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CV
'''Light commercial vehicle'''
'''LCV'''
1. 개요
상용차의 한 종류로 유럽과 오세아니아, 캐나다 등지에서 사용 중이다. 대형 상용차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체급의 트럭이나 미니버스, 밴 형태의 상용차들을 분류하는 명칭으로 봉고차의 일종이다. 직역하면 경상용차가 되지만 국내의 경상용차의 개념은 상대적으로 가벼운 상용차라는 의미가 아닌 경차 상용차를 의미한다.
LCV는 특정 차량 형태만을 지칭하는 명칭은 아니다. 흔히 밴 형태를 가장 먼저 떠올리기 때문에 밴 형태의 차량만이 LCV라고 오해할 수 있으나 해당하는 체급 내에서 상용차 목적으로 생산된 차량들은 모두 LCV에 부합한다. 이 때문에 LCV로 분류되는 밴 형태의 차량들은 범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MPV 차량들과 일부 겹치는 부분이 존재한다.
2. 형태
차량총중량(GVM) 3.5톤 미만의 상용차량을 뜻하지만, 차급으로 판단했을 때 동일한 모델이라면 차량총중량이 3.5톤을 초과해도 이 분류에 포함시키는 편이다. 일례로 이베코 데일리(Iveco Daily)의 경우, 옵션에 따라 차량총중량이 최대 7톤까지 나가지만, LCV로 분류한다.[1] 국내생산 차량으로 따지면 11인승 승합차부터 1톤 트럭, 2.5톤 트럭들이 이 분류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보면 알겠지만 위 4종의 차량의 형태가 비슷비슷한데, 이는 EU 내 경상용차, 승합차 안전규정의 강화로 이전의 봉고차같은 원박스카는 안전문제로 판매가 불가능해서 대부분의 모델이 최소한 보닛이 있는 1.5박스 이상으로 바뀌었기 때문이다. 유럽에서는 일찌감치 1.5박스로 설계됐던 포드 트랜짓이 타 브랜드 차종이 나오기도 전에 시장을 쓸어 경상용차 시장 1위를 수 년간 놓치지 않고 있다. 현대자동차도 유럽 경상용차 시장 공략을 위해 쏠라티를 만들었지만 국내에서나 현지에서나 아직 트랜짓의 아성을 넘기엔 역부족이고, 홍보도 적극적이지 않은 편. 국내 판매는 말을 말아야 한다(...).[2] 일단 전고가 높아서 국내 대부분의 지하주차장에는 못 들어간다. 백화점같은 곳이면 모를까. 웃긴 게 또 포드 트랜짓은 '''15인승 급 장축'''에 전고가 낮은 버전이 있어서[3][4] 지하 주차장 진입이 가능한 경우가 있다.
해당 차량들을 베이스로 트럭도 나오는데, 다용도로 이용하기 위해서인지 적재함이 없는 섀시 타입으로 나온다. 즉, 섀시캡 구입 후 용도에 맞게 그 섀시 위에 적재함이나 탑 등을 별도로 장착하는 것인데, 일반적인 카고용 적재함을 달거나 윙바디/탑차 등으로 컨버전하는 모양.
대한민국산 유럽식 경상용차는 쏠라티가 유일하지만, 비싼 차값 탓에 인기가 적다. 또한 유럽에서도 다양하지 못한 라인업으로 인기가 없다. 대한민국에서 정식 수입, 판매 중인 경상용차는 르노 마스터, 메르세데스-벤츠 스프린터, 이베코 데일리가 있는데, 그 중 스프린터는 다임러트럭코리아가 직접 판매하지 않고 다임러 지정 바디빌더에 선 공급한 후 커스터마이징해서 해당 바디빌더가 판매하는 방식이다. 데일리같은 경우는 유일하게 섀시캡 타입 트럭이 대한민국에 나오고 있는 중. 하지만 데일리 역시 비싼 차값 탓에, 인기가 적은 편이다.
3. 해당되는 차량
LAV, 경상용차도 목록에 포함합니다.
- 현대자동차
- 기아자동차
- 쌍용자동차
- 삼성자동차
- 메르세데스-벤츠
- 제너럴 모터스
- 르노
- 닛산자동차
- 폭스바겐
- 마쓰다 봉고
- 이베코 데일리
- 포드 트랜짓
- 피아트
- 오펠/복스홀 모바노
- 폭스바겐 크래프터(MAN TGE)
- 토요타 하이에이스 6세대
- 맥서스 V80
- 이스즈 리치[5]
- JAC 선레이
4. 관련 문서
[1] 참고로 해당 사진의 숫자는 차량의 크기가 아니라 적재 용량(내부 용적)을 의미한다.[2] 애초에 이것들이 유럽에서 팔리는 형태를 보면, 포터와 스타렉스 그리고 카운티와 마이티를 합쳐 놓은 형태다. 여담으로 이베코 데일리 섀시캡에 카고트럭용 적재함을 달아서 쓰는데, 대개 적재중량 3.5톤으로 나간다. 한 가지를 베이스로 놓고 온갖 종류의 차량을 파는 것인데, 문제는 현대자동차에는 그 '''온갖 종류'''의 차가 기술제휴 시절부터 이미 (따로따로) 출시되어 있다는 것. 굳이 새로 만들기도 돈이 아깝고, 소비자도 이미 검증된 기존 차량을 마다할 이유도 없다. 일본을 가 보면 이런 종류의 차를 보기 어려운 것과 비슷한 상황. 유럽과 달리, 대한민국에서 쏠라티는 그저 '연예인 차' 아니면 '아주 작은 마을 버스'로 인식되는 중.(...)[3] 트랜짓뿐만 아니라 마스터, 데일리도 전고가 낮은 버전이 있다. 출시하는 국가들마다 선택/적용 여부가 다를 뿐. 하지만 마스터, 데일리도 15인승급에는 전고가 낮은 버전이 선택 안된다. 결국 전고가 낮은 버전은 현대 스타렉스와 별로 차이도 안나게 된다. 참고로 대한민국에서 팔리는 쏠라티는 전고 선택이 안 된다.[4] 이전에는 마스터, 데일리 같은 차량도 15인승급에 H1급 저 전고 버전이 있었으나, 세대가 바뀌면서 포드 트랜짓을 제외하고는 진즉에 날아갔다.[5] 엄밀히 보면 이 차종은 경상용차보다는 중형 트럭에 가깝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