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목록/급수별/3급

 



1. 개요
2. 목록
2.1. ㄱ
2.2. ㄴ
2.3. ㄷ
2.4. ㄹ
2.5. ㅁ
2.6. ㅂ
2.7. ㅅ
2.8. ㅇ
2.9. ㅈ
2.10. ㅊ
2.11. ㅌ
2.12. ㅍ
2.13. ㅎ
3. 총합


1. 개요


한국어문회 배정 한자를 기준으로 3급에 추가되는 한자 목록이다.
쓰기한자는 4급까지다.
  • 여기부터가 아니라 바로 아래 급수인 준3급(3급II)부터 국가 공인 취급을 받는다.
  • 독음 뒤에 ':'이 붙으면 무조건 장음, '-'이 붙으면 장단음[1]이다. 고급 한자가 포함된 경우 볼드처리, 굳이 외울 필요가 없는 경우 취소선 처리 하였다.
  • 일상생활에서는 안 쓰지만 한문에서 등장하는 기본적인 글자들은 전부 여기에 배정되어 있다. 그래서 훈이 어조사인 게 여기에 몰려 있다(예: 哉, 乎, 于 등).
  • 10천간과 12지지의 대부분이 여기서 나온다.[2]
  • 3급까지가 중·고등학교 교육용 한자의 마지노선이다. 즉 한국에서 일컫는 상용한자의 한계선이라고 보면 된다.
    • 유의사항이 있다면 이 급수는 어디까지나 중·고등학교 수준에서 자주 볼 법한 중급 어휘들을 위주로 구성되어있다(고급 어휘 수준은 1급). 따라서 고전 용어 해석이나 인·지명 음독 목적이 아니라 일상의 어휘력 향상을 주 목적으로 삼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3급 수준만으로는 전시회(박물관)의 물품이나 ·전각현판 이름 등의 인 · 지명을 읽을 수 있을 거라는 기대는 접어야 한다.[3]
    • 대학수학능력시험 제2외국어/한문 영역 (한문I) 출제 범위는 딱 여기까지이다. 이 이상 수준을 넘어서는 한자는 각주를 통해 주어지는 편이다.
    • 국어 영역 시험에 나올 법한 고전 문학 특수어는 아쉽게도 이 급수만으로는 해석이 불가능하며, 설령 특정 용어가 3급 이내의 한자로 구성되었다고 한들 아예 고유의 훈을 잃고 새 뜻을 창출하는 경우가 많다(이는 한문 영역에 나오는 용어도 마찬가지). 보통 인·지명이 많이 등장해서 특급 수준을 넘어가기도 하므로[4] 고전을 생으로 파훼하겠다고 특급 수준의 한자까지 공부하는 건 완전히 시간을 낭비하는 짓이다.

2. 목록



2.1. ㄱ



물리칠 각

간음할 간''':'''

목마를 갈

슬퍼할 개''':'''

다 개

빌 걸

비단 견

보낼 견''':'''

이끌 견

어깨 견

벼슬 경

일곱째천간/별 경

마침내 경''':'''

열째천간/북방 계''':'''

맬 계''':'''

돌아볼 고

마를 고

땅 곤

둘레 곽

걸 괘

흙덩이 괴

부끄러워할 괴''':'''

바로잡을 교''':'''

들 교

몰 구

함께 구

개 구

두려워할 구

진실로/구차할 구

그 궐

바퀴자국 궤''':'''

거북 귀, 땅이름 구, 터질 균[5]

얽을 규

부르짖을 규

삼갈 근''':'''

도끼 근

겨우 근''':'''

즐길 긍''':'''

주릴 기

어찌 기

버릴 기

몇 기

이미 기

꺼릴 기

속일 기

2.2. ㄴ



어찌 나''':'''

어찌 나/내

이에 내''':'''[6]

번뇌할 뇌

2.3. ㄷ



논 답

벼 도

뛸 도

돋울 도

칠할 도

도타울 독

도타울 돈

돼지 돈

진칠 둔

둔할 둔''':'''

오를 등[7]





2.4. ㄹ



넘칠 람''':'''

노략질할 략

믿을 량

불쌍히여길 련

못할 렬

청렴할 렴

사냥 렵

떨어질 령

종 례''':'''
鹿
사슴 록

동료 료

마칠 료''':'''

눈물 루''':'''

여러 루''':'''

배나무 리

이웃 린





2.5. ㅁ



흩어질 만''':'''

거만할 만''':'''

없을/속일/그물 망

아득할 망

바쁠 망

잊을 망

묻을 매

어두울 명

아무 모''':'''

저물 모''':'''

모을/뽑을 모

무릅쓸 모

업신여길 모'''-'''[8]

모 묘''':'''

사당 묘''':'''

넷째지지/토끼 묘''':'''

안개 무''':'''

다섯째 천간 무''':'''

미혹할 미'''-'''[9]

눈썹 미

민첩할 민

민망할 민

꿀 밀



2.6. ㅂ



배댈/머무를 박

돌아올 반''':'''

짝 반''':'''

배반할 반''':'''

나라 방

곁 방''':'''

본뜰 방

잔 배

뒤칠 번

번거로울 번

분별할 변''':'''

병풍 병'''-'''[10]

나란히 병''':'''

점 복

벌 봉

나아갈 부''':'''

무덤 분

벗 붕

무너질 붕

자주 빈

손 빈[11]

부를 빙




2.7. ㅅ



이 사

속일 사

버릴 사''':'''

여섯째 지지/뱀 사''':'''

줄 사''':'''

같을 사''':'''

초하루 삭

상서 상[12]

맛볼 상

갈 서''':'''

여러 서''':'''

펼 서''':'''

맹세할 서''':'''

더울 서''':'''

쪼갤 석

예 석

건널 섭

다스릴 섭

나물 소

떠들 소

밝을 소

부를 소

조 속

욀 송''':'''

모름지기 수

찾을 수

드디어 수

가둘 수

졸음 수

누구 수

비록 수

누구 숙

돌 순[13]

입술 순

따라죽을 순

열한째지지/개 술

화살 시''':'''

매울/여덟째 천간 신

펼 신

새벽 신

찾을 심






2.8. ㅇ



주릴 아''':'''

큰산 악

기러기 안[14]''':'''

뵐 알

누를 압

재앙 앙

물가 애

액 액

어조사 야

어조사/잇기 야

뛸 약

버들 양[15]

어조사 어

어찌 언

너 여''':'''
輿
수레 여''':'''

나 여

나 여

볼 열

헤엄칠 영''':'''

읊을 영''':'''

날카로울 예''':'''

더러울 오''':'''

즐길 오''':'''

탄식할 오

나 오

거만할 오''':'''

낄 옹''':'''

늙은이 옹

누울 와''':'''

가로 왈

두려워할 외''':'''

흔들 요

허리 요

멀 요

떳떳할 용

또 우''':'''

어조사 우

더욱 우

이를 운

씨 위

어긋날 위

생각할 유

나을 유

열째 지지/닭 유

오직 유

윤달 윤''':'''

읊을 음

울 읍

엉길 응''':'''

마땅할 의

어조사 의

말 이을 이

오랑캐 이

셋째 지지/범 인

혼인 인





2.9. ㅈ



이 자

마음대로 자''':'''

술부을 작

벼슬 작

담 장

재상 재''':'''

어조사 재

물방울 적

훔칠 절

나비 접

바로잡을 정

둑 제[16]

조상할 조''':'''

마를 조

졸렬할 졸

도울 좌''':'''

배 주

준걸 준''':'''

좇을 준''':'''

줄 증

더딜 지

다만 지

조카 질

징계할 징


2.10. ㅊ



또 차''':'''

잡을 착

참혹할 참

부끄러워할 참

화창할 창''':'''

물리칠 척

천거할 천''':'''

더할 첨

뾰족할 첨

첩 첩

갤 청

바꿀 체

갈릴 체

잡을 체

분초 초

뽑을 초

촛불 촉

귀밝을 총

뽑을 추

추할 추

쫓을 축

두번째 지지/소 축[17]

냄새 취''':'''

베개 침''':'''


2.11. ㅌ



떨어질 타''':'''

온당할 타''':'''

흐릴 탁

씻을 탁

맡길 탁

거짓/낳을 탄''':'''

탐할 탐

게으를 태



2.12. ㅍ



자못/치우칠 파

뿌릴 파'''-'''[18]

잡을 파''':'''

파할 파''':'''

팔 판

조개 패''':'''

두루 편

비단 폐''':'''

덮을 폐''':'''

배부를 포''':'''

안을 포''':'''

폭 폭

떠다닐 표

짝 필


2.13. ㅎ



가물 한''':'''

다 함

거리 항''':'''

갖출 해

열두째 지지/돼지 해

어찌 해

누릴 향''':'''

집 헌

고을 현''':'''

줄 현

싫어할 혐

형통할 형

반딧불이 형

어조사 혜

터럭 호

서로 호''':'''

어조사 호

어두울 혼

기러기 홍

클 홍

벼 화

넓힐 확

거둘 확

둥글 환

새벽 효''':'''

제후 후

헐 훼''':'''

빛날 휘

이끌 휴


3. 총합


총 '''317자'''

[1] 어떤 경우에서는 장음 어떤 경우에선 단음이다.[2] 예외로는 子(아들/첫째지지 자 - 준7급), 辰(다섯째지지/별 진 - 준3급), 午(낮/일곱째지지 오 - 준7급), 未(아닐/여덟째천간 미 - 준4급), 申(아홉째지지/고할 신 - 준4급), 甲(첫째천간/갑옷 갑 - 4급), 乙(둘째천간/새 을 - 준3급), 丙(셋째천간/밝을 병 - 준3급), 丁(넷째천간/고무래 정 - 4급), 己(몸/여섯째천간 기 - 준5급), 壬(아홉째천간/북방 임 - 준3급)이 있다. 대부분 천간/지지 외에 다른 뜻으로도 쓰이는 한자이다.[3] 국립중앙박물관 기준으로는 2급부터 많이 나오며, 국가지정문화재(보물, 국보, 사적, 명승 등)는 준특급에서 많이 나온다. 고궁박물관이나 고궁(경복궁, 창덕궁, 종묘 등)은 특급 수준을 넘어가기도 한다. [4] 제2외국어/한문 (한문I)만 3급 내 교육용 한자에서 출제하지만, 국어 영역은 논외다. 국어 영역에는 급수 제한 없이 한자를 제시할 수 있다. 보통 한자랑 병기 표기되는 경우도 있지만, 그렇지 않다면 보통 한글 단독 표기이다.[5] 경상북도 구미시(龜尾市)가 이 한자를 쓴다. 처음 배울 때 자형이 복잡하고 일관된 규칙 없이 3개의 독음으로 읽히며, 나라마다 세부적으로 자형이 다르며 이체자가 많이 존재하기로 악명 높다.[6] 이 한자는 2000년대 인터넷 상에서 엄지 손가락을 치켜든 이모티콘으로 자주 쓰였다. 참조.[7] 영어로 번역하자면 "rise"의 의미이다. 이 한자는 "climb"의 의미 정도로 해석하면 된다.[8] 侮辱(모욕)빼고 다 장음이다.[9] 迷亂, 迷失, 迷兒, 迷鳥, 迷走, 迷彩, 迷惑은 단음이고 迷見, 迷境, 迷界, 迷宮, 迷途, 迷路, 迷妄, 迷夢, 迷想, 迷信은 장음이다.[10] '''屛迹(병:적)'''만 장음이다.[11] 빈씨 대부분이 이 한자를 쓴다.[12] 복되는 일이 일어날 조짐을 말한다[13] 巡자가 순찰(巡察), 순회(巡廻)처럼 돌아다니다 정도의 뜻이라면 이 한자는 순환(循環)처럼 빙빙 돌다는 정도의 뜻으로 해석하면 된다.[14] 야구선수 나균안이 이름에 이 한자를 쓴다.[15] 경기도 양주시, 남양주시, 양평군, 강원도 양구군이 이 한자를 쓴다.[16] 충청북도 제천시가 이 한자를 쓴다.[17] 간화자로도 쓴다.[18] 播說(파:설), 播種(파:종), 播遷(파:천)만 장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