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린중학교

 




[image]
'''학교 전경'''
'''선린중학교
善隣中學校
Sunrin Middle School
'''

<colbgcolor=green> '''개교'''
1899년
'''유형'''
일반계 중학교
'''성별'''
남녀공학
'''형태'''
공립
'''교장'''
권종원
'''교감'''
이창건
'''학생 수'''
516명
'''교직원 수'''
51명
'''교훈'''
생각하라, 행동하라, 참아라
'''교목'''
은행나무
'''교화'''
개나리
'''관할 교육청'''
서울특별시교육청
'''주소'''
서울특별시 용산구 원효로 97
'''홈페이지'''

1. 개요
2. 학교 연혁
3. 교훈 및 상징
3.1. 교훈
3.2. 교가
3.3. 교목
3.4. 교화
3.5. 학교 특징
4. 학교 시설
4.1. 본관
4.1.1. 1층
4.1.2. 2층
4.1.3. 3층
4.1.4. 4층
4.2. 정보관
4.2.1. 1층
4.2.2. 2층
4.2.3. 3층
4.2.4. 4층
4.3. 별관
4.3.1. 1층
4.3.2. 2층
4.3.3. 3층
4.3.4. 4층
4.4. 다목적 강당(체육관)
4.4.1. 1층
4.4.2. 2층
4.4.3. 3층
4.4.4. 4층
5. 교육과정
6. 학교 생활
6.1. 주요 행사
7. 운동부
8. 출신 인물
9. 기타

[clearfix]

1. 개요


100년 전통의 선린

서울특별시 용산구 보광동에 위치한 공립 남녀공학 중학교.

2. 학교 연혁


학교 홈페이지

3. 교훈 및 상징



3.1. 교훈


생각하라, 행동하라, 참아라


3.2. 교가


드넓은 남산 위에 우뚝 선

송백은 흰 눈 위에 푸르고

옛부터 흘러가던 한가람

장할 손 우리 학원 이룩한

굳세고 다함 없는 거룩한 뜻이

일 백년 빛난 역사 자랑이로세

비바람 몰아쳐도 나가자

공들여 쌓은 탑이 빛난다

울려라 삼천리에 힘차게

세워라 반석 위에 선린의 터를


3.3. 교목



3.4. 교화



3.5. 학교 특징


  • 시험이 주변 학교들에 비해 쉬운 편이다.

4. 학교 시설


  • 일제강점기 교정의 모습
[image]
[image]

.
  • 1970년대 교정의 모습
[image]
[image]
[image]
[image]
  • 1980년대 교정의 모습
  • 현재 본관이 지어지고 있다.
[image]
  • 본관 준공.
[image]
  • 현재 교정의 모습
  • 본관: 현재는 분홍색으로 칠해져 있고 숙명여대 쪽에 다목적강당이 생겼다.
[image]
  • 본관에서의 전망
[image]
  • 별관&시계탑: 시계탑 뒤에 있는 건물이 별관이다.
[image]
[image]
별관이 1963년, 본관이 1980년에 지어져 노후화가 심각하다. 그나마 강당과 정보관이 최신식 건물. 강당 짓기 전에는 입학식, 졸업식 때마다 선린인고 강당을 빌려썼다. 1899년에 개교한 오랜 역사를 지닌 학교지만 (사실 용산에는 1913년에 왔지만..) 그 오랜 역사를 지닌 것이라고 해봤자 선린인고 구 강당[1], 고종황제에게 명동시절 하사받은 나무 정도...[2]
운동장에 있는 시계탑은 15회 졸업생인 일본의 유명 작곡가 고가 마사오가 일제시대 대화재로 불타버린 시계탑을 대신해 기증한 것이다.
정문은 일제시대 당시보다 밑으로 내려갔다고 추정되며, 정문 앞 문구점은 일제강점기 때 건축되었다고 등록 되어있다. 정문 앞에 있는 아세아항공전문학교 학생들로 추정되는 자들에 의한 간접흡연 문제 등이 꽤 있고, 이런저런 분식점 등은 많지만 장사가 잘 안된다.[3] 그나마 위에 언급한 문구점이 학생들이 이용하는 곳이다.
후문으로 나가면 천주교 서울대교구 청파동 성당과 숙명여자대학교의 거대한 주차장 겸 지하도가 나타나고[4] 이를 통과하면 숙명여대가 나온다.
2013년에 새로 지은 다목적강당 건물에는 급식실과 체육관, 체육건강부실이 있는데 건물구조가 이상하다. 2층에 급식실, 3층에 체육관이 있는데 본관 3층에서 3층 체육관을 가려면 2층으로 내려가서 다목적강당 건물 안의 계단으로 다시 3층으로 올라가야 한다. 3층에 통로를 내려 해도 과학1실이 있는 등 여러모로 복잡하기 때문에 3층 통로 개설은 없을 듯 하다. 2014년 경에 다목적 강당 1층의 조리실 옆에 있던 주차장으로 쓰이고 있던 공간에 탁구장을 만들었다.
별관 뒤 구석의 좁은 길로 가다보면 중간에 계단이 있고 그 계단을 올라가면 벚나무와 밭 이 나오는데 이 밭은 동아리와 선생님들이 사용하고 있다.
본관에서 보이는 전망이 좋다. 맑은날에는 남산까지 보인다.
건물 안에서 비둘기가 자연스럽게 돌아다녀서 자연친화적 학교라는 말이 학생들 사이에서 있다.

4.1. 본관



4.1.1. 1층


매점, 도서실, 보건실, 학생회실, 방송실, 행정실, 교장실, 등사실, 자료실, 동아리1실, 음악2실, 늘품방(자습실), 시설관리실

4.1.2. 2층


성적처리실, 회의실, 교무실(교무기획부, 교수학습연구부, 학력신장부, 1학년부, 3학년부), 진로진학상담부실, 진로진학상담실, 여교사 휴게실, 방과후 교실 1~4, 독서토론실, 교직원식당

4.1.3. 3층


1학년 1~3반, 과학3실, 교육복지실, 개별학습1~2실, 자연과학부실, 과학준비실, 과학1실

4.1.4. 4층


3학년 1~8반, 과학2실

4.2. 정보관



4.2.1. 1층


다목적실, 스포츠클럽강사실

4.2.2. 2층


컴퓨터실, 수학교과1~2실, 자료제작실, 교육정보부실, 서버실

4.2.3. 3층


영어교과1~3실, 창의문화체험부실, 2학년부실

4.2.4. 4층


유도장, 유도부실(식당, 코치실, 남녀숙소)

4.3. 별관



4.3.1. 1층


Wee 클래스, 가사실, 기술실, 미술실, 야구부실

4.3.2. 2층


1학년 4~6반, 인성생활지도부실, 푸른교실, 미술준비실

4.3.3. 3층


1학년 7~8반, 2학년 1~3반, 음악1실

4.3.4. 4층


2학년 4~8반, 동아리2실

4.4. 다목적 강당(체육관)



4.4.1. 1층


조리실, 탁구장

4.4.2. 2층


학생식당

4.4.3. 3층


강당, 체육건강부실

4.4.4. 4층


관람석

5. 교육과정



6. 학교 생활



6.1. 주요 행사


5월에 육상대회와 10월에 선린제가 있다.
매년 10월에는 격년으로 체육대회와 선린제를 돌아가면서 했지만 2014학년도에는 오전에 체육대회, 오후에 선린제가 개최되었다. 2015년부터는 첫째날에 선린제, 둘째날에 체육대회를 실시하였다. 2015학년도 선린제부터는 학생회가 주관을 하면서 다양한 행사들이 개최 되었다. 여장대회/남장대회라던지(...) 수련회(1, 2학년), 수학여행(3학년)은 5월 말~6월 초에 있다.

7. 운동부


운동부는 야구부와 유도부 2개가 있으며, 야구부가 규모가 크고 역사는 길다. 그래도 유도부는 작지만 대회성적은 강하다.
  • 야구부가 2015년 제 20회 LG 트윈스기 서울특별시 중학교 야구대회에서 우승하였다!!

참고로 야구팀은 한국야구사에서 몇 안되는 퍼펙트 게임과 연관이 깊다. 달성 기록은 총 2회로 1972년 11월 12일 서울시 중고교 추계연맹전 8강에서 성남중학교를 상대로 이창호(9이닝 11K), 1973년 11월 22일 서울시 중고교 추계연맹전 결승에서 배명중학교를 상대로 이길환이 달성해냈다. 또한 1970년 5월 19일 제1회 조서희기쟁탈전국중학야구대회에서 경상중 이동수에게 퍼펙트 게임을 당한 경험이 있다. 한국야구역사에서 퍼펙트 게임 기록에 3번이나 이름을 올린 학교는 선린중이 유일(...)
  • 유도부의 2학년 선수가 네덜란드에서 열린 국제청소년유도대회에서 우승하였다.

8. 출신 인물


가나다순으로 정렬해주시기 바랍니다.
나무위키에 등재될 정도의 저명성 있는 인물만 기록 가능합니다.

9. 기타


  • 2016학년도부터 행정실 앞에 있는 에어컨 사용 시간표에 표시하면 그 시간에는 꼭 틀어주게 되었다. 회장의 할 일이 늘어났지만 이전보다 에어컨이 잘 나온다.
  • 주말 동안 학교가 다양한 종류의 시험장으로 사용된다. 토익,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초졸 검정고시 등. 이로 인해 자기 책상, 의자가 사라진다던지, 교실에 쓰레기가 넘쳐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1] 1923~1925년 경의 설계도면 설계도면12345 [2] 그러나 1920년대에 2번에 걸친 대화재로 기록은 남아있지 않다고 한다.[3] 학생들의 대부분이 바로 앞에 골목길을 통해서 용산경찰서 앞 버스정류장으로 가기 때문.[4] 민방위훈련 때 이 곳으로 대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