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인식호/2015년

 


'''김인식호'''
''TEAM KOREA''
[image]
[image]
'''감독'''
[image] 김인식(KIM In Sik)
'''주장'''
'''C''' 정근우(JEONG Keunwoo)
'''킷 스폰서'''
[image] 데상트
'''팀 스폰서'''

'''참가대회'''
2015 WBSC 프리미어 12
'''최종성적'''
[image] '''10전 7승 3패'''
''' 【평가전】''' 2전 1승 1패
'''【프리미어 12】''' 8전 6승 2패
'''선수성적'''
[ 펼치기 · 접기 ]
'''타자부분 '''
【최다 타석】 정근우(34타석)
【최다 안타】 정근우(12안타)
【최다 홈런】 박병호, 황재균(2홈런)
【최다 타점】 김현수(13타점)
【최다 득점】 정근우(7득점)

'''투수부분'''
【최다 출전】 차우찬, 이현승(5경기)
【최다 이닝】 장원준(11⅔이닝)
【최다 승리】 김광현, 장원준, 이대은, 차우찬 (1승)
【최다 홀드】 -
【최다 세이브】 이현승 (2세이브)
【최다 탈삼진】 김광현, 차우찬(13K)

2014년
2015년
2017년
''' 유니폼 컬러 '''
''' 홈 '''
''' 어웨이 '''
'''모자/헬멧'''


'''상의'''

'''50'''



'''23'''


'''하의'''








1. 감독 선임 과정에서의 문제
2. 대회 준비
2.1. 코칭 스태프 선임
2.2. 예비 엔트리
2.3. 최종 엔트리
3.1. 1차전(11월 4일) 쿠바 0 : 6 대한민국
3.2. 2차전(11월 5일) 대한민국 1 : 3 쿠바
4.1.1. 1경기(11월 8일) : 일본 5 : 0 대한민국
4.1.2. 2경기(11월 11일) : 도미니카 1 : 10 대한민국
4.1.3. 3경기(11월 12일) : 대한민국 13 : 2 베네수엘라
4.1.4. 4경기(11월 14일) : 멕시코 3 : 4 대한민국
4.1.5. 5경기(11월 15일) : 대한민국 2 : 3 미국
4.2.1. 8강전(11월 16일) : 쿠바 2 : 7 대한민국
4.2.2. 4강전(11월 19일) : 대한민국 4 : 3 일본
4.3. 결승전(11월 21일) : 대한민국 8 : 0 미국
5. 전적
6. 개인 기록
6.1. 타자
6.2. 투수
7. 관련 문서

[clearfix]

1. 감독 선임 과정에서의 문제


2015년 프리미어 12 대회를 앞두고 KBO대한야구협회는 감독 선임 문제로 골머리를 앓았다. 전임감독제를 해야한다는 야구계 밖의 목소리가 컸으나, 야구 감독들은 성적의 부담, 본인 팀을 관리해야하는 이유 때문에 거절했고 마땅한 감독감을 찾지 못해 애를 먹었다.“국가대표 감독 안 해” 너도 나도 손사래
염경엽 넥센 히어로즈 감독도 "난 아직 3년 차 감독이다. 대표팀 감독직은 열심히가 아니라 결과로 보여 줘야하는 자리다. 아직 스스로가 그 정도 위치는 아니라고 생각했다. 나중에 더 경험을 쌓고 잘 할 수 있을 때 기회가 온다면 맡는 것이 옳다고 판단했다"라며 고사했다. 기사 류중일 삼성 라이온즈 감독도 당연히 고사했는데 비록 작년 아시안 게임에서 금메달을 따기는 했어도 재작년 WBC에서는 네덜란드에게 덜미를 잡힌 것이 원인이 되어 1차 조별 리그에서 광탈하는 수모를 겪은 바 있기에 더욱 부담스러웠을 것이다.
결국 2015년 6월 29일, 국가대표팀 경험이 풍부한 김인식 KBO 기술위원장을 6년만에 다시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감독으로 선택했고 이어 코치진 구성에 들어갔다.기사[1] 이에 대해 김성근 한화 이글스 감독은 감독 선임과정에 문제가 있다며 장기적인 안목으로 전임 감독을 선임해서 4~5년 후를 바라보고 육성해야 한다라고 이야기 하기도 했다.

2. 대회 준비



2.1. 코칭 스태프 선임


김인식호가 출범한후, 선수 구성에도 난항을 겪었다. "해외파 포함 드림팀을 구성하겠다."라고 밝혔지만 해외파 선수 소집문제에 있어서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눈치를 봐야하는 상황이었고 국내 선수들 차출 문제에 있어서도 병역문제 해결이 걸려있지 않아 자칫 고액 연봉자들과 스타플레이어들이 몸을 사려 참가 거부를 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우려가 나왔기 때문이다. 또한 김감독에 대한 지원도 미비해서 막상 국가대표팀 감독으로 선임되고 나서 선수들을 상태를 보기위해 야구장을 찾았을 때도 마땅히 앉을 자리를 제공해주지 않아서 불편한 몸에도 이리저리 옮겨 다녔다고 한다.[2]
7월 5일 선동렬KIA 타이거즈 감독을 비롯해 김재박, 이순철, 송진우가 국가대표 기술위원으로 선임했다.##
[image]
7월 6일 가진 첫 회동.
그리고 9월 3일 선동렬을 비롯한 코칭스태프 선임이 모두 완료 되었다. ## 그리고 일주일 후인 9월 8일, 프리미어 12에 출전할 대한민국 야구 대표팀의 예비 엔트리 45명을 선정, 공개했다.

2.2. 예비 엔트리


[image]
추신수랑 강정호가 들어가 있지만 어디까지나 예비이며 위에 서술했듯이 메이저리거들이 나올 가능성은 적다. 실제로 피츠버그 단장과 인터뷰한 국내 기자가 프리미어 12 나갈 수 있느냐? 라고 하자 단장은 "처음 듣는다. 누가 그러냐?"라며 어이없다는 반응을 보였을 정도다. 거기에 9월 17일, 강정호가 부상으로 시즌 아웃당했기에 이 대회 나올 일은 없어졌다.
한국날짜 9월 24일 경기를 준비하는 추신수에게 국내 기자들이 노골적으로 참가할거냐, 안 할거냐 질문을 던지자 구단에서는 프리미어 12에 대해 사무국의 결정은 아무것도 안 났는데 자신이 마음대로 간다, 안 간다를 논할 상황이냐며 대답. 팬들은 자꾸 참가를 노골적으로 강요하고 있는 대한야구협회와 국내 관계자들을 곱게 안 보고 있다.
치바 롯데 마린스 소속인 이대은의 차출 여부도 뜨거운 감자로 남아 있다. 일단 예비 엔트리에 들기는 했으나 일본에서도 썩 좋은 성적이 아닌데다가(일본은 극단적인 투고타저다) 선발과 불펜을 오르락내리락하는 등 심한 기복을 보이고 있어 최종 선발까지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2.3. 최종 엔트리


'''직책'''
'''이름'''
'''등번호'''
'''소속'''
'''비고'''
감독
김인식
''KIM In Sik''
'''87'''
대표팀 전임 감독
KBO 기술위원장
투수 코치
선동렬
''SUN Dong Yol''
'''90'''
-
KIA 타이거즈 감독
수비 코치
김평호
''KIM Pyoung ho''
'''71'''
NC 다이노스 1군 수석코치

작전 코치
김광수
'' KIM Kwang Soo''
'''77'''
한화 이글스 수석코치

불펜 코치
송진우
''SONG Jin Woo''
'''84'''
KBS N 스포츠 야구 해설위원

배터리 코치
김동수
''KIM Dongsoo''
'''86'''
LG 트윈스 퓨처스리그 감독

타격 코치
이순철
''LEE Soon Chul''
'''78'''
SBS Sports 야구 해설위원

'''직책'''
'''이름'''
'''등번호'''
'''소속'''
'''투타'''
'''비고'''
투수
장원준
''CHANG Won Jun''
'''28'''
두산 베어스
좌투좌타

투수
임창민
''LIM Chang Min''
'''45'''
NC 다이노스
우투우타

투수
심창민
''SIM Chang Min''
'''55'''
삼성 라이온즈
우언우타

투수
우규민
''WOO Kyumin''
'''22'''
LG 트윈스
우언우타

투수
이대은
''RHEE Daeeun''
'''11'''
치바 롯데 마린즈
우투좌타

투수
차우찬
''CHA Woochan''
'''23'''
삼성 라이온즈
좌투좌타

투수
김광현
''KIM Kwanghyun''
'''29'''
SK 와이번스
좌투좌타

투수

''LEE Taeyang''
'''19'''



투수
조상우
''CHO Sangwoo''
'''42'''
넥센 히어로즈
우투우타

투수
정대현
''CHONG Taehyon''
'''38'''
롯데 자이언츠
우언우타

투수
정우람
''JUNG Wooram''
'''57'''
한화 이글스
좌투좌타

투수
조무근
''CHO Mugeun''
'''67'''
kt wiz
우투우타

투수
이현승
''LEE Hyunseung''
'''48'''
두산 베어스
좌투좌타

'''직책'''
'''이름'''
'''등번호'''
'''소속'''
'''투타'''
'''비고'''
포수
양의지
''YANG Euiji''
'''25'''
두산 베어스
우투우타

포수
강민호
''KANG Minho''
'''47'''
롯데 자이언츠
우투우타

내야수
이대호
''LEE Dae ho''
'''10'''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우투우타

내야수
김상수
''KIM Sangsu''
'''7'''
삼성 라이온즈
우투우타

내야수
황재균
''HWANG Jaegyun''
'''16'''
롯데 자이언츠
우투우타

내야수
허경민
''HUR Kyoung Min''
'''14'''
두산 베어스
우투우타

내야수
오재원
''OH Jaewon''
'''24'''
두산 베어스
우투좌타

내야수
박병호
''PARK Byungho''
'''3'''
넥센 히어로즈
우투우타

내야수
정근우
''JEONG Keunwoo''
'''8'''
한화 이글스
우투우타

내야수
김재호
''KIM Jaeho''
'''52'''
두산 베어스
우투우타

외야수
손아섭
''SON Ahseop''
'''31'''
롯데 자이언츠
우투좌타

외야수
나성범
''NA Sungbum''
'''17'''
NC 다이노스
좌투좌타

외야수
민병헌
''MIN Byunghun''
'''49'''
두산 베어스
우투우타

외야수
김현수
''KIM Hyunsoo''
'''50'''
두산 베어스
우투좌타

외야수
이용규
''LEE Yongkyu''
'''15'''
한화 이글스
좌투좌타

[image]
오승환이 사타구니 부상으로, 양현종이 왼쪽 어깨 부상, 윤석민마저 어깨와 팔꿈치 부상으로 이탈했다. 25인 로스터에 포함된 선수의 차출을 금지한다는 MLB 사무국의 방침에 따라추신수는 제외되었고 해외파는 이대은, 이대호까지 2명이다. 그 외에 삼성에서 40세 임창용 포함 6인, 두산에서도 6인이 선발되었는데, 만약 이 둘이 한국시리즈를 치른다면 대표팀의 체력 문제가 심각해질 것이 자명하다.
여기에 원정 도박 의혹에 연루 된걸로 추정되는 선수들이 엔트리에 포함이 되어있는 상태. 결국 엔트리에서 제외 시킬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포스트 시즌으로 인한 결원과 도박 의혹으로 빈 엔트리를 위한 상비군 명단을 발표하였다. 이 상비군 선발기준에 대해 논란이 있었으나, 김인식 감독의 인터뷰에 따르면 기술위원회에서 선발한 것이 아니라 각 구단에 상비군을 요청하자 구단들이 알아서 보내준 것이라고 한다. 즉, 구단들이 각자의 이해사정에 따라 결정한 것.
윤성환, 안지만, 임창용이 한국시리즈 엔트리에 제외되면서, 동시에 프리미어 12 엔트리에도 빠지게 되었다. 대신 삼성의 심창민, 두산의 장원준, NC의 임창민을 대체선수로 선발하였다. 임창민은 26일 곧바로 소집되며 심창민과 장원준은 한국시리즈가 종료되는 대로 합류할 예정.
28명 중에 무려 7명이 준플레이오프, 플레이오프, 한국시리즈를 모두 치르게 된 두산 베어스 선수이다. 자칫 선수들이 피로 누적으로 다음 시즌에 영향이 가진 않을지 걱정되는 부분이다. 또한 국제 대회에 잘 참여하는 구단들에는 뭔가 어드밴티지를 주어서 선수들이 국대 차출을 자연스럽게 갈 수 있도록 유도할 제도적 장치 도입이 시급하다고 보인다.[3] 일단 두산이 업셋 우승에 성공하여 이들의 사기가 최고조일 것이므로, 두산 선수들이 그 사기를 토대로 대표팀을 이끌어갈 것이다.
그리고 11월 1일, 박석민마저 부상으로 제외되었다. 대신 그 자리는 허경민이 채우기로 하면서 두산은 무려 8명이 참가하는 상황이 되었다.
본 대회에 앞서 쿠바2015 서울 슈퍼시리즈란 평가전을 가졌다.

3. 2015 서울 슈퍼시리즈




3.1. 1차전(11월 4일) 쿠바 0 : 6 대한민국


'''팀'''
'''선발'''
'''1회'''
'''2회'''
'''3회'''
'''4회'''
'''5회'''
'''6회'''
'''7회'''
'''8회'''
'''9회'''
'''R'''
'''H'''
'''E'''
'''B'''
쿠바
예라
0
0
0
0
0
0
0
0
0
'''0'''
4
1
0
대한민국
김광현
3
0
0
0
1
2
0
0
X
'''6'''
12
1
5
  • 승리 : 이대은 (1승)
  • 패전 : 예라 (1패)
  • 세이브 : 없음
  • 홈런 : 없음
  • 결승타 : 손아섭 (1회)

3.2. 2차전(11월 5일) 대한민국 1 : 3 쿠바


'''팀'''
'''선발'''
'''1회'''
'''2회'''
'''3회'''
'''4회'''
'''5회'''
'''6회'''
'''7회'''
'''8회'''
'''9회'''
'''R'''
'''H'''
'''E'''
'''B'''
대한민국
우규민
0
0
0
0
0
1
0
0
0
'''1'''
8
2
7
쿠바
토레스
2
0
0
0
0
0
1
0
X
'''3'''
9
0
0
  • 승리 : 토레스
  • 패전 : 우규민
  • 세이브 : 없음
  • 홈런 : 없음
  • 결승타 : 1회 루르데스 구리엘 (희생타)

4. 2015 WBSC 프리미어 12


프리미어 12 조추첨 결과 김인식 호는 일본 베네수엘라 멕시코 미국 도미니카와 함께 조별 B조에 걸렸다.

4.1. 조별리그 B조



4.1.1. 1경기(11월 8일) : 일본 5 : 0 대한민국


'''팀'''
'''선발'''
'''1회'''
'''2회'''
'''3회'''
'''4회'''
'''5회'''
'''6회'''
'''7회'''
'''8회'''
'''9회'''
'''R'''
'''H'''
'''E'''
대한민국
김광현
0
0
0
0
0
0
0
0
0
'''0'''
7
0
일본
오타니 쇼헤이
0
2
0
0
1
1
0
1
X
'''5'''
12
0
충격과 공포한일전. 타자들이 손도 한번 쓰지 못하고 오타니 쇼헤이에게 꽁꽁 묶였으며 김인식 감독은 이미 2009년 WBC때 일본에게 탈탈 털린 경험이 있는 김광현을 베이징 올림픽때의 기억 때문인지 일본 킬러라고 판단해 등판 시켰으나 결과적으론 대 실패가 되었다.

4.1.2. 2경기(11월 11일) : 도미니카 1 : 10 대한민국


'''팀'''
'''선발'''
'''1회'''
'''2회'''
'''3회'''
'''4회'''
'''5회'''
'''6회'''
'''7회'''
'''8회'''
'''9회'''
'''R'''
'''H'''
'''E'''
대한민국
장원준
0
0
0
0
0
0
2
5
3
'''10'''
11
2
도미니카
루이스 페레즈
0
0
0
0
1
0
0
0
0
'''1'''
4
0
  • 승리 : 장원준 (7이닝 7탈삼진 1실점 1자책점)
  • 패전 : 미겔 페르맨 (1이닝 3피안타 1피홈런 1탈삼진 3실점 3자책점 )
  • 홈런 : 이대호 (7회 1사 2루 좌월 투런 홈런)
  • 결승타 : 이대호(7회 1사 2루 좌월 투런 홈런)

4.1.3. 3경기(11월 12일) : 대한민국 13 : 2 베네수엘라


'''팀'''
'''선발'''
'''1회'''
'''2회'''
'''3회'''
'''4회'''
'''5회'''
'''6회'''
'''7회'''
'''R'''
'''H'''
'''E'''
베네수엘라
카를로스 모나스테레오
0
0
2
0
0
0
0
'''2'''
8
1
대한민국
이대은
3
0
0
4
3
3
X
'''13'''
14
1
  • 승리 :이대은(5이닝 6피안타 2실점)
  • 패전 :카를로스 모나스테레오(0.2이닝 4피안타 3실점)
  • 세이브 :
  • 홈런 :황재균(4회말 1점),(5회말 1점)
  • 결승타 :김현수(1회말 무사 1,2루에 2타점 2루타)

4.1.4. 4경기(11월 14일) : 멕시코 3 : 4 대한민국


'''팀'''
'''선발'''
'''1회'''
'''2회'''
'''3회'''
'''4회'''
'''5회'''
'''6회'''
'''7회'''
'''8회'''
'''9회'''
'''R'''
'''H'''
'''E'''
'''B'''
대한민국
이태양
2
1
1
0
0
0
0
0
0
'''4'''
8
1
6
멕시코
세자르 까리요
0
0
1
0
2
0
0
0
0
'''3'''
4
2
4
  • 승리 : 차우찬
  • 패전 : 세자르 까리요
  • 홀드 : 임창민, 정대현
  • 세이브 : 이현승
  • 홈런 : 박병호
  • 결승타 : 김현수

4.1.5. 5경기(11월 15일) : 대한민국 2 : 3 미국


'''팀'''
'''선발'''
'''1회'''
'''2회'''
'''3회'''
'''4회'''
'''5회'''
'''6회'''
'''7회'''
'''8회'''
'''9회'''
'''10회'''
'''R'''
'''H'''
'''E'''
미국
스프루일
0
0
0
0
2
0
0
0
0
1
'''3'''
7
1
대한민국
김광현
0
0
0
0
0
0
2
0
0
0
'''2'''
6
0
  • 승리 : [4]
  • 패전 : [5]
  • 결승타 : 브렛 아이브너 (10회초 2사 2루 우익수 안타)
오심으로 패배한 경기. 이 경기로 인해 대한민국 야구 대표팀은 4강에서 또다시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오타니 쇼헤이를 만나게 되었다.

4.2. 결선 토너먼트



4.2.1. 8강전(11월 16일) : 쿠바 2 : 7 대한민국


[image]
'''2015년 프리미어 12'''
''2015 WBSC Premier 12''

━━━━━━━━━━━━━━━━━━━━━━━━━━━━
'''8강 3경기, 11.16 19:00, 대만 타이중 저우지 야구장 -명'''
'''중계방송사: [image] | 캐스터: 정우영 | 해설: 이순철, 안경현'''

'''팀'''
'''선발'''
'''1'''
'''2'''
'''3'''
'''4'''
'''5'''
'''6'''
'''7'''
'''8'''
'''9'''
'''R'''
'''H'''
'''E'''
'''B'''
[image] '''대한민국'''
장원준
0
5
0
0
0
0
0
2
0
'''7'''
13
0

[image] '''쿠바'''
프랑크 몬티에트
0
0
0
0
2
0
0
0
0
'''2'''
7
1

  • 승리 : 임창민
  • 패전 : 프랑크 몬티에트
  • 홈런 : 양의지 ( 8회 1사, 좌월 솔로 홈런)
  • 결승타 : 민병헌 (2회 무사 3루서 중전 안타)

4.2.2. 4강전(11월 19일) : 대한민국 4 : 3 일본


[image]
'''2015년 프리미어 12'''
''2015 WBSC Premier 12''

━━━━━━━━━━━━━━━━━━━━━━━━━━━━
'''4강 11.19 19:00, 도쿄돔 45,000명'''
'''중계방송사: [image] | 캐스터: 정우영 | 해설: 이순철, 안경현'''

'''팀'''
'''선발'''
'''1'''
'''2'''
'''3'''
'''4'''
'''5'''
'''6'''
'''7'''
'''8'''
'''9'''
'''R'''
'''H'''
'''E'''
'''B'''
[image] '''대한민국'''
이대은
0
0
0
0
0
0
0
0
4
'''4'''
6
1
3
[image] '''일본'''
오타니 쇼헤이
0
0
0
3
0
0
0
0
0
'''3'''
6
0
8
  • 승리 : 임창민(⅓이닝 1K 무실점)
  • 패전 : 노리모토 다카히로(1이닝 3피안타 1K 4실점 4자책)
  • 세이브 : 이현승(⅓이닝 무실점)
  • 홀드 : 정대현(⅔이닝 1피안타 1K 무실점)
  • 홈런 : 없음
  • 결승타 : 이대호(9회초 무사 만루 좌익수 왼쪽 2타점 1루타)


4.3. '''결승전'''(11월 21일) : 대한민국 8 : 0 미국


[image]
'''2015년 프리미어 12 파이널'''
''2015 WBSC Premier 12 Final''

━━━━━━━━━━━━━━━━━━━━━━━━━━━━
'''결승, 11.21 19:00, 도쿄돔 45,000명'''
'''중계방송사: [image] | 캐스터: 정우영 | 해설: 이순철, 안경현'''

'''팀'''
'''선발'''
'''1'''
'''2'''
'''3'''
'''4'''
'''5'''
'''6'''
'''7'''
'''8'''
'''9'''
'''R'''
'''H'''
'''E'''
'''B'''
[image] '''대한민국'''
김광현
1
0
1
'''5'''
0
0
0
0
1
'''8'''
13
0

[image] '''미국'''
잭 세고비아[6]
0
0
0
0
0
0
0
0
0
'''0'''
5
0

  • 승리 : 김광현 (5이닝 4피안타 5탈삼진 무실점)
  • 패전 : 재커리 어니스트 세고비아 (2이닝 4피안타 3사사구 2실점 2자책)
  • 홈런 : 박병호 (4회 2사 주자 2,3루 좌월 3점 홈런)
  • 결승타 : 이용규 (1회 무사 주자 2루 우중간 1타점 2루타)
  • MVP : 김현수
[image]
공수 모두 완벽한 그야말로 퍼펙트한 게임을 펼쳤고 대한민국 야구 대표팀은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이후 첫 메이저대회 우승을 차지하는 기염을 토했다.

5. 전적


  • 10전 7승 2패 1무[7]
  • 98안타 6홈런 55득점 20실점
  • vs 일본 : 2전 1승 1패
  • vs 쿠바 : 3전 2승 1패
  • vs 미국 : 2전 1승 1무[8]
  • vs 멕시코 : 1전 1승
  • vs 도미니카 : 1전 1승
  • vs 베네수엘라 : 1전 1승

6. 개인 기록



6.1. 타자


  • 서울 슈퍼시리즈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9539D 75%, #A01E20 75%, #1E2776 90%, #ffffff 95%)"
이름
경기
선발
타수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도루
삼진
4구
강민호
2
2
4
1
0
0
0
1
0
.250
.400
.250
.650
0
3
1
양의지
1
0
1
1
1
0
0
0
0
1.000
1.000
2.000
3.000
0
0
0
박병호
2
2
7
1
0
0
0
0
1
.143
.333
.143
.476
0
5
2
이대호
2
1
3
0
0
0
0
0
0
.000
.000
.000
.000
0
1
0
정근우
2
2
9
2
0
0
0
0
0
.222
.222
.222
.444
0
0
0
오재원
1
0
0
0
0
0
0
0
0
.000
.000
.000
.000
0
1
0
황재균
2
2
5
1
0
0
0
0
0
.200
.429
.200
.629
0
2
1
허경민
2
1
3
3
0
0
0
1
0
1.000
1.000
1.000
2.000
0
0
1
김재호
1
1
4
0
0
0
0
0
0
.000
.000
.000
.000
0
0
0
김상수
1
0
0
0
0
0
0
0
1
.000
.000
.000
.000
0
0
0
이용규
2
2
7
2
0
0
0
0
0
.286
.500
.286
.786
1
2
3
손아섭
2
2
8
1
0
0
0
1
1
.125
.222
.125
.347
0
0
0
나성범
2
2
6
3
1
0
0
1
0
.500
.571
.833
1.405
0
1
2
민병헌
1
0
2
2
0
0
0
2
0
1.000
1.000
1.000
2.000
0
0
0
  • 프리미어 1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9539D 75%, #A01E20 75%, #1E2776 90%, #ffffff 95%)"
이름
경기
선발
타수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도루
삼진
4구
상세
양의지
8
4
13
3
0
0
1
2
2
.231
.333
.462
.795
0
3
2
##
강민호
8
4
12
3
1
0
0
0
3
.250
.400
.333
.733
0
3
3
##
이대호
8
8
27
6
0
0
1
7
2
.222
.382
.333
.715
0
6
4
##
박병호
8
7
29
6
1
1
2
4
4
.207
.324
.517
.841
1
10
4
##
정근우
8
8
34
12
4
0
0
9
7
.353
.421
.471
.892
2
2
4
##
오재원
7
1
6
3
0
0
0
1
1
.500
.556
.500
1.056
0
0
2
##
황재균
8
7
29
8
0
0
2
3
4
.276
.322
.483
.805
1
8
2
##
허경민
4
1
2
0
0
0
0
0
0
2
.000
.000
.000
0
2
0
##
김재호
7
7
19
8
2
0
0
1
6
.421
.450
.526
.976
0
5
1
##
김상수
4
1
5
1
0
0
0
0
0
.200
.333
.200
.533
0
0
1
##
김현수
8
8
33
11
4
1
0
13
4
.333
.405
.515
.920
1
8
3
##
이용규
7
6
28
6
1
0
0
2
7
.214
.333
.250
.583
0
9
3
##
손아섭
7
4
12
4
0
0
0
1
3
.333
.500
.333
.833
0
3
5
##
민병헌
5
4
13
6
1
0
0
3
2
.462
.533
.539
1.072
0
1
1
##
나성범
8
2
11
1
0
0
0
0
1
.091
.167
.091
.258
0
4
1
##

6.2. 투수


  • 서울 슈퍼시리즈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9539D 75%, #A01E20 75%, #1E2776 90%, #ffffff 95%)"
이름
경기
선발
이닝
방어율


홀드
세이브
피안타
실점
자책점
4구
삼진
김광현
1
1
3
0.00
1
0
0
0
2
0
0
0
2
우규민
1
1

180.00
0
1
0
0
3
2
2
0
0
이대은
1
1
4
0.00
1
0
0
0
0
0
0
0
3
장원준
1
0
2⅔
0.00
0
0
0
0
2
0
0
0
1
정우람
1
0
1
0.00
0
0
0
0
0
0
0
0
0
조무근
1
0
1
0.00
0
0
0
0
1
0
0
0
1
차우찬
1
0
1
0.00
0
0
0
0
1
0
0
0
0

1
0
1
0.00
0
0
0
0
0
0
0
0
0
이현승
1
0
1
9.00
0
0
0
0
0
0
1
1
2
정대현
1
0
1
0.00
0
0
0
0
0
0
0
0
2
조상우
1
0

0.00
0
0
0
0
0
0
0
0
1
임창민
1
0

0.00
0
0
0
0
0
0
0
0
0
  • 프리미어 1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9539D 75%, #A01E20 75%, #1E2776 90%, #ffffff 95%)"
이름
경기
선발
이닝
방어율


홀드
세이브
피안타
실점
자책점
4구
삼진
상세
김광현
3
3
12
3.00
1
1
0
0
13
4
4
4
13
##
장원준
2
2
11⅔
2.31
1
0
0
0
8
3
3
3
10
##
이대은
2
2
8⅓
3.24
1
0
0
0
9
5
3
4
8
##

2
1
4
4.50
0
0
0
0
1
2
2
2
6
##
차우찬
5
0
10⅓
0.87
1
0
0
0
5
1
1
5
13
##
정대현
5
0
5
0.00
0
0
0
0
1
0
0
2
5
##
이현승
5
0
2⅔
0.00
0
0
0
2
0
0
0
1
5
##
임창민
4
0

0.00
0
0
0
0
3
1
0
1
5
##
심창민
2
0
2
0.00
0
0
0
0
1
0
0
2
4
##
우규민
2
0
1⅔
0.00
0
1
0
0
3
1
0
0
1
##
조상우
3
0
2
0.00
0
0
0
0
2
0
0
2
5
##
정우람
3
0
4⅔
1.93
0
0
0
0
3
1
1
1
3
##
조무근
2
0
2
4.50
0
0
0
0
3
1
1
0
3
##

7. 관련 문서



[1] 구본능 KBO 총재가 직접 부탁을 했다고.[2] 라디오볼 정철우 기자가 직접 언급했다. 발언 직후 "우리가 제대로 대접해드려야 하지 않을까"라는 발언을 하기도.[3] 그런데 그게 없다는 게 문제. 병역특례가 걸린 대회는 아시안 게임 금메달과 올림픽 메달 외에는 없다. 월드컵에서 우승을 해도 면제가 없다고 확정되었기에 2009년 WBC에서 준우승을 했을 때도 면제는 없었다. 그리고 이번 대회는 우승상금도 WBC보다 훨씬 적으니 돈도 큰 매력이 없다. 야구 세계화나 국가 이미지같은 것들을 내세워도 그게 뭐라고 억지로 고집해야 할 건 더더욱 헛소리일 테니... 일부에선 FA 기한 단축을 내세우기도 하지만 그건 선수 개인에 대한 혜택이고, 보내주는 구단에 대한 혜택도 필요할 것이다. 예를 들어 '''신인드래프트 (1, 2라운드 한정) 지명 순서를 대표팀에 선수 많이 보낸 팀 순서대로 정한다거나, 병역특례가 걸려있지 않은 대회에 선수 많이 보내준 구단 순으로 병역특례가 걸려있는 아시안게임같은 대회에 미필 선수들을 많이 차출해간다거나..''' 대표팀 뽑힐 선수가 없는 약팀이 불리하다지만 이런 비슷한 혜택이라도 있어야지...[4] 승부치기에선 투수의 승패가 기록되지 않는다.[5] 승부치기에선 투수의 승패가 기록되지 않는다.[6] 메이저리그 경험이 있었고, 이 대회 직후 대만의 라미고 몽키스에 입단하였다. 2017년 대만프로야구 공동 다승왕을 차지했다.[7] 승부치기 패[8] 승부치기