, 명백하다, 설명하다/진술하다/보고하다 등의 뜻이 있다.
2. 자원
[image]
상형자 또는 상형+지사로 보는데 갑골문의 자형(字形)을 봐도 워낙 간단해 무엇을 상형한 것인지 알기 힘들다 보니 여러 의견이 있다.
문자학계에서 논의되고 있는 주요 학설로는
- 촛불의 심지가 타는 모양을 본뜬 글자로 보아 '밝다'는 의미로 출발해 '희다'는 의미로 확장된 것이라는 설.
- 해골(骸骨)의 모양을 본뜬 것이라는 설(시라카와 시즈카)[1] . 해골의 색은 흰색이므로 여기에서 '희다'의 뜻이 나왔다고 보는 것이다.
- 엄지손가락의 모양을 본뜬 것이라는 설(곽말약). 엄지손가락은 손가락의 우두머리이니 '우두머리[2] '의 뜻이 나왔고, 손톱의 색으로부터 '희다'의 뜻이 나왔다고 보는 것이다.
- 잣의 모양을 본뜬 것으로 柏(잣나무 백)의 본자(本字)로 보는 설[3]
- 쌀의 모양을 본뜬 것이라는 설[4] . 쌀은 흰 색이므로 이로부터 '희다'의 뜻이 되었다는 것이다.
이 중 문자학계에서 가장 지지를 받고 있는 학설은 '엄지손가락 설'이다. '우두머리'의 뜻까지 모두 깔끔하게 설명된다.
3. 용례
3.1. 단어
- 결백 (潔白)
- 고백 (告白)
- 공백 (空白)
- 담백질 (蛋白質)
- 단백 (淡白)
- 독백 (獨白)
- 명백 (明白)
- 방백 (傍白)
- 백골(白骨)
- 백구 (白狗/白駒/白鷗)
- 백금 (白金)
- 백기 (白旗)
- 백내장 (白內障)
- 백두대간(白頭大幹)
- 백로 (白露/白鷺)
- 백린 (白燐)
- 백린탄 (白燐彈)
- 백마 (白馬)
- 백묵 (白墨)
- 백미 (白眉/白米)
- 백반 (白斑/白礬/白飯)
- 백반증 (白斑症)
- 백발 (白髮)
- 백사 (白沙/白蛇)
- 백사장 (白沙場)
- 백색 (白色)
- 백서 (白書)
- 백설공주 (白雪公主)
- 백수 (白壽/白手/白首)
- 백숙 (白熟)
- 백악 (白堊)
- 백야 (白夜)
- 백옥(白玉)
- 백의민족(白衣民族)
- 백인 (白人)
- 백일몽 (白日夢)
- 백정 (白丁)
- 백조 (白鳥)
- 백주 (白酒/白晝)
- 백지(白紙)
- 백지화(白紙化)
- 백치 (白痴/白癡/白雉/白齒)
- 백치미 (白痴美/白癡美)
- 백타 (白駝/白打)
- 백택 (白澤)
- 백학 (白鶴)
- 백합 (白蛤)
- 백혈구 (白血球)
- 백혈병 (白血病)
- 백호 (白虎)
- 백화현상(白化現象)
- 삼백안 (三白眼)
- 순백(純白)
- 여백(餘白)
- 자백 (自白)
- 창백(蒼白)
- 표백(漂白)
- 광표백(光漂白), 표백제(漂白劑)
- 흑백 (黑白)
3.2. 인명
백(성씨) 문서 참조.
3.3. 지명
- 배천군 (白川郡)
- 백두산 (白頭山)
- 백령도 (白翎島)
- 백록담(白鹿潭)
- 백석동 (白石洞)
- 백마고지 (白馬高地)
- 백운대 (白雲臺)
- 백해 (白海)
- 소백산 (小白山)
- 소백산맥 (小白山脈)
- 장백산 (長白山)
- 태백산 (太白山)
- 태백산맥 (太白山脈)
- 태백시 (太白市)
3.4. 고사성어/숙어
3.5. 그 밖에
- 白子駅
- 백다방 (白茶房)
- 백두대간 (白頭大幹)
- 백랑관음 (白狼観音)
- 백러시아
- 백련교 (白蓮敎)
- 백마고등학교 (白馬高等學校)
- 백마고지역 (白馬高地驛)
- 백마고지 전투 (白馬高地 戰鬪)
- 백마부대 (白馬部隊)
- 백발마녀전 (白髮魔女傳)
- 백수오 (白首烏)
- 백파적 (白波賊)
- 백학선전 (白鶴扇傳)
- 적백내전 (赤白內戰)
- 청천백일만지홍기 (靑天白日滿地紅旗)
- 흑묘백묘론 (黑猫白猫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