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부자 순위

 


1. 개요
2. 세계 부자 순위 공식 매체
3. 2021년 2월 한국 부자 순위 TOP 40
4. 한국에 슈퍼갑부가 없는 이유


1. 개요


매년 3월마다 세계 부자 순위를 집계하는 미국 경제 전문지 포브스에서 따온 대한민국 공식 부자 순위.
포브스는 확인 가능한 재산만을 측정하기 때문에, 미술품, 비상장기업의 주식 수 등 추적하기 어렵거나 불가능한 재산은 포함시키지 않으며, 비공식 부자 포함시 약간의 순위 변동이 일어날 수 있다.

2. 세계 부자 순위 공식 매체



3. 2021년 2월 한국 부자 순위 TOP 40


미국의 유명 경제 전문지 포브스의 억만장자 순위를 기반으로 만들었으며 몇몇 억만장자들의 재산의 액수가 똑같이 표기된 이유는 포브스가 1억달러[1] 이하의 재산을 반올림하기 때문이다. 때문에, 같은 액수의 재산의 억만장자 중 누구의 재산이 미세하게 더 많은지는 재산 옆에 주석으로 달린 세계 부자 순위 랭킹에서 확인 가능하다[2].
'''순위'''
'''이름'''
'''소속'''
'''재산'''
'''0'''

삼성그룹 회장
209억 달러 (한화 약 23조 5097억 원)[3]
'''1'''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
142억 달러 (한화 약 15조 9732억 원)[4]
'''2'''
김정주
NXC 대표이사
134억 달러 (한화 약 15조 733억 원)[5]
'''3'''
김범수
카카오 의장
97억 달러 (한화 약 10조 9112억 원)[6]
'''4'''
이재용
삼성그룹 부회장
86억 달러 (한화 약 9조 6738억 원)[7]
'''5'''
권혁빈
스마일게이트 의장
69억 달러 (한화 약 7조 7616억 원)[8]
'''6'''
정몽구
현대자동차그룹 명예회장
60억 달러 (한화 약 6조 7492억 원)[9]
'''7'''
서경배
아모레퍼시픽 회장
43억 달러 (한화 약 4조 8369억 원)[10]
'''8'''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
38억 달러 (한화 약 4조 2745억 원)[11]
'''9'''
최태원
SK그룹 회장
33억 달러 (한화 약 3조 7121억 원)[12]
'''10'''
김택진
NCSOFT 대표이사
29억 달러 (한화 약 3조 2621억 원)[13]
'''11'''
구광모
LG그룹 회장
24억 달러 (한화 약 2조 6997억 원)[14]
'''12'''
방준혁
넷마블 의장
23억 달러 (한화 약 2조 5872억 원)[15]
'''13'''
방시혁
빅히트 의장
23억 달러 (한화 약 2조 5872억 원)[16]
'''14'''
이해진
네이버 창업자
23억 달러 (한화 약 2조 5872억 원)[17]
'''15'''
이부진
호텔신라 대표이사
19억 달러 (한화 약 2조 1372억 원)[18]
'''16'''
이서현
삼성복지재단[19] 이사장
18억 달러 (한화 약 2조 247억 원)[20]
'''17'''
이준호
NHN 회장
17억 달러 (한화 약 1조 9123억 원)[21]
'''18'''
정용진
신세계그룹 부회장
15억 달러 (한화 약 1조 6873억 원)[22]
'''19'''
박현주
미래에셋금융그룹 회장
14억 달러 (한화 약 1조 5748억 원)[23]
'''20'''
김준기
DB그룹 회장
14억 달러 (한화 약 1조 5748억 원)[24]
'''21'''
장평순
교원그룹[25] 회장
14억 달러 (한화 약 1조 5748억 원)[26]
'''22'''
김남정
동원그룹 부회장
13억 달러 (한화 약 1조 4623억 원)[27]
'''23'''
신창재
교보생명그룹 회장
13억 달러 (한화 약 1조 4623억 원)[28]
'''24'''
조정호
메리츠금융그룹 회장
13억 달러 (한화 약 1조 4623억 원)[29]
'''25'''
이명희
신세계그룹 회장
13억 달러 (한화 약 1조 4623억 원)[30]
'''26'''
구본식
LT그룹[31] 회장
12억 달러 (한화 약 1조 3498억 원)[32]
'''27'''
김대일
펄어비스 의장
12억 달러 (한화 약 1조 3498억 원)[33]
'''28'''
구본능
희성그룹[34] 회장
12억 달러 (한화 약 1조 3498억 원)[35]
'''29'''
구본준
LG그룹 (전)고문
12억 달러 (한화 약 1조 3498억 원)[36]
'''30'''
김상열
호반건설 회장
12억 달러 (한화 약 1조 3498억 원)[37]
'''31'''
최기원
SK행복나눔재단[38] 이사장
12억 달러 (한화 약 1조 3498억 원)[39]
'''32'''
김정웅
GP클럽[40] 대표이사
12억 달러 (한화 약 1조 3498억 원)[41]
'''33'''
이재현
CJ그룹 회장
12억 달러 (한화 약 1조 3498억 원)[42]
'''34'''
이호진
태광그룹 (전)회장
12억 달러 (한화 약 1조 3498억 원)[43]
'''35'''
신동국
한양정밀[44] 회장
12억 달러 (한화 약 1조 3498억 원)[45]
'''36'''
이중근
부영그룹 회장
11억 달러 (한화 약 1조 2374억 원)[46]
'''37'''
허영인
SPC그룹 회장
11억 달러 (한화 약 1조 2374억 원)[47]
'''38'''
홍석조
BGF그룹 회장
11억 달러 (한화 약 1조 2374억 원)[48]
'''39'''
정몽준
현대중공업그룹 대주주
10억 달러 (한화 약 1조 1249억 원)[49]
'''40'''
조양래
한국앤컴퍼니 회장
10억 달러 (한화 약 1조 1249억 원)[50]

4. 한국에 슈퍼갑부가 없는 이유


한국의 유명 대기업 오너들 중 세계 부자 순위 100위권에 위치한 슈퍼갑부가 없는 이유는 대부분의 오너들이 경영하는 기업의 재비력 강화를 위한 순환출자 구조 때문이다. 재계서열 상위권에 위치한 그룹 및 카카오와 같은 한국의 IT기업들 또한 순환출자 구조를 띠고 있다. 이는 오너일가가 경영하는 기업의 규모가 일가의 재산만으로는 완전히 지배력을 행사할 수 없을정도로 커지게 되어 그룹의 계열사가 또다른 계열사를 소유하는 '''고리'''의 형태를 띠어[51] 지배력을 강화하는 것이다. 덕분에, 오너일가들은 적은 양의 자본으로도 수십, 수백조에 달하는 그룹의 경영권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52].
순환출자 구조는 한국 경제 시스템의 특이한 시스템으로[53] 외국에서는 이런 사례를 흔히 볼 수가 없다. 대부분은 지주회사[54] 자회사의 지분을 소유해 지배력을 행사하고 있으며 GE, 3M과 같은 복합기업(conglomerate)또한 모회사를 기반으로 사업을 확장해 나간 경우이다.
따라서 한국 대기업의 오너일가가 경영하는 기업 규모에 비해 그들의 재산이 현저히 적을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일례로, 한국의 대표적인 재벌인 삼성그룹, 현대자동차그룹, SK그룹, LG그룹 모두 세계 부자 순위 10위권에 위치한 무케시 암바니릴라이언스 인더스트리, 베르나르 아르노LVMH, 중산산의 농부산천보다 규모가 크지만 순환출자 구조를 띠고 있어 총수의 재산 규모는 1/10, 1/100 규모 정도이다.
그렇기 때문에, 한국 오너일가의 재산이 적다고 그들의 영향력이 세계 부자 순위 100위권 초갑부들보다 '''영향력이 낮은 것이 절대 아니다'''[55]. 세계 부자 순위 문서에서 볼 수 있듯이 기업인들의 영향력은 그들이 경영하는 기업의 세계적 위치, 매출, 영업이익, 자산규모에서 비롯되기 때문에 한국 재벌 총수들이 칸예 웨스트 같은 연예인들보다 재산이 적다고 그들보다 영향력이 낮다고 주장할 수 없는 것이다.[56]
요약하면, 한국 대기업 오너들의 재산규모가 상대적으로 적은 이유는 그룹 산하의 계열사가 다른 계열사를 소유하는 순환출자 구조 때문이며, 이는 한국 경제 시스템에서 발달된 특이한 시스템이기 때문에 외국의 비슷한 규모의 기업을 운영하는 기업의 총수보다 재산 규모가 현저히 적울 수밖에 없는 것이다.
[1] 한화 약 1100억 원[2] 예를들어, 방준혁 의장과 방시혁 의장의 액수는 23억 달러로 같다고 표기 되었지만 방준혁 의장의 재산이 미세하게 더 많기 때문에 방준혁 의장의 세계 부자 순위가 방시혁 의장보다 높은 것이다.[3] 사망 당시 재산으로, 세계 부자 순위 66위에 해당했다.[4] 세계 부자 순위 156위[5] 세계 부자 순위 166위[6] 세계 부자 순위 234위[7] 세계 부자 순위 267위[8] 세계 부자 순위 373위[9] 세계 부자 순위 441위[10] 세계 부자 순위 666위[11] 세계 부자 순위 765위[12] 세계 부자 순위 911위[13] 세계 부자 순위 1035위[14] 세계 부자 순위 1280위[15] 세계 부자 순위 1300위[16] 세계 부자 순위 1321위[17] 세계 부자 순위 1332위[18] 세계 부자 순위 1602위[19] 삼성그룹 산하 재단[20] 세계 부자 순위 1710위[21] 세계 부자 순위 1715위[22] 세계 부자 순위 1892위[23] 세계 부자 순위 1950위[24] 세계 부자 순위 1958위[25] 빨간펜, 구몬 등을 소유한 교육회사[26] 세계 부자 순위 1998위[27] 세계 부자 순위 2062위[28] 세계 부자 순위 2070 위[29] 세계 부자 순위 2109위[30] 세계 부자 순위 2136위[31]LG그룹[32] 세계 부자 순위 2142위[33] 세계 부자 순위 2157위[34]LG그룹[35] 세계 부자 순위 2166위[36] 세계 부자 순위 2169위[37] 세계 부자 순위 2185위[38] SK그룹 산하 재단[39] 세계 부자 순위 2186위[40] 화장품회사[41] 세계 부자 순위 2203위[42] 세계 부자 순위 2215위[43] 세계 부자 순위 2221위[44] 자동차 부품 제조회사[45] 세계 부자 순위 2230위[46] 세계 부자 순위 2246위[47] 세계 부자 순위 2301위[48] 세계 부자 순위 2302위[49] 세계 부자 순위 2353위[50] 세계 부자 순위 2383위[51] 원으로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원에서는 점이 어느 부분에서 출발해도 결국 똑같은 자리로 돌아오기 때문에 점이 원의 어느 부분에 위치해 있어도 '''원의 한 부분'''인 것처럼 순환출자 구조도 그룹 산하의 A사가 B사를 소유하고, B사가 C사를, C사가 A사를 소유함으로서 원 고리의 형태를 만들어 A, B, C사 모두 '''그룹 이라는 하나의 원에 속해 있는 것이다'''.[52] 범 한진가의 경우 오너일가의 재산은 5000억 원 규모로 수십조의 자산을 보유하고 있는 한진그룹의 경영권의 방어하는 것이 불가능해 보이지만, 일가가 순환출자 구조를 기반으로 그룹 계열사들을 소유하고 있기 때문에 KCGI, 반도건설 사이의 경영권 분쟁에서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53] 스웨덴, 일본 등 간혹 한국의 재벌 시스템과 비슷한 형태를 가진 경우도 있지만 한국의 오너일가 처럼 '''한 가문'''이 소량의 자본으로 수십, 수백조의 자산을 보유한 그룹 전체의 운명을 좌지우지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54] 대표적으로 워렌 버핏이 경영하는 버크셔 해서웨이리자청의 CK허치슨 홀딩스[55] 물론, 래리 페이지, 워렌 버핏 등 오너일가들보다 영향력이 높은 초갑부들도 존재한다.[56] 물론 칸예와 같은 세계구급 랩퍼 정도면 사회 전반적인 부분에서 유의미한 영향력을 가지는 것 또한 사실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