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덕궁 숙장문

 




1. 개요
2. 용도
3. 역사
4. 구조
5. 여담
5.1. 현판 위치의 문제?

[image]
숙장문

1. 개요


昌德宮 肅章門
창덕궁이다. 정문돈화문을 지나 금천교를 건너 중문진선문으로 들어가면 정면에 보인다.
숙장문의 이름은 1475년(성종 6년) 8월에 당시 예문관대제학이던 서거정이 지었다.# ‘숙(肅)’은 ‘엄숙하다’, ‘장(章)’은 ‘아름답게 빛난다’는 뜻이다.

2. 용도


궁궐의 외조 권역에서 내전을 볼 수 없게 만든 문이다. 창덕궁자연 지형에 맞추어 건물을 지었기 때문에 배치경복궁처럼 질서정연하지 않다. 그래서 돈화문을 지나 진선문으로 들어서면 정전 인정전에 도착하기도 전에 내전 영역이 바로 보인다. 따라서 이를 가릴 담장이 필요하여 지은 문이다.#[1]
위에 언급했듯 서거정이 숙장문의 이름을 지었는데, 이 때 숙장문을 가리켜 좌달문(左闥門)이라 하였다.# ‘좌(左)’는 말 그대로 ‘좌측’이고 ‘달(闥)’은 '밖에서 집안을 못보게 만든 가림막'이다. 즉, 좌달문은 '안쪽(내전 영역)을 가린 좌측 문'이다.[2] 이런 기록 역시 숙장문의 역할을 말해준다.#

3. 역사


정확한 창건 연대는 모른다. 다만, 진선문, 인정문 영역을 태종 시기에 건립한 것을 볼 때, 숙장문도 그 때 처음 지은 듯하다.
임진왜란 때 불탔다가 광해군 연간에 중건했다. 이후 별다른 기록이 없는 것으로 보아 이후 일어난 몇 차례의 창덕궁 화재 때도 무난했던 듯 하다.
대한제국 시기 순종황제가 이어한 직후인 1908년(융희 2년) 탁지부건축사무소에서 시행한 인정전 개수 공사 때 자동차 통행에 방해가 된다며 헐렸다. 광복 이후인 1996년에 문화재청에서 복원 공사를 시작해 1999년 완공하여 오늘에 이른다.
현판 글씨는 원래 동래군(東萊君) 정난종(鄭蘭宗)이 쓴 것이었으나, 일제강점기에 사라졌다. 1999년 복원할 때 서예가 소헌 정도준 선생(紹軒 鄭道準. 1948 ~ )이[3] 새로 쓰고 각자장 철제 오옥진 선생(鐵齋 吳玉鎭, 1935 ~ 2014)이 새겼다.

4. 구조


  • 정면 3칸, 측면 2칸의 1층[4] 목조 건물이다. 주춧돌기둥은 둥근 형태이다. 지붕은 팔작지붕, 처마는 겹처마에 공포는 화려한 다포식이다. 용마루와 추녀마루, 내림마루는 양상바름을 하고 그 위에 취두와 용두, 잡상을 두었다. 단청은 모루단청[5]으로 칠했다.
[image]
진선문 · 인정문 · 숙장문 마당
  • 위에 언급했듯, 진선문인정문과 같은 영역을 이룬다. 이 들은 서로 행각을 통해 붙어있으며 잇는 행각이 사다리꼴 모양을 만들어 마당을 이룬다. 이 마당도 인정전 마당처럼 국가 행사정치의 공간으로 많이 사용하였는데, 인정전 마당에서 주로 무게 있고 좀 더 근엄한 예제(禮制)를 열었다면 진선문 · 인정문 · 숙장문의 마당에서는 좀 더 일상에 밀착한 국사를 펼쳤다. 대표적으로 임금죄인을 심문하거나 벌주는 장소로 많이 활용한 예가 있다. 물론 엄숙한 행사를 아예 거행하지 않은 것은 아니다. 임금의 즉위식을 주로 이 마당에서 열었다.
  • 행각엔 내병조(內兵曹), 호위청(扈衛廳) 등 을 지키는 관청과 전설사(典設司), 상서원(尙瑞院) 등 왕실국가 행사와 관련있는 관청 및 부속실이 있었다. 이 역시 순종 이어 후 철거했으며 1999년에 복원했다. 그러나 내부는 복원못하고 복도로 남았다. 단, 내병조는 내부도 복원하여 현재 창덕궁 관리소에서 사무실로 사용한다.

5. 여담


  • 1712년(숙종 38년) 8월에 돼지 한 마리가 내사복[6]의 수구문[7]을 통해 여기까지 달려 들어왔다가 잡혔다.(...)#

5.1. 현판 위치의 문제?


[image]
[image]
동궐도》의 숙장문
1902년의 숙장문
조선시대에 만든 《동궐도》를 보면 숙장문 현판(왼쪽 그림 붉은 원)이 동쪽 면에 걸려있다. 그러나 현재는 반대편 서쪽 면에 걸려있다. 이를 두고 복원할 때 위치를 잘못잡은 게 아니냐는 의견이 있었다.
결론부터 말하면 '''지금 위치가 맞다.''' 1902년(광무 6년) 일본인 세키노 타다시가 촬영한 사진을 보면 현판의 위치(오른쪽 사진 보라색 원)가 지금과 같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동궐도화공이 잘못 그렸다는 건데, 그 이유에 대해서도 여러 의견이 있다. 현판이 잘 보이게 일부러 동쪽에 그렸다는 것과 아니면 단순 실수(...)라는 주장이 공존한다. 오류의 이유에 대해 아직까지 명확하게 밝혀진 것은 없다. 판단은 알아서.


[1] 창경궁은 원래 대비를 모실 별궁이었기에 논외. 덕수궁경희궁지형에 맞게 지었으나 구조 상 숙장문 역할의 이 필요하지 않았다.[2] 여기서 좌측은 동쪽이다. 전통적으로 임금의 시선을 기준으로 좌, 우를 따졌다. 왕은 남쪽을 바라보므로 왼쪽(좌측)은 동쪽이다.[3] 경복궁 흥례문유화문창덕궁 진선문현판숭례문 복원 상량문을 썼다.[4] 보통 전통 건축에선 단층이라고 표현한다.[5] 부재 끝 부분만 화려하게 칠하는 단청.[6] 內司僕. 조선시대 궁궐마구간임금이 타는 , 수레를 관리하던 기관.[7] 水口門. 이 흐르는 통로.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